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광 상품의 시간과 공간적 거리가 상품 선택 결정과 선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이론 적용

        김성조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purchase of tourism product in different choice situations with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s. Unlike ordinary retail product, tourism products are separated in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between purchase and experiencing product, so that those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product purchase decisions. Despite its importance,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ourism consumers abou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mong researches in tourism discipline.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temporal and spatial) influences potential travelers' making-choice and choice satisfaction. Using a scenario method, respon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different scenarios (2 temporal distance × 2 spatial d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otential travelers made different purchase choice decision depending o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To be specific, potential travele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making choice product that are close temporal and far spatial distance, and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decision-making in far psychological distanc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of choice situation.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who made 'no-choice' in far temporal distance perceived a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decision than those who made a 'choice' preferred product.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purchase choice and their decision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related to the psychology of choice of tourism consumers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간과 공간적 거리가 다른 선택 상황에서 관광 상품 구매에 대한 의사 결정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다. 일상 소비재와 달리 관광 상품은 관광 상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시점 사이에 시간과 공간적 거리가 분리되어 있어 시간과 공간적 거리는 상품 구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공간적 거리에 대한 관광 소비자들의 심리적 거리는 관광 연구 분야에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여 왔다. 해석수준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이 연구는 시간과 공간적 거리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잠재적 관광 소비자들의 구매 선택과 선택 결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시나리오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 응답자들은 2개의 시간적 거리와 2개의 시간적 거리가 상이한 시나리오와 설문지 중 1개를 무작위로 할당되어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잠재적 관광 소비자들은 시․공간적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구매 선택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잠재적 관광 소비자들은 시간적 거리가 가깝고 공간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상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상품의 선택 결정에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는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구매를 선택하지 않은 소비자들은 구매를 결정한 소비자들 보다 선택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점도 밝혀내었다. 이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결과로 볼 때, 시간과 공간적 거리는 관광 소비자들의 구매 선택결정과 결정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관광 소비자들의 선택 심리와 관련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 KCI등재

        심리적 거리가 여행사 패키지 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송시연,박종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8 No.2

        Previous research have shown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in product evaluation, this article shows the effect of spatial distance and temporal distance on consumer evaluation and choice of tourism package, specially as destination is long distance or short distance, or, as the season of destination is similar or dissimilar with participant's country. According to past research, people focus on desirability attributes when they are distant psychological distance, they focus on feasibility attributes when they are near psychological distance. For example, desirability is as quality and core value of target and feasibility is as price of target and waiting time so an. This article used desirability(usage of national airplane, stay at 5 star hotel) and feasibility attributes(low price) throughout tourism package. To test hypothesis, study 1 tried to show the effect of spatial distance in the evaluation of tourism package, study 2 tried to show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choice of tourism package. The findings revealed positive evaluation of high quality & high price package when the spatial distance is distant than near, the result reversed when the spatial distance is near than distant. To prove that people don't always prefer high quality & high price package when they go to trip in long distance place, we manipulated specially season as temporal distan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nts in the opposite season condition(distant future) choose low quality & low price package than high quality & high price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 temporal distance and spatial distance are very important to construct tourism package and this research offer practitioners with important insights into the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기존의 심리적 거리(psychology distance)연구는 시간적 거리(구매시점으로 조작)가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해외여행을 하는 여행지의 공간적 거리의 멀고 가까움. 그리고 여행지의 계절을 시간적 거리로 조작(우리나라와 유사한지, 반대인지)하여, 이것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태도 및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사람들은 바람직함(desira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품질과 관련된 속성에 더 집중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실행가능성(feasi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가격이나 사용의 편리함 등의 속성에 더 집중한 의사결정을 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바람직함 속성과 실행가능성 속성을 여행사 패키지 상품에 맞게 구성하여, 실험 1에서는 공간적 거리에 따른 여행사 패키지 상품의 태도에 대해, 실험 2에서는 계절에 따른 시간적 거리에 의한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실험1의 결과, 사전 국가 친숙도 및 매력도가 유사한 2개 나라 중, 공간적 거리가 가까운 나라일 경우, 여행패키지 상품이 고품질 & 고가격상품 일 때보다는 저품질 & 저가격상품일 때 더 선호되었고, 공간적 거리가 먼 나라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공간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항상 고가격 & 고품질의 상품이 선호되는 것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계절에 의한 시간적 거리를 조작하였다. 그 결과 여행지의 계절이 우리나라와 유사할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보다 고품질 &고가격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 구성에 있어 공간적 거리와 계절과 같은 시간적 거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관련 마케팅 실무자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의 상호작용이 외재적 속성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진(Kim, Kyung Jin)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2

        이해수준이론(CLT)에 따르면 소비자는 먼 미래 구매시 당위적인 내재적 속성(desirable attribute)이 뛰어난 제품을 선호하고, 가까운 미래 구매시 현실적인 외재적 속성(feasible attribute)이 우월한 제품을 선호한다고 한다. 그러면 먼 미래와 가까운 위치가 결합되면 어떤 속성이 뛰어난 제품을 선호하게 될까? 즉,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될 때 소비자의 이해수준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중복된 심리적 거리는 부가적이라기보다는 체감적이라는 베버-페치너 법칙이나, 시간적 거리감은 한계체감 한다는 시간할인 원리는 이러한 질문에 통찰력을 제공한다. 즉, 가까운 미래에 먼 위치를 더하면 하위차원의 이해(low level construal)에서 상위차원의 이해(high level construal)로 변화하지만, 먼 미래에 먼 위치를 더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상위차원 이해의 증가는 없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직 가까운 미래와 가까운 거리의 조건에서만 하위차원 이해가 발생하고, 나머지 세 조건(먼 미래이며 먼 거리, 먼 미래이며 가까운 거리, 가까운 미래이며 먼 거리)은 모두 동일한 정도의 상위차원 이해가 발생할 것이다. 실험 1에서 노트북 구매시 소비자는 가까운 미래이며 가까운 위치의 대리점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하위차원의 외재적 속성(e.g., 매장이용편리성, 직원친절성)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나 공간적 거리가 하나라도 멀어지면 외재적 속성중요도는 낮아졌고, 소비자는 상위차원의 내재적 속성(e.g., 배터리지속시간, 디자인)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시간과 공간적 거리 모두 멀어진다고해서 외재적 속성중요도 인식이 더 심화되지는 않았다. 실험 2에서 패밀리 레스토랑 평가맥락으로 실험 1의 결과를 재연하였다. 특히 내재적 속성(e.g., 음식의 맛, 메뉴다양성)보다 덜 중요 한 것으로 나타난 외재적 속성(e.g., 주차편리성, 음식제공속도)에서도 시간과 공간적 거리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이 효과는 외재적 속성이 우월한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까지 높여주었다. 본 연구는 시간과 사회적 거리의 상호작용효과를 제품수준에서 살펴본 Kim, Zhang, and Li (2008)의 연구에 대하여, 시간과 공간적 거리의 효과를 속성수준과 브랜드수준으로 심화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그리고 내재적 속성에서는 시간과 공간적 거리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시간적 거리의 기억효과는 내재적 속성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외재적 속성에서 잘 나타난다는 Kim, Park, and Wyer Jr. (2009)의 연구를 속성중요도 측면에서 확장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실무적으로, 내재적 속성에서 본질적으로 불리한 후발브랜드라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가까운 미래에 방문할 예정인 고객을 목표고객으로 하여 외재적 속성(설사 중요도가 낮다 하더라도)을 강조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펼친다면 바람직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theory, consumers prefer intrinsic attributes related with desirability when distant future purchase, on the other hand, for purchase of near future they prefer extrinsic attributes related with feasibility. What if they would prefer which attribute when distant future jointed with near space? How would change their construal level at these complex psychological distances? The theories of 'The Weber-Fechner Law', and the effects of multiple psychological distances are not additive but diminishing, or 'The Time-Discounting Principle', and the sense of time perception is diminishing may confer insight. It is possible that near future plus distant space gets low level construal to high level construal, but it is less possible that distant future plus distant space would not cause incrementation of additive high level construal. Eventually, for only near future & near space it may be low level construal, on the other three conditions it may be all same level of high construal. Experiment 1 says that consumers take the importance for feasible attributes (ease of mall and kindness of employee) when near future & near space condition. If one condition is distant whether time or space, they would get weight of desirable attributes (battery or design.) Although both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is distant, their high level construal does not strengthen. This study extended the results of Kim et al. (2008) which has suggested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mporal and social distance on product attitude into the attribute level on which the effect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Also, it was not appeared that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mporal and social distance on the desirable attributes - consisted with Kim et al. (2009) which has said the memory effects not on desirable but on feasible attributes by temporal distance. Empirically, a disadvantaged brand in terms of desirable attribute would be advisable to target consumers which are in near future purchase and in near space. The brand has be advantageous if positioning to emphasize their superior feasible attribute - although less important than desirable attributes.

      • KCI등재
      • KCI등재

        공간적 소셜리티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간의 거리 측정

        정준영,김대영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4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0 No.1

        같은 장소에 위치한 사람 및 장치들은 공간적으로 소셜리티를 가질 수 있으며, 스마트 장치간의 거리 인식을 통하여 공간적 소셜리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소셜리티를 형성하고 해제하기 위해선 스마트 장치간의 거리 인 식이 실시간으로 무설정 방식으로 수행 될 수 있어야 한다. 블루투스 신호 세기 측정 방식이 스마트 장치간의 거리 측정에 사용될 수 있지만, 블루투스의 신호 세기는 환경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거리 측정에 이용하기 위 해선 환경에 따른 무선 신호 세기의 특성을 파악하고 측정되는 무선 신호를 보정해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전자환경적합성(EMC) 챔버 및 회의실 환경에서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세기를 거리별로 측정하여 환경에 따른 무 선 신호 세기의 특징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측정된 블루투스 무선 신호 세기는 전파 간섭 및 반사파 등에 의해 많은 편차를 보이므로 무선 신호 세기의 측정 편차를 줄이기 위해 저주파 통과 필터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보 였다. 회의실 환경에서 장치간의 거리가 6미터인 경우, 최대 RSSI 측정 편차는 측정된 RSSI 값을 가공 없이 사용 하였을 때는 25 dBm이고, 저주파 통과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8 dBm이다. 그러므로 저주파 통과 필터를 사용한 장치간의 거리 인식을 통하여 공간적 소셜리티의 인식이 가능하다.

      • KCI등재

        점포방문 전 쇼핑목표의 추상성 정도가 비계획 구매에 미치는 영향

        김용환(Kim, Yong Hwan),전달영(Chun, Dal Young) 한국유통학회 2016 流通硏究 Vol.21 No.3

        소매업자가 점포의 매출규모를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비계획 구매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비계획 구매의 유발 요인들을 점포 내 소비자 구매행동으로 국한하기보다 소비자의 점포 방문 전・후를 고려한 전체 쇼핑과정을 반영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방문 전 쇼핑목표의 추상성 정도와 점포방문 후 쇼핑행동이 비계획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해석수준이론을 토대로 한 심리적 거리가 비계획 구매의 유발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시간적 거리에 의해 유발된 점포방문 전 쇼핑목표의 추상성이 점포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점포까지의 거리인 공간적 거리가 조절변수 역할로 작용하여 점포 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셋째, 위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쇼핑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비계획 구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대형할인마트(기업형 슈퍼마켓 포함)에서 쇼핑을 마치고 나오는 213명의 소비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또한 Chow Test를 통해 공간적 거리의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 점포방문 전 쇼핑목표의 추상성은 점포 내 판촉정보 탐색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과업지향 행동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 내 쇼핑 행동 중 판촉정보 탐색 행동은 비계획 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과업지향 행동은 비계획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쇼핑목표의 추상성이 점포 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공간적 거리를 사용하여 조절효과를 Chow Test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쇼핑목표의 추상성이 판촉정보 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공간적 거리가 가까운 집단이 공간적 거리가 먼 집단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쇼핑목표의 추상성이 과업지향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우에는 공간적 거리가 먼 집단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항공 거리와 예매시점이 항공 서비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경진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5

        항공기의 본질적 혜택은 단연 속도이다. 그러나 모든 승객이 속도에만 주목할까? 특정 조건에서는 속도 못지않게 서비스 속성도 중요하게 부각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수준이론의 시간 및 공간적 거리 개념을 항공기 예매시점과 여행거리에 적용하였다. 심리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당위적인 속성(desirability)이 중시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현실적인 속성(feasibility)가 중시된다고 한다. 이 때 항공기 속도는 당위적인 속성에 가깝고, 서비스 요인은 현실적인 속성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심리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항공기 속도가 중시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서비스 요인이 중시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실험 1에서 항공기 이용시 소비자는 출발시점과 가까운 예매이면서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만 하위차원의 현실적 속성(e.g. 승무원 서비스)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나 공간적 거리가 하나라도 멀어지면 현실적 속성중요도는 낮아졌고, 소비자는 상위차원의 당위적 속성(e.g. 속도)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시간과 공간적 거리 모두 멀어진다고 해서 속도의 속성중요도 인식이 더 심화되지는 않았다. 실험 2에서 승무원 서비스를 승차권 구매편리성으로 대체하여 실험 1의 결과를 재연하였다.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적 거리의 효과를 항공여객 속성평가에 적용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당위적 속성에서는 시간과 공간적 거리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시간적 거리의 기억효과는 당위적 속성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현실적 속성에서 잘 나타난다는 기존연구를 속성중요도 측면에서 확장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theory, consumers prefer intrinsic attributes related with desirability when distant future purchase, on the other hand, for purchase of near future they prefer extrinsic attributes related with feasibility. What if they would prefer which attribute when distant future jointed with near space? How would change their construal level at these complex psychological distances? Experiment 1 says that consumers take the importance for feasible attributes (e.g. services) when near future & near space condition. If one condition is distant whether time or space, they would get weight of desirable attributes (e.g. speed.) Although both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is distant, their high level construal does not strengthen. This study extended the results of Kim et al. (2008) which has suggested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mporal and social distance on product attitude into the attribute level on which the effect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Also, it was not appeared that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mporal and social distance on the desirable attributes - consisted with Kim et al. (2009) which has said the memory effects not on desirable but on feasible attributes by temporal distance.

      • KCI등재

        수혜대상자와의 공간적 거리와 사회적 거리에 따른 기부광고 메시지유형별 효과

        어수하(Su-ha Eo),송정미(Jeong-Mee Song)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3

        최근 기부문화의 확산과 함께 비영리 기부단체들의 광고경쟁이 치열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부광고가 수혜대상자들의 열악한 환경을 제시하고 광고수용자들의 연민에 호소하는 내용을 담는 데 그치고 있다. 기부행동은 자신의 물적 자산을 타인을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소비상황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광고수용자-수혜대상자 간 관계에 주목했다. 특히, 기부활동 지역에 대한 공간적 거리 인식이 광고수용자와 수혜대상자 간의 사회적 거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해석수준이론을 토대로, 광고수용자가 자신과 수혜대상자 간의 사회적 거리를 가깝게 느낄수록 구체적 메시지가, 멀게 느낄수록 추상적 메시지가 더 높은 광고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는 온라인 서베이로 진행되었으며 사회적 거리(먼 vs. 가까운) × 메시지 유형(구체적 vs. 추상적)의 2×2 집단 간 요인으로 설계했고, 광고태도, 기부태도, 기부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했다.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 207명을 대상으로 4가지 광고 실험물을 무작위로 제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t-test와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간적 거리는 광고수용자가 느끼는 수혜대상자와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수혜대상자의 거주지역이 국내일 때 사회적 거리를 가깝게, 해외일 때는 사회적 거리를 멀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과 메시지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는 광고태도를 제외하고 기부태도와 기부의도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광고태도는 사회적 거리의 멀고 가까움과 무관하게 추상적 메시지보다 구체적 메시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기부태도와 기부의도는 수혜대상자와의 사회적 거리를 가깝게 지각할 때는 구체적 메시지가, 멀게 지각할 때는 추상적 메시지가 더 높은 기부태도, 기부의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광고수용자에게 있어서 기부광고 속 수혜대상자가 내집단인지 외집단인지에 따라 적절한 설득메시지를 제시하는 것이 기부행동을 이끌어 내는 데에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n effective message strategy for donation advertising. Because donation behavior is exceptional consumption situation in which one s physical assets are used for other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audiences and beneficiaries.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in inter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scope of beneficiaries has expanded from domestic to overseas. So it was expected that the perception of spatial distance in the donation area affects the social distance.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advertising audiences s preference for message types can mak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dona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depending on social distance and message type, the experiment was in 2 levels of social distance(close vs. far) by 2 levels of message type(concrete vs. abstract) between-subjects design. First, the spatial distance affects the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from the beneficiaries felt by advertising audiences(study 1). Advertising audiences felt social distance close to(far from) domestic(overseas) beneficiaries. Second,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distance and message type on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is higher in concrete message than in abstract message, regardless of social distance(study 2). In contrast,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distance and message type was confirm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dona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study 3, 4). To be specific, when social distance is close, dona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of the advertisement using concrete message was higher than in case of far social distance. In case social distance is far, however, dona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of the advertisement using abstract message te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close social distance. These findings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essage strategy of donation advertisement in order to enhance donation behavior.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persuasion message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donation area is domestic or overseas.

      • KCI등재

        환경오염지역의 공간적 거리와 메시지 유형에 따른 친환경 광고의 설득효과

        지용현(YongHyeon, Jee),박은아(Euna, Park)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6 No.1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을 기반으로 친환경 광고의 설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89명의 참여자에게 2 공간적 거리(멂/가까움)×2 메시지 유형(추상적/구체적)에 따라 설득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공간적 거리, 메시지 유형 각각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공간적 거리와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오염지역의 공간적 거리가 가까울 때는 구체적인 메시지의 경우 추상적인 메시지보다 브랜드태도가 호의적으로 나타났고, 공간적 거리가 멀 때는 추상적인 메시지가 구체적인 메시지보다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친환경 제품 광고 구성에 있어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공간적 거리에 따라 메시지 구성이 달라져야 함을 말해주며, 가까운 지역의 환경문제를 제기할 때에는 환경보호의 방법이나 실천가능성 등 구체적인 메시지를, 먼 지역의 환경문제를 제기할 때에는 친환경 행동의 효과나 가치 등 추상적 메시지를 제시하는 것이 친환경제품 광고의 설득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ersuasion eff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2 spatial distance (near/far) and 2 message types (specific/abstra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ain effects of spatial distance and message types were not significant. The interaction between spatial distance and message type was significant. When spatial distance was close, concrete message had more persuasive effect than abstract message in product attitude, and when spatial distance was far away, abstract message had higher persuasive effect than concrete message in Ad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is way, it is imply that the message effective for persuasion is different from when the spatial distance is close to and far from the advertisement appealing for eco-friendly products, and it can increase the behavioral intention for eco-friendly consumption.

      • KCI등재

        스포츠센터의 광고 메시지 유형과 시간적, 공간적 거리감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박소희 ( Sohee Park ),한진욱 ( Jin-wook Han ),김민수 ( Minso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센터 광고 메시지 유형(상위수준 메시지/ 하위수준 메시지), 시간적 거리감(먼 미래/가까운 미래), 공간적 거리감(먼 거리/가까운 거리)이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총 276부의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23부를 제외하고 총253부의 유효 표본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을 통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스포츠센터 광고 메시지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센터의 광고 메시지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공간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센터의 광고 메시지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적 거리감과 공간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을 스포츠소비 상황에 적용하여 스포츠소비자 행동을 분석 및 예측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서비스업 마케터들이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and types of advertising messages on sport consumer`s attitudes toward an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Methods] Toward this end, 253 usable data were condu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ANOVA, and ANOVA with SPSS 24.0. [Results and Conclusion] The study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when using different types of messages, the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re influenced by temporal distance, by spatial distance, and by the interaction between both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