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공동체의 문화복지를 위한 공공신학의 실천적 연구

        성석환(Sung Suk W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3 No.-

        본 연구는 공공신학의 실천으로서 교회가 지역사회에서 감당해야 할 공적 역할을 탐구하고자 한다. 세속화 이론은 종교가 사적인 영역에 국한되어 있을 것이라고 예견하였으나 후기세속사회에서 종교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종교가 부흥하고 있으며, 근대주의의 이분법적 세계관을 반성한 서구에서도 종교가 문화변혁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더구나 서구사회에서 초기에 견지했던 복지국가의 공동체적 가치들이 개인의 자유와 물질적 부를 추구하는 신자유주의의 도전 앞에 사회적 연대감은 저하되고 사회적 안전망은 약해진 상황에서 종교의 공적 역할에 대한 윤리적 요청은 당연한 것이었다. 공공신학은 21세기의 다원적 시민사회에서 공적 담론 형성에 참여하고 사회의 모든 사안에 대해 기독교적 가치를 토대로 대화하려는 것이다. 김창환은 신학의 본질적 공공성을 주장하고 포레스터는 공공신학이 공적영역에서 인정되는 외부의 기준을 수용할 것조차 주문한다. 신학의 자리는 교회 안이 아니라 다른 이들을 설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공론장이어야 한다. 이런 이유에서 서구의 신학자들은 공공신학이 서구사회의 문화변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신학의 공공성이 시민사회의 공공선을 증진시키도록 실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시민사회의 공공선을 추구하려면 교회로서는 지역사회에 ‘사회적 자본’을 확대하여 사람들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역선교를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공신학이 시민사회를 대화상대로 여긴다면, 교회들의 공적 영역은 지역사회가 되어야 한다. 개인의 행복과 자치적 권리를 보장받고 지역주민 스스로 지역의 정체성을 세워 나가는 문화변혁적 방향으로 지역교회의 선교적 패러다임이 변화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의 문화적 공동체성을 증진시키고 관계망 중심의 문화적 유대감을 확장하는 일에 교회가 헌신하는 것이 한국적 공공신학의 실천이 될 것이다. 그래서 한국교회가 지금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화적이고도 선교적인 위기를 극복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

        김인숙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연구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 한국목회상담 분야에서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에 대한 담론들 이 논의되면서 이 두 학문에 대한 간학문적 관심이 늘고 있다. 두 학문의 영역이 사 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시각과 공공영역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제간의 대화와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공신학과 이야 기치료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문헌고찰 연구를 통하여 살펴 볼 것이다. 또한 목회 상담과 이야기치료의 간학문적 대화를 통해서 목회상담을 위한 대안적인 방향성을 제 언하도록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세 분야로 진행될 것이다. 첫 번째는 목회신학과 공공신학을 살펴볼 것 이다. 보니 밀러-맥레모어(Bonnie Miller-McLemore)는 “살아 있는 인간망”(living human web)이라는 메타포를 사용하며 공공신학을 발전시켰다. 무엇보다 공공신학을 이해하려면 밀러-맥레모어의 신학적 메타포에 영향을 준 안톤 보이슨(Anton Boisen) 의 “살아 있는 인간문서”(living human document)의 목회신학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에, “살아 있는 인간문서”의 함축적 의미를 다루고 뒤이어 “살아 있는 인간망”을 다룰 것이다. 두 번째는 마이클 화이트(Michael White)에 의해 발전된 이야기치료의 발전 과정과 기료기법을 살펴본다. 이야기치료는 거대담론(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만 들어진 이야기로 사람들을 통제하고 제약하는 권력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담론)의 통 제와 제약으로 말할 수 없던(들려지지 않은) 개인의 숨겨진 이야기에 주목한다. 이 과 정에서, 개인은 사회권력, 힘, 억압에 대해 비평적 사고를 가지며, 개인이 추구하였던 삶의 이야기를 재구조화한다. 세 번째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공통적인 의미를 고찰하며 목회상담을 위한 방향성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째, 개인의 영역 을 넘어 공공영역으로의 확장을 요청한다. 둘째, 지배적인 사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해 석을 가진다. 셋째, 공공의 재원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중심의 돌봄과 상담을 구축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Looking at the recent discourse o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we can see that interest in these two studies is increasing. A researcher recognizes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even though these two theories have critical view about social construction and publicness as common ground.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story therap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ry to have a conversation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 researcher will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dialogue for pastoral counseling and narrative therap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is study will review pastoral theology and public theology. Bonnie Miller-McLemore has developed public theology using the metaphor “living human web.” Above all, it is required to consider “living human document” developed by Anton Boisen to understand Miller-McLemore’s living human web because “her metaphor has been constited and developed based on living human document.” Second. this study will consider narrative therapy developed by Michael White. Narrative therapy has a critical view of the social structure which has the power, listening to the stories of individuals who are not told due to the dominant discourses(the story that has power and restricted individuals). This study will review narrative therapy and address the representative treatment techniques of narrative therapy. Third, this study will re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nd propose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irst,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ims to expand beyond the private sphere to the public area. Secon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pursues to have a critical view of the dominant social structure. Thir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establishes network-centered care and counseling that utilizes public resources.

      • KCI등재

        기독교학교의 공공성에 대한 신학적 논의

        장신근(Shin Geun J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3 No.-

        자율성과 공공성의 문제는 기독교학교가 풀어나가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지금까지 기독교학교에 대한 논의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현실로 인하여 주로 자율성의 주제에 초점을 많이 맞추어왔다. 정부 주도의 교육정책으로 인하여 기독교학교가 본래의 설립목적을 제대로 실현해 나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는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학교가 동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내용은 바로 공공성에 대한 기여의 문제이다. 기독교학교가 자율성의 문제에만 매몰된다면 사실상 기독교학교의 원래 설립정신을 살려나가는 데 있어서 절반만을 강조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기독교학교들의 설립이념과 목적을 다시 한번 자세히 살펴보면 예외 없이 그 속에 자율성과 더불어 공공성의 차원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공공성의 문제는 기독교학교의 설립이념과 목적을 온전하게 실현하기 위한 또 다른 반쪽이다. 이제 양자의 관계를 서로 대립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강화시켜주고 상승시켜주는 관계로 바라보면서 후자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기독교학교의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는 문제는 현재 한국교회가 경험하고 있는 대사회적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교회와 가정이 공적신앙을 양육해 나가는 중요한 현장이기는 하지만 기독교학교가 여기에 연계되지 않으면 그 효과는 반감될 것이다. 기독교학교의 설립목적을 온전히 실현해 나가고 한국교회의 지속적인 개혁을 위하여 기독교학교의 공공성 실현이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다시 깨닫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실천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에서는 오늘의 상황에서 기독교학교가 공공성을 추구하고 공적 책임을 바르게 수행하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위한 신학적 기초를 제안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공공성이라는 개념은 기술적(descriptive) 차원과 규범적 차원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공공성이 무엇이며 어떠한 공공성이 추구되어야 하는가를 모두 다룬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학교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를 공공성의 개념, 학교의 공공성, 사립학교로서 기독교학교의 공공성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성서, 교회사, 신학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공공성의 유형을 1) 정의롭고 평등한 공동 삶의 형성 차원, 2) 현실개혁적 차원, 3) 변증적이며 대화적 차원 등으로 분류하여 고찰해본다. 이어서 기독교 교육신학적 차원에서 20세기의 대표적인 기독교교육학자 또는 종교교육학자들의 공공성 이해와 그 신학적 기초를 논의한 후에, 오늘의 상황에서 기독교학교의 공적 책임수행과 관련된 주요한 주제들과 이를 위한 신학적 기초를 공공신학과의 대화를 통하여 제안한다.

      • 스택하우스 신학의 공공성에 관한 에큐메니칼 신학적 해석

        박도웅(Park, Do Woo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7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 사회와 교회에 나타나는 불공정하고 불의한 모습들에 대한 기독교인들과 교회의 책임을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상기하면서, 기독교인들과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돌아보기 위하여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공하는 공공신학의 성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는 공공신학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공공신학을 발전시켜 온 학자들 가운데 맥스 스택하우스를 택하여 그의 공공신학과 그가 강조하는 공공성을 관찰할 것이다. 에큐메니칼 신학의 관점에서 그의 신학의 중심 개념인 공공성과 교회의 실천적 책임을 해석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택하우스 신학의 구조와 형식, 그리고 범위와 방법론을 간략하게 살피고 에큐메니칼 신학이 강조하는 교회의 실천적 책임을 소개할 것이다.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공공신학에 대한 에큐메니칼 신학적 해석을 수행하고 오늘날 한국의 기독교회에 요구되는 정체성과 사명에 관한 영감을 찾고자 한다. 에큐메니칼 신학은 세계교회협의회 총회를 통하여 교회론을 발전시켜왔다. 특별히 2013년 한국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 제10차 총회에서 발표된 두 개의 문서 “교회: 공동의 비전을 향하여”와 “함께 생명을 향하여: 기독교의 지형 변화 속에서 선교와 전도”는 교회와 선교에 대한 에큐메니칼 신학의 최신 개정판이다. 이 문서들에 담긴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공공신학의 공공성 개념과 연결시켜 보면서, 한국교회가 한국사회의 새로운 소망이 될 수 있는 방향을 공유하고자 한다. 공공신학의 성과들은 에큐메니칼 신학 전통과 함께 한국사회와 교회를 위한 의미있는 결과물이 되리라 믿는다.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meanings of "publicity" in the Public Theology that has been recently raised in America and Europe. The Public Theology seeks to engage in dialogue with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politics, economics, cultural studies, religious studies, as well as with spirituality, globalization and society in general. I have chosen Dr. Max Stackhouse(1935-2016) who was the Rimmer and Ruth de Vries Professor of Reformed Theology and Public Life Emeritus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to examine and articulate the meaning of publicity in the structure of the Public Theology. I compare and evaluate the meanings and values of the Public Theology and its directions to the ecclesiology and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ecumenical theolog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ssued two important documents so called "The Church: for the common vision" and "Mission and Evangelism: An Ecumenical Affirmation) related to this topics in Public Theology. My conclusion is that the theological views and practices in the Public theology and the Ecumenical theology can be united and cooperated each other, especially in Korean churches as well as society. The Public Theology can work for the Korean churches to be a hope for the Korean people again with ecumenical perspectives in practice.

      • KCI등재후보

        공공신학 교육을 위한 교본으로서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우병훈(Woo, Byung Hoon) 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39 No.-

        참된 신자의 신앙고백은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공적 영역에서도 드러나야 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의 주류를 이루는 장로교는 성경적이며 일관성 있는 공공신학적 교본을 갖지 못한 상태이다. 그 결과 성도의 공적 삶에 대한 책임성을 느끼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본 논문은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이 성도의 공공신학적 삶을 위한 매우 훌륭한 교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대교리문답은 공공신학의 목적, 방법론, 내용 등에 대한 많은 함의들을 제공해 준다. 대교리문답이 가르치는 공공신학의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이웃 사랑의 실천이다. 대교리문답이 가르치는 공공신학의 방법론은 성경을 토대로 하되 본성의 빛을 참조하는 것이며, 세상의 죄를 지적하는 것이며, 공동체적으로 협력하여 공적 참여를 진행하는 것이며, 종말의 빛 아래에서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이 다. 특별히 대교리문답의 십계명 해설 부분에서 공공신학적 의제들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 대교리문답은 성인 신자들의 교육을 위해 작성되었으므로 십계명의 각 계명들을 성인 신자의 공적 생활을 위해 매우 자세하게 기록해 놓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교회는 대교리문답을 공공신학을 위한 교본으로 삼아 가르침으로써, 이 사회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보다 윤리적으로 살아가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faith of true Christians should be confessed not only in their personal life but also in their public life. Howeve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which are the majority of the Protestant group in Korea, do not have a biblical or consistent manual for public theology. They do not know clearly, as a result, how to teach the believer for public life, although they are responsible for it. This essay attempts to show that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can be an excellent manual for the public life of the believer. The Larger Catechism provides man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methodology, and agendas of public theology. According to it, the purpose of public theology is the practice of love of neighbors for the glory of God. The methodology of public theology has to do with four points: (1) its foundation should be the Scriptures, although it can refer to the light of nature; (2) its praxis is related to the disclosure of the sinfulness of this world; (3) it should be don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hurch members; and (4) it makes the believer more humble in light of the eschaton that the Lord alone can fulfill. The Larger Catechism’s explanation of the Ten Commandments offers various practical agendas for public theology since it was made for the education of adult believers. Thus, the church can help believers live a more ethical life by teaching them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as a manual for public theology.

      • KCI등재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본 존 칼빈의 신학

        김민석 ( Minseok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69 No.-

        최근 한국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그리고 교회와 신학계 안에서 '교회의 공공성', '공적영역에서 교회의 역할'과 같은 주제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주제들은 이미 세계 곳곳의 기독교인들과 대학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 기관들에 의해서 '공공신학'(Public Theology)이라는 방법론을 통하여 활발하게 논의 중이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공공신학이 충분히 다뤄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보수 개혁주의 신학계에서는 공공신학이 의심스러운 방법론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공공신학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해보면, 공공신학과 개혁주의 신학 사이에 공유할 수 있는 지점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공공신학의 렌즈를 통하여 존 칼빈(John Calvin)의 생애와 신학사상 그리고 제네바(Geneva)에서의 그의 목회와 활동을 조명한다. 칼빈은 그의 사상을 개진해 나감에 있어서 교회 전통을 중요하게 여겼고, 교부들과 고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적절하게 인용하였다. 나아가 인문학과 과학 그리고 법학적 지식을 풍부하게 활용하면서 복음과 신앙의 원리를 설명하려 노력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철저하게 ‘오직 성경’ 위에 자신의 삶과 사상의 기준을 세웠다. 그가 종교의 개혁뿐만 아니라 사회의 개혁에도 힘썼음이 강조되어야한다. 이러한 강조는 그가 공공선을 위하여 정치와 사회를 향하여 기독교 신앙에 기반을 둔 적절한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부터 나온다. 그는 항상 선지자적 목소리를 내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는 다른 지역의 신학자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그의 신학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종교개혁자 존 칼빈을 공공신학자의 모델로 제시하는 것에 의해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공공신학의 담론에 새로운 시좌를 열어가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칼빈의 신학사상과 공공신학 사이의 교집합을 발견하는 것에 의해 공공신학을 향한 한국개혁교회의 바른 이해도 촉구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 교회는 교회 내부를 향해 사회 문제들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것이고, 교회 외부를 향해 복음에 기반한 도덕적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기여할 것이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issues such as 'the publicity of the church'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he public square' among Korean Christians, churches and academics. Indeed, Christians and various research institutes including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re vigorously discussing these issues through the approach of 'public theology'. Contrariwise, public theological discourses are insufficient in Korea. In particular, conservative Korean church tends to regard public theology as a suspicious approach. However, indeed, when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public theologies, we will probably realize that there are many sharable points between public theology and reformed theology. With this in mind, this project examines John Calvin’s life, thoughts and his ministry in Geneva through the hermeneutic lense of public theology. Calvin regarded the traditions of the church as important in advancing his thoughts and appropriately quoted the ideas of the Fathers and ancient philosophers. Furthermore, he tried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Gospel and faith while making abundant use of humanities, science, and legal knowledge. At the same time, however, he thoroughly set the standard of his life and thoughts on the basis of Sola Scriptura.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he worked not only for religious reform but also for social reform. This emphasis comes from his suggestion of an appropriate direction based on Christian faith toward politics and society for the common good. He always did not hesitate to speak up a prophetic voice. He interacted with and influenced theologians from other regions, and his theology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is still influential all over the world. By presenting the Reformer, John Calvin, as a model of public theologian, this project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the discourse of public theology that is being discussed today. In addition, the discovery of the intersection between Calvin's theological thought and public theology will urge the Korean Reformed church's correct understanding of public theology. To do so, the Korean church will provide people inside the church with the ability to respond to social issues and contribute to people outside the church by presenting the moral direction based on the gospel.

      • KCI등재후보

        복음주의와 공공신학

        조영호 ( Young Ho Cho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의 주제는 공공 영역과 공론장에서 복음주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오늘 복음주의는 정체성의 위기와 비전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의 원인을 우리는 ‘공공성 상실’과 ‘기독교 지성의 부재’로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현대 공공신학자들의 논의를 통해 공론장에서 한국 교회가 어떻게 기독교적 대안을 제시 할 수 있는지, 공공선을 위해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몇 가지 주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우선, 복음주의란 무엇인지, 그 정체성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복음주의와 종교개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 복음주의자들이 제기했던 신학적 문제, 특히 공공성 상실에 대한 비판과 기독교적 공공 지성의 부재에 대한 비판을 알아보고 복음주의 신학을 공공 신학적 관점에서 파악할 것이다. 복음주의가 제기한 공공 신학적 문제를 오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기 위해 우리는 현대 공공신학자 두 명, 스택하우스와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신학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신학적 검토를 마무리한 후 한국 복음주의 신학과 복음주의 교회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곳에서 제시한 대안은 세 가지 제시하였다: 1) 기독교적 공공 지성을 양성 2) 잃어버린 언어의 회복 3) 그리고 현대 공공 신학 방법론적 차이의 조화 가능성 The theme of this thesis is to try to explore alternative gospel theology,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hurch in public areas and public forums. Today’s gospel experiences a crisis of identity and loss of vision. We understand the cause of such experience as ‘loss of publicity’ and ‘absence of Christian intelligence’. Among these understandings, through discussion by contemporary public theologians, how the churches of Korea can present Christian alternatives in public forums, what role do they have for public good? I want to see if it can do or not. Because of this, we critically consider several topics. First of all, let’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 and religious reform by defining the identity of what the gospel is. Then criticism of theological problems raised by contemporary evangelists, especially criticism of the loss of public nature and lack of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will be examined and gospel theology grasped from the public theological viewpoint. In order to reinterpret the public theological issue raised by the gospel from today’s point of view, we will review the theology of two modern public theologians, Stackhouse and Hauerwas (Stanley Hauerwas). After completing these historical and theological studies, I will try to present some proposals for the Korean evangelical theology evangelical church. The options presented here presented three: 1) Training Christian public intelligence 2) Recovery of lost languages 3) And the possibility of harmonization of differences in modern public theology methodology

      • KCI등재

        한국적 공공 신학에 관한 연구 : 민중 신학에서 공공 신학으로

        김승환 ( Kim Seung-hwan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4 신학과 사회 Vol.38 No.3

        본 논문은 한국적 공공 신학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신학인 민중신학이 최근의 공공 신학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전환되어야 하는지를 다룬다. 1970~80 년대 민중 신학은 소외된 자들과 연대하며 사회 참여를 강조했으나,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시대적 변화와 요청에 응답하는 신학적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런 흐름에서 소개된 공공 신학은 교회의 공적 대화와 참여를 강조하며, 사회에서 교회를 건강한 파트너로 인식하게 하는 신학적 토대를 제공한다. 하지만 한국의 공공 신학은 주로 서구 공공 신학의 방법론에 의존해왔기에 한국적 상황에 맞는 한국적 공공 신학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민중 신학과 공공 신학의 관계를 분석하고, 민중 신학의 요소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공공 신학적으로 변형할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민중 신학에서 공공 신학으로 전환되는 요소들을 소개하고, 한국적 공공 신학의 방향성과 실천 방법을 서술할 것이다. Until recently, Korean public theology has been predominantly influenced by the methodologies of Western public theology. Western societies have a long history of democratic experience, and Western churches have historically engaged in public life in various forms, thereby shaping the methodologies of public church and public theology. Building on the discussions and methods developed by Western churches and theologian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istinctly Korean public theology that is contextually appropriate. To achieve this, the study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jung theology, a prominent Korean theological movement, and public theology. It will critically engage with the foundational principles of Minjung theology to suggest necessary adaptations for public theology. Specifically, the study will outline thre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injung theology and propose how these can be translated into a framework for public theology. Finally, the study will propose a new direction for Korean public theology and offer practical approaches for its implementation, thereby establishing a contemporary and contextually relevant Korean public theology.

      • KCI등재

        하인리히 베드포드-슈트롬이 제시한 공공신학의 특징

        김민석 ( Kim Minseok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3 No.-

        공공신학적 논의의 길지 않은 역사와 공공신학이 논의되는 각 지역의 다양한 상황으로 인해 공공신학의 개념은 ‘다양성’과 ‘모호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공공신학자들은 종종 공공신학(public theology)이라는 단수형이 아닌 공공신학들(public theologies)이라는 복수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과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공공신학들이 가지는 공통점이 존재함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인리히 베드포드-슈트롬(Heinrich Bedford-Strohm)은 최근 공공신학의 여섯 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성경적-신학적 특징, 이중 언어 능력, 간학문적 특징, 정치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 예언자적 속성, 상호 맥락적 본질이다. 본 연구는 그의 다양한 저작들 속에서 발견되는 공공신학의 이러한 특징들을 분석하여 체계화하고 다른 신학자들의 주장들과 비교함으로써 공공신학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notion of public theology is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ambiguity’ due to the short history of public theological discourses and the various contexts of each region where public theology is discussed. For this reason, public theologians often argue that it should be expressed in the plural form of public theologies rather than the singular form of public theology. However, despite the diversity and ambiguity, it cannot be denied that public theology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is context, Heinrich Bedford-Strohm recently presented six characteristics of public theology, namely, its biblical-theological profile, its bilingual ability, its inter-disciplinary character, its competency to provide political direction, its prophetic quality, and its inter-contextual nature.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ing of public theology more concretely by analyzing and systematizing these characteristics of public theology found in his various works, and comparing it with the arguments of other theologians.

      • KCI등재

        맥그래스의 스택하우스 공공신학 비판에 대한 비평적 탐구

        이창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4 기독교사회윤리 Vol.58 No.-

        신학의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신학 공공성의 제고를 위한 학문적 노력의 최전선에 공공신학이 있다는 주장은 넓은 동의를 받을 것이다. 대표적인 공공신학자인 스택하우스는 공공선에 관심이 많다. 신학은 공공선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책무의식을 강하게 갖고 있는 신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 이다. 공공선은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추구하는 공적인 선이다. 그리하 여 신자와 비신자가 공공선에 대한 사회적 담론에 함께 참여하고 또 실제적으로 공공선의 확보와 증진을 위해 공동으로 협력해야 하는 것이다. 맥그래스는 이러 한 스택하우스의 이론적 실천적 시도에서 자유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감지하고, 스택하우스의 신학이 공공신학적이라기보다 자유주의적이라고 비평한다. 공공 선을 중시하고 성실하게 추구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하겠지만, 이를 위 해 접촉점이나 공통분모를 찾는 데 집중하다 보면 기독교의 고유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고 결국 문화의 언어만으로 충분히 기독교적 가치를 충분히 표현하고 구 현할 수 있다는 신념을 견지한 자유주의에 기울게 될 것이라는 평가인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스택하우스 공공신학에 대한 맥그래스의 비판을 비평적으로 검토하고 공공신학의 공공성 지향의 본질을 온전히 이해하고자 한다. 스택하우 스 신학과 윤리의 내재적 특성을 고찰하여 자유주의와의 주된 구분점을 드러내고 자 한다. 특별히 스택하우스가 교회 공동체 안팎의 구성원들 사이의 공동의 기반 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지만 그렇다고 기독교적 고유성을 소홀히 여기거나 부정하 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또한 공공신학의 현대적 토대로 논의되고 있는 라우센부쉬의 사회복음과 자유주의 신학 사이의 연관성을 역사적 관점에서 비평적으로 탐구할 것인데, 이를 통해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이 자유주의가 아닌 라우센부쉬와 뚜렷한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Max L. Stackhouse, a leading public theologian, is very interested in the public good. He can be evaluated as a theologian with a strong sense of the responsibility of theology to contribute to the common good. Alister McGrath strongly senses the liberal tendency in Stackhou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attempts and criticizes Stackhouse’s theology as liber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McGrath’s critique of Stackhouse’s public theology. By examining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Stackhouse’s theology and ethics, I attempt to disclose the major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his and liberalism. In addition, we will critically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liberalism and Rauschenbush’s social gospel,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modern foundation of public theolog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By doing so, I intend to maintain tha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has a distinct continuity with Rauschenbush, not libe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