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ChatGPT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손동주,윤명한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3 서비스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있어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인 ChatGPT가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공공디자인 가진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공공디자인은 디자인의 원리와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한다. 공공디자인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일반 현황, 인구 현황, 인프라 현황, 자원 현황, 안전 현황, 정책 현황, 법규 현황, 경관 현황, 공간 현황, 공공디자인 현황, 지역 이슈 등 방대한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공공디자인은 방대한 자료와 더불어 방대한 언어를 수록하는 디자인 연구 분야다.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고려해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이 공공디자인 정책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공공디자인의 개념 및 원칙, 그리고 정책 개발과 실행에 대한 역할을 검토하고, ChatGPT의 개요 및 특징, 적용 사례나 ChatGPT의 선행 연구를 살펴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지 연구했다. 연구 결과, ChatGPT는 공공디자인 정책 수립과정에서 방대한 언어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의 지원 역할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ChatGPT는 정책 수립과정에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정책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데 유용함이 있었다. 이와 함께 정부 정책 개발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추세라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확인되었다. 하지만, ChatGPT의 활용에는 윤리적, 법적, 개인 프라이버시 등의 문제 또한 발견되었다. 무엇보다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편향성과 공정성 관련 문제 또한 나타났다. ChatGPT를 공공디자인의 정책 결정에 실질적으로 활용하려면, 첫째, 정책 개발자와 공공디자인 전문가의 역량을 일정부분 키워 활용해야 한다. 둘째, 가칭‘인공지능 정책 활용에 관한 조례’라는 법령(法令)을 마련해 법률(法律)적 정비가 이뤄지기 전까지 지속해서 보완해 가면서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 두 가지 방안을 적용해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있어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의 활용은 방대한 언어를 수록하는 디자인 분야에서는 활용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ChatGPT, a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public design. Public design utilizes the principles and approaches of design to address societal issues and aims to improve public services. In order to formulate public design policies and plans, it is essential to base them on extensive data, including the general status of the area, population demographics, infrastructure, resources, safety, existing policies, legal regulations, landscape, spatial conditions, current state of public design, and regional issues. Therefore, public design is a field of design research that encompasses a vast amount of data and language. Considering the rapid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significance of public desig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s like ChatGPT can contribute to public design policies. Alongside, we reviewe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public design, its role in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nd examined the overview and features of ChatGPT, including its application cases and preceding research to determine its utilit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The study found that ChatGPT could offer substantial language information during the formulation of public design policies and assist in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ChatGPT proved useful in providing various perspectives and swiftly supply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olicy decisions. Additionally, the trend of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vernment policy development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studies. However, the usage of ChatGPT also unveiled ethical, legal, and personal privacy issues. Notably, ethical dilemmas were raised, along with issues related to bias and fairness. To practically apply ChatGP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apacities of policy developers and public design experts to a certain extent. Second, it is advisable to create a provisional regulation named 'Ordinance on the Use of AI in Policy' to continuously refine the utilization until legal adjustments are made. Currently, implementing these two strategies is deemed necessary. Consequently, employing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s like ChatGPT in the public design field, which harbors a vast amount of language, holds substantial value.

      • KCI등재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신예철(Shin, Yea-Cheol),김영걸(Kim, Young-Gull),구자훈(Koo, Ja-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도시공간을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삶의 토대를 만드는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이에 따른 올바른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공공디자인 정책의 평가체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이 가져야 할 정책기본원칙으로 통합성, 관계성, 장소성, 일상성, 지속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의 틀로서 BSC성과관리시스템의 개발단계의 틀을 적용하였고, 도시(공공)디자인의 특성상 서로 상호의존성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정책평가요소들 간 상관관계를 규명한 후, ANP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정책대상은 공간/환경부문, 정책목표/계획부문이 중요하고, 정책평가요소는 장소/정체성, 통합계획, 지역성, 문화창의성, 친환경성 순으로 중요하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의 방향과 그에 따른 사업추진이 공간/환경부문에서의 시설물중심, 성과중심보다, 장소/정체성, 통합마스터플랜, 지역기반의 생활밀착형 전략, 시민참여와 조직간 유기적 협력, 공공의 역할 재정립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public design policy as urban design that may create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Life.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public design policy was drawn to Coordination, Communication, Locality, Everydayness, and Sustainabilit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cedent studies and theories. Then the basic evaluation frame of public design policy was applied to the BSC system as evaluation of public policy. Based on the principles and framework,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evaluation indicators and a priority of indicators through the ANP analysis. The priority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place making/identity, integrated plan, context, culture/creativity, and environment. The findings showed that public design policy of Seoul should focus on place-making/identity, localized strategy for master plan, citizen participation with 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redefined public roles, over improving the physical design approach to the built structures.

      • KCI등재

        공공디자인 정책 유형에 따른 국가공공디자인종합계획 분석

        강성중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4

        Since the goal of public design is establishing publicity, the public design policy should have different approaches comparing to industrial design policy focused on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environment of public design has been changed including enactment of public design laws in 2016 and announcement of national public design master-plan in 2017. The goal of the analysis is to suggest new type of policies based on properties of public design policies. The study is done by literature researches for concepts and types of public design policy and application research to apply concepts and types to national public design masterplan. Public design policy means systematic activities to establish publicity by design. Public design policy places emphasis on the right of cultural enjoyment as cultural policy and is categorized as distributive policy, redistributive policy, regulatory policy, constituent policy, and symbolic policy. Categorization of public design policy could be changed by political philosophy of government. Public design policy shifts from policy of public environment improvement and symbolic policy to policy of enhancement of life convenience and policy of social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expansion of design’s role and political philosophy of participation (Moon Jaein) government. This change is reflected to national public design master-plan of 2017 and policy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 of public design and symbolic policy is deal on scope of nation. Because public design is based on regional society, philosophy and value of public design policy should be shared with regional governments for efficient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y at regions. 공공디자인은 공공성 확보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산업 경쟁력을 중시하는 산업디자인과 정책의 철학과접근이 달라야 한다. 2016년 공공디자인법 제정과2017년 공공디자인진흥종합계획 수립 등 공공디자인환경변화에 따라 체계적인 공공디자인 정책 연구가필요한 만큼,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정책의 특성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책 유형의 제시를 목표로 한다. 본연구는 공공디자인 정책의 개념, 유형 제시를 위한 문헌연구와 이를 공공디자인종합계획에 반영하는 적용연구로 진행된다. 공공디자인 정책은 디자인을 통해공공성의 확보를 위한 체계적 활동으로 정의된다. 공공디자인 정책은 문화 정책으로서의 문화적 향유권을중시하며, 속성에 따라 분배정책, 재분배정책, 규제정책, 구성정책, 상징정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디자인 정책은 정부의 국정 철학에 따라 영역별 분류가달라질 수 있다. 디자인의 역할 확대와 참여 정부의국정 철학에 따라 공공디자인 정책은 공공환경개선정책과 상징 정책 중심에서 생활편의 증진 정책과 사회문제해결 정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국가공공디자인종합계획에 반영되어 있으며, 공공디자인 기반 조성 정책과 상징 정책이 국가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공공디자인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국가의 공공디자인 정책이 지자체에서 사업으로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공공디자인 정책의 철학과 가치가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공공디자인 정책제안을 위한 기초연구

        박연선(주저자) ( Yun Sun Park ),이지영(교신저자) ( Ji Young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8 No.-

        국내 공공디자인 정책 및 사업은 단기간 내의 가시적 성과를 위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국가 이미지제고와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기적인 관점의 국내 공공디자인정책을 위하여 현재 우리의 공공디자인 현실을 되돌아보고 국외의 공공디자인 환경을 비교하여 국내 공공디자인에 필요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디자인 총괄 관리기관의 설립으로 정부 행정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다각적 접근을 통하여 공공디자인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국민참여 시스템의 개발로 공공디자인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넷째, 공공디자인 사업 사후 평가툴을 적용하여 사업의 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장애인, 고령자, 다문화가정 등의 사회적 소수자를 배려하는 공공정책을 펼쳐야한다. 향후 본 기초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공공디자인정책 방향을 기반으로 구체화된 공공디자인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Policies and businesses for public designs in Korea just shoot for a temporary visible result. Public designs in Korea should focus on a long-term goal, boosting the country``s imag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Thus,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design in Korea was reviewed and promising perspective was drawn by comparing with that of foreign countries. Firstly, the management agency, in charge of handling everything that has to do with public design,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efficiency of governmental administration system. Secondly, the public design industry should be expanded through multilateral approaches. Thirdly, the national satisfaction with public design should be increased with a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urthly, the business should achieve qualitative growth with post evaluation tool. Finally, public policies for social minorities, such as the disabled, the old and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implemented by actively applying universal design. Detailed policy proposals for public designs would be suggested through the conclusion from the basic research.

      • KCI등재

        시민의 디자인 역량 개발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 추진 방향

        이양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esign capabilities required in the policy process so that citizens can develop their own design capabiliti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policy. Through this, the roles of citizens and administrative entities, the direction and scope of citizen participation are reconsidered. To this end, the current domestic public design policies, cases and methods of citizen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itizen participation and design capability development was revealed, and the required design capabilities for each policy stage was analyzed through c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r concept is reinforced in public design, and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is widely used. In addition, civic participation was taking place in the process, but the gap between law and reality was large in the design subject. Secon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itizens' design capabilities, which is the ultimate direction of participation, rather than seeking ways to participate in public design. The overall policy should be designed to develop design capabil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oadmap to develop the design capabilities required in each policy process. Design capability development goals should be set and promoted step by step. Furthermore, the strategy for creating a foundation for public design in the Comprehensiv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needs to be complemented with such a design capability development dimension. In the case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public design R&D, support for building a platform for citizen participation to develop design capabilities is required. In the task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public design management and inspection system, information sharing for citizens, evaluation and review of operation management methods by citizen participation will be required.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pread of public design is the citizen's design capabilities as a subject. Through their capability development, it will be possible to re-establish the public design value aimed at i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디자인 정책에서 시민이 능동적 참여를 통해 스스로의 디자인 역량 개발이 가능하도록 정책 과정에 요구되는 디자인 역량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민과 행정주체의 역할, 시민 참여의 방향과 범위를 재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공공디자인 정책 및 시민 참여 사례, 방법을 분석하였고 시민 참여와 디자인 역량 개발과의 상관관계를 밝혔으며, 정책 단계별 요구되는 디자인역량을 분석하였다. 공공디자인 경향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로는 첫째, 공공디자인에 사용자 개념이강화되며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이 많이 활용되고 그 과정에 시민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디자인 대상에 있어 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컸다. 둘째, 공공디자인에서 시민 참여 방법 모색보다 궁극적인 참여 방향인 시민의 디자인 역량 개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정책 전반에 디자인 역량개발을 위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례 분석을 통한 정책 방향으로는, 각 정책 과정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역량들을 개발하기 위하여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 단계별로 디자인 역량 개발 목표를설정하고 추진해야 할 것이다.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먼저 이러한 디자인 역량 개발 차원에서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공공디자인 기반 조성 전략 보완이 요구된다. 또한, 공공디자인 R&D 기반조성의 경우 디자인 역량 개발을 위한 시민 참여 플랫폼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 나아가 공공디자인 통합관리 및 검수 체계 구축 과제에서는 대시민 정보 공유, 시민 참여를 통한 평가 및 운영 관리 방식검토가 필요하다. 공공디자인의 지속적 발전과 확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주체인 시민의 디자인역량이다. 이 역량 개발을 통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에서 지향하는 공공디자인 가치 재정립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안진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세계가 단일 공동체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경쟁 단위로서의 국가 개념보다는 도시를 중심으로 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간의 경쟁은 다양한 도시 마케팅을 통해서 차별화된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고 있으며 그 중심에 공공디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광역시도, 광역시도와 기초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상호 업무 연계에 관해 연구하고 공공디자인으로 도시이미지 향상에 성공한 해외 도시들과 국내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방향에 관해 조사하고 효율적인 공공디자인 정책을 제안하려고 한다. 특히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그 도시의 여건과 환경에 적합한 공공디자인 대상이 명확해야 하며 거기에 맞는 공공디자인의 방향과 정책의 운영이 필요하다.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에 꼭 반영되어야 할 내용은 그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건축물과 가로환경, 랜드마크의 보전과 관리, 역사전통지구의 보전 등이며 이러한 사업들이 도시의 경관 이미지를 좌우한다. In the process of a global community, the competition between cities has become more fierce than between countries, as a competition units. This competition between cities has made the differentiated city image with a variety of city marketing, and public design is at the center of city marketing. This paper will study the public design policy and mutual work connection among cental government, metropolitan and metropolitan cities, which are important to implement the public design policy for city image improvement study the public design policy and direction with a case study of Korea and overseas cities, which improved city image successfully, and then suggest a effective public design policy to improve each city's image in the era of local autonomy. Especially to improve the city image, there should be the clear public design's object proper to the condition and circumstances, and direction of public design and policy management. Cities' public policies should reflect the architectures and street environment, reflecting the city's identities, and preservation of landmarks and historical district, which determine the image of cityscape.

      • KCI등재

        공공분야 디자인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제안 연구 : 국민디자인단 사례를 중심으로

        방송희,김태완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3 서비스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국민디자인단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 영역에서의 디자인 활용 확대와 지속가능한 공공서비스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국민디자인단이 시행된 2014년부터 2021년까지이며, 내용적 범위는 국민디자인단의 과제이나 2014년 시범사업 과제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모든 사례를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광화문1번가 홈페이지 및 국민디자인단 사례집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과제를 연구의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디자인정책과 공공서비스디자인에 대한 문헌을 참고하여 공공정책 개발 단계에서 디자인의 역할 규명과 활용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내고, 둘째, 주요 시사점을 바탕으로 공공정책에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대표적 사례인 국민디자인단 추진 과제를 대상으로 과제명과 추진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공분야에 디자인이 활용 가능하다는 시사점을 발견하였으며 공공 영역에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활용 확대를 위해 제안하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정책 및 서비스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인식 제고를 통해 시민참여를 넘어 시민들의 자발적인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역할로서 디자인의 활용이 확장되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한다. 둘째,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적극적 활용의 산물인 국민디자인단 성공사례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서비스디자인의 효용성과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도입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디자인을 활용하여 정책 전달의 오차를 축소하고 시민 중심 공공서비스를 실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design utilization as a method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services in the public sector is increasing. Accordingly, Korea has introduced a public service design development method and has implemented and operated a national design group for consumer-centered policy development since 2014.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the National Design Group to expand the use of design in the public sector and propose sustainable public service design strategies. The time range of this study is from 2014 to 2021, when the National Design Group was implemented, and the content is limited to tasks that can be found on the Gwanghwamun 1st Street website and the National Design Group casebook.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we looked for implications for how to use and identify the role of design in the public policy development stage by referring to the literature on design policy and public service design, and second, based on major implications, we analyzed the task name and content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 found implications that design can be used in various public field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proposed to expand the use of sustainable design in the public sector are as follows. First, by raising awareness of service design in public policies and services, it continue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use of design to expand as a role that leads to voluntary behavioral changes of citizens beyond civic participation. Second, more active publicity is needed for the successful cases of the National Design Group, a product of the active use of public service design. Third, a more specific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effectiveness of public service desig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reducing the error in policy delivery and realizing citizen-centered public services by utilizing design for various problems facing our society.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 디자인의 정책 확산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회문제해결 디자인 정책을 중심으로-

        권영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과 다양한 도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012년부터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을 적극 도입하였다. 이는 시민의 체감도를 높이는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포괄적 접근 방식을 강조하며, 도시의 복잡한 문제를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2018년에 제정된 서울특별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조례는 이러한 접근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일관된 정책 추진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정책의 확산 현황을 분석하고, 그 가치와 앞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정책이 도입된 2012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공식 홈페이지, 관련 연구 보고서, 학술 논문, 보도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에서 수행한 서울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관련 정책 및 계획 현황을 조사하였다. 범죄예방 디자인(CPTED), 인지건강디자인, 스트레스해소디자인, 청소년 문제해결디자인 등의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사업들은 시범사업을 통해 체계적인 효과성 검증과 높은 만족도를 기반으로 점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중앙 부처, 지자체, 자치구 및 타 기관의 관련 법 제도 수립에 주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었다.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사례는 다양한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선행 제도 및 사례로 언급되며, 타 지자체의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에도 참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이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다양한 지역에서의 사례 확산이 중요함을 나타냈다. 또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사례 60건 중 25건(41.6%)이 서울시의 사례를 참고 및 인용하였으며, 그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또한, 생활안심 디자인 사업은 2012년 이후 관련 조례가 160건으로 나타나며, 이는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이 법 제도 수립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결론) 본 연구는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이 단순한 환경 개선을 넘어, 주민 참여와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문제 해결 방안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업들은 시의성, 활용성, 선도성, 확산성, 효과성, 실현성과 같은 특성을 갖추어 다양한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확산되었다. 앞으로도 서울시는 이러한 접근을 기반으로 더욱 포괄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이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사례와 데이터를 포함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이러한 디자인 접근법의 가치를 더욱 심화시켜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2012, Seoul has actively adopted a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to address its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various urban issues. This approach emphasizes a comprehensive strategy that includes programs and services that enhance the citizen’s experience, aiming to solve complex urban problems creatively and effectively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ts citizen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Ordinance, enacted in 2018, provides a legal framework supporting this approach, enabl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policy implement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diffusion status of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policies, evaluates their value, and explores future expansion. (Method) This study analyzed chronological changes from the introduction of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policies in 2012 to the pres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ial website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from relevant research reports, academic papers, and press releases. The study examined major cases, such as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cognitive health design, stress relief design, and youth problem-solving design. (Results)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projects have progressively expanded based on systematic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high satisfaction with pilot projects, serving as key reference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y central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other agencies. Examples of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have been cited as precedent systems and cases by various central ministrie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have been referenced i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s of other municipalities. This study indicates that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demonstrates practical effectivenes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sseminating such cases across diverse regions. Additionally, 25 of the 60 cases (41.6%) i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cited and referenced Seoul’s examples, as detailed in the table below. Since 2012, the Safe Living Design Project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160 related ordinances, demonstrating the impact of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on legislative development.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provides sustainable solutions to social issues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yond simple environmental improvements. These projects possess attributes such as timeliness, usability, pioneering, diffusion,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and have successfully expanded across various regions. Seoul will continue to develop comprehensive and innovative design solutions based on this approach, addressing diverse social issues and contributing to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in Seoul’s social problem-solving initiatives and presents a forward-looking direc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cases and data for a comprehensive analysis to further highlight the value of this design approach.

      • KCI등재

        폴디(PolD)

        김한별(Hanbyeol Kim),김형신(Hyungsin Kim)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1

        최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정책 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정책 디자인에 공공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공공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이용하여 정책을 디자인 할 때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수요자와 공급자가 코크리에이션(co-creation) 워크숍을 통해 정책 의제의 발굴부터 정책 아이디어 도출까지 함께 진행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책디자인 워크숍의 대부분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참여자의 물리적, 시간적 진입 장벽으로 참여자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정책 수요자의 의견이 반영되기 어려워 편향된 의견에 따른 정책이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온라인 환경에서 정책디자인 워크샵을 진행할 수 있는 툴 ‘폴디(PolD)’를 개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 및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정책디자인 프레임워크 설계 및 온라인 정책디자인 툴의 필수기능을 정의하여 이를 프로토타이핑 한 후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폴디와 같은 온라인 정책디자인 툴은 정책수요자인 일반 시민의 정책 참여에 시공간적 진입 장벽을 낮추어, 정책 디자인 워크숍에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정책실무자 및 퍼실리테이터가 효율적인 정책디자인 워크숍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As the paradigm of policy development has recently changed from a provider-centered policy perspective to a consumer-centered one, public service design methodology is actively used in policy design. Such design in the area of public service proceeds from discovering policy agendas to deriving policy ideas through co-creation workshops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However, policy design workshops were conducted offline in the majority of cases, which results in difficulties in terms of reflecting the opinions of various policy consumers, as the pool of participants is limited due to the presence of physical and entry barriers. Accordingly,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development of a policy design workshop tool in an online environ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affinity diagrams, essential functions of policy design framework design and online policy design tools were defined and prototyped. the final online policy design tool ‘PolD’ was developed through three prototyping tes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PolD will overcome the temporal and spatial barriers of participation in policy design workshops.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crucial as it enables the creation efficient policy design workshops in the case of policy practitioners and facilitators.

      • KCI등재후보

        도시브랜드 강화를 위한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연계방안

        송영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9 No.-

        도시브랜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도시슬로건 및 정책방향, 행정서비스, 공공디자인 등이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정책과 디자인은 도시브랜드를 직접적으로, 그리고 가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수단으로 도시브랜드 강화방법이 다. 공공의 문제는 제도적인 장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데 문제의 원인과 사회적 여건, 대상 등이 다양하여 다수의 이해관 계자가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문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상황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 문 제의 공간적, 인문적, 기능적 요인들에 대한 제도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할 때 정책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공정책은 다양한 영역에서 분야 간 융합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혁신적인 공공서 비스를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보다 효율적인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과 디자인의 혁신적인 연계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사회문제 해결은 공공정책의 주요한 의제로서 다수의 행정기구 간 협업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과 디자인의 실행연계를 위해서는 정책관리자가 필요하다. 셋째, 동일한 목표달성을 위한 사업계획의 이 행에 있어서 다수의 분야 혹은 담당자의 상시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계망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공유 및 참여확대를 통한 홍보가 필요하다. In order to reinforce the city brand, city slogan, policy direction, administrative service, public design, etc. should be performed consistently. Among them, the public policy and design are the effective city brand reinforcement methods that can advertise city brand directly and visually. The problems in public realm can be resolved through institutional mechanism, and clues to those problems can be found by many stakeholders taking multi-faceted approaches due to diversity of such problems in terms of cause, social circumstances, targets, etc. Moreover, those problems that fall under public domain tend to be results of complex interaction among many different situations. Therefore, policy objectives can be achieved with greater effectiveness when the systems(institutions) related to spatial, humanistic, and functional elements of concerned problems are engaged systematically. Thus, public policies designed to resolve social problems need to pursue convergence among various areas, on which basis innovative public services should be presented as alternative solutions. This study proposes innovative connections between policies and design for achieving policy goal in a more effective manner as follows. First, cooperation between many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s primary agenda of public agenda is required for solving social problems. Second, managers who are responsible for policies are required to connect policies and desig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ird, efforts to form network that helps communication between persons in charge or fields are required to implement project plan for achieving the same goal. Fourth, sharing of information and expansion of participation are required to effectively implement policie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