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를 통한 상징화의 발달과 치료적 변형에 대한 사례 연구: 클라인, 시걸, 위니컷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미향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4 현대정신분석 Vol.26 No.2

        본 연구는 한 급성정신증 치료사례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과 그 과정에서 동화의 기여를 구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상징화는 무의식적 환상 및 내부 대상관계와 연관되어 있는 과정으로 불안을 변형하여 다룰 수 있게 해주며 경험을 통합하게 한다. 잠재적 공간은 내적세계이면서 동시에 외부세계인 과도기적 경험이 발생하는 중간영역이며, 그 속에서 중간대상이 출현되며 진정한 상징은 아니지만 모성대상과의 분리의 갈등과 불안을 처리하는 상징적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고찰과 임상사례 분석을 통해서 상징화의 발달을 밝힌다. 첫째, 상징은 치료장면에서 형성된 잠재적 공간에서 발달하며, 구체적이고 사물로 등가되는 상징적 동등시에서 추상화되고 정교화된 상징화로 발달한다. 최종적으로 상징화는 그 의미를 의식화하고 언어화하는 것으로 발달한다. 둘째, 잠재적 공간에서 치료자와 내담자의 협력하에 공동-변형되는 동화라는 확장된 중간대상의 출현은 상징화의 발달에 기여한다. 이후 상징화는 점차 다른 상징물, 꿈, 전이 등을 통해서 더욱 활발히 나타나게 된다. 셋째, 상징화의 발달은 내담자의 치료적 변형에 기여한다. 즉, 편집-분열적 경험에서 우울적 경험으로 이동하거나 우울적 자리를 훈습을 하도록 도움으로써 주체가 확립되고 개인내적 및 대인관계에서의 변화로 이어진다. 본 고찰을 통해 클라인과 시걸, 위니컷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을 검토하고 확장된 중간대상인 동화와 그 이야기적 변형이 상징화에 기여하는 점을 논증하고, 이러한 상징화의 발달이 치료적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임상사례를 통해 입증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는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in the treatment of an acute psychosis case. Symbolization is a process deeply connected to unconscious phantasies and internal object- relations. This process helps individuals transform and manage anxiety, integrate the experience, and form subject. The potential space is an intermediate area where intermediate experiences, which are both the internal world and the external world, occur. Within this space, an intermediate object emerges. Although it is not a true symbol, it is used as a symbolic means to process the conflict and anxiety of separation from the maternal object.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and the analysis of a clinical case,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an extended intermediate object is elucidated. First, the symbol develops in the potential space that is formed in the treatment scene and evolves from symbolic equation, which is concrete and equated to things, into abstracted and elaborated symbolization. Eventually, symbolization develops into consciousness and verbalization of its meaning. Second, in the potential space, the emergence of an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such as a fairy tale, which co-transformed under the collaboration of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fterwards, symbolization gradually appears more actively through other symbols, dreams, and transference, etc. Third,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contributes to the client’s therapeutic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by helping to move from paranoid-schizoid experiences to depressive experiences or to work through depressive position, the subject is established and leads to changes in the internal worl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in the psychoanalytic theories of Klein, Segal, and Winnicott; in demonstrating how the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of a fairy tale and its narrative transformation contribute to symbolization; and in establishing through a clinical case that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leads to therapeutic transformation.

      • KCI등재

        섬, 역사적 장소와 공간의 상징

        남진숙(Nam, Jinso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5 島嶼文化 Vol.0 No.46

        본고는 섬이 역사적 장소와 공간으로서 어떤 의미와 상징을 지니는가 하는 점을 밝힌 논문이다. 연구 대상인 세 시인(이생진, 박희진, 문충성)은 섬과 바다에 대한 시를 지속적으로 창작하였고, 섬에 대한 역사를 텍스트에 표상하고 있다는 공통성을 지닌다. 섬의 역사적 장소와 사건, 인물, 공간 등이 어떻게 상징화되는지 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섬에서의 역사적 경험은 집단 경험으로 나아가면서, 개인의 경험으로 축소되지 않고 오히려 확장된다. 결국 개인의 경험적 장소가 역사적 장소로 변화하고 확장되면서 섬의 특정장소는 상징화된다. 둘째, 섬은 지리적 고립성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유배지로 많이 사용된 장소이다. 섬에 살았던 역사적 인물과 유적지를 돌아보면서, 역사적 사건과 인물 등을 상상하며 과거-현재-미래로 시공간을 넘나든다. 이때 섬은 역사에 대한 정보와 새로운 상상력을 갖게 해주는 문화적 공간으로 상징된다. 셋째, 섬은 민족, 국가, 영토, 역사, 주권 등으로 상징화된다. 한 예로 ‘독도’는 곧 한국인에게 있어 한국 그 자체이며, 한국의 혼이다. 이는 섬이 갖는 특수한 지리적 공간의 고립성을 넘어선 가장 강력한 상징성을 지닌다. 이처럼 섬은 역사적 장소로서 다양한 공간적 상징을 드러낸다. This is a paper discussing how islands have meaning as, and are symbols of, historical places and spaces. The underlying study examined the work of three poets (Lee Saeng-jin, Park hee-jin, Mun Chung-sung) who have frequently created poems on islands and the sea. Their poems have in common that they represent the history of islands, using symbolic interpretations of features such as historical places, events, people, spaces, and so on. First, the historical experience in islands refers to a collective experience and is not to be reduced to a personal experience. After all, individuals’ empirical places change and expand as historical sites, and certain places on islands are symbolized. Second, islands were historically used as places of exile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isolation. By looking at historical figures who lived on the islands at historic sites, we can imagine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and go back and forth in time and space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urrently, islands are symbolized as cultural spaces that contain information and feed new imagination about history. Third, islands are symbolized as nations, countries, territories, histories, sovereignties, and alike. For example, "Dokdo" is Korea itself to Koreans and Korea"s soul. It has the most powerful symbolism that goes beyond islands being special geographical spaces due to their isolation. As such, islands show a variety of spatial symbols as historical places.

      • KCI등재

        VR 콘텐츠의 암묵적 프레임 연구

        신홍주(Shin, Hong-Ju)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8 씨네포럼 Vol.0 No.30

        시선의 자유는 VR 콘텐츠의 형식적 측면에서 프레임의 부재라는 사태로 나타난다. 기존 스크린 기반 영상매체에서 프레임은 영화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경계를 이루는 동시에 미장센 구성의 토대를 이룬다. 그러나 VR 콘텐츠에 이르러 이용자는 360°로 펼쳐진 공간을 매개된 지각을 통해 대면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경계가 해체된다. 본 연구는 VR 콘텐츠에서 프레임의 부재로 인해 스토리텔링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양상을 고찰한 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묵적 프레임이 설정되는 유형과 그 효과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VR 콘텐츠에서는 프레임의 부재로 인해 프레임 기반의 미장센 개념이 축소되고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긴장구도가 사라진다. 이에 따라, 편집의 기능은 시간적 확장에 한정되며 서사 정보의 은닉과 노출을 조율하는 것 또한 어려워진다. 한편, 제한된 시야각과 VR 콘텐츠의 기술적 조건이 결합하여 이용자가 360° 공간을 비균질적으로 경험한 결과, 프레임의 부재가 부분적으로 부정되는 암묵적 프레임 효과가 발생한다. 암묵적 프레임은 형식적 층위에서 자연적․인공적 지형지물을 활용한 조형적 구도, 내용적 층위에서 스토리텔링과 연동한 공간의 상징화, 기술적 층위에서 이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상호작용 영역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The freedom of gaze in VR contents is experienced through the absence of frames in the formal aspect of VR. In existing screenbased visual media, frames form the boundary between cinematic space and physical space and also serve as the basis of the mise-en-scene composition.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VR as a new media for contents, it became possible for the user to face the 360° field through mediated perception, resulting in the dismantling of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screen space and the outer screen space. This paper first investigates the paradigm shift in VR storytelling due to the absence of frames, and then discusses the types and effects of tentative frames through exemplary works. In VR contents, the concept of a frame-based mise-en-scene is reduced by the absence of frames. Also,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creen space and the outer screen space disappears. As a result, the editing function becomes limited to temporal expansion and controlling the exposure or concealment of narrative information become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of the limited viewing angle and the technological conditions of the VR contents causes the user to experience the 360° space in a non-homogeneous way. In turn, this brings about a tentative frame effect which partially negates the absence of the frame. Tentative frames can be set up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form-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the visual composition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features; secondly, content-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the symbolization of spac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xt of storytelling; and finally, technology-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interaction areas activated by a user.

      • KCI등재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서울'의 이미지 연구- 손홍규 장편소설 『서울』을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6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image of 'Seoul' in Korean modern novels. Until now, the study of works based on Seoul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in literature. I will examine the image of 'Seoul' in the works from the 1930s to the recent years, and I will examine the image of 'Seoul' in the works of the modern society, novel, and 'Seoul' I thought about the meaning. 'Seoul' has been embodied in various works reflecting the history, culture, and social aspects of the times in literary works. Seoul is in a central position in our modern life, where it is difficult to discuss what is excluded from 'Seoul'. Therefore,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Seoul' through the various literary representation patterns of 'Seoul' and 'Seoul' through the novel image is important. 'Seoul', which is projected in the novel, has a special form reflecting the influence of history and social events on literature such as the image of postwar ruins and rebirth, the base of wandering existential, cold urban image, It has shown a variety of changes in daily life. In addition, since 2000, novels have revealed 'Seoul' as a proper noun and 'Seoul' as a general noun of a big city. Thus, the space in the novel implies both time and space as well as meaning as the physical place where the story takes place.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literature is contained is not made on a one-sided relationship that reflects the physical space and historical facts as it is, but it is reinterpreted and symbolized through literature. Literature does not simply refer to works based on Seoul as a spatial background. The symbolism of space in the novel i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meaning transfer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work. 'Seoul' in 'Seoul' is a poetry that people want to escape from bad memories of the past in an unrecognizable situation that they do not understand why they are ruined, It is a dream allegory that dreams of the conception of life, even if it is a deformed being or a person who has already lost life before birth. It seems to end with a tragic ending, but the novel still leaves a message about humanity, relationships, memory, and the value of life. This can be confirmed in relation to the life and hope conceived and humanity scattered throughout the work. 이 연구는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서울’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이다. 문학사에서 서울을 테마로 한 작품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성과들을 토대로 1930대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작품에 드러난 ‘서울’의 이미지에 대해 살펴보고, 2014년에 발표된 손홍규의 장편소설『서울』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소설, 그리고 작품 속 ‘서울’이라는 공간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서울’은 문학 작품 속에서 시대별 역사와 문화, 사회 양상을 반영하는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되어왔다. 특히 현대의 ‘서울’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면의 중심에 놓여 있으므로 ‘서울’의 문학적 재현 양상과 소설 속 이미지를 통한 공간의 의미 고찰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소설에 투영된 ‘서울’은 전후의 폐허와 재생의 이미지, 실존적 방황의 근거지, 차가운 도시적 이미지 등 역사와 사회적 사건들을 문학적으로 반영하여 특수한 형태를 띠기도 하고, 일상의 근거지로서 삶의 일상성을 보여주는 등 다양한 이미지로 나타난다. 아울러 2000년대 이후 소설들에서는 고유명사로서의 ‘서울’과 대도시의 일반명사로서 ‘서울’의 모습이 동시에 드러나고 있다. 소설 속 공간은 단순히 이야기가 일어나는 물리적 장소로서의 의미 뿐 아니라 시간성과 공간성을 동시에 내포한다. 문학이 담고 있는 공간의 표상은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문학을 통해 재해석되고 상징화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설에서 공간이 가지는 상징성은 그 작품의 의미전달과 구현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손홍규의 장편소설『서울』에 나타난 ‘서울’은 왜 폐허가 되었는지 모르는 이해불가의 상황과 엄습하는 불안이 계속 사람들을 위협하는, 탈출하고 싶은 도시이다. 그러나 동시에 ‘서울’은 다시 되찾고 싶은 ‘사람들이 잊어버린 시(詩)’이며, 기형적인 존재이거나 태어나기 전에 생명을 잃을지라도 새 생명의 잉태를 꿈꾸는 희망의 알레고리로 구현된다. 이것은 현실의 ‘서울’이 삭막하고 잔인한 범죄를 저지르고도 죄의식이 없는 폐허의 도시로 변해가고 있지만, 그 속에서도 문학을 통한 구원을 갈망하는 예술적 지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결말은 비극적이나 소설『서울』은 여전히 우리가 바라는 인간다움과 관계 지향, 삶의 가치에 대한 메시지를 남긴다.

      • KCI등재

        북한의 김일성시대 문화상징으로서 공간 : ‘혁명전통’관련 공간을 중심으로

        조은희 한민족문화학회 2008 한민족문화연구 Vol.27 No.-

        This study analysis practical using of conventional history and symbol space a period of Kim Il Sung. This is used to an political instrument of propaganda that Kim il sung's political power and a regime. History of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s restored in the North Korea next to 1953. A battle of Bo-chun-bo become known to among History of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s restored to symbol space. After august 1953, History of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become the 'Revolutionary Tradition'. At that time, mu-san-ji-gu -hyeok-myeong-jeon-jeok-ji centering around bak-du mountain become symbil space. Legitimacy of Kim-il-sung is broad the battle hero of bo-chun-bo to hero of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After 1967, All dissident groups of Kim-Il-Sung was eliminated. And symbol space of Kim-Il-Sung is overemphasized. Also the greatness of Kim-Il-Sung and historic of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s overemphasized. 김일성 시대 상징 공간은 김일성 정권의 정당성에 대한 강화의 한 도구로 충실한 역할을 하였다. 1953년 전쟁 후, 김일성은 전쟁에 대한 책임과 관련 김일성과 경쟁하고 있던 몇몇 다른 파벌들의 제거와 전쟁으로 피폐해진 인민들의 생활은 김일성으로 하여금 정치체제에 대한 인민들의 확산된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방법을 모색해야 했다. 이후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역사가 발굴되기 시작하였고, 그 주요 무대였던 보천보와 백두산 지역이 복원되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그 당시 보천보 전투는 김일성을 ‘항일의 영웅’으로 알려지게 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 공간은 1956년 8월 종파사건을 계기로 더욱 집중적으로 발굴되었고, 그 곳에는 김일성의 동상이 세워졌고, 기념탑과 박물관이 만들어졌다. 1964년부터 1966년 사이에는 당내 사상문화 분야를 담당하던 갑산파들이 혁명전통의 다원화를 주장하면서 당내 갈등이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정치적 상황들이 반영되어 이 시기에는 ‘혁명전통’의 언급과 공간발굴이 자재되었다. 하지만 1967년 제4기 15차 전원회의를 계기로 갑산파가 숙청되면서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정치권력에 반대하는 정치세력들이 완전히 제거되면서 이후 김일성의 ‘혁명전통’관련 모든 역사가 발굴되었고, 관련 공간이 성역화 되었다. 이후 북한에서는 보천보혁명전적지는 물론 백두산 일대의 김일성의 ‘혁명전통’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이 된 모든 공간이 발굴되었고, 더 나아가 이시기 김일성의 가족들(김정숙과 부모와 조부모 등의 혁명사적지 발굴)에 대한 상징공간이 함께 복원되어 만들어졌다. 이것은 김일성의 ‘위대한 혁명전통’이 몇 십년 이전부터 몇 대에 걸쳐 내려온 것임을 강조하여 김일성 권력의 정통성을 강화하려 한 것이다.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 전통 산사(山寺) 건축에 보이는 공간 인식 -부석사(浮石寺)를 실례로-

        장규언 ( Gyu Eon J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5 환경철학 Vol.0 No.20

        필자는 전통 산사 건축이 출가 수행자나 일반인 모두에게 ‘역사적인 종교적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부석사(浮石寺)를 텍스트로 삼아 ‘예배자의 시각 체험의 관점에서’ 사찰 공간과 그것을 둘러싼 자연(산, 암석, 숲 등)이 예배자에게 어떻게 인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의상은 ‘명당’ 봉황산 부석사를 품은 무진강산 그 자체를 화엄의 무한한 초월의 진리를 설하고 있는 ‘정토’로 보았다는 점에서 예배자에게 그것은 ‘진리의 무한한 초월성’으로 읽힐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의상의후계자들은 먼저 ‘석축과 계단’의 구성을 통해 각각 ‘붓다의 존엄적 초월성’과 ‘붓다와 예배자의 실존적 만남’이라는 상호 대비적인 상징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또 ‘부석’과 ‘선묘각’을 포함한 ‘무량수전’ 영역의 구성을 통해 그곳이 예배자들에게 ‘진리의 무한한 초월성’과 ‘붓다의 존엄적 초월성’을 동시에 체험하게 만드는 ‘시각 체험의 중심’이자 ‘창건주 의상과 부석사 창건의 신성성’을 상기시키는 ‘기억의 중심’으로 인식되도록 노력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사당’을 외딴 숲속에 소박하게 지음으로써 산사 부석사의 창건주 의상이 은자이자 수행자이었다는 점을 상기 시키려 노력하였던 것으로 읽어 보았다. 요컨대 필자는 부석사의 건축 공간에 대한 철학적 독법을 통해 불교적 이상 공간인 ‘정토’의 구현으로서 산사 건축이 예배자의 눈에 ‘명당’, ‘진리의 무한성’, ‘붓다의 존엄성’, ‘예배를 통한 붓다와의 만남’, ‘시각 체험과 기억의 중심’, ‘숲속의 은거지’ 등의 다양한 상징으로 읽힐 수 있음을 보여주려 노력하였다. Supposing Korean traditional mountain temples as ``historical religious symbols`` for Korean Buddhist monks or lay persons,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experience of a pilgrim I tried to read symbols of temple architecture and natural environments around them (i.e. mountain, rock, foreste etc.), especially focusing on BuSeok Sa. First, ``the site of BuSeok Sa`` itself both as ``Bright House`` (明堂) and ``Pure Land`` (淨土), where the founder of the temple Eui Sang (義 湘) has built his own hermit, contains the symbol of ``the unlimited transcendence of Buddhist Truth`` that could make a pilgrim experience by seeing the unlimited mountains connected to one big mountain range. Second, ``Stone Terraces and Stairs`` built by the successors of the founder for hundreds of years respectively visually embody ``the honorable transcendence of Buddha personality`` and ``the existentialistic meeting between Buddha and a pilgrim``. Third, the composition of ``the region of Shrine of Amitabha Buddha`` containing ``Flying Stone`` (浮石) and ``Shrine of SeonMyo`` (善妙閣) also has a strong religious intention that make a pilgrim cognize it as ``the centre of visual experience`` both on ``the unlimited transcendence of Buddhist Truth`` and ``the honorable transcendence of Buddha personality``, and ``the centre of historical memory`` reminding him of the sacredness of personality of founder Eui Sang and his creation of the temple. Finally, ``Shrine of Master of the Order`` (祖師堂), which is intentionally located in a distant forest from the central road to main shrines and simply built contrast with the colourful main shrines, remind a pilgrim that the founder was originally a hermit monk and the site was also ``a hermit in the forest``. In Summary, by these phenomenological reading focused on BuSeok Sa I tried to present the architecture space of Korean traditional mountain temples, which was considered to embody the ideal space of ``Pure Land``, could be read as symbols of ``Bright House``, ``the unlimited transcendence of Buddhist Truth``, ``the honorable transcendence of Buddha personality``, ``the existentialistic meeting between Buddha and a pilgrim``, ``the centre of visual experience and historical memory``, ``a hermit in the forest``, etc. in the eyes of a pilgrim.

      • KCI등재

        이백 시에서의 시공간 이미지에 관한 고찰

        신하윤 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語文學誌 Vol.14 No.-

        本文着眼于詩歌意象和意象的組合方式是形成詩歌風格的主要因素之一, 以李白詩歌爲對象, 考察其意象여意象組合方式的特点. 령外, 筆者認爲李白詩歌的豪放飄逸風格尤여其時間和空間意象密切相關, 試圖通過時間和空間意象的分析, 說明李白詩歌意象여風格誌間的關係. 通過考察, 可以了解到李白詩歌中的時間和空間意象具有多層的含義和봉富的象征性, 幷且在意象的組合方面, 時間和空間意象之間的距離非常明顯如過去和現在, 天上與地上, 夢境和實境等. 這是在李白詩歌中意象組合的主要特点之一. 李白詩歌時間, 空間意象之間的距離呈現詩人理想和所面臨的現實之間的距離,終究表現其追求永恒的意識.

      • KCI등재

        연구논문 : 현대성의 공간적 재현: 중국 중관촌의 역사와 상징의 재구성

        장호준 ( Ho Jun Cha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1 韓國文化人類學 Vol.44 No.2

        이 논문은 ``중국의 실리콘 밸리``라고 불리는 북경 중관촌이 중국의 현대성과 세계성을 상징하는 담론적 구성물로 전화하게 된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북경 북서부의 좁은 지역을 지칭하던 중관촌이라는 지명은 1980년대 이후 컴퓨터 거리, 해적판 거리 등의 별칭을 통해 그 존재를 사회에 각인시켰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이 지역의 과학기술 산업과 IT 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중관촌이 중국 신경제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인식되고 국제적인 인지도를 확보함에 따라 북경시 정부는 새롭게 형성된 중관촌의 사회적 이미지를 전용하여 이를 통해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서 국가는 중관촌 재개발사업을 통해 그 지명에 결부된 사회적 이미지를 정화하고, 그 이름 사용을 통제함으로써 중관촌을 재정의하며, 다양한 형태의 관 주도적 사업들을 조직함으로써 그 사회적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했다. 또한 국가는 북경시 내외의 여러 지역에 산재해 있는 산업 단지를 포괄하는 중관촌과학기술원구, 중관촌국가자주창신시범구라는 이름의 특수 산업단지로 조성함으로써 중국의 현대성과 세계성을 상징하게 된 그 단어의 지리적 외연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중관촌의 상징화 과정은 국가 주도의 현대화 기획의 한 양상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중관촌의 역사에 대한 선택적인 재서술과 현대성에 대한 이데올로기적인 비전을 공간적으로 재현하는 과정이 핵심적인 계기로 활용되고 있다. 중관촌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가 주도의 이 현대화 기획은 여전히 부분적이고 따라서 완전하지는 않지만 북경 시민들의 일상적인 공간적 실천과 경험을 통해 점점 뿌리를 내리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Beijing`s Zhongguancun (ZGC), usually dubbed China`s Silicon Valley, has changed into a discursive construct that symbolizes the modernity and globality of contemporary China. The place name ZGC inscribed its existence into the popular consciousness during the 1980s and 1990s when it came to be associated with nicknames such as Computer Street and Pirates` Street. Howev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ZGC`s IT industry, the local government has tried since the turn of the century to present its socio-political agenda by actively appropriating ZGC`s increas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state has made various efforts to purify ZGC`s social images by undertaking a series of gentrification projects as well as trying to redefine its social significations by restricting the social use of the place name, while furthering its goal of increased brand awareness by organizing a series of local events. In addition, the state established the ZGC Science and Technology Park (ZGC National Autonomous Innovation Park), a special high-tech industrial park which encompasses ten different industrial areas scattered in and outside of Beijing, in an effort to socio-politically utilize ZGC`s heightened social recognition. The word ZGC, as a symbol of China`s modernity and globality, has accordingly extended its spatial denotations, whereas it has become increasingly detached from its geographical connotations. The process of ZGC`s symbolization, which can be construed as a facet of the 21st century version of the state-led modernization project, has necessitated the spatial representations of the state`s vision of its socio-economic future as well as the re-description of selected aspects of ZGC`s history. The state-led project of modernity, albeit porous and incomplete, has gradually materialized in the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whose spatial practices and experiences are conditioned by the state dominant spati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北宋代 郭熙의 『林泉高致』에 드러난 中隱文化와 관념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김연주 호남사학회 2019 역사학연구 Vol.76 No.-

        GuoXi’s Linquangaozhi is a representative book, describing the idea of landscape painting and the creation theory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in Northern Song Dynasty. This book reflected the culture of half-seclusion(中隱) at that time, while expressing the purpose of creating the landscape painting. According to GuoXi, landscape painting adhered to its’ cause for the space of imaginative experiences for noblemen who dreamed of living in nature while still living social lives as bureaucrat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GuoXi’s creation theory, reflected the half-seclusion culture in his purpose of landscape paintings and his visualizing trends to realize this intention. On the cause of landscape painting, that, GuoXi regarded as the creation of the space for vivid nature experience for noblemen, wa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previous theory for recluses. Therefore, his main creative task remained to visualize the imaginary boundaries of the animated nature in landscape paintings. As a artist of the palace painter, GuoXi embodied the Confucian order and used the academic methodology. In Emperor Shenzong(神宗) period, he became a palace painter and his landscape paintings became loved, and than his painting style became the mainstream at that time. GuoXi’s painting style–which was expressed human sentiments in the nature, mainly used black ink, and pursued the aesthetic boundary of natural and plainness-formed an artistic taste in Song Dynasty and served as a direct occasion for the birth of literary painting. Above all, to achieve the peak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was largely due to GuoXi's role in his delicate theory of the landscape painting. Therefore, the trends of visualization of ideas seen by GuoXi's theory of landscape painting were in formative devices that actively induce imagination to expand aesthetic contemplation. 郭熙의 『林泉高致』는 北宋代를 대표하는 畵論書로서 산수화 이념과 창작론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저술은 산수화의 창작 취지를 피력하면서 그 당시 사회의 中隱 문화를 반영하였다. 곽희에 의하면 산수화는 관료로서의 사회적 삶을 영위하면서도 산수 속에서 은일하는 삶을 꿈꾸는 사대부의 상상 체험을 위한 명분을 견지한다. 본 연구는 곽희가 산수화의 창작 취지에 반영했던 ‘中隱’문화와 이러한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창작론으로서의 시각화 경향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산수화의 명분에 대해서 곽희가 君子를 위한 생생한 산수 체험 공간의 창조라고 한 것은 이전 시대 은자들의 산수화 창작관과 달라진 측면이다. 따라서 그의 주된 창작 과제는 산수화에 표현되어야 할 산수의 生意的 상상 경계를 시각화해야 하는 것으로 남겨졌다. 곽희는 화원화가로서 유가적 사회질서를 구현하고 그 학문적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가 神宗때 화원화가가 되고, 그의 산수화가 사랑받게 되면서 송대의 화풍은 곽희의 그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인간의 정감을 산수에 표현하려 했고, 수묵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자연스럽고 평담함의 심미경계를 추구했던 곽희의 화풍은 송대 예술적 취향을 형성했고 문인화가 탄생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송대에 산수화가 절정에 이를 수 있었던 것은 회화에 상상적 畵境을 풍부히 도입하려 한 곽희의 섬세한 산수화 창작관의 역할이 컸다. 따라서, 곽희의 산수화 창작론으로 본 시각화 경향은 결국 미적 관조를 확장시키는 상상력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조형적 장치들에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