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적 사고 관점에서 천문 분야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예비교사가 인식한 문제점과 개선안

        김종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3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thinking in the process of learning astronomy,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e-service teachers on teaching methods that consider spatial thinking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tage. Accordingly,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spatial thinking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perceived by them were explored for the images and inquiry activities of astronomy textbook units. In this study, spatial thinking in the astronomical domain was defined as the amalgam of the concepts of space, representation tools, and reasoning processes. The juniors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educated on spatial thinking for two weeks in October 2021. They were then asked to voluntarily select one of the astronomy units to analyze problems in the textbooks and present modification plans to address those problems. Finally, 33 cases presented by 2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problems in textbooks in terms of the concepts of space and reasoning processes,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to supplement them. However, in some cases, even if pre-service teachers properly recognized a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was not appropriate, or they were not able to analyze the images or inquiry activities in terms of spatial thin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potential to properly reorganize and revise textbooks by participating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spatial thinking.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cerning spatial thinking was discussed. 천문학 학습 과정에서 공간적 사고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교원 양성 단계에서부터 공간적 사고를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천문 단원 교과서의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안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를 공간 개념, 표상, 추론 과정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수도권 소재 A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주에 걸쳐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은 천문 단원 중 1개 차시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22명이 제시한 33개의 사례가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들은 공간 개념과 추론 과정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부 예비교사는 문제점을 타당하게 인식하더라도적절한 개선안을 제안하지 못하거나,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분석하지 못하는 경향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에 대한 일련의 교육을 통해 예비교사가 천문 교수 실행시 공간적사고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인식하고, 그 한계를 보완할 능력을 갖출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가 공간적 사고와 관련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시사하는 바에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빈곤층 거주지의 공간적 집중에 대한 연구

        박윤환(Park, Yoonhwa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4

        본 연구는 빈곤의 공간적 집중을 다루었던 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기초생활수급자 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빈곤의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정확한 소득자료를 공간적으로 미시적 수준의 분석단위에서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빈곤층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본질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절대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정부의 공적부조의 대상인 기초생활수급자 집단은 제한적이나마 빈곤의 공간적 집중을 측정하고 그 현황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별 단순히 빈곤층 인구의 비율로 지역의 빈곤 집중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 맥락을 최대한 반영한 보다 구체적이고 분석적인 거주지 분리 지표들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초생활수급자 집단을 소수집단으로, 비수급자 집단을 주류집단으로 각 각 설정한 후 거주지분리의 4가지 주요소인 균일성(evenness), 고립성(isolation), 군집성(clustering), 집중성(concentration)의 차원에서 개발된 4가지 거주지분리 지표들을 통해서 경제적 거주지분리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251개 시군구의 빈곤층 거주지분리 정도를 탐색적으로 도표와 지도를 통해서 보여주었는데 특히 지도그리기를 통한 시각적 비교 분석을 통해서 어느 지역에서 빈곤의 공간적 집중현상이 심각한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초생활수급인구의 비율은 지방의 농촌지역들이 압도적으로 수도권 및 주요 광역 도시권보다 높았지만 거주지분리의 패턴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가장 강력한 거주지분리 지수로 평가되는 균일성을 측정한 수정된 상이지수는 물론 노출성을 측정한 고립성 지수나 집중성을 측정한 상대적 집중성 지수에 대한 측정결과들이 모두 농촌지역들에 비해서 수도권 및 일부 광역권 도시들이 훨씬 더 심각한 빈곤층 거주지분리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군집성을 측정한 공간적 군집성 지수는 비교적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residential pattern of the poor has emerged an important topic in urban research domain because of strong and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urban problems. However, prior urban literature in Korea has failed to pay scholarly attention to analysis for spatial concentration of poverty. This research aims to measure the poverty concentration at the county level(Si-Gun-Gu) and investigate how spatial pattern of the poor residence varies by the region. Given the limitation of insufficient data that fails to provide geographically micro-level poverty-related variabl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official data for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measure 4 major segregation indices across the entire 251 counties in the nation with respect to spatial dimensions of evenness, exposure, clustering,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verty rate appears to be higher in rural areas than in the metropolitan urban areas. Meanwhile, the segregation for the poor at urban areas(particularly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tends to be more serious than rural areas although the spatial pattern for clustering index does not display similar regional variation that other segregation types commonly illustrate.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not only arouse the necessity of measuring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poverty but confirm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ajor segregation indices in terms of capturing spatial dynamics of poverty.

      • KCI등재

        인도의 최근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격리와 배제’의 성격: 1990년대 이후 델리와 수도권지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21 印度硏究 Vol.26 No.2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델리와 수도권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화 과정에서, 중간계급의 새로운 소비문화와 생활양식에 따라 일어나는 여러 형태의 공간적 재편 현상에 주목한다. 대규모 슬럼 철거, 중상층 주택가의 대문 세우기, 요새화된 고급 아파트단지 등 세 현상을 중심으로 첫째, 노동빈민에 대한 공간적 격리와 배제가 일어나는 양상을 분석하고, 둘째, 이 분석을 토대로 이러한 격리와 배제의 기본적인 성격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본론에서 우선 델리의 모든 도시개발과 계획의 기준인 델리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슬럼의 형성사와 철거 실상을 정리하는데, 델리의 슬럼은 1960년대 이후 도시개발과 건설을 위해 대대적으로 진행된 대규모 토목건설사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의 묵인하에 공공용지에 형성된, 즉 “계획된 불법성”의 산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슬럼 철거로 인해 수많은 빈민이 도심에서 변두리로 밀려나는 ‘강탈에 의한 축적’ 현상이 분명하게 나타나지만, 이와 동시에 비합법적인 주거지역들을 대거 합법화함으로써 빈민과 이주노동자를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중상층 주거지역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행해진 대문 세우기 현상을 분석해서 첫째, 대문 세우기가 빈민을 주거지역에서 밀어내려는 공간적 격리와 배제의 한 과정이고, 둘째, 이 과정은 주민위원회가 주도하고 정부가 바기다리사업을 통해 적극 지원해서 순조롭게 이루어지며, 셋째, 하지만 대문을 세운 후에도 빈민이 주거지역을 드나들면서 여러 서비스노동을 제공하는 일이 계속되기 때문에 공간적 격리와 배제는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요새화된 고급 아파트단지는 경비원이 24시간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할 뿐 아니라 단지 안에 온갖 생활편의시설들이 갖춰져 있어서 외부와 완전히 단절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매일 단지를 드나드는 수많은 서비스노동자들 없이는 일상생활이 제대로 유지될 수 없는 공간이다. 이 때문에 요새화된 아파트단지 주변마다 노동빈민들의 슬럼이 형성되며, 공간적인 격리와 배제는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상의 분석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슬럼은 정부와 중간계급의 필요에 의해 형성, 유지된 공간이며, 따라서 슬럼 철거가 아니라 적절한 관리와 유지가 정부와 중간계급이 지향하는 바이다. 둘째, 빈민에 대한 공간적인 격리와 배제가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는 중간계급의 생활방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동빈민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중간계급과 노동빈민은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빈민을 격리하고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공간에서 적절히 관리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이다. 셋째, 델리에서 카스트, 종교, 지역, 직업 등에 따라 집단적으로 분리된 주거지역이 형성된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근의 주택가 대문 세우기와 요새화 현상은 ‘계급과 돈’이라는 새로운 기준이 더해져서 공간이 재편되는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various forms of spatial reorganisation taking place in Delhi and National Capital Region since the 1990s in relation to the new consumption culture and lifestyle of the middle class. By dealing mainly with three important phenomena of spatial changes, i.e., large-scale demolition of slums, gating in residential areas and, fortified high-end apartment complexes, we aim to First, analyse the process of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against the labouring poor, and Second, identif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in this region. In chapters II and III, we first examine the history of slum formation with relation to the Master Plan for Delhi, the final authority for all the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in and around Delhi. Slums in Delhi were allowed to be formed on public lands with the tacit approval of the government and the Delhi Development Authority (DDA), which needed to secure stable supply of labour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drive after the 1960s and, in this sense, slums in Delhi are the products of “planned illegalities”. Moreover, although we can clearly identify the process of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to be firmly in place by observing the large-scale demolition of slums and eviction of the poor to the peripheries of Delhi, we must pay due attention to the fact that even larger-scale regularisation of unauthorised colonies has been taking place simultaneously to absorb the poor and migrant labourers. In chapter IV,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gating in middle and upper residential areas after the late 1980s, we find the following. First, gating is a process of segregating and excluding the poor from middle and upper residential areas. Second, RWAs take the lead of this process with active support of the government through Bhagidari Program, resulting in the smooth execution of gating. Third, despite the existence of gates, the poor still continue to go in and out of the area to provide various services, which clearly shows that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is possible only in limited degrees. At first glance, fortified high-end apartment complex, with security guards controlling all comings and goings for 24 hours and all kinds of facilities being available inside the complex itself, seems to be completely segregated from the outside world. But, in truth, everyday life in the complex cannot be maintained properly without the various services provided daily by numerous labourers coming from the outside. Because of this interdependency, there usually arise slums of poor labourers in walking distance around almost all fortified apartment complexes, which shows the imperfect nature of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even in these strongly fortified residential areas. Through the analyses in this article, we submit the following three points as our conclusion. First, slums are formed and maintained because both the government and the middle class need their existence and, therefore, these ruling partners basically want to properly control and maintain slums, not to completely demolish and exclude them. Second,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against the poor cannot be achieved successfully in the first place, becaus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poor are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middle class status and lifestyles. Since the middle class and the labouring poor need each other in the complex relationships of interdependency, proper regulation of the poor living in adjacent place is far more important than segregation and exclusion. Third, if we consider the long history of the pattern of residential separation in Delhi by religion, caste, region, occupation, etc., then the recent phenomena of gating and fortification can be understood as a continuum of this tradition, reorganising Delhi’s urban space according to the all powerful new criteria of ‘class and money’.

      • KCI등재

        장수 인구의 분포 패턴에 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과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 문제(MAUP)의 Scale Effect에 관한 연구

        최돈정 ( Don Jeong Choi ),서용철 ( Yong Cheol Su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3

        장수인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지역적 장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국내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확증적(confirmatory) 접근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연구자는 통계자료의 가용성에 의존하거나 임의적인 분석 공간 단위를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방식은 특히 장수 현상이 가지는 공간적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수정 가능한 공간 단위(MAUP) 문제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 자료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을 통해 장수인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에 관한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여부를 파악 하고자 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상이한 분석 공간 단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문제(MAUP)에 대한 평가를 수행 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의 발생 여부 파악을 위해 시군구와 읍면동의 상이한 공간단위에 대한 장수 인덱스를 산출하여 전역적 공간적 자기상관 측도인 Moran’I 분석을 수행 하였다. 또한 Getis-Ord Gi*를 이용하여 공간적 Hot Spot 과 Cold Spot 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시군구와 읍면동의 모든 공간단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공간적 자기상관과 장수인구 군집 지역(Hot spot 과 Cold spot)이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군구와 읍면동의 상이한 공간 단위에서 산출된 전역적(Global) 공간적 자기상관 지수와 국지적(Local) 공간 클러스터의 값에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MAUP의 Scale Effect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로 인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될 장수에 대한 연구 시 연구자는 현상이 포함하는 공간적 차원을 고려하여야 하며 MAUP으로 인해 심각한 정보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Most of the existing domestic studie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riented confirmatory approach. Furthermore, most of the studies in this research topic simply have used their own definition of spatial unit of analysis or employed arbitrary spatial units of analysis according to data availability. These research approaches can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longevity phenomenon and exposed to the Modifiable Aerial Unit Problem(MAUP).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to identify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in the aspect of scale effect using spatial population data in Korea. We used Si_Gun_Gu and Eup_Myeon_Dong as two different spatial units of regional longevity indicators measured. Then, we applied Getis-Ord Gi*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The results from our analysis show that there exist statistically significant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of regional longevity at both Si_Gun_Gu and Eup_Myeon_Dong level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does exist in the studies of spatial patterns of longevity population distribution. The demand for longevity researches would be increased inevitably. In addition, there were apparent differences for the global spatial autocorrelation and local spatial cluster which calculated different spatial units such as Si_Gun_Gu and Eup_Myeon_Dong and this can be seen as scale effect of MAUP. The findings from our analysis show that any study in this topic can mislead results when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re not explicitly considered.

      • KCI우수등재

        관광 상품의 시간과 공간적 거리가 상품 선택 결정과 선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이론 적용

        김성조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purchase of tourism product in different choice situations with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s. Unlike ordinary retail product, tourism products are separated in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between purchase and experiencing product, so that those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product purchase decisions. Despite its importance,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ourism consumers abou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mong researches in tourism discipline.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temporal and spatial) influences potential travelers' making-choice and choice satisfaction. Using a scenario method, respon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different scenarios (2 temporal distance × 2 spatial d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otential travelers made different purchase choice decision depending o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To be specific, potential travele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making choice product that are close temporal and far spatial distance, and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decision-making in far psychological distanc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of choice situation.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who made 'no-choice' in far temporal distance perceived a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decision than those who made a 'choice' preferred product.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purchase choice and their decision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related to the psychology of choice of tourism consumers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간과 공간적 거리가 다른 선택 상황에서 관광 상품 구매에 대한 의사 결정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다. 일상 소비재와 달리 관광 상품은 관광 상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시점 사이에 시간과 공간적 거리가 분리되어 있어 시간과 공간적 거리는 상품 구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공간적 거리에 대한 관광 소비자들의 심리적 거리는 관광 연구 분야에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여 왔다. 해석수준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이 연구는 시간과 공간적 거리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잠재적 관광 소비자들의 구매 선택과 선택 결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시나리오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 응답자들은 2개의 시간적 거리와 2개의 시간적 거리가 상이한 시나리오와 설문지 중 1개를 무작위로 할당되어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잠재적 관광 소비자들은 시․공간적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구매 선택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잠재적 관광 소비자들은 시간적 거리가 가깝고 공간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상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상품의 선택 결정에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는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구매를 선택하지 않은 소비자들은 구매를 결정한 소비자들 보다 선택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점도 밝혀내었다. 이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결과로 볼 때, 시간과 공간적 거리는 관광 소비자들의 구매 선택결정과 결정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관광 소비자들의 선택 심리와 관련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 KCI등재

        지반 물성치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터널 변위 특성 분석

        송기일,조계춘,Song, Ki-Il,Cho, Gye-Chu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8 No.3

        지반 설계 인자는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터널의 설계와 시공과정 뿐만 아니라 장기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터널의 수치해석을 위한 설계 지반 인자는 대상 영역을 대표하는 값 또는 대상 영역의 광역적 평균값 등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지하공간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설계 지반 인자의 불확실성 및 공간적 분포 또한 증가한다. 결국 이러한 불확실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의 확대는 해석의 정확성 및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대형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위해 지반 물성치들의 공간적인 분포에 대한 정량적인 조사가 설계시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 물성치 및 구조적 설계 인자의 공간적 분포가 터널의 변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여러 COV(Coefficient of Variation)에 따라 정규분포하는 지반 물성치의 공간적 특성이 이상화된 원형 터널의 변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터널에서 숏크리트의 강도의 공간적 분포가 터널 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간적 분포의 COV가 증가할수록 터널 주변 발생하는 변위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 이들은 지반 물성치에 따라 고유한 계수를 갖는 삼차방정식으로 표현된다.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esign parameters greatly affects tunnel behavior during and after construction, as well as in the long-term temporal responses. However, the tunnel design parameters commonly used in numerical modeling tend to be representative or average values of global-scale properties. Furthermore, the uncertainty and spatial variation of the design parameters increase as the tunnel scale increases. Consequently, the probability of failure also increases. In order to achieve structural stability in large-section tunnels, the design framework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quantitative effect of design parameter variations on tunnel behavior.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statistical approach to numerical modeling to explore the effect of spatially distributed design parameters in a circular tunnel. Also, the effect of spatial variation in the lining strength is studied in this paper. The nume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deformation around the tunnel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variation of the design parameters.

      • KCI등재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에 지적행정의 새로운 역할

        김영학(Kim, Young Hag) 한국지적학회 2011 한국지적학회지 Vol.27 No.1

        공간정보의 관리 및 활용은 정보기술의 발달과 정보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고 국지적인 관심사가 아닌 세계적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실세계에 기반을 둔 공간적으로 가능한 사회(SES : Spatially Enabled Society)가 실현됨에 따라 지적행정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의 일반적 개념, 실제, 그리고 지적행정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와 인터넷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체제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견지에서 도출하였다. 첫째,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와 접근 틀은 개념, 정보공간과의 관계, 접근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의 실제는 국제적 발의 및 쟁점, 제도 및 정책, 기술적 수단 등을 검토하였다. 셋째,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한 지적행정의 역할은 관계설정과 지적행정의 역할 방향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e management and use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reviewed from a diverse standpoint under riding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information environment and emerged from the matters of global interest, not local interest.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roles of cadastral administration in response to the realization of Spatially Enabled Society (SES) based on real worl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range was limited to the common conception, the actual condition, and cadastral administration, a data through the reference of literature and internet investigation was col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a descriptive access and systematic access method was appli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S and approach framework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SES and information space, the concept of SES, and the approach framework.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SES was referred to international initiatives and issues, institution and policy, and technical tools for SES. Third, the directions of cadastral administration for SES was applied as a viewpoint the roles of cadastral administration and the relatable establishment between SES and cadastral administration.

      • 우리나라 폐기물의 발생요인과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변장섭(Byeon, Jang-Seop),나주몽(Na, Ju-Mong),배정환(Bae, Jeong-Hwa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3 No.3

        일반적으로 폐기물 발생은 지역의 소득에 기인하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또한 폐기물의 발생 경향은 소비패턴의 변화에 기인한다. 소비패턴은 사회경제적, 환경적, 인구통계적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우선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폐기물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수준이지않다. 즉 공간데이터는 변수의 관계에서 공간적 불안정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적 불안정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의 상대적인 의미의 변화, 그리고 폐기물 발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잠재적 요인들을 고려해서 분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Tanaka et al.(2007), Keser et al.(2012) 등은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같은 공간적불안정성을 고려하는 지리가중회귀(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폐기물의 발생요인과 공간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하였고, 통상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s: OLS)와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2010년도를 기준으로 206개 기초자치단체의 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각분류별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생활폐기물과 건설폐기물은 1% 유의수준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였고, 이것은 데이터상에 공간적 편의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폐기물에 대해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발생량의 공간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GWR은 OLS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완화시켰고, 폐기물 발생에 대한 설명변수들의 공간적 패턴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공간적 상관길이와 유효수직응력의 효과에 따른 거친 단일 균열내의 용질이동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정우창(Jeong Wooch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유효수직응력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공간적으로 상관된 간극분포를 포함하고 있는 단일 균열 내에서의 용질이동에 대한 공간적 거동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균열에서의 용질이동은 간극분포의 공간적 상관정도와 적용된 유효수직응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상관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용질입자의 평균이동시간은 감소하였으며, 또한 용질이동에 대한 굴곡도와 Peclet 수(유체흐름에 의한 용질의 이송율과 분자확산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무차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공간적 상관길이가 증가할수록 단일 균열 내의 간극분포가 용질입자의 이동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효수직응력이 증가할수록 용질입자의 평균이동시간과 굴곡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eclet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유효수직응력이 증가할수록 접촉면의 증가로 인해 한 두 개의 상대적으로 큰 국부유량을 가지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용질이동에 대한 모의된 결과에 근거하여 공간적 상관길이에 따른 유효 수직응력과 용질의 평균이동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수형태의 상관식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numerically the spatial behaviors of the solute transport in a spatially correlated variable-aperture fracture under the effective normal stress condition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solute transport in a fracture is strongly affected by the spatial correlation length of apertures and applied effective normal stress. According to increasing spatial correlation length, the mean residence time of solute is decreased and the tortuosity and Peclet number (is a dimensionless number relating the rate of advection of a flow to its rate of diffusion) is also decreased.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eometry of the aperture distribution is favorable to the solute transport as the spatial correlation length is increased. However, according to the applied effective normal stress is increased, the mean residence time and tortuosity have a tendency to increase but the Peclet number is decreased. The main reason that the Peclet number is decreased, is that the solute is displaced by one or two channels with relatively higher local flow rate due to the increment of contact areas by increasing effective normal stress. Moreover, based on numerical results of the solute transport in this study, the exponential-type correlation formulae between the mean residence time and the effective normal stress are proposed.

      • KCI우수등재

        실시간 교통상황에 따른 고령인구의 119구급서비스 공간적 접근성의 시간적 변화 분석 - 대구시를 사례로 -

        안재성,최진무,이지수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3

        Since spatial accessibility of 119 emergency services is affected by road traffic conditions, temporal varia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spatial accessibility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temporal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119 emergency servic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in Daegu by reflecting real-time traffic conditions in the 2SFCA (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accessibility measure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index by dividing it into 4 grades,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119 emergency service for the elderly population showed a similar spatial distribution at the morning/afternoon pea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pplying the Accessibility Time Index (ATI), which reflects the degree of change in traffic conditions during the day, the ATI grade 1 and grade 4 areas show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s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4th grade area was spatially more widely distributed at the peak of the afternoon. Since the ATI information is an index that analyzes the changes in spatial accessibility of 119 emergency services by time, it can be evaluated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setting up customized supplementary measures for each time period. 119구급서비스 공간적 접근성은 도로 교통상황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간적 접근성 분석에는 시간적 변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는 2SFCA(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접근성 측정에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대구시 고령인구의 119구급서비스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시간적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적 접근성 지수를 4등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고령인구의 119구급서비스 공간적 접근성은 오전/오후 첨두시에 비슷한 공간 분포를 보여주었다. 지역별 교통상황이 하루 중에 변화하는 정도를 반영하는 접근성시간지수(Accessibility Time Index: ATI)를 적용한 분석 결과, ATI 1등급 지역과 4등급 지역은 오전첨두시와 오후첨두시에 각각 다른 공간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오후 첨두시에 4등급 지역이 공간적으로 더 넓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TI 정보는 119구급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이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시간대별 맞춤형 보완 대책을 세우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