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sch모형을 적용한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타당도 검증

        정솔,이준우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법] 한국(여자) 프로골퍼협회에 등록된 182명 프로를 목적표집법을 적용시켜 자료를 수집한 후, 사전검사를 통해 5개 요인에 전체 23문항을 측정도구로 제작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자료처리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는 측정모형의 요인구조에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문항 적합도에서 기준치에 모두 충족되어 적합한 문항으로 판정되었다. 셋째, 골프선수의 자지통제력 척도의 문항 난이도에서는 쉬운 문항부터 어려 운 문항까지 고르게 분포되었다. 넷째, 골프선수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신뢰도에서는 단순과제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의 분리신뢰도가 .70이상의 지수를 보여 정확히 변별할 수 있는 문항으로 판정되었다. 다섯째, 골프선수의 자기 통제 척도의 응답반응 척도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5점 응답반응 형태가 모든 하위요인에서 타당한 척도임을 규명 하였다. [결론] 골프선수를 위한 자기통제력 척도는 4(화 기질 및 충동성=6, 자기중심=4, 모험추구=4, 신체활동=4)개 요인, 전체 18 문항, 그리고 5점 응답반응형태로 구성된 척도가 타당하다. [Purpose]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self-control scale of golf players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Rasch model.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applying the objective sampling method to 182 pro golfers registered in the Korea(Women) Professional Golfer Association. In addition, as a pre-test, a total of 23 questions were produced as a measuring tool for five factorsm and data processing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Result] First, Self-control scale was proven to be valid in the factor structure of measurement model. Second, They are all proved and satisfied suitable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standard. Third, in the hard and easy questions of self-control measure of golf player, each question level of hardness and easiness is distributed evenly Fourth, in the trust of self-control measure of golf player, separated trust of the other factor, except the factor of simple task, shows more than .70 index number that proved discriminative question actually but the factor of simple task is not discriminate as .00. Fifth, response of self-control measure of golf player is examined closely the same as pre-research that the pattern of response appear at all the factor of low. [Conclusion] The scale-control for golf players is composed of 4 factor( angry temper and impulse=6, self centered=4, adventure persuit=4, physical activity=4), a total 18 questions, and 5-points response type.

      • KCI등재

        골프선수가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관여가 선수의 자결성 동기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전광우,정일미,김동규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2

        [목적] 본 연구는 골프 선수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관여가 선수의 자결성 동기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력 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를 비롯한 대학골프연맹에 소속된 선수 198명을 대 상으로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교육관여가 골프선수의 자결성 동기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교육관여가 골프선수의 운동지속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선수의 자결성 동기는 운동지속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교육관여가 골프선수의 자결성 동기와 운동지속에 구조적 관계에서는 부모의 교육관여가 운동지속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선수가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관여는 선수의 자결성 동기와 운동지 속에 부분적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on the Self-determination and Continued exercise of Golf Player. [Method] The collected data(198)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 Firstly, Par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olf player self-determination. Secondly, Parental involv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tion of the athlete's exercise. Thirdly,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golf player showed a slight influence on continue of exercise. Fourthly, Parent education involv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continuation of the exercis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Conclusion] Therefore, the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is partially positve effect on self-determination and continued exercise

      • KCI등재

        아마추어⋅프로 골프선수의 심리적 방해요인과 대처능력의 관계

        강다미,채재성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마추어⋅프로 골프선수의 경기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방해요인을 밝히고 이에 대한 대처 방안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소재의 전문 및 아마추어 골프 선수 중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회수된 설문지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아마추어 골프선수들이 프로골프선수들보다 스트레스와 각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정신적 방해요인에 대한 대응 방법의 경우에는 프로골프선수의 이미지 트레이닝이 아마추어 골프선수들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프로골프선수의 이미지 트레이닝은 그들의 높은 경력과 많은 경험으로 인해 아마추어 골프선수들의 대처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골프선수들에 대한 상담과 같은 관련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데 있어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ping method for mental disturbance factors that amateur and professional golf players experience during the game. To achieve su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200 professional and amateur golf players who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istically verified responses through direct investigation using questionnai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shown. First, the stress and vigilance of amateur golf player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professional players in the case of mental disturbance factor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image training of professional golf players was higher than amateur players in the case of the coping method for mental disturbance factor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wever, confid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se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image training of professional golf players was higher than that of amateur players because they had relatively more experience and longer career.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ill help in developing and utilizing psychology consultation-related programs for golf players.

      • KCI등재

        학생프로골프선수 지도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강방수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who experienced the process of instructing a college student-professional golfer through an autoethnography. I am a researcher and a research participant, and my daily life becomes a field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is the change in the golf teaching method. I watched the confusion between the other golf instructors’ teaching methods and my teaching methods. In this process, I came to look back on my teaching method. Also I tried to change my teaching method to be student-centered. Second, is a change in the academic guidance method. They need basic knowledge and golf theories necessary for student-professional golfer. For them, I was changed to a different type of teaching method than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And I try to make a student-professional golfer to study. Third, experience changes in career counseling. As I went through the consultation, I found out that student-professional golfer has a lot of time to worry about whether or not golf continues. I understand student-professional golfer from a professional golfer's point of view. And I was able to see myself changing into career counseling, including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s. I wanted to get an opportunity to learn the Korean golf society and culture through the experiences gain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ofessional golf players. 이 글은 대학 학생프로골프선수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겪은 교수자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학생프로골프선수들을 지도하는 경험을 통해 연구자는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많은 내적 고민을 하면서 스스로 반성하는 시간을 가졌고, 이들을 지도하는 부분에 있어 많은 변화과정을 겪었다. 첫째, 골프지도방식의 변화이다. 학생프로골프선수들은 다른 골프지도자의 지도방식과 나의 지도방식이 서로 다른 점을 느끼면서 어떤 것을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혼동의 시간을 보냈다. 이런 과정에서 내가 가진 지도방식을 되돌아보게 되었고, 나의 지도방식을 학생중심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둘째, 학업지도방식의 변화이다. 나는 골프운동만 하던 학생프로골프선수들에게 골프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이론적 측면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들을 위해 기존의 강의방식이 아닌 다른 형태의 강의방식으로 변경하면서 공부하는 학생프로골프선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진로상담의 변화를 경험이다. 상담을 진행하면서 학생프로골프선수들은 골프의 지속여부에 따른 고민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고민들을 같이 해결하고자 집중하면서 이들에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알려주는 진로상담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글을 통해 나는 학생프로골프선수 지도경험을 통해 얻은 경험과 체험을 통해 한국골프사회와 문화를 알아보는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험과 체험의 공유는 골프강국 한국을 보다 나은 골프선진국으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노력의 한 부분이다.

      • KCI등재

        골프 선수의 자아탄력성과 훈련태도 및 운동몰입의 관계

        하정훈 한국골프학회 2022 골프연구 Vol.1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golf athlete’s ego-resilience, training attitude and exercise immersion. [Method] 237 samples were collected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s a population of golf athletes aged 13 or older who are registered to Korea Junior Golf Association and Korea Collegiate Golf Federation, and member of Korea Ladies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 and Korea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tournament in 2021. Among them, 231 samples were applicable to analyze but 6 samples were excluded as unreliable data. [Result] Firstly, golf athlete’s ego-resil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ining attitude. Secondly, golf athlete’s ego-resil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ercise immersion. Finally, golf athlete’s training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ercise immers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aches can use efficient training and coaching methods for athlete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athletes can be immersed in exercise by enhancing their ego-resilience, and this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thletes' performance. [목적] 본 연구는 골프 선수의 자아탄력성과 훈련태도 및 운동몰입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중고등학교골프연맹과 한국대학골프연맹에 등록되어있는 만 13세 이상의 골프 선수 그리고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 및 한국프로골프협회 소속으로 2021년도에 대회를 출전한 선수를 모집단으로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총 237부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 중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된 6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231부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골프 선수의 자아탄력성이 훈련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선수의 자아탄력성이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골프 선수의 훈련태도가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자들은 선수들을 위한 효율적인 훈련방법 및 코칭방법을 활용하여, 선수들의 자아탄력성을 높여주어 운동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고, 이러한 환경 조성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골프 선수 교육의 현재와 미래

        박찬희,한근호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1

        [Purpose] This study point out the problem of korea university golf player's education, And I would like to find out if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can do academic studies with golf tour together. [Method] Based on survey presen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 guide to management and operation of bachelor's degree of golf players was presented. [Result] From a future perspective, professional golfers university education may develop into another example of industry and education cooperation, and it will take a view to turn the competitive edge of golf, especially women's golf, into a competitive university and a vision for the future. [Conclusion] Golfers also look forward to the rational help of the university and education ministry and the transition to a happy athlete for the individual development of players. [목적] 본 연구는 현재 한국 대학 골프선수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운동하는 골프선수로서 학교생활과 투어를 병행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대학골프선수의 문제점 고찰과 교육부가 제시하는 `특기자 제도개선'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철학적 관점에서 합리적 비판과 실현 가능한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결과] 미래의 관점에서 프로선수의 대학재학은 또 다른 산·학 협동의 사례로 발전시킬 수도 있으며,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우리나라의 골프, 특히, 여자 골프의 경쟁력을 대학의 경쟁력과 미래의 비전으로 승화시키는 시각이 필요할 것이다. [결론] 그동안 많은 골프선수가 국위를 선양하고 국민들의 자부심과 사기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처럼 대학 소속의 골프선수도 선수 개인의 발전을 위하여 대학 및 교육부의 합리적 도움으로 행복한 운동선수로의 전환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골프 관련 스트레스 및 골프수행의 관계

        장익영,김기섭 한국골프학회 2017 골프연구 Vol.11 No.1

        [목적] 본 연구는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골프관련 스트레스 및 골프수행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 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6 아스토레배 KYGA 청소년골프대회 겸 힐스칼리 지 장학생 선발전”에 참가한 중, 고등학교 골프선수 135명의 자료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 었다. [결과] 첫째,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은 골프관련 스트레스와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다. 즉, 주니 어 골프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 수준이 높으면 스트레스가 낮다. 둘째,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은 골프 수행과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다. 즉,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 수준이 높으면 골프수행이 높다. 셋째,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골프관련 스트레스와 골프수행은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다. 즉,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스트레 스가 낮으면 골프수행이 높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behavior, golf-related stresses and performance of junior golfers.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from 135 junior golfers who are attend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participated in 2016 Astore KYGA Adolescent Golf Championship. The data were coded with the use of the statistics program on Windows, IBM SPSS 20.0. To analyse the data, Descript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junior golfers' self-management behavior affects golfers' stresses. In other words, the higher self-management behavior, the lower stresses golers have, 2) junior golfers' self-management behavior influences on golfers'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self- management behavior, the higher golf performance, 3) junior golfers' stresses affects golfers'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lower golfers' stresses, the higher golf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프로골프 선수 징계 사례에 대한 골프소비자의 귀납적 분석을 통한 골프문화 발전 방안

        남재준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0 스포츠와 법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review contents through inductive analysis method of golf consumers’ recognition on discipline of Korean pro golfer(KPGA) in order to arrange politic development method of golf culture.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golf consumers who are aware of the discipline case of Kim Bio in 2019. 271 sets of responses excluding 29 sets deemed to be unreliable out of 300 sets are analyzed. The 2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is implemented mainly on the basis of total detailed areas, 534 raw materials in order to categorize 8 detailed areas and 4 general areas in all. Out of 8 detailed areas, first, gallery behavior & gallery culture are divided into general area called “gallery system”. Second, the necessity of excessive discipline & strong punishment is divided into “golfer discipline system.” Third, “golf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golfer behavior & golfer responsibility. Fourth, association operation and fan service operation are divided into “golf association system.” This study through this process intends to find golf consumers’ recognition on discipline case of Kim Bio golfer, to review development method of gallery culture in pro golf competition and to present actual method to change golfers’ behavior. 본 연구는 한국프로골프(KPGA) 선수 징계에 대한 골프소비자 인식의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내용을 분석 검토하고, 골프문화의 정책적인 발전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9년 김비오 선수 징계 사례를 알고 있는 골프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300명의 응답자 중 설문내용이 충실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29부를 제외한 271부를 내용분석 하였다. 전체 세부영역인 534개의 원자료를 중심으로 2차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8개의 세부영역과 4개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세부영역 8개 중 첫째, 갤러리 행동과 갤러리 문화는 “갤러리 시스템”이라는 일반영역으로 구분되었고, 둘째, 과도한 징계와 강력한 처벌 필요는 “선수 징계 시스템”, 셋째, 선수 행동과 선수 책임을 포함하는 “선수 관리 시스템”으로 넷째, 협회운영과 팬 서비스 운영은 “골프협회 시스템”으로 구분 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김비오 선수 징계 사건에 따른 골프소비자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고, 프로골프대회의 갤러리 문화 발전 방안을 검토하고 선수들의 행동변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골프선수의 자기관리와 자신감 및 운동만족의 관계

        지준철 한국골프학회 2019 골프연구 Vol.13 No.4

        [목적] 골프선수의 자기관리와 자신감 및 운동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골프선수 19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SPSS 22.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골프선수의 자기관리는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선수의 자기관리는 운동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선수의 자신감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자신감은 운동만족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개인종목인 골프선수의 자기관리와 자 신감 및 운동만족의 관계는 다른 종목의 결과들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의 확장을 통해 종목 특성에 적합한 지도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exercise satisfaction in golf player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accordingly. [Metho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97 golf play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management does not influence self-confidence in golf players.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management has no effect on exercise satisfaction in golf players. Third, positive self-confidence, a sub-factor of self-confidenc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exercise satisfaction in golf players. [Conclusion] The finding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lf-confidence and self-management golf players and reveal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elf-confidence and exercise satisfaction. However, in order to deduce in-depth results,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apply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KCI등재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들의 경기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009-2013년 KLPGA 투어를 중심으로

        김필수 ( Phil Soo Kim ),김대권 ( Dae Kwon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5

        본 연구는 선수의 상대적 경쟁 지위, 선수경력, 상금획득 경험지식과 상금 총 누계액이 프로골프 선수의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경제사회학의 지위 이론(Status theory)과 경영학에서의 기업의 지식기반관점(Knowledge-based view of the firm)을 한국 여자 프로골프 선수에 적용하여 선수들의 경기력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고 질적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상금을 획득한 선수에 대해 5년 동안의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전체 359명의 선수와 1,074개의 선수별 경기 데이터 중에서 접근 불가능한 데이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57명의 선수와 391개의 연도 별 선수 데이터가 선정되었고, 패널 데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동상관 및 이분산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화 최소자승법(Generalized Least Square)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의 상대적 경쟁 지위는 선수의 경기력 수준에 상방형 곡선 관계를 나타내어경기력이 상승하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대적 경쟁 지위가 증가하면서 경기력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의 경력도 평균 타수에 상방형 곡선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의 상금획득 경험지식의 경우 마찬가지로 경기력수준에 곡선형 관계로 나타났으며,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금획득 경험지식이 축적된 경우 경기력이 하락하는 상방형 곡선을 보였다. 넷째, 선수의 상금 총 누계액은 경기력 수준에 반비례하는 선형적 관계로 나타났다. 부연하면, 상금 총 누계액의 액수의 크기가 많을수록 충분한 동기부여가 작동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학문적으로는 전통적인 경영학과 사회경제학 관점에서 활발하게 논의된 관점을 가지고 한국 여자 프로골프 선수의 상대적 경쟁 지위, 선수 경력, 상금획득의 경험지식과 상금 총 누계액을 통합적으로 다룬 연구로 스포츠경영학 현상에 이론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선수의 경기력이 스포츠 산업에 미치는 각종 요인들을 비선형적적 관점(non-linear perspective)을 적용하여 살펴 본 연구라는 점이다. 스포츠 경영학 현장 적용 측면에서 본 연구는 선수들의 경기력 결정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골프 산업의 흥행과 성장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 후원 기업은 선수들의 잠재력과 가능성에 따른 선수 후원을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집행함에 있어 참고자료로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performance determinants of professional golfer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tatus theory of economic sociology and experiential learning literature, we examined golf players`` status, career tenure, prize winning experiences, and accumulated financial incentives on their individual performance using Korea Ladies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 (KLPGA) database for the research period of 2009-2013. Among 1,074 observations of 359 professional golfers, our final panel data sample comprised 391 observations of 157 golf players manifested for Generalized Least Square (GLS) regression analysis along with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s. Our empirical findings reveal to show that there exist curvilinear effects of status, career tenure, and prize earning experiences on performance of individual golfers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e postulate that performance rises before reaching at the highest level of these three determining factors and falls respectively. Our results also indicate neg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cumulated financial incentives and performance. Higher tournament incentives play a positive role in motivating golfers to sustain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These findings contribute in the following vein. First,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performance determinants of professional golfers by synthesizing multi-theoretical approaches. Second, we find non-linear perspective embedded in the natures of golfers`` status, career tenure, and prize winning experiences. After reaching at certain peak, these factors are detrimental to performance. Practically, our research findings support to prospect success of golf business that enhance sport industrial growth and offer helpful reference points for policy-makers of KLPGA association and corporate sponsors to effectively plan, manage, and execute patronage based on players`` non-skil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