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연구결과에 대한 메타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이상철 대한지방자치학회 201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다양하게 수행되어 온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경영평가제도의 문제 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개 년 동안의 경영평가제도와 관련된 연구보고서와 연구논문들을 수집하였고 데이터마이닝 과정을 거쳐 핵심 주제어를 도출하고 그 연결중심성과 클러스터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점은 지표선정상의 문제이며, 경영평 가결과가 공공기관을 서열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고 경영평가가 공공기관이 지니 고 있는 자율성을 침해하고 있으며, 단기적인 성과에 치우치는 경영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양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서 가장 우 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공공성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 반영과 평가주기의 다변화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 -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 is the problem of selection of indicators and the result of management evaluation can serve as a means of sequencing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management evaluation infringes the autonomy of public institutions, and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structures that are forced to perform management that is biased toward short-term results. Second,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is to reflect the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measure publicness and to diversify the evaluation cycl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제도적 성과분석: 경기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박충훈,김승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6 No.1

        This study shows that the management performance changes in local public agencies appear, and these changes are related to operating element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in the long term. The results analyzing the change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local public agencies in Gyeonggi-do from 2008 to 2013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yearly variation of the 20 evaluation indicator of the eight institutions, 16 indicators in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gradually increasing every year. Secondly, it shows that its main achievements under the management evaluation in public institutions in Gyeonggi-do, achieved relatively high levels, comparing with other autonomous organizations.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differences of management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indicators upgrading, 19 indicators showed the enhanced performance after indicators upgrad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assessment of public institutions should be able to link to evaluation results and performance enhancement, should be ab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ubstantial management reform. 본 연구는 장기적 관점에서 공공기관의 경영성과 변화가 나타나는지와 이러한 변화가 경영평가제도 운영요소와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경기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개년의 경영성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분석대상기관 8개 기관의 20개 평가지표의 연도별 성과증감추이를 보면 16개 지표의 경영실적이 해마다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영평가제도의 시행 이후 공공기관의 성과가 전반적으로 증진 또는 일정수준 이상의 우수한 성과를 유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타 자치단체와의 비교시에도 경기도내 경영평가를 받고 있는 공공기관의 주요 성과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지표고도화 이전과 이후의 경영성과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19개의 지표가 지표 고도화 이후 실적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표 고도화 이전과 이후의 성과분석을 통해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지표가 11개 지표인 것으로 확인되어, 경영평가를 통한 지속적 지표관리가 기관성과에 유의미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볼 때 경기도 공공기관들은 경영평가제도를 기관의 성과증진을 위한 자발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공공기관의 경영성과평가는 평가결과와 성과증진을 연계할 수 있어야 하며, 실질적인 경영개선 효과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서열 훈육 효과 -푸코의 "훈육 권력(Disciplinary Power)"의 적용 가능성-

        진상기 ( Sangki JIN ),오철호 ( Cheol H. Oh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2

        공공기관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우리나라 공공기관들은 매년 경영실적평가를 받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평가자적 관점에서 평가제도의 필요성, 평가 결과 활용, 평가 방법개선 등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평가제도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피 평가 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평가제도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절차들을 좀 더 면밀히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피 평가자 관점에서 이들이 어떻게 경영평가에 대응하고 이를 제도로 인정을 하는지를 살펴 봄으로서 제도의 지속성이라는 측면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Foucault(1977)가 제시한 ``훈육 권력(Disciplinary Power)`` 개념을 활용해 피 평가자들의 입장에서 경영평가 제도라는 외부 압력이 평가 대상자들의 내부 메커니즘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설명해 보고자 한다. 즉, 평가제도라는 압력에 대해 조직이 이를 형식적으로 순응하는 비동조화(Decoupling)전략을 취하고 평가결과 서열에 강하게 동조 (Tight Coupling)해 가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 Foucault(1977)가 설명하는 ``훈육권력``이 우리나라 공공기관 경영평가에도 적용가능한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훈육권력`` 개념 중 평가 서열에 집착하고 몰입해 가는 과정을 의미하는 ``서열훈육`` 효과가 우리나라 경영평가제도에 존재하는지와 이러한 ``서열훈육``효과가 피 평가 기관들이 경영평가제도에 대응 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해보았다. 이를 위해 중소형 준 정부 기관 45개 기관 평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훈육권력`` 및 이에 따른 서열 훈육 효과가 존재 하는지를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가 가지고 있는 ``훈육 권력``과 평가 결과(등수)에 몰입하는 서열 훈육효과가 존재함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Foucault(1977)가 제시한 훈육권력에 의한 서열훈육효과의 개념이 우리나라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피 평가 기관들의 대응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용한 설명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the Act of Public Organizations Operation, Korean public organizations are annually evaluated about their performances (.i.e., Public Organizatio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securing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organization evaluation system, it is needed to understand patterns and processes of public organizations' 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is paper conducted survey and interview to 45 public organization staff members who are in charge of external evaluations. In explaining the mechanism for public organizations' responding to evaluation results, this paper refers to the notion of external press by Foucault (1977)’s concept of disciplinary power.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we can examine that public organizations showed the so-called decoupling mechanism to external evaluation systems as well as tightly coupling to the rankings as a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Consequently, this paper can make a conclusion that Foucault (1977)’s concept of disciplinary power is a meaningful theoretical concept for explaining the underlying mechanism (e.g., decoupling, discipline power and ranking discipline) for the public organizatio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Korean.

      • KCI등재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 비교

        한인섭,김형진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17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3 No.1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를 모방하여 발전되어 왔지만, 지방자치제의 정착과 지방공기업 의 확산 등에 따라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와는 구분되는 독자적인 제도적 요소들을 발전시켜 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 은 기존의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와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 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평가제도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평가의 논리를 원용하여 평가투입, 평가과정, 평가결과, 평가활용 등을 구성요소로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를 비교 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는 평가제도의 틀은 유사하였지만, 세부내용 면에서는 많은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평가조직과 평가인력 및 평가예산 등 평가제도의 운영관리적 측면은 물론 평 가유형의 분류기준과 평가지표의 유형 및 가중치, 그리고 평가결과에 따른 성과급 등 후속조치 등의 평가체계의 측면에 서도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발전을 위한 개선대안 을 제시하였다.

      • 공공가치관리 관점을 적용한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의 메타평가 연구

        주은혜(Eun-hye Ju) 공공선택학회 2023 공공선택학저널 Vol.2 No.1

        공공기관이 추구하는 공공성의 성과는 민간 기업에서 사용하는 ‘bottom line’과 같은 손익계산서로 단순명료하게 제시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현재의 공공기관의 성과평가 체계는 사업과 정책의 공공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단기적 성과 위주의 수익성 창출의 측정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논의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공공관리론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의 한계를 보완하고, 공공기관의 설립과 운영의 본질적 목적인 공공가치 창출의 미션을 달성할 수 있도록 공공가치관리의 관점을 적용하여 경영평가제도 전반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공공가치 관리의 내용적 특성으로서 평가목적, 평가주체, 관리역량, 거버넌스, 성과의 5가지 차원 으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여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고, 그 보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erformance of publicness pursued by public institutions is difficult to present simply and clearly with a profit and loss statement such as the ‘bottom line’ used by private companies. Nevertheless,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does not ful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rojects and policies. Critical discussions are being raised in that it focuses only on the measurement of profitability creation based on short-term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meta-evaluation of the overall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ublic value management to achieve the mission of creating public value,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 overall review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content of public value management. The purpose of evaluation, subject of evaluation, management capacity, governance, performance,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upplementation were drawn.

      • KCI등재

        공공기관의 전략・실행・문화간 디커플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기업・준정부기관 경영실적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혁신문화의 조절효과 추가분석

        정명재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22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8 No.1

        The public sector is under institutional pressure to simultaneously demand market principles such as economy and efficiency required by the private sector due to the spread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NPM) paradigm along with traditional values-oriented ideology such as accountability and accountability. In this study, decoupling that appears in this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as interpreted based on the new institutional theory and structural situation theory. In addition, an analysis was attempted on the effect of decoupling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management performance, was measured as a management evaluation grade. In addition, decoupling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strategy, execution, and culture, was measured through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Specifically, the strategic system was set as a 'strategic planning' indicator, the implementation system was set as a sum of 'organization, personnel, general remuneration, and welfare' indicators, and the cultural system was measured through difference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decoupling between the strategy and implementation system had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oupling between the strategy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was close to a negative phenomenon that had to be resolved.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ategy-execution decoupling and management performance by separating the innovation set as a cultural syst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innovation further strengthens the negative (-) correlation of decoupling on management performance, unlike the positive (+) effect of innova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공공부문은 전통적인 책임성, 책무성 등 가치 지향적 이념과 함께 신공공관리(NPM) 패러다임의 확산으로 민간에서 요구되는 경제성, 효율성 등 시장원리 이념이 동시에 요구되는 제도적 압력에 놓여있다. 이때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는 공공기관의 자율적 책임경영체제를 구축하고 평가를 통한 경영실적을 환류하는 중요한 제도적 장치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영실적평가 제도에서 나타나는 디커플링 현상을 신제도주의이론 및 구조적 상황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해보고 이것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인 경영성과는 경영평가 등급으로 독립변수인 전략・실행・문화 각 제도 간 디커플링은 경영평가 경영관리 범주에서 평가하는 ‘전략기획’ 지표를 전략제도, ‘조직・인사 일반’ 및 ‘보수・복리후생’ 지표의 합을 실행제도, ‘혁신노력 및 성과’ 지표를 문화제도 수준으로 각각 설정하고 그 차이를 통해 디커플링 수준을 측정하며,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디커플링 유형 중 전략-실행 제도 간 디커플링은 경영성과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공공기관 경영평가 설계에 근간이 되는 MB모형에서 전략-인적자원으로 이어지는 유기적인 정합성, 전략경영에서 이야기하는 전략-제도 간 적합성의 관점에서 전략-실행 제도간 디커플링은 해소되어야 하는 부정적 현상에 가까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문화제도로 설정한 혁신성을 분리하여 전략-실행 디커플링과 경영성과 간 유의미한 관계에서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의 혁신성은 혁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정(+)적 효과와 다르게 디커플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부(-)의 상관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공공조직의 높은 혁신문화 수준은 조직의 디커플링에 대한 구성원의 수용성을 저해함으로써 조직목표의 달성 정도, 능률, 성과, 생산성 등과 관계된 조직유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제도적 압력의 무차별적인 순응을 경계해야함을 시사한다.

      • 공공기관 성과에 대한 관리요인과 환경요인의 영향력

        염준호(Joon Ho Yeom),박대식(Dae Shik Park)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연구 Vol.24 No.2

        정부는 공공기관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 이외에 공공기관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경영평가제도는 1983년 시작되어, 2007년 공운법 공포로 체계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는 주로 통제가 수월한 관리요인을 반영하여 공공기관의 성과를 판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통제가 곤란한 환경요인은 평가지표에서 배제되어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보다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환경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파악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해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관리요인과 더불어 환경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부분최소자승법 기반의 구조방정식모형(PLS-SEM: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2014년과 2015년 경영평가를 받은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관리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우선 관리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리요인을 동기유발요인과 조직역량요인으로, 그리고 성과를 공공성, 수익성, 경영평가결과 요인으로 세분하였다. 분석결과 관리요인의 상당한 영향력이 입증되었다. 둘째, 공공기관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환경, 경제적 환경, 조직특성, 기관장리더십, 학습혁신 등의 환경요인들을 분석모형에 추가하여 이들 환경요인들이 관리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환경을 제외한 네 가지 환경요인들이 부분적으로 관리요인과 성과에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향후 정부에서 추가하고 있는 경영평가지표 중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표가 포함되고 있는지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예측력을 판단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Many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analyzed the impact of the managerial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institutions, with dismissing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Thus,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the impact of the managerial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impact of the above-mentioned two types of factors on the 2013-2014 performance of Korean public insitutions with the PLS-MGA(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analysis, we can find the facts as follows. Firstly, the managerial factors have a certain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That is, motivation factor and organization capacity factor have a certain impact on profitability factor and publicity factor. Secondly, the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certain impact on the managerial factors, and furthermore on the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That is, political environment factor, economic environment factor, organization traits factor, leadership factor, and learning innovation factor have a certain impact on motivation factor and organization capacity factor, and furthermore on profitability factor and publicity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we need to include the environmetal factors in addition to the managerial factors for the study of impact factors of public institutions’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준정부기관 경영평가제도의 변천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조택 한국거버넌스학회 2008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5 No.3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changes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quasi-governmental bodies. Performance evaluation of quasi-governmental bodies was introduced in 2004. Until now,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every year, even though not so greatly. The most important change was introduced with The Law on Management of Public Bodies enacted in April 2007. The new government has introduced many reform proposals, among them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quasi-governmental bodies. After the first introd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quasi-governmental bodies has not been settled yet. Every reform has its merits and at the same time demerits. We can expect some improvements from the changes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quasi-governmental bodies. However any change involves transaction cost in terms of time and effort to be adapted for new system. Therefore we should keep in mind transaction cost involved in any change. 준정부기관에 대한 평가제도는 2005년 도입된 이후 도입된 이후 2007년 4월부터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공운법)이 시행되어 공공기관의 지배구조, 소유권, 경영평가제도 등을 포함한 공공기관과 관련된 제도는 크게 변화하였다. 한편 신정부 이후 기획재정부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경영평가제도 개편을 포함한 “공공기관 운영체계 개편방안”을 2008년 12월 12일 발표하였다. 2005년에 이후 현재까지의 준정부기관 경영평가제도의 변화를 분석 · 평가해 보면 다음과 같다. 평가의 주체는 종래의 주무부처에서 기획재정부로 변화됨으로써 공공기관에 대한 통일적인 관리가 가능해지고 주무부처의 영향력이 약화된 대신 기획재정부의 권한이 강화됨으로써 평가의 일관성 및 공정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그 대신 매우 다양한 공공기관에 대한 획일적 관리의 부작용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평가대상기관의 변화를 본다면 소규모 기관들은 평가에 대비할 인력이 충분치 못하여 평가부담이 너무 과중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2009년도에 시행될 평가에서는 정원 500인 미만 중소형기관은 계량평가만 받게 되었다. 2005년 경영평가가 최초로 시행된 이후 가장 큰 변화는 역시 2009년부터 적용될 평가지표 체계의 대폭적 변경이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지표체계는 객관성, 효율성, 효과성 면에서의 개선을 기대하고 있으나 실제 적용시 어려운 점들이 지적되고 있어 2009년 평가를 통해 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의 평가제도의 변화는 아직 그 성과를 예단할 수는 없으나 어떤 제도든지 완전할 수는 없으며 평가제도의 개편은 공공기관, 평가단, 주무부처, 기획재정부 등 모든 관련집단들에게는 새로운 제도에 적응하기 위한 거래비용을 증가시키므로 그 비용과 효과를 충분히 검토하여야 할 문제이며 앞으로의 운영여하에 따라서는 오히려 평가제도의 성과가 저하될 수도 있음을 항상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기관 사회적 가치 창출의 영향요인 분석 :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중심으로

        윤선일,유두호 한국공공사회학회 2022 공공사회연구 Vol.12 No.2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the creation of social values, which are emphasized in public organizations, with a focus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public organizations. Public organizations performance evaluation is a system that has a great impact on public organizations. Until 2018, public organizations that were required to be socially responsible according to government-recommended policies have since greatly expanded the distribution and weight of social value realization evaluation indicators to create social value. came under institutional pressur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influence factors of social value creation with a focus on resource dependence theory and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and conducts empirical analysis by dividing the social value realization evaluation index of public organizations performance evaluation into quantitative and non-quantitative indica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ource dependence of public organiza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value metric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on-metric indicator. On the other hand, social value creation by public organizations improves as they comply with institutional pressures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2017 government recommended policy score and performance evaluation business sector score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value cr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maintain a system that encourages social value cre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feedback system that can check whether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leads to the effective creation of social value by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본 연구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공공기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도로 2018년 이전까지 정부 권장정책에 따라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았던 공공기관들은 이후 사회적 가치 구현 평가지표의 배점과 가중치가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사회적 가치 창출에 있어 제도적 압력을 받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의존이론과 제도주의 조직론을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의 영향요인을 논의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사회적 가치 구현 평가지표를 계량과 비계량 지표로 나누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공기관의 자원의존 성향은 사회적 가치 계량 지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비계량 지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영평가 안에서 제도적 압력에 순응할수록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창출은 향상되며 2017년 정부 권장정책 점수와 경영평가 사업부문 점수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공공기관의 효과적인 사회적 가치 창출로 이어지는지 점검할 수 있는 피드백 체계 구축과 정부와 공공기관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장려하는 제도를 설계·유지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