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골관절염 연골세포의 세포사열과 그 조절기전

        김현정 ( Hyon Jeong Kim ),신의철 ( Eui Cheol Shin ),유남진 ( Nam Jin Yoo ),박전한 ( Jeon Han Park ),김성재 ( Sung Jae Kim ),강응식 ( Eung Shick Kang ),장준섭 ( Jun Seop Jah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1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8 No.2

        목적: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관절연골의 점차적인 소실과 이에 따른 활액막과 연골하골의 이차적인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특히 노년층에서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데 원인 및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하게 규명된 바가 없다. 한편, 세포사멸(apoptosis)은 세포괴사(cell necrosis)와는 상대되는 개념의 세포 사망으로서 염증반응이 없이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고 자가면역질환, 종양, 퇴행성 뇌질환 등의 기전연구에서 그 역할이 규명되고 있다. 최근 몇몇 연구에 의하면, 골관절염의 연골세포가 정상관절의 연골세포에 비해 높은 비율의 세포사멸을 보이며, 또한 Fas에 대한 항체를 처치한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세포사멸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골관절염의 연골세포에서 일어나는 세포사멸의 양상을 정상관절의 연골세포와 비교하고, 세포사멸과 관련한 수용체/리간드의 발현을 조사하여 골관절염의 병인에 있어서 세포사멸의 조절기전을 알아보았다. 방법: 골관절염으로 인공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관절연골과 외상에 의해 슬상절단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절단지에서 채취한 관절연골을 재료로, TUNEL assay를 통해 세포사멸의 정도와 위치를 비교하였고 관절연골 조직에서 RNA를 분리하여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통해 세포사멸의 조절에 참여하는 Fas 관련분자 및 bcl-2family, TRAIL 및 그 수용체와 인터루킨-18 (IL-18)의 mRNA 발현정도를 조사하였으며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FasL 단백의 발현을 알아보았다. 결과: 형광 dUTP를 이용한 TUNEL assay에서 골관절염이 없는 정상 대조군 관절연골 4례 모두에서는 세포사멸을 보이는 세포를 찾아볼 수 없었으나 골관절염의 관절연골 7례의 표본 중 6례에서 전형적인 세포사멸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에서는 caspase-3, caspase-8, Fas 및 FasL의 mRNA 발현정도가 골관절염의 연골에서 정상 대조군 연골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특히 FasL는 일부 골관절염에서 현저히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FasL의 유도체로 알려진 IL-18은 FasL가 증가된 환자에서 함께 강한 발현을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는 정상 대조군 연골에서보다 골관절염의 연골에서 FasL 단백이 현저히 강하게 발현됨을 관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연골에서 의미있게 증가한 세포사멸과 FasL의 발현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Fas/FasL 경로를 통한 세포사멸이 골관절염에서 일어나는 관절연골의 퇴화에 기여할 것을 시사한다. 또한 FasL의 유도체 중 하나인 IL-18의 발현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차후 골관절염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50세 이상 한국인에서의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최송화,심민섭,송형곤,송윤미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association of knee osteoarthritis (KOA) with metabolic risk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KOA and metabolic syndrome (Me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966 Korean adults aged ≥50 years who participated in a free-of-charge health examination provided to residents of a non-urban area. We ascertained KOA and MetS on the basis of the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of the 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 and the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s Adult Treatment Panel III, respectively. The association between KOA and MetS was evaluat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rates of KOA and MetS were 34.9% and 48.7%, respectively, with higher prevalence rates in the women than in the men (P<0.001). The risk of Me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jects with KOA than in those without KOA (odds ratio [OR], 1.3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1.77). Among the components of MetS, only abdominal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KOA (OR, 1.48; 95% CI, 1.12–1.95). When the analyses were repeated to determine sex-specific relationships, the associations of KOA with MetS (P=0.069) and abdominal obesity (P=0.022) were evident in the women, but not in the me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men with KOA must be evaluated and managed for MetS, with special attention to abdominal obesity. 연구배경:최근무릎골관절염과대사적위험인자들사이의연관성에 대해 보고되었고, 본 연구는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연구 대상자는 한국의 비도시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 수행된무료건강검진에참여한만 50세이상의성인 966명이었다. 무릎골관절염은 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에서제안한환자자가보고에 의한 임상적 진단기준에 따라 판단하였고, 대사증후군은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s Adult Treatment Panel III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평가하기위해다변량로지스틱 회귀분석을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의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각각 34.9%, 48.7% 였고,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두 질환의 유병률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에 비해 대사 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았다(교차비, 1.35; 95% 신뢰구간, 1.03–1.77).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인 중 복부비만 만이 무릎 골관절염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교차비, 1.48; 95% 신뢰구간, 1.12–1.95). 성별 분석 결과, 여성에서만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에경계적으로 유의한(borderline significant) 연관성이 관찰되었다(교차비, 1.36; 95% 신뢰구간, 0.98–1.89).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여성 환자에서 특히 복부비만에 중점을 둔 대사증후군에 대한 평가 및 관리가 필요함을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골관절염 유병률과 위험요인

        김혜령(Kim, Hye-Ryoung)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nd its risk factors among community dwelling women elderly and men elderly people in Korea. A total of 987 of women and 800 of men elderly aged 60 and over from the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were selected.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weight using the complex sampling function of SPSS version 19.0.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was greater for women elderly(33.4%) compared to men elderly(9.2%).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e difference of risk factors of osteoarthritis between women and men elderly peopl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women elderly people was associated with being older aged; having no home ownership; higher waist circumference; performance of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whereas men elderly people was affected by graduation of elementary school compared to graduation of college; never smoking or former smoking compared to current smoking; higher waist circumference; performance of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The finding of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women and men elderly people is expected to promote the screening strategy for elderly at risk of osteoarthritis in Korean community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골관절염 유병율과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 5기 1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중 60세 이상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표본으로 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SPSS 19.0의 복합표본설계 분석모듈을 이용하였다. 무릎 또는 엉덩관절의 통증과 Kellgren Lawrence 등급으로 판정한 골관절염 유병률은 남성노인이 9.2%인데 비해 여성노인은 33.4%로 차이가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노인은 60-74세 연령의 노인에 비해 75세 이상 연령의 노인에서, 주택을 소유한 노인에 비해 소유하지 못한 노인에서, 허리둘레로 측정한 복부비만이 아닌 노인에 비해 복부비만인 노인에서, 중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5회 이상 1회에 30분 이상 실천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실천하는 노인에서 골관절염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아 여성노인 가운데에서도 골관절염의 고위험인구로 추정되었다. 남성노인은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에 비해 초등학교를 졸업한 노인에서,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노인에 비해 전혀 흡연을 하지 않거나 과거에 흡연을 했으나 현재는 하지 않는 노인에서, 허리둘레로 측정한 복부비만이 아닌 노인에 비해 복부비만인 노인에서, 중등도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5회 이상 1회에 30분 이상 실천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실천하는 노인에서 골관절염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아 남성노인들 중 골관절염의 고위험 인구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한국 60세 이상 여성노인과 남성노인 간에 골관절염 유병률과 위험요인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골관절염을 관리하는데 있어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차이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가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5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에 따른 무릎 통증과 관련된 요인

        최은영,김민정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6 No.3

        Background:Discordance between knee pain and radiologic osteoarthritis is well‐know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knee pain with different grades of knee osteoarthritis among Korean adults aged 50 years or more. Methods:Total 5,978 Korean aged 50 years or more who underwent the radiographs of the knees were analyzed from Korean National Nutrition and Health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0‐11. Radiographs of the knees were scored for osteoarthritis using the Kellgren‐Lawrence scal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style factors, comorbidity and health status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The prevalence of knee pain was higher in female compared to that of male (P<0.001), and increased as increasing severity of radiologic knee osteoarthritis. Femal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knee pain in all of Kellgren‐Lawrence degrees. In most of Kellgren‐Lawrence degrees,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knee pain, and those with high school diploma or higher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knee pain. A few factors (age, body mass index, and no alcohol drinking) were also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knee pain for particular grades of radiographic knee osteoarthritis. Conclusions:Knee pain increased as increasing severity of radiologic knee osteoarthriti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knee pain with different grades of knee osteoarthritis, female,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f knee pain, and those with high school diploma or higher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knee pain in most of Kellgren‐Lawrence degrees. 연구배경: 무릎 통증과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 소견은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50세 이상한국 성인에서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의 정도에따라 무릎 통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2010년과 2011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무릎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 50세 이상의 성인 5,978명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은 K‐L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가중치를 고려하였으며, 다중회귀로짓분석을 시행하여 각 등급별로 무릎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인 요인(성별, 연령, 교육, 결혼상태, 직업), 생활습관요인(음주, 흡연, 규칙적인 운동), 동반질환(고혈압, 당뇨병), 건강상태(우울 여부, 체질량지수)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 무릎 통증의 유병률은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유병률이 높았으며(P<0.001), K‐L 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trend<0.001). 여성은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 모두에서 무릎 통증의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으며, 우울증은 방사선적 소견 대부분에서무릎 통증의 위험 증가와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경우는 무릎 통증의 위험 감소와 관련되어 있었다.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 등급에 따라 연령, 체질량지수, 비음주 등의 요인도 무릎 통증의 위험 증가와 관련되어 있었다. 결론: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이 악화될수록 무릎 통증의 유병률은 증가하였다.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에 따라 무릎 통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무릎 골관절염의 방사선적 소견 대부분에서여성과 우울증은 무릎 통증의 위험 증가와 관련되어 있었고,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경우 무릎 통증의 위험감소와 관련되어 있었다

      • KCI등재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의 10년 추시 후의 골관절염

        송은규(Eun Kyoo Song),선종근(Jong Keun Seon),윤택림(Taek Rim Yoon),서형연(Hyoung Yeon Seo),임지현(Ji Hyeon Y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평균 10년 추시 후 발생한 골관절염의 발생빈도와 그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8년 이상 경과한 118예 중에서 추시가 가능하였던 5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상 당시의 연령은 평균 31.3 (19-58)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0.6 (8.6-13.8)년이었다. 최종 추시 양 슬관절 체중부하 전후면 및 측면과 Merchant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urence 방법을 이용하여 골관절염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결과(Lysholm 점수, Lachman test, 축이동 검사, 술전 운동으로의 복귀 여부), 방사선학적 결과(전방 불안정성, 지속적 전방 아탈구), 수상에서 재건술까지의 기간, 수상 당시 연령 및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 유무와 성별에 따른 골관절염의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총 56예 중 23예(41%)에서 골관절염이 관찰되었으며(Grade Ⅱ, 18예; Ⅲ, 5예) 부위별로는 내측 구획은 전 예에서, 외측 구획은 12예에서, 대퇴-슬개 관절은 11예에서 관찰되었다. 그 중 19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되었으며 (OR, 10.336; p=0.001), 손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상 경과한 경우(OR, 4.611; p=0.030)와 재건술 당시 연령이 26세 이상인 경우(OR, 5.038; p=0.023)에 의미 있는 골관절염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골관절염의 발생과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전방 불안정성과 지속적인 아탈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p>0.05). 결론: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의 평균 10년 추시 결과 41%의 골관절염이 발생하였으며,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 재건술 당시의 연령이 많은 경우 및 수상 후 재건술까지의 기간이 긴 경우에 많은 골관절염이 발생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after a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using a patellar tendon autograft after an average follow-up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xamined 56 cases that were selected from 118 cases who underwent an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the ACL using a patella tendon autograft a minimum of 8 years ago and were available for follow up. The mean age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was 31.3 years (19-58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0.6 years (8.6-13.8 years). At the last follow up, the presence of osteoarthritis on the weight-bearing antero-posterior and lateral, and Merchant's radiographs, was assessed using the Kellgren and Laurence classific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osteoarthritis and the clinical results (Lysholm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return to preinjury activity), the radiological results (anterior laxity, persistent anterior subluxation), the interval from injury to the reconstruction, the patient age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the presence of an accompanying meniscal injury, and the patient's gender were examined. Results: Among the 56 cases, osteoarthritis was detected in 23 (41%) (grade Ⅱ, 18 cases; grade Ⅲ, 5 cases), and in regard to the lesion sites, the medial compartment was detected in all cases, the lateral compartment in 12 cases and the patello-femoral compartment in 11 cases. Among them, 19 cases were accompanied with a meniscal injury (OR, 10.336; P = 0.001),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osteoarthritis was detected in those cases with a interval from the injury to the reconstruction of more than 6 months (OR, 4.611; p=0.030), and in those aged more than 26 years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OR, 5.038; p=0.023).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osteoarthritis and the clinical outcome, radiological anterior laxity and continuous anterior subluxation, and genders (p>0.05). Conclusion: Osteoarthritis developed in 41% of cases, and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those cases with an accompanying meniscal injury, older patients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or in those with a longer interval from the injury to reconstruction.

      • 한국인의 방사선학적 골관절염 관련 위험요인

        표은영(Eun-Young Pyo),조은실(Eun-Sil Cho),정문희(Moon-Hee Jung)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2013 한양고령사회논집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50세 이상 대상자중 골관절염 검사에 참여한 총 3,073명(남자 1,334명, 여자 1,739명)을 대상으로 무릎과 엉덩관절의 방사선학적 골관절염 유병률과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50세 이상에서 방사선학적 골관절염 유병률은 남자 27.9%, 여자 47.4%로 남자보다 여자의 유병률이 높았다. 남녀 모두에서 비만인 경우,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경우 골관절염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여자는 육체노동자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골관절염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결과 만5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여성, 비만, 고혈압, 육체노동이 골관절염 관련 위험요인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개발에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radiographic osteoarthritis (ROA) of hip and knee and identify risk factors.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0 which wa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The study subjects were 3,073 (men 1,334, women 1,739) participants aged 50 years or above. ROA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Kellgren and Lawrence grade ≥2 in either knee or hip.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 The prevalence of ROA was 38.4%. Women had the much higher prevalence of ROA than men (47.4% vs 27.9%).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obesity and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OA in women. Conclusions : The study found that ROA is common in the aged adult population of Korea, with preponderance for women. Obesity, hypertension and manual occup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ROA. Therefore, considering these factors is helpful to give some evidence for developing a strategy to improve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OA.

      • KCI등재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골관절염 관련 건강행태 비교

        전은영,Jeon, Eunyou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골관절염 관련 건강행태를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를 파악함으로서 골관절염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행태로 골관절염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운동, 비만관리, 영양, 약물관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중 65세 이상 1,654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SPSS version 20.0의 복합표본설계 분석모듈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골관절염의 위험요인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으므로 특히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골관절염 교육을 계획함에 있어서 금주 및 체중관리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하며, 여성노인은 우울을 경감시키기 위한 활동을 계획하고 근력 운동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실천을 강조하는 교육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노인의 골관절염 관리에 있어 비만은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남성노인에게는 식이요법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에게 골관절염 관리를 위한 공공기관을 비롯한 노인관련 기관에서의 교육이 활성화되어 교육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behaviors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across gender groups. Total of 1,654 age 65 over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selected.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plex sampling function of SPSS version 2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e difference of risk factors of osteoarthritis between men and women elderly peopl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men elderly was associated with drinking, education for osteoarthritis, and treatment of osteoarthritis whereas the factors in woman elderly were depression and muscle strengthen exercise. Most of the subjects had not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of the management of the osteoarthritis. Thes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mote the screening strategy for the aged at risk of osteoarthritis in the Korean community and enhance the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 KCI등재

        한국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골관절염 위험요인 비교

        김혜령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4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지난 50년간 20세 정도 증가하여 2012년에 여자는 84.5세, 남자는 77.7세에 이르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평균수명의 증가는 노인인구의 연령 별 분포에도 변화를 가져와 60세 이상 인구 가운데 60-74세의 인구가 2005년 77.1%에서 2010년 73.1%로 감소한데 비해, 75세 이상 인구는 22.9%에서 26.9%로 증가하였고 2020년에는 42%까지 증가할 전망이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노인인구 가운데에도 후기고령인구의 증가는 노인질환 대부분의 유병율과 노인 의료비를 상승시켜 전 국민의 부담을 가중시킨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2013). 골관절염은 연령에 따라 유병률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ACR], 2012).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08)에서 보고한 본인 인지 골관절염 유병률은 50-59세 인구에서는 15.1%이었으나, 60-69세에는 24.3%, 70세 이상에서는 29.8%로 상승하였다. 또한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11)에서 관절 통증과 방사선검사로 판정한 골관절염 유병률은 50-59세 인구에서 5.7%인 데 비해 60-69세 인구에서는 50대의 세 배, 70세 이상 인구에서는 다섯배 증가하였다. 골관절염은 유병률이 높다는 것 외에도, 장애율이 높고(Yoon, 2012), 대상자뿐 아니라 가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Park & Lee, 2012; Yang & An, 2011), 높은 의료이용률에 따른 질병 부담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Hur, Choi, Uhm, & Bae, 2008) 심각한 건강문제이다. 우리사회가 고령화될수록, 노인 가운데에도 후기 고령자의 분포가 높아질수록 골관절염 인구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골관절염 인구가 노년에 집중되어 있고, 이로 인한 고통과 경제적 손실이 심각하여 적극적인 간호가 요구되는데도 불구하고 국내 골관절염 연구의 대부분은 중년 이후 노년까지 넓은 연령계층을 분석하였기 때문에(Kim & Jeon, 2011; Kim & Kim, 2013; Ko, 2010; Yang et al., 2006), 노인인구의 골관절염을 발생시키는 위험요인에 관해 확인된 바(Yang, 2006)는 제한적이다. 노인 가운데에도 후기 고령인구의 골관절염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 KCI등재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에서 초음파 유도하 경 반월상 연골 주사의 임상적 효과

        정의엽(Eui Yub Jung),왕준호(Joon Ho Wang),이의섭(Eui-Sub Lee),이성산(Sung-Sahn Lee),소상연(Sang-Yeon S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 환자에서 초음파 유도하 무릎 관절강내 경 반월상 연골 주사를 소개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9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3개월 이상 무릎 통증이 지속되었던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 환자 중 초음파 유도하 경 반월상 연골 주사를 시행한 36명의 환자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 유도하 척추 바늘을 이용하여 무릎관절강내 내측 구획에 corticosteroid와 국소마취제를 주사하였다. 시술 전, 1주, 4주, 8주째 신체진찰을 하였고 numeric pain rating scale (NRS), Lequesne index,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WOMAC) 점수를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NRS, Lequesne index, WOMAC 점수를 분석하였으며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내측 구획 골관절염의 단계에 따른 NRS, Lequesne index,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시술 전과 비교하여 1주, 4주, 8주째 NRS와 Lequesne index는 감소하였고 8주째까지 통증 감소 효과는 차이 없이 지속되었다.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은 1주, 4주, 8주째 각각 50.0%, 47.2%, 52.8%였으며 8주째까지 통증 감소 효과는 차이 없이 지속되었다. 시술 전과 비교하여 1주, 4주, 8주째 WOMAC 점수는 감소하였고 8주째까지 차이 없이 감소가 지속되었다. 골관절염 1, 2단계 환자들에서 상당한 호전이 있었던 환자들의 비율이 골관절염 3, 4단계 환자들보다 1주, 4주, 8주째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론: 무릎 내측 구획 골관절염 환자에서 초음파 유도하 무릎 관절강내 경 반월상 연골 주사는 평균 8주 이상의 통증 감소 및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 특히 내측 구획 골관절염 1, 2단계 환자에서는 통증 감소 효과가 더 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ultrasound-guided transmeniscal injection in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and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36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who were treated with an ultrasound-guided transmeniscal injection from March 2019 to July 2019 were accessed for this retrospective review. Using an ultrasound guided spinal needle, the patients received an intra-articular steroid injection at the medial compartment of the knee. A phys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at the initial visit (pre-injection), and at one week, four weeks, and eight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NRS), Lequesne index, and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WOMAC) score were measured at each visit and analyzed over time. The percentage change of the patients who revealed substantial improvement was analyzed. The NRS, Lequesne index, and percentage of patients, who revealed substantial improvement over time classified by osteoarthritis grade, were analyzed. Results: The NRS and Lequesne index decreased at one week, four weeks, and eight weeks after the injection compared to the initial baseline, and the pain-relief effect continued without change until eight week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showed substantial improvement at one, four, and eight weeks was 50.0%, 47.2%, and 52.8%, respectively. The WOMAC scores decreased at one, four, and eight weeks compared to the initial baseline, and the decrease was continued without any difference until eight week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tage 1 or 2 who revealed more than substantial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one, four, and eight weeks than those with osteoarthritis stages 3 or 4 (p<0.05). Conclusion: In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the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persisted for at least eight weeks after the ultrasound-guided transmeniscal injection at the medial compartment. In particular, patients with medial compartment osteoarthritis stage 1 or 2 showed more effective pain reduction.

      • KCI등재

        50대 이상의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감 및 자살사고와 영양섭취에 관한 융합연구 :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 자료 이용하여

        황효정,최연정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uicide risk, and related nutrient intakes in 50-60 year old Korean osteoarthritis patients. In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4,112 people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osteoarthritis by a doctor were analysed.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pain and discomport level,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steoarthritis group compared to the non-osteoarthritis group(p<0.05). Dietary intake of energy, protein, n-3 and n-6 fatty acids, calcium, phosphate,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compared with all the osteoarthriti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groups(p<0.05). The presented convergence strategy would be applied for emotional health and health care improvement of osteoarthritis pati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50-60대 골관절염 환자에서 우울감 및 자살사고 위험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영양소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의사로부터 골관절염 진단을 받은 4,112명을 분석하였다.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에 골관절염이 없는 경우에 비해 불안 및 우울 수준, 통증 및 불편감 수준, 2주 이상 연속 우울감 경험률, 1년간 자살 생각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일일 평균 영양소 섭취 차이에서 단백질, 지방, n-3계 지방산, n-6계 지방산, 칼슘,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나이아신 섭취량이 공통적으로 정상군에서 각각 골관절염과 우울감 및 자살사고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골관절염 환자의 정신적 건강과 추후 환자 건강 관리 향상을 위한 융합적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