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AH-tree: 편향 접근 패턴을 갖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색인 구조

        최근하(Keunha Choi),이승중(Seung Joong Lee),정성원(Sungwon Jung) 한국정보과학회 데이터베이스 소사이어티 2006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2 No.1

        GPS및 PDA의 발달로 인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 차량항법장치(CNS), 지리정보시스템(GIS)등 공간데이터를 다루는 응용프로그램들이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이러한 응용프로그램들은 높이 균등 색인 기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에 대한 색인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모든 공간 객체는 서로 상이한 접근 빈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공간색인 기법은 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빈도수만을 고려한 공간 객체의 색인 방법은 접근 빈도에 따른 편향성(skewed)은 제공하지만 공간 객체에 대한 지역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는 공간 객체가 2개 이상의 차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고 하나의 차원에 대해서만 정렬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밀집되어 있는 공간 객체의 접근 빈도를 반영해서 편향된 색인 트리를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형 클러스터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전체 영역에 대해서 Zahn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변형시켜서 다단계 세부 영역을 구분한다. 이렇게 구분된 세부 영역에 대해서 거리적 인접성과 접근 빈도수의 합을 이용해서 색인 트리를 생성한다. 또한 다단계로 구성된 전체 영역에 대해서 하향식 방식으로 편향된 색인 트리를 생성함으로써, 접근 빈도가 높은 공간 객체에 대해서 빠른 탐색이 가능하게 한다. Because of the advancement of GPS and PDA, applications using spatial data like Location Based Service(LBS), Car Navigation System(CN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has been widely used. Most of these applications provide indexes for data using height-balanced indexing techniques. However, those techniques doesn't consider the access frequency of each spatial object. Though some indexing techniques which consider frequency can provide the skewedness effected by the frequency, it's not suitable when spatial objects are massed. Because, to work efficiently, they also have to consider the distance between spatial objects when it's more than 2 dimens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dexing technique which can make an skewed index tree considering the distance and access frequency. It divides the area into multistaged subareas using a revised version of Zahn's clustering algorithm. It considers the sum of distance and access frequency between the subareas when it builds the index tree. Also the index tree is built with a top-down approach using density as a criterion. As the search starts from the root with the highest density, it enables fast search.

      • KCI우수등재

        성별의 알고리즘 편향성 감소를 위한 오토인코더 기반 딥러닝 모델

        김진영,조성배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8

        알고리즘 편향성은 알고리즘 설계과정에서 트레이닝 데이터에서의 편견이나 모델과 데이터의 특성 사이의 조합에 의해 모델에 반영되는 편향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편향성이 딥러닝 모델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증폭된다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편향성 제거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성별에 의한 알고리즘 편향성을 편향-분산 딜레마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편향성의 원인을 규명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심층 오토인코더 기반 잠재공간 일치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는 딥러닝에서의 알고리즘 편향성은 모델 내부의 특징 추출부분에서 보호특징별 잠재 공간이 다르다는 것을 실험으로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성별특징이 다른 데이터를 동일한 잠재공간으로 전사시킴으로써 추출된 특징의 차이를 줄여 저편향성을 달성하였다. 우리는 정량적 평가지표로 Equality of Odds와 Equality of Opportunity 를 사용하여 기존모델에 비해 편향성이 낮음을 입증하고 ROC 곡선으로 통해 성별사이의 예측결과의 편차가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Algorithmic bias is a discrimin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model by a bias in data or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model and data in the algorithm. In recent year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bias is not only present but also amplified in the deep learning model; thus, there exists a problem related to bias elimin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bias of the algorithm by gender in terms of bias-variance dilemma and identify the cause of bia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deep auto-encoder based latent space matching model.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apparent that the algorithm bias in deep learning is caused by difference of the latent space for each protected feature in the feature extraction part of the model. A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achieves the low bias by reducing the differences in extracted features by transferring data with different gender characteristics to the same latent space. We employed Equality of Odds and Equality of Opportunity as a quantitative measure and proved that proposed model is less biased than the previous model. The ROC curve shows a decrease in the deviation of the predicted values between the genders.

      • 인터넷의 공간과 시간

        이동후(Dong-Hoo Lee) 한국언론학회 200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2 No.1

        이 글은 성숙단계에 이른 인터넷 미디어를 도구(tool)나 회로(conduit)가 아닌 환경으로 주목하며, 인터넷과 우리의 문화가 갖는 공생관계, 특히 인터넷이 우리의 공간과 시간 경험을 어떻게 재구조화하는지를 사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자 미디어 환경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자들의 시각을 조명해보고, 이니스(Innis)의 “편향성(biases)" 개념과 맥루언(McLuhan)의 “청각적 공간(acoustic space)" 및 “시각적 공간(visual space)"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의 시공간 경험을 구성하는 인터넷 미디어 환경의 “비가시적 배경 원칙”의 작용성을 살펴보았다. 인터넷이 부활시킨 동시성, 역동성, 비선형성, 무정형성 등은 근대적 공간의 구분이나 시간 구분의 경계를 해체시키고 공간과 시간에 대한 개인의 제어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공간 경험의 이면에는 공간 편향적 미디어 환경이 지니는 또 다른 통제의 역학이 내재되어 있고, 빠른 속도와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지향하는 현재 중심적 사고(present-mindedness)가 강화되고 있다. 이 글은 우리의 시공간 경험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디어와 인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성찰성을 높이고, 인간 행위자의 역할을 다시금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net as an environment, not as a tool or a conduit. The most noticeable new media environment since the 1990s is the ubiquitousness of individual or group communication via the Internet, a global computerized network. People have easy access to the Internet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digital-storage, data-compression, search engines, user-centered interfaces, and multimedia terminals, Within the communication space of the Internet, the audience can experience one-to-on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r many-to-many communication in real-time or asynchronous modes. They can expect to retrieve any information with various communication forms beyond the physical limits of space and time bounded by the exiting media. Following the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which stimulates us to have a wider holistic view on media in order to understand human-media symbiosis, the approach presented here speculates on how the Internet has conditioned and re-structured our experiences of space and time.

      • KCI등재

        국부펀드의 해외투자편향과 공간적 파급효과

        김희호 ( Heeho Kim ),장홍하 ( Zhang Hongxia ),김용구 ( Yongku Kim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6 국제경제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세계 금융위기인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주요 국부펀드 투자국들이 6개 투자대상국(호주, 캐나다, 중국, 독일, 영국, 미국)에 행한 315건의 해외투자 자료를 사용하여 국부펀드의 해외투자편향(foreign bias) 결정요인과 해외투자편향의 공간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공간적 파급효과는 공간적으로 가까운 국가의 해외투자결정이 자국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파급효과이다. 이를 위해 국부펀드의 해외투자편향(foreign bias)모형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고, 공간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해서 투자대상국별 문화적 요인을 사용하여 공간(가중)매트릭스(spatial weight matrix)를 설정하였다. 추정결과에서 수익률과 위험은 국부펀드의 해외투자편향에 중요한 결정요인이며, 수익률의 경우 문화가 유사한 투자국 간에 공간적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위험의 경우 영국을 제외하고 공간적 파급효과가 크지 않았다. This study derives a model of foreign bia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cross-border investment of sovereign wealth fund. Based on the model of foreign bias, we analyze the spatial spillover effects of cultural and geometric distances on the degree of foreign bias of sovereign wealth fund. We build the spatial weight matrix, which is specific to the foreign countries invested by sovereign wealth fund, for the spatial panel analysis. Using 315 cases from the panel data of foreign investment by sovereign wealth fund during the year 2008~2014, we empirically examine (1)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turn, risk and foreign bias of sovereign wealth fu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2) whether this relationship depends on the spatial spillover effects of cultural and geometric distances. The evidence strongly supports our hypotheses across 6 different foreign investment countries (Australia, Canada, China, Germany,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 공간구문론의 공간분할에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박순매(Piao Shun-Mei),윤재신(Yoon Chae-Shin)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Space syntax theory does numerical calcul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of each unit of the total space. In this process, a plane should be divided into unit spaces. When space syntax theory is used to analysis the inside space complex of a building, the total space is redrawn as a convex plane. It means every unit spaces should be divided as a convex if it is a concave one. Therefore, the way of convex plan drawing induces variant syntactic analysis. There are some kinds of convex drawing methods, and the most popular one is the short line division. These concepts have some restriction in the process of redrawing unit spaces, such as lacking basis of dividing space. What is more, the process is physical and artificial. This paper tries to import the theory of enclosing balance in the process of dividing space so that some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clues are annexed to the process.

      • KCI등재

        연구논문 : 제18대 대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조사기관 편향

        박종희 ( Jong Hee Park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한국 대통령 선거의 사전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조사기관 편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조사기관 편향을 극단적인 조사기관 고정값으로 정의하고 편향판정의 기준으로는 개별 여론조사 결과를 관통하는 추세를 삼았다. 추세분석은 개별 조사자료의 중심성과 여론의 연속성을 반영하는 베이지안 상태공간모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18대 대선 여론조사에 참여한 총 22개의 여론조사기관 중에서 중앙일보(의뢰기관: 중앙일보, 조사기간: 22일)와 엠비존(의뢰기관: 뉴스타파, 조사기간: 4일)이 극단적인 조사기관 고정값, 즉 편향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중앙일보는 박근혜 후보의 지지율을 추세보다 평균 약 2.5% 정도 우호적으로 조사하였고, 엠비존의 경우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을 추세보다 평균 약 4.3% 정도 우호적으로 조사하였다. 편향의 원인에 대한 분석은 자료의 부족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지만, 의뢰기관의 수가 많을수록 고정값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의뢰기관으로부터의 독립성이 조사기관 고정값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Why do polls differ from each other so widely in the 2012 presidential campaign polls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I assess the size of ``house bias`` in the 2012 presidential campaign polls in South Korea. I first define house bias as extreme house effects measured from the public opinion trend. Then, I utilize a Bayesian state space model to find the public opinion trend from the presidential campaign poll data. By analyzing the poll data covering 22 pollsters and 106 days, I found extreme house effects from two pollsters: Joongang Ilbo(sponsor: Joongang Ilbo, survey days: 22) and Mbizon(sponsor: Newstapa, survey days: 4). Regarding the sources of house bias, I found that the smaller the number of sponsors is, the larger the absolute size of house effects becomes.

      • KCI등재

        시각탐색에서 시간적 맥락에 따른 위치 확률 학습

        김윤경,김민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5 No.4

        위치 확률 학습(Location probability learning) 효과란 시각탐색 시 표적이 특정 위치에 빈번하게 출현할 때 해당 위치로의 공간 주의가 편향됨으로써 탐색이 빨라지는 현상을 일컫는다(Jiang et al., 2013). 본 연구는 결합(conjunction) 탐색에서 시간적 맥락에 따라 공간 주의가 유연하게 편향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 표적은 응시점 이후 시간적 맥락(300 ms / 1300 ms)에 따라 두 개의 특정 사분면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실험 1의 결과, 맥락과 상관없이 공간 주의가 두 개의 고빈도 사분면으로 편향되었다. 실험 2에서는 시간적 맥락을 강화하여 표적이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탐색 화면부터 제시되었으며 그 결과, 맥락 특정적인 공간 주의 편향이 관찰되었다. 실험 3은 실험 2에 혼입되어있는 순서와 길이의 효과 크기 비교를 통해 순서의 영향력을 재확인하였다. 본 결과는 위치 확률 학습에서 탐색 화면이 시간적 순서(temporal order) 정보를 지닐 때 강력한 시간적 맥락으로 사용되며, 시공간이 존재하는 역동적 환경에서 인간의 학습 기전에 시간적 맥락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The location probability learning effect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spatial attention is biased towards a specific location, resulting in faster visual search, when a target appears frequently at that location (Jiang et al., 201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spatial attention is flexibly biased by temporal context in conjunction search. In Experiment 1, the targe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in two specific quadrants depending on the temporal context (300 ms / 1300 ms) after fixa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spatial attention was biased towards the two high-frequency quadrants regardless of the temporal context. In Experiment 2, by reinforcing the temporal context, the target was presented from either the first or second search display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xt-specific spatial attention bias occurred. Experiment 3 reaffirmed the influence of the order to investigate specifically the effect sizes of the temporal order and duration confounded in Experiment 2.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earch display with temporal order information is used as a powerful temporal context in location probability learning, and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way temporal context operates in the human learning mechanism in dynamic environments where space and time coexist.

      • KCI등재

        특성불안과 방어성향에 따른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김형준,오수성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rait anxiety and defensiveness and the time-course of attentional biases about emotional stimulus. 389 undergraduate students took pre-experimental test consisting of STAI-T and SDS, and four different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st scores. They were low anxiety(n=14), repressor(n=14), high anxiety(n=14), and defensive-high anxiety group(n=13). We used Posner's spatial cueing task to study the attentional bias for emotional stimulus. Three different types of stimulus(aversive, neutral and pleasant pictures) were selected from IAPS so that they have different affective ratings but similar arousal level.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pictures affected response times at 300ms SOA only, not at 960ms SOA. Low anxiety, high anxiety, and defensive high anxiety group showed attentional avoidance of threat at 300ms SOA. Also, high anxiety, defensive high anxiety group showed attentional avoidance of pleasure. But, repressor group did not show attentional bias according to emotional valu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불안과 방어성향이 정서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특성불안 척도와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사용하여, 저불안 집단(14명), 억압자 집단(14명), 고불안 집단(14명), 방어적 고불안 집단(13명)을 선정하였다.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Posner의 공간단서과제를 사용하였다. 단서자극으로는 국제정서사진체계에서 정서가와 각성가에 따라 긍정자극, 중립자극, 부정자극을 각각 64장씩 뽑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300ms SOA 조건에서 억압자 집단을 제외한 저불안, 고불안, 방어적 고불안 집단에서 부정자극에 대한 주의회피가 나타났다. 특히, 고불안 집단과 방어적 고불안 집단은 부정자극 뿐만 아니라 긍정자극에 대해서도 주의를 회피하였다. 그러나 960ms SOA 조건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정서가에 따른 주의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사회불안 수준에 따른 자기 참조적 주의편향 및 기억편향에서의 차이

        김다선,이종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0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self-referential attention bias and memory bias according to social anxiety levels in early adulthood. Participants (N=110)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high social anxiety (HSA), middle social anxiety (MSA), low social anxiety (LSA), and healthy control (HC). Attention bias was measured using spatial cueing task, and memory bias was measured using a source monitoring task. Stimuli of the tasks were presented under three conditions for the tasks: self-reference (SR1), perception of self by others (SR2), and other-reference (OR). Disengagement bias scores (DBS) were used as an attention bias. Conditional Source Identification Measure (CSIM) was used to measur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source of the words learned and guess indicator (g) was used to measure the ability to guess the source of words not learned. According to the attention task results, the HSA group had difficulty disengaging attention (DBS) from negative stimuli at SR2 compared to the HC group. In the memory task, the MSA group showed higher accuracy for positive stimulus of OR than the HC group (CSIM). This reflects the result that, unlike the HC group that avoided positive stimulus of OR, the MSA group showed no attention bia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memory processing in social anxiety groups was discussed by introducing self-referenti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