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양지연(Yang, Ji Yeon)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40

        한국에서 박물관·미술관은 지난 20여 년간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는 박물관·미술관 건립ㆍ운영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 박물관·미술관 공적 지원에 대해서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서 국가와 지자체의 책임을 명시하고 있으나,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역할, 방향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는 미약했다. 박물관ㆍ미술관 정책의 패러다임이 양적 확충에서 질적 발전으로 전환되어야 함이 요구되고 있는 이 시점에 박물관ㆍ미술관 공공지원의 현황을 성찰해보고 미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박물관ㆍ미술관의 정의와 문화예술 공공지원의 정당성 논점을 재검토 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박물관·미술관은 공공재ㆍ가치재로서의 위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비영리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소득 분배 정의와 문화복지의 논리에서 사회의 문화적 부를 축적하고 이를 향유할 수 있는 구성원의 수와 계층, 역량을 증대하는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공공지원이 초래할 수 있는 박물관ㆍ미술관의 자율성과 자생력 약화의 역기능을 최소화하는 것도 다시 생각해 볼 지점이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수행되어 온 주요 박물관ㆍ미술관 지원정책을 검토하기 위해 박물관 확충과 공립박물관 건립 지원, 국립박물관·미술관 건립 운영, 사립박물관· 미술관 전문인력 지원, 공사립박물관 사업지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을 검토해 볼 때, 향후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방향으로서 박물관ㆍ미술관이 지속 가능성을 갖고 항구적으로 존립하기 위한 네 가지의 상호 연관된 측면-콘텐츠ㆍ전문인력·관객개발·재정기반-에서 중장기적 방향성을 수립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박물관·미술관 고유 기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수집과 보존, 연구에 대한 지원정책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공공지원의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박물관ㆍ미술관의 설립, 운영, 성과의 전 과정에서 박물관의 평가와 모니터링, 컨설팅이 선순환적으로 작용하는 시스템의 정착이 중요할 것이다. 향후, 이와 같은 공공 지원에 대한 근원적인 논의를 지속함으로써 박물관ㆍ미술관 지원정책의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방향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number of museums in Korea has dramatically increased last 20 years. Such a growth of museums was facilitated in large by government policy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nd private museums.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the quality and visitorship of museums in general have not sufficed to justify the public support of museums. Also public support through direct funding has tended to be allocated based on general externalities of museums, rather than on the analytic and rational justifications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This study purported to examine theoretical justifications for public support of the museum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explore directions for public support of the museums that justify rationales for public funding of museums. Based on a more rigorous and theoretical analysis of justification of museum support, the public funding for museums could be developed and used to enhance the quality and competency of museums and strengthen their sustainability. To this end, first, the paradigm of government museum policy should be shifted from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development. Second, public funding needs to be allocated to advance fundamental functions and roles of museums. Finally, the through evaluation system and consulting of museum need to be incorporated to stress the rationales and accountability of public funding for museums.

      • KCI등재후보

        사용자 경험에 기반의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리밍샤(Ming-Xia Li),조정형(Joung-Hyung Cho)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7 No.-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공공디자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부이다. 도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은 더욱 규범적이고 인간적인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필요하다. 어떻게 하면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사용자의 요구를 더욱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는 현재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이다. 이에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사용자경험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사용자 경험”은 점차 사회경제와 문화 발전의 유행어가 되고 있으며, 디자인과 관련된 많은 업계 분야가 '사용자 경험'의 발전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다. “사용자 경험”은 디자인 업데이트를 위한 종합적인 가치를 생각하고 검토한다.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의 특징, 기능, 종류 및 문제점을 조사·분석하고 사용자 체험을 결합해 평가한다. 먼저 문헌조사법을 통해 공공시설물의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둘째, 현장조사를 통해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을 분류하여 비교·평가하였다. 셋째, 우수한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에 기반의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현황을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으로 향후 미술관 공공시설디자인의 디자인 활용방향으로서 의미가 있다. Public facility design is an indispensable part of public design.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people need more normative and human design of public facilities. How to increase the user experience of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and further meet the user's needs is the problem facing public facility design.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User experience” is gradually becoming a buzzword for social economy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many industries related to design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user experience.” The “user experience” considers and reviews the overall value for design updates. The characteristics, functions, types, and problems of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user experiences are combined and evaluat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the user experience is clar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method. Second, through field surveys,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were classified, compared, and evaluated.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excellent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cases, the direction of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based on user experience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facility design at the Busan Museum of Art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and it is meaningful as a direction of design utilization of public facility design at art galleries in the future.

      • 국립현대미술관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미술관교육 방향 연구

        황지영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 교육 Vol.2 No.-

        본 연구는 교육의 공공성 조건을 다시 살펴보고 변화된 박물관학의 흐름 속에서 미술관 기능과 미술관 교육의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서 ‘모두를 위한 미술관’이 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공공성 실현을 위한 대표적인 미술관교육 사업으로는 문화소외계층 사업을 꼽을 수 있다. 분석사례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017년 개편과정을 거쳐 공공성 강화를 위해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문화접근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교육 사업> 운영사례를 살펴보았다. 문화소외계층이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창작하며 보호받을 수 있는 인간의 기본 권리에서 배제된 대상으로 사회취약계층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사각지대에 놓인 일반 시민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미술관이 되고, 미술관 내에서도 문화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의미의 미술관 교육을 추구하며 ‘모두를 위한 미술관’이 되고자 노력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실현과 역할을 요구받는 근래 공공성이라는 화두를 다시금 던지며, 미술관이 ‘모두를 위한 미술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reexamines the elements of publicness in education and proposes strategies for museum education to pursue the creation of “museums for all”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museums and the public nature of their education under the changing landscape of museology. The requirements for publicness in education have long been discussed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studies. Among the required elements suggested within the existing scholarship, the pursuit of equality, difference, and autonomy within a community are drawing particular attention now that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useums are growing in importance. Realizing equality is one of the core social responsibilities of museum education that supports the basic right to culture, and projects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ople allow museums to pursu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to guarantee publicness. In this sense, the role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as means of enhancing the publicness of museums should be re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 of the “museum education project for improved accessibility of culture,” implemented by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following its reorganization of education programs in 2017. In the hope of helping museums to fulfil their social role through a refinement of museum educ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create “museums for all” that embody the publicness of museums. First, museums should discover new culturally underprivileged targets for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in daily life. Second, as discussions over cultural diversity are growing increasingly active in Korean society, it has become necessary to open museums for all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ird, museums should actively foster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experts to operate education programs through new cooperative governance. Fourth, museum education should not target only specific groups in new programs. Rather than establishing exclusive special programs, museums should host programs that are open to anyone and develop content that considers different methods of operation according to participants’ unique conditions for enjoying culture. Fifth, museum education should design programs for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후보

        경영자립의 관점에서 본 미술관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대안 모색: 영국과 프랑스의 미술관 법인화를 중심으로

        안필연 유럽문화예술학회 2018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1

        Seeking any kind of independence in art museum management is generally thought to damage publicness. Since publicness is regarded as the value that comprises the base of an art museum’s existence, financial independence as a big part of management independence is placed on the back burner in art museum administration. That being said, the publicness required of art museums in the 21st century is obvious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Thus, the matter of compatibility between publicness and management independence is no longer a matter of choice. We have to become aware of a rapid change in the ecosystem pertaining to a problem in order to approach it. The concept of publicness, an inviolable value of an art museum, is changing more than anything else. As demand by those who enjoy culture and art is diversified, art museums have become unsatisfied with its conventional roles of preservation, research, and education. The conflict between publicness and management independence is increasing as a gradual reduction of public funds works as a factor to stimulate management independence in art museums. England and France have sought after management independence and publicness through the conversion of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into corporations. Both nations have run art museums in the form of corporations with autonomy even though a distinction exists in terms of concrete methods. They guarantee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art museums through a strategy of incorporation as the solution to tackling the two contrasting assignments of publicness and management independen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model for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management independence that is intrinsic, innovative, and functional. It is time to make a more forward-looking endeavor to overcome hardships through alternatives for management independence and understand urgency in reality such as the reduction of public funds. For this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hat a variety of subject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world of art engage in a process of discussion and exploration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일반적으로 미술관에 있어서 경영자립은 공공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공공성은 설립주체와 상관없이 미술관의 존립근거가 되는 가치이기에, 경영자립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재정자립은 미술관 행정의 우선순위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21세기의 미술관에게 요구되는 공공성은 과거의것과는 분명하게 다른 성격의 것으로, 공공성과 경영자립의 양립문제는 더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게되었다.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이를 둘러싼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인식해야 한다. 우선 미술관의침범할 수 없는 가치인 공공성 개념이 변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에 대한 문화향유자의 요구가 다양화되면서, 미술관도 보존과 연구, 교육 등의 전통적인 역할에 머물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더해 점진적인 공적 자금의 축소가 국공립미술관의 경영자립을 재촉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공공성과 경영자립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는 추세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과 프랑스는 이미 국립미술관의 법인 전환을 통해 경영자립과 공공성을 도모해 왔다. 구체적인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양국은 미술관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법인의 형태로 미술관 운영을 하고 있다. 공공성과 경영자립의 대립하는 두 과제를 관통하는 해법으로서 법인화라는 경영자립 전략을 통해 미술관의 자율성 및 독립성을 오히려 보장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영국과 프랑스의 경영자립 전략을 참고하여 우리만의 고유하고 혁신적인 동시에 기능적인 국공립 미술관의 경영자립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지원금의 축소라는 추세적 현실의 급박함을 인식하고, 경영자립의 대안을 통해 난관을 헤쳐 나가는 보다 전향적인 시도가 필요할 때다. 이를 위해서는 논의와 모색의 과정에 예술계 안팎의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와 소통이 전제되어야 한다

      • 미술관교육을 통한 미술관의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공공성 실천에 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조장은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본 연구는 국내 유일의 국립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이 <미술관문화학교>, <미술관 교육 워크숍>, <미술관과 미술교육> 등 교육적 활동을 통해 공공성을 실천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적 자원이 개인과 사회의 문화자본으로 변환되는 현상과 성과를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의 결과로 확인하였다. 오늘날의 미술관교육은 지엽적 의미에서의 교육적 활동이 아닌 사회적 행위로서 그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공공성 실천의 핵심 기제로서 당위성을 획득하여야 한다. 공공재원이 개인과 사회의 문화자본으로 변환되어 공적으로 재분배되는 사회적 실천과 지속적인 문화향유의 기반을 구축한다는 점은 미술관교육이 실현할 수 있는 미술관의 공적 가치라는 인식이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and define the function, role and significance of museum education in this changing society on the premise that museum has public nature as social space. As the society had shifted towards postmodernism after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in the 20th century, museum had gone through enormous changes. At this moment, museum needs to define its identity within its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For example, there are dema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e of museum from the public, deepe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museum, and the expansion of policies emphasizing educational activities. These factors point out the role of museum in the society and the justifiability of museum education. According to a survey among museum visitors, answered that the level of museum's social contribution was either very high or high. The result shows that the public regards museum as social space that operate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It also shows that the public expects MMCA to fulfill its public responsibility as a national institution. Today‘s museums are required to play effective roles for satisfying various demands from the society and the public. Museums should prove their justifiability and dynamics of existence and present new kinds of values in the context of changing society beyond their previously proven values. In this sense, the role of museum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from the perspective that museum can organize and expand complicated networks among visitors and contemporary arts.

      • KCI등재

        21세기 미술관의 딜레마 : 한국 미술관의 재정 자립과 공공성 제고에 관한 제언

        안필연 한국미술이론학회 2014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18

        이 논문은 21세기의 국내외 미술관의 양적 팽창 속에서 당면하고 있는 ‘재정 자립’ 문제를 주제로 삼았다. 전 세계적인 신자유주의 체제 내에서 미술관은 경영 혁신과 재정 자립에 대한 요구가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의 지역 미술관 운영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자는 재정 자립에 대처하고 있는 해외 미술관의 사례를 조사하고, 여기에 경기도 지역의 미술관 현황과 비교해, 한국의 미술관 재정 자립을 위한 최적화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모델은 재정 자립의 시대적 흐름을 수용하되, 일천한 미술관 역사의 현황을 감안해 국가나 지자체가 공공성이라는 미술관의 본질을 수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공성 개념에 기반을 두고 미술관의 재정 자립도를 늘려 나갈 때 국가 정책과 개별 기관 정책 사이의 적절한 균형점이 도출될 것이고, 문화예술기관의 지나친 상업화와 전문성 부재라는 이중의 덫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ssue of financial self-reliance which art museums around the world have been facing as they undergo growth and expansion to better serve the public interests in the 21st century. The economic policies driven by neoliberal ideology are compelling museums to undertake innovative changes in their management style and to strive for financial independence. Such a trend entails many issues that bear on the management of regional museum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ertain overseas museums deal with the financial self-reliance challenge and then conducts a comparative assessment comparing regional museums in Gyeonggi-do with those overseas reference cases.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optimized business model for Korean museums is suggested through which museums can pursue financial self-reliance without sacrificing their mission to serve the public interests under the balanced government policies supportive of the public characters of art museums.

      • KCI등재

        최근 국,공립 미술관의 한국 근현대 관련 전시기획의 개념과 방법론에 대한 고찰

        변상형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6 No.-

        최근 국공립미술관에서 이루어진 전시기획은 규모적인 면에서나 기획의 주제적인 면에서 많은 공통적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2012년 개최되었던 국립현대미술관의《한국현대미술_대서사 1부》展, 대구시립미술관의《鄕 이인성 탄생 100주년 기념》展, 대전시립미술관의《한국 근·현대미술 특별기획전: 여기 사람이 있다》展을 대상으로 하여, 전시기획의 의도와 방법론 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공적미술관의 전시기획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현대미술에서 전시가 갖는 의미의 중요성만큼이나 공적 미술관(공공성을 기반으로 한)에서 진행되는 전시의 기획과 방법론은 한 나라의 미술사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이자 잣대로써 작용할 만큼 주요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된 미술관의 경우 공통점은, 1. 한국근현대미술의 재조명을 위한 노력이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미술사적 연구를 이론이 아닌 전시현장에서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시문화적 측면에서의 성과가 가지고 있었다. 특히 각 지자체 공립미술관이 대규모 전시를 진행할 수 있을 만큼의 기획력 성장과, 감상 대중 또한 점차 근현대 우리미술에 대한 정보와 이해를 공유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전시구성을 연대기적으로 구성(국립현대미술관)하거나, 인물중심(대구시립미술관)으로, 또는 주제별로 구성(대전시립)하는 등 차별성을 갖고 고착화된 근·현대 미술전시가 아닌 유의미한 전시를 기획하려 노력한 점이다. 3. 기획의도와는 동떨어진 낙후된 전시 방법론과 여전히 미흡한 전시철학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상술하면, 첫째, 국립현대미술관의 경우 국가를 대표하는 미술관이면서 오히려 서양미술의 관점에서 한국의 근·현대미술을 평가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둘째, 대구시립미술관의 경우, 국립미술관에서 이미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순회전 형식으로 협업하여 활용한 점은 긍정적이나 자생적으로 근대미술의 연구성과를 생산해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셋째, 대전시립미술관의 경우, 전시 타이틀에 대한 면밀한 미술사적 의미에 대한 고찰 없이 7개의 키워드를 편의상 선정해, 작가나 작품의 연계성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공공성에 기반하고 있는 공적 미술관으로서의 기획의도가 불충분한 학예연구과 미진한 전시방법론 등으로 관람객에까지 그 기회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전시의미와 성과 역시 공유하기에는 부족한 형편이었다는 것이다. 전시가 갖는 공공성이란 다양한 비평적 논의를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적 관심 또한 환기할 수 있다는 접점에 있다. 공적인 미술관에서 가져야 할 철학이 시민사회를 추인하는 타자와의 상생과 조화로운 삶의 지향이라는 공공성(publicness)에 있다고 볼 때 국공립 미술관에서 전시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학예사들 역시 이 공공성을 이끄는 역할에 보다 충실해야 할 것이다. 공공재(public goods)로서의 미술품을 다루는 데 있어 감상 대중과의 교감을 위해 보다 다양한 전시 방법론의 개발, 그리고 우리의 근·현대 미술사에 대한 창의적 시각에의 확보가 절실하다. Recent exhibition plans adopted by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in Korea have many common points in terms of size and theme. For "Korean Art from the Museum Collection Grand Narrative Part 1"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The Centennial Celebration of Lee In-Sung's Birth" by Daegu Art Museum, and "Korean Art Special Exhibition; Here Are People" by Daejeon Museum of Art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nsions and methodologies of these exhibition plans multilaterally and investigates the exhibition plans of these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critically In contemporary arts, exhibitions are very meaningful, and the exhibition plan and methodology adopted by public art museurms considering a public nature are also very important as indicators and criteria to judge the art history of a country. The first common point found in the above-mentioned museums is that they have obtained fruit in terms of exhibition culture as they have made efforts to re-shed light o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and have realized the study on art history in the location of an exhibition. From this, we can know that public art museums run by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their capabilities to plan and hold large-xize exhibitions and that the viewers also have started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s modem try to hold differential, meaningful exhibitions, not fixed ones, by designing the structure of an exhibition based on chronology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figures (Daegu Art Museum), and themes (Daejeon Museum of Arts). The third common point is that they have problems with the retarded methodologies of exhibitions which are distant from the intentions of the exhibition plans and with a remaining in sufficient philosophy of an exhibition. The third common point can be explained in detail as follows.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has tried to evaluate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art even though it is Korea's representative museum Daegu Art Museum has a positive aspect in holding an exhibition in an itinerate form with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museum but has a negative aspect in failing to produce the fruit of its own study of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Daejeon Museum of Arts has revealed problems in the connection between keywords and artists or their works in its exhibition by just choosing seven keywords for convenience's sake without examining art historic meanings i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n detail. As a result, the intentions of exhibitions held by these public art museums failed to be delivered to viewers owing to insufficient study and unsatisfactory exhibition methodologies, and their exhibitions have fallen short of giving meanings and results of their exhibitions to their viewers. The public nature of an exhibition can induce various critical discussions and stir the interests of viewers. When the philosophy a public museum must hold is thought to be in a public nature that pursues a harmonious life and co-prosperity with other people that confirms a civil society, curators who plan and go ahead with exhibitions in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must be faithful t their role in leading this public nature. It is urgent that they secure the development of more various exhibition methodologies and a more creative view o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in order to commune with the viewer as those who deal with artistic works that are public goods.

      • KCI등재

        미술관 관람객의 소통을 위한 가상미술관

        박문경(Park, Moonkyung),김재범(Kim, Jaibeom)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6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8

        본 탐색적 연구에서는 미술관이 미술문화향유의 확산과 향상을 위하여 가상미술관을 매개로 관람객들에게 접근성을 높이고 미술문화 정보습득과 교육기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현대의 미술관은 작품을 중심으로 미학의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미적경험을 위한 전시공간으로서의 전통적인 역할에서 진일보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공공성을 바탕으로 대중들에게 수월하게 다가가려 노력하고 있다. 미술관들은 현장전시관이 가지는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술향유를 위한 지식전달과 담론형성을 확장시키기 위해 빠르게 변화하는 신기술과의 접목을 통하여 관람객과 소통하는 다양한 채널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미술관중 인지도와 대표성이 있고 디지털기술이 바탕인 가상미술관의 콘텐츠가 다양하게 제공되는 국내의 국립현대미술관과 영국의 테이트미술관을 사례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분석결과, 두 미술관은 가상전시관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양과 형태 및 콘텐츠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비교연구가 국립현대미술관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현대의 IT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진화하는 만큼, 현대의 미술관들은 미술향유의 기회와 효과적인 관람객유인을 위한 가상미술관의 다양한 콘텐츠 제공과 프로그램 개발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This exploratory study delas with how museums offer museum information and art and culture education for better appreciation of aritistic works in and around the museum via online museums. Museum furthers from the traditional role of unilaterally providing the messages concerned with the aesthetic value of artistic works towards the efforts to be more approachable by emphasizing the publicness of the museum as an integrated cultural complex. Museums in the digital age are trying to overcome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in the physical museum by providing diverse channels to the museum visitors, online ad offline, thanks to the advances in technology. This study compares between National Museum of Mocern and Contemporary Art (henceforth MMCA) in Korea and Tate Gallery in the United Kingdom to analyze how digital contents of both museums are exhibited on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Both museum demonstrat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the content and how the content can be arranged in the online site. Implications of Tate Online to MMCA is that MMCA needs to improve how to communicate online by concerting more efforts for visitors to navigate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 the online museum.

      • KCI등재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장현주(Hyonjoo J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4

        공공미술이 국내에 소개된 이후 여러 지역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고 관련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공공미술교육은 ‘거리로 나온 미술작품’ 감상에 머물러 있으며 동시대 공공미술의 개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공공미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 중 세 개의 프로젝트(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선정하여 관련 자료 분석 및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각프로젝트가 추구하는 방향과 전개 과정, 학교교육과의 연계 실태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지역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학교교육 과의 연계를 추진했던 과정과 교사 대상 공공미술 연수 사례를 제시하여 지역 연계 공공미술교육의 실천 가능성과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미술교육과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연계가 이루어지고 지역사회 연계 공공미술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ince public art was introduced in Korea, public art project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various regions, and theoretical research has been steadily conducted. However, public art education in schools remains at the level of 'art works on the street' and does not reflect contemporary public art. In this study, three projects (Seoul is Museum, 10000 ARTS 10000 ACTS, APAP) were selected among local public art projects being held in Korea to strengthen school public art education. Through data analysis and interviews,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pursued by each project, and the actual state of connection with school education were considered. In addition, cases of promoting the link between local public art projects and schools were presented, and examples of public art training for teachers were presented to suggest the practical possibilities and specific measures of public art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region.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public art education in schools linked to the local community can be vitalized.

      • KCI등재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에 대한 재고찰

        김지훈 한국법제연구원 2021 법제연구 Vol.- No.60

        Museums and Art Museums Act was enacted in Nov. 30th, 1991, that was basically rooted in Museums Act passed in 1984 and substituted it. For the first time the newly enacted law manifested the legal conception of art museum but also public municipal art museum. According to Art Museums Act of 1991, public municipal art museum is established and run by local government. Museums Act defined the public municipal museum is the museum local authority founded. Museums and Art Museum Act is differentiated from its predecessor for stressing the managerial conception on public municipal art museum. After its legislation, the definition of public municipal art museum has never revised. Its legal conception changed only one time, when Museums Act was abolished and Museums and Art Museums Support Act adopted. In contrast, the definition of art museum has been modified twice until 2020, although they were not dramatic. In this study, I pose a question consider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gal definition of public municipal art museums. The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a variety of changes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after the enactment of the Art Museums Act. In accordance with Museums and Art Museums Support Act, public municipal art museum is conceptualized by 4 key words; art museum, local autonomous body, foundation, and management. Based upon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art museum and local autonomy, and the reality of it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I examine the extent how far its legal definition is suitable to embrace the public municipal art museums in practice. 1991년 11월 30일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미술관에 대한 공식적인 법적 개념이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해당 법률에 의하면 공립미술관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운영하는 미술관으로서 공공미술관의 일종이다. 이후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은 수차례 개정되며 박물관과 미술관에 대한 개념도 조금씩 수정되었으나 공립미술관의 정의는 제정 이후 단 한 차례도 변경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한국 사회는 사회적·경제적·정치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여 왔다. 이러한 변화 사항을 현재의 공립미술관에 대한 법적 개념은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의하면 공립미술관의 법적 개념의 핵심어는 ‘미술관·지방자치단체·설립·운영’이다. 미술관의 역사적 변천과 지방자치, 현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관 설립과 운영 실태를 바탕으로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의 적합성을 살펴본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미술관”으로서 공립미술관의 개념 수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