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퇴골 간부 분쇄 골절의 폐쇄적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 후 큰 나비형 골편의 운명

        이근배,정재윤,문은선,송은규,정광철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적 : 큰 나비형 골편을 동반한 대퇴골 간부 분쇄 골절에서 폐쇄적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 후 나비형 골편의 변화 및 유합 여부를 방사선학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폐쇄적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을 시행한 대퇴골 간부 분쇄 골절 환자 중 5㎝ 크기 이상의 큰 나비형 골편을 동반하고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3예(남자 15예, 여자 8예)를 대상으로 나비형 골편의 크기, 골편의 전위 및 각 형성 정도를 술 전, 술 후, 1개월과 3개월 추시 방사선상 측정하였으며, 술 수 4개월과 6개월 추시상 골편의 유합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 나비형 골편의 크기는 평균 8.4㎝(5.0·13.0)이었으며, 술 전 및 술 후 그리고 1개월과 3개우러 방사선 추시상 골편의 전위 거리는 평균 15.9, 10.1, 7.7, 6.8㎜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골편의 각 형성의 정도는 5˚이상의 각 형성을 보였던 13예에서 술 전 평균 19.6˚에서 수술 직후와 1개월, 3개월에 각각 평균 13.9˚, 8.4˚, 5.9˚로 개선되었으며, 추시상 각 형성이 증가한 경우는 없었다. 골 유합은 술 후 4개월 추시상 13예(56.5%), 6개월 추시상 지연 유합 1예를 제외한 전례에서 관찰되었으며, 지연 유합 1예도 추가적 시술 없이 골 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 큰 나비형 골편을 동반한 대퇴골 간부 분쇄 골절에서 폐쇄적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 후 큰 나비형 골편의 전위 정도 및 각 형성은 점차 개선되었으며 특히 골편이 180도 회전되었거나 전위정도나 각 형성 정도가 매우 큰 골편도 모두 유합 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술 중 골편을 가능한 해부학적 위치에 유지시킨다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유합을 이룰 수 있으므로 큰 나비형 골편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aiographic changes and union of large butterfly fragments after closed interlocking IM nailing for femoral shaft comminute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3 cases(15 males, 8 females) of femoral shaft comminuted fractures with butterfly fragments larger than 5cm and with the follow up period of 12 months or more from June 1995 to June 2000. We assessed the size, the degrees of displacement and angulation of the large butterfly fragments at preoperatively, one day, one month and three month postoperatively and evaluated the union at four month and six month postoperatively. Results : The size of the fragments was 8.4cm(5.0-13.0) in average. The distance between the fragment and shaft was 15.9cm preoperatively and 10.1, 7.7, 6.8cm at one day, one month and thee month postoperatively. In 13 cases of angulation over 5 degrees, it changed from 19.6˚ preoperatively to 13.9˚, 8.4˚, 5.9˚ at one day, one month and three month postoperatively. There is no increase in angulation. The union was completed at 4 months in 13 cases (56.5%) and at 6 months in all except one case of delayed union, in which we did not do any further procedure until the union was achieved. Conclusion : In femoral shaft comminuted fractures with displaced large butterfly fragments treated with closed interlocking IM nailing, the distance and angulation of fragments decreased gradually and even the fragments were inverted or largely displaced and angulated the fragments were united. So the caution must be given not to displace the fragments intraoperatively and to keep anatomical position of the fragments by active exercise and hydrostatic pressure of the muscles of thigh postoperatively. Then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s of the fragments will not be necessary.

      • KCI등재

        상하지 간부 분쇄 골절 시 교합성 골수강내 고정술로 치료 후 잔존한 나비형 골편의 운명

        안기찬 ( Ki Chan An ),김윤준 ( Yoon Jun Kim ),최장석 ( Jang Suk Choi ),서승석 ( Seung Suk Seo ),곽희철 ( Hi Chul Gwak ),정대원 ( Dae Won Jung ),정동우 ( Dong Woo Jeong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1

        목적: 본 연구는 간부 골절의 치료로 골수강내 고정 시에 잔존하는 분쇄 골절편 중, 큰 나비형 골편을 보존적으로 치료했으며, 이 결과를 체중부하골인 대퇴골 및 비체중부하골인 상완골로 나누어 방사선상 추시하였으며, 골유합의 결과 및 관련된 요소들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골수강내 금속 고정술을 시행한 상완골 및 대퇴골 간부 분쇄골절 환자 중, 1군 27예, 2군 3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방사선 사진을 통해서 나비형 골편의 전위 정도 및 각형성의 변화와 이에 대한 호전율을 두 군간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골편의 전위 정도는 제1군에서 평균 16.7 mm, 제2군에서 평균 21.2 mm이었다. 추시상 두 군 모두에서 상기 요소들은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두 군에서 호전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합병증은 4예에서 보였으며, 합병증 발생 예들에서는 정상인 예들에 비해서, 각형성의 호전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골편 전위 정도의 호전율은 유의하게 낮았다 (p=0.001). 결론: 골편의 전위나 각형성은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우수한 골유합율을 보였다. 합병증의 발생은 2군에서 많았으며, 이는 해부학 적인 위치나 체중 부하의 영향보다는 초기 정복 후 골절편 전위 정도가 중요하게 작용하며, 특히 전위 및 각형성을 막기 위해 골수내정의 삽입 시 주의를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For conservative treatment of shaft fractures, the butterfly fragments that were somewhat larger in the closed intra-medullary (IM) nailing. The results of treatment were monitored using radiography separately for the weight-bearing femur and non-weight-bearing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27 from Group I and 31 from Group II. In the two groups, the displacement and angulation changes in the fragments,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se two factors, were compared using follow-up radiography. Results: The mean angulation of fragments in Groups I and II were 9.2° and 9.6°, and the mean degree of displacement of the fragments in Groups I and II were 16.7 mm and 21.2 mm, respectively. Follow-up radiography showed that the above factors improved in both groups. The degree of displacem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ormal cases than in the complicated cases (p=0.001). Conclusion: Displacement and angulation gradually improved in both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displacement after the initial reduc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fluence of anatomical position or weight bearing. This indicates that care should be taken when inserting IM nails to prevent displacement or angulation.

      • KCI등재

        부분골편 이동술을 이용한 만성 공동성 골수염의 치료

        노재영(Jae-Young Roh),이동욱(Dong-Wook Lee),서정민(Jeong-Min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광범위한 골 결손을 동반하여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만성 공동성 골수염의 치료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함께 이에 대한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방법으로서 일리자로프 기기를 이용한 부분 골편 이동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골에 광범위한 크기의 골 결손이 동반된 만성 공동성 골수염 환자 3예에서 저자들에 의해서 새로이 고안된 일리자로프 방법을 응용한 수술 방법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골편 이동술 개시 후 평균 78일째 골편의 이동에 의해서 골 결손부의 완전한 충전을 얻을수 있었으며, 배농구의 소실과 함께 감염도 완전히 치유되었다. 일리자로프 기기의 장착기간은 평균 271.3일이었고 골편의 이동 거리는 평균 8.0 ㎝이었으며 치유 지수는 평균 33.9/㎝이었다. 결론: 일리자로프 방법을 응용한 부분 골편 이동술은 골의 연속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분 골편의 점진적 이동에 의해서 골 결손 부를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었으며, 병변부의 구조적인 복원과 함께 감염의 치유를 촉진하여 골의 만성적인 감염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생각되어 보고 하는 바이다. Purpose: To report the challenging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that is refractory to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s, and to illustrate the author's newly designed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echnique using the modification of the IIizarov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ree patients with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with a large cavitary bone defect of the tibia were treated with the author's newly designed biological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echnique. Results: After an average of 78 days of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he cavitary bone defects were completely filled with the transported bone fragment, and the draining sinus disappeared without any evidence of active infection. The IIizarov frame was removed on an average of 271.3 days after surgery. The mean total length of the distraction was 8.0 ㎝ and the mean healing index was 33.9 days/㎝. Conclusion: A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echnique using the IIizarov apparatus can solve the problem of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of the tibia by filling the bone defect with new living bone without sacrificing the bony continuity and effectively eradicating the infection. Therefore, this new techniqu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of the tibia.

      • KCI등재후보

        방형 회내근 유경 골편 이식술을 이용한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

        장문석,서유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2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7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treatment of scaphoid nonunions using a pronator quadratus pedicled bone graft. Methods: Thirteen patients with a scaphoid nonunion were treated with pronator quadratus pedicled bone graft.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20.23years (range: 19-22 years) and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one year. In all patients, bone grafting was performed and screw was fixed by using a volar aspect of distal radius bone graft with pronator quadratus muscle. Results: All 13 patients showed radiographic union with the average union time of 10.8 weeks (range: 9-13 weeks). Flexion, extension, radial deviation and ulnar deviation of wrist joint improved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condition (p<0.05). Postoperative scapholunate and radiolunate angle improved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condition (p<0.05). Eleven patients (84.5%) showed excellent or good results according to Herbert and Fisher’s score criteria of functional, subjective satisfaction and radiographic result. Conclusion: Pronator quadratus pedicled bone grafting can be considered to be easily accessible technique on vascularized bone graft for osteosynthesis of scaphoid nonunions. It is proved to be effective for bone union, increased wrist joint motion. 목적: 주상골 불유합을 방형 회내근 유경 골편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임상적인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주상골 불유합으로 방형 회내근 유경 골편 이식술을 시행받은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20.23세(범위: 19-22세), 최소 추시 기간은 1년이었다. 모든 예에서 수장 측 원위 요골에서 방형 회내근을 이용하여 유경 골편 이식술을 하고 나사로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모든 13명 환자에서 방사선학적으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는 평균 기간은 10.76주(범위: 9-13주)였다. 모든 예에서 수근 관절의 굴곡, 신전, 요측 변위 및 척측 변위의 운동범위가 수술 전 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또한 수술후 주상-월상각과 요-월상각도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Herbert and Fishers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한 기능적, 주관적인 만족도 그리고 방사선학적 결과에서 우수 이상이 13예(84.5%)였다. 결론: 주상골 불유합의 치유를 위한 방형 회내근 유경 골편 이식술은 접근이 쉬운 혈관화 골 이식술로 골 유합 및 손목관절의 운동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 기법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족관절 삼과 골절에서 작은 후과 골편에 대한 나사못 고정과 비고정의 결과 비교

        고지욱 ( Jee-wook Ko ),이건우 ( Gun-woo Lee ),이근배 ( Keun-bae Lee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1

        목적: 족관절 삼과 골절에서 관절면의 25% 이내를 침범하는 작은 후과 골편에 대한 나사못 고정술 여부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후과 골편이 관절면의 15%-25%를 침범한 총 32예(32명)를 대상으로 내고정 여부에 따라 두 군(고정군 20예, 비고정군 12예)으로 분류하였으며, 최소 추시 기간은 12개월이었다. 고정군과 비고정군에서 후과 골편 크기의 중앙값은 각각 24.6% (범위 22.3%-25.0%)와 22.1% (범위17.4%-24.3%)였다. 두 군 간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두 군 간 AOFAS ( p=0.501), VAS (p=0.578), 족관절 운동 범위(p=0.552) 등의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적 분석 결과로 두 군 간 관절면 층 형성(p=0.289), 골편 간극(p=0.289)의 차이는 없었다. 합병증은 고정군에서 지연 유합이 1예, 창상 감염이 1예 있었다. 결론: 족관절 삼과 골절에서 작은 후과 골편에 대한 나사못 고정군과 비고정군은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작은 후과 골편을 동반한 경우 관절면의 정복이 이루어진다면 추가적인 내고정술을 시행하지 않더라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outcomes of screw fixation and non-fixation of a small-sized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involving less than 25% articular surface in ankle trimalleol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2 consecutive ankles (32 patients), with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involving 15%-25% of the joint surface,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 fragment was fixed or not (fixed: 20 ankles, non-fixed: 12 ankles).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Median size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in the fixed and non-fixed groups were 24.6% (range, 22.3%-25.0%) and 22.1% (range, 17.4%-24.3%), respectively. Complications as well as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Clinical outcomes, including American Orthopaedic Foot & Ankle Society (p=0.501), visual analogue scale (p=0.578), and ankle range of motion (p=0.552),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the final follow-up. No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the radiographic outcomes, including joint stepoff (p=0.289) and fragment gap (p=0.289). Complications, including 1 case of delayed union and 1 case of wound infection, were reported in the fixed group. Conclusion: Clinical outcomes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the non-fixation group were satisfactory and comparable to the fixation group. Our results indicate that anatomical reduction with small-sized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in ankle trimalleolar fractures is sufficient for satisfactory outcomes,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internal fixation.

      • KCI등재

        유구골 고리 골절 불유합에 대한 골편 절제술

        강호정(Ho-Jung Kang),정성훈(Sung-Hoon Jung),정준영(Joon-Young Jung),박광환(Kwang-Hwan Park),한수봉(Soo-Bong H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유구골 고리 골절 불유합에 대한 골편 절제술의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구골 고리 골절 후 불유합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9명의 환자, 9예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수술 후 동통, 운동범위, 저린 증상 및 파악력에 대해 임상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초기 증상으로는 단순 통증이 3예, 저린 감각이 3예, 수지 굴곡의 제한이 2예, 통증 및 수지 굴곡의 제한이 동반된 경우가 1예였다. 손상의 추정 원인은 주로 스포츠 활동이었다. 증상 발현 후 진단까지의 기간은 평균 15개월(2개월-5년)이었으며, 진단은 단순 방사선 촬영이 1예, 수근관 촬영 6예에서 가능하였으며,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전례에서 확인되었다. 치료는 모두 골편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근관 증후군이 동반된 3예에서는 횡수근 인대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제 5심수지 굴건의 파열이 있었던 경우에서는 2예에서는 건 봉합술을, 나머지 한 예에서는 제 4심수지 굴건으로의 건전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감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며, 8예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1예에서는 한시적인 제 4, 5 수지의 저린 증상을 호소하였다. 결론: 유구골 고리 골절 불유합의 골편 절제술은 1년 추시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treatment results of fragment excision of the hamate hook nonunion. Materials and Methods: Nine patients operated for hamate hook nonunion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were clinically assessed for pain, range of motion, tingling sensation, and grip strength postoperatively. Results: The initial symptoms were pain (3 cases), tingling sensation (3 cases), 5<SUP>th</SUP> DIP joint flexion LOM (2 cases), and pain and accompanying LOM in 5<SUP>th</SUP> DIP joint flexion (1 case). The causes of injuries seemed to be mainly associated with sports activities. Time from initial symptom to diagnosis was averaged 15 months (2 months-5 years), and confirmative image was plain x-ray (one case), carpal tunnel view (six cases), and CT scan (two cases). All patients underwent fragment excision, and in three patients with accompanying carpal tunnel syndrome, transverse carpal ligament release was performed accordingly. In three other patients complicated with 5<SUP>th</SUP> FDP rupture, tenorrhaphy was performed in two cases, and tendon transfer was performed in the other case. Eight patients showed excellent clinical results one year postoperatively, but one patient complained of transient tingling sensation on the 4<SUP>th</SUP> and 5<SUP>th</SUP> fingers. Conclusion: Hamate hook excision after nonunion showed excellent clinical results in one year postoperative follow-up.

      • KCI등재

        골성 추지의 신전 제한 핀 고정 수기에서의 골절편 정복 가능성에 대한 평가

        이기호,이승후,이영호,김민범,김지형,백구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e purpose was to evaluate fragment reduction feasilibty when applying extension block Kirschner-wire technique for bony mallet finger. Methods: We treated 48 displaced mallet finger fractures by a two extension block Kirschner-wire technique. Among these operation group, we found dorsal rotation of fragment in 18 cases, making it difficult to get anatomical reductio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30 patients did not show dorsal rotation of fragment and anatomical reduction was achieved easily. Another group of 18 patients showed dorsal rotation of fragment and additional methods was applied to achieve anatomical reduction. Results: Joint surface involvement was significant greater in groups showing dorsal rotation of fragment than group which did not show (57.1% and 49.7%, respectively) (p=0.01). The groups whose joint surface involvement more than 50% had higher risk of dorsal rotation of fragment than the group less than 50%, with the odds ratio of 6.11. Conclusion: We could encounter the cases which showed dorsal rotation of the fracture fragment when treating the bony mallet finger with extension block K-wire technique especially the joint surface involvement was more than 50%. So if we can evaluate the extents of joint surface involvement and prepare additional method preoperatively when dorsal rotation of fragment is expected, it is possible to get more favorable results. 목적: 골성 추지에서 K-강선을 이용한 신전 제한법 술식을 시행할 때 골절편의 정복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어떤 경우에 정복이 잘 되지 않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48명의 골성 망치 수지 골절 환자를 2개의 K-강선을 신전 제한법으로 삽입하는 술식으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18예에서 수술 중 골절편의 배측 회전으로 정복이 어려워 추가적인 술식을 시행하였다. 이에 어떠한 경우에 골절편의 배측 회전이 잘 일어나는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편의 배측 회전 현상을 보인 군과 보이지 않은 군 사이에 다른 변수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관절면의 침범 정도는 배측 회전 현상을 보인 군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49.7% vs. 57.1%, p=0.01). 또한 관절면 침범이 50% 이상인 경우 골절편의 배측 회전을 보일 위험도는 6.11이었으며 유의하였다(p=0.02). 결론: 관절면의 침범이 50% 이상인 경우 신전제한 술식을 적용할 때 골절편의 배측 회전 현상으로 인해 정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수술 전에 이러한 특성을 미리 파악하여 정복이 여의치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존에 보고된 다양한술식을 같이 준비하여 수술은 준비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정된 골편 절제술로 치료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동반된 후방 연골단판 골절 - 증례 보고 -

        남우동,조재환,이제민,이재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3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posterior ring apophysis fracture (PRAF) with lumbar disc herniation treated by immobile bony fragment exci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RAF causes severe radiculopathy, so treating with surgery is common. Materials and Methods: A 30-year-old male diagnosed with PRAF with lumbar disc herniation was treated with discectomy, but his clinical symptoms were not relieved. Consequently, bony fragment excision, extended laminectomy and interbody fusion were also done. Results: Radicular pain was relieved and showed good clinical outcome. Conclusions: When treating PRAF, bony fragment excision and extended laminectomy should be considered even if an immobile bony fragment exists. 연구 계획: 증례 보고적: 고정된 골편 절제술로 치료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동반된 연골단판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후방 연골단판 골절은 심한 신경근 자극 증상을 일으켜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흔하다. 대상 및 방법: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동반된 연골단판 골절을 진단받은 30세 남자에서 추간판 절제술을 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골편 절제술, 광범위 후궁 절제술 및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후 방사통이 호전되었으며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었다. 결론: 연골단판 골절을 치료할 때 골편이 고정된 경우에도 골편 절제술 및 광범위 후궁 절제술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근위 상완골 분쇄 골절에서 골편 이식술과 Low Profile 삽입물을 이용한 인공관절 반치환술

        오정희 ( Chung Hee Oh ),오주한 ( Joo Han Oh ),김세훈 ( Sae Hoon Kim ),조기현 ( Ki Hyun Jo ),빈성우 ( Sung Woo Bin ),공현식 ( Hyun Sik Gong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근위 상완골 분쇄 골절에서 골편 이식술과 low profile 삽입물 (Aequalis(R) 골절 삽입물)을 이용한 인공관절 반치환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Low profile 삽입물을 이용하여 치료한 16명의 근위 상완골 분쇄 골절 중 11명에서 평균 19.9 (12~30)개월간 추시하였다. 평균 연령은 67.3 (52~78)세였다. 통증과 수술 만족도 VAS, 관절 범위, 변형 UCLA 접수를 매 추적 관찰 시 조사하였고,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으로 스템의 위치 및 이완, 결절의 유합을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통증 VAS는 2.7 (0~5), 평균 수술 만족도 VAS는 8.4 (5~10), 평균 전방거상은 137 (90~170)도, 외회전은 45.5 (25~70)도, 내회전은 흉추 10번 (흉추 7번~요추 1번)이었으며, 변형 UCLA 접수는 19 (12~30)점이었다. 모든 스템은 이완 소견 없이 안정적이었다. 결절은 모두 유합되었으나, 대 결절과 소 결절의 흡수가 각 1예에서 있었다. 결론: 골편 이식술과 low profile 삽입물을 이용한 근위 상완골 분쇄 골절의 치료는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다른 삽입물에 견주어 결절의 유합에 장점을 보인다고 생각되지만, 장기간의 추시와 많은 증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 of hemiarthroplasty with bone block graft and low profile prosthesis (Aequalis(R) fracture prosthesis) for the comminuted proximal humerus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low profile prostheses were used since July 2004, and 11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average 19.9 (12~30) months. Their mean age was 67.3 (52~78) years. Pain and satisfaction visual analog scale (VAS), range of motion, and modified UCLA score for hemiarthroplasty were evaluated at every visit. Radiography was also checked for stem position, loosening, and tuberosity union. Results: Mean pain VAS was 2.7 (0~5), and mean satisfaction VAS was 8.4 (5~10). Mean active forward flexion was 137° (90~170), external rotation at side was 45.5° (25~70), and internal rotation at back was T10 (T7~L1). Modified UCLA score was 19 (12~30) at final visit. All stems were stable, and there were no loosening at the final follow-up. All tuberosities were united except two tuberosity absorptions. Conclusion: The outcome of hemiarthroplasty with bone block graft and low profile prosthesis was comparable to other implants for comminuted proximal humerus fractures. This system had unique advantages for tuberosity union. Further study with more patients and longer follow-up are necessary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sthesis.

      • 관절경을 이용한 오스굿씨 병(Osgood-Schlatter's Disease)의 골편 제거술

        안진환,하권익,하철원,이석재,Ahn Jin Hwan,Ha Kwon-Ick,Ha Chul-Won,Lee Seok-Je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1

        오스굿씨 병은 일반적으로 보존적 방법으로 치료하지만 이에 호전되지 않는 지속적 혹은 재발성 통증이 있는 경우 수술적 가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저자들이 슬개건 원위 골부착 부위에 골편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제거하는 것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해 왔다. 저자들은 경골결절 전면부에 절개를 가하여 슬개건을 박리 후 골편을 제거하는 기존의 방식대신 관절경을 이용하여 슬개건의 뒤쪽으로부터 골편에 접근하여 골편을 제거하는 수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관절경을 이용한 오스굿씨 병의 골편제거술은 슬개건에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빠른 술후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며, 경골 결절 전방부에 절개를 가하지 않음으로써 절개창 치유 후에 잔존할 수 있는 무릎을 꿇을 때의 반흔부 불편감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보다 미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는 술식으로 사료된다. Osgood-Schlatter's disease is generally treated conservatively. However, surgical treatment is necessary for some patients with recurrent or persistent pain that does not respond to conservative treatment. Most authors recommend the excision of the loose ossicles present around the distal end of the patellar tendon. The authors report the technique of arthroscopic removal of the ossicles for Osgood-Schaltter's diseas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rough the incision at the tibial tuberosity. The advantages of this technique are less damage to the patellar tendon, early postoperative recovery, making no incisional scar in front of the tuberosity which causes the scar discomfort in kneeling, and more cosmetic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