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여성의 고학력화와 젠더 평등의 지체 : 1990-2019

        강이수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socio-cultural discourse on the rise of highly educated women in Korea since the 1990s and through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The 1990s was the starting point for women to become more educated, and in the 2000s, a gender reversal in education was taking place, where the rate of women entering college was higher than that of men. However, this gender reversal in education has not led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and various disparities and discrimination are still at work. Even if women are equipped with human capital through the achievement of higher education, changes in our society for gender equality are stagnant. Therefore, in order to see what socio-cultural factors are behind women's abilities and abilities that are not socially accepted, the trend of discourse on highly educated women is reviewed through newspaper articles. Newspaper article big data analysis analyzed and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 cloud images and keywords, focusing on the keywords 'highly educated women's employment' and 'highly educated women's labor' for ten years from 1990 to 2019. Articles on highly educated women were consistently dominated by negative discourses, such as lack of jobs, unemployment, difficulties in marriage, and the main culprits of low fertility, rather than positive prospects for women's ability improvement. In the past 30 years, despite soci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women’s human capital enhancement through education, it was conꠓfirmed once again that the change in our society's stubbornly sexist sociocultural discourse has been delayed.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고학력 여성의 증가 현황과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여성의 고학력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1990년대는 여성의 고학력화가 발생하는 기점으로 2000년대 들어서면 남성보다 여성의 대학 진학률이 높아지는 교육에서의 젠더역전이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같은 여성의 고학력화가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제고로 이어지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다양한 격차와 차별이 작동하고 있다. 여성이 고학력이라는 성취를 통한 인적 자본을 갖추어도 젠더평등을 위한 우리사회 변화는 정체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여성의 실력과 능력이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않는 이면에 어떠한 사회문화적 요소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신문기사를 통해 고학력 여성에 대한 담론 추이를 검토해 보았다. 신문기사 빅 데이터 분석은 199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단위로 ‘고학력 여성 취업’과 ‘고학력 여성 노동’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워드 클라우드 이미지로 담론의 추이를 제시하였다. 고학력 여성에 대한 기사는 여성의 능력 향상에 대한 긍정적 조망보다는 일자리의 부족, 실업, 결혼의 어려움, 저출산의 주범 등 부정적 담론이 지배적이었다. 지난 30년간 성평등 증진을 위한 사회적, 제도적 개선과 여성 스스로 교육 성취를 통한 인적자본 증진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완고한 성차별적인 사회문화적 담론의 변화는 여전히 지체되어 있다.

      • 고학력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현황과 직무만족 및 경력개발요구에 대한 연구

        김정란(Kim Jung-Ran),전혜숙(Jun Hae-Su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문학논총 Vol.11 No.2

        여성들의 고등교육기회의 확대로 앞으로도 고학력 여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배출된 고학력 여성들은 개인과 지역사회의 발전, 국가경쟁력 제고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주요한 자원으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의 사회참여에 대한 결정과 경력개발은 평생 동안의 과업이며 지속적인 학습과 계획을 수반하는 활동이다.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중, 통합적인 삶의 계획, 지역사회와 기관에 대한 이해를 훈련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인적인 능력의 획득과 더불어 이들의 경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 경력개발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고학력 직업여성이 체계적인 경력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능력개발과 사회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성경력개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첫째, 여성의 고학력화 및 고학력 직업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현황을 조사하고, 둘째, 고학력 직업여성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고부가 인적자원인 여성의 경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경력개발 방안들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trend is that high degreed women will increase continuously and they are expected to have great roles as human resources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on. Making career decision and developing career is a life-long task and needs persistent planning and learning. Women are inclined to restricted to the priviate domain and have difficulty to enter public domain. So social assistant system is necessary for women to help developing their career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needs of women on career development and to explore effects of social assistance on job satisfaction. 204 high degreed or professional women were surveyed. And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hey perceived that they didn't receive enough career guidance and need specialized career guidance for women. They have high satisfaction about their job and low satisfaction about child caring assistance. They usually depend on assistance from family but institutional career assistance has more impacts on job satisfaction. They perceive that mutual assistance of women and one-stop career development assistance system is necessary.

      • KCI등재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민선,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진로지속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설문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경력중단 경험이 없는 고학력 기혼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도출된 진술문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 척도 예비문항들을 제작하였다. 또한 척도의 하위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고학력 기혼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자아실현과 일에 대한 만족(10문항), 가족생활 지원 및 경제적 독립(6문항), 가족 및 주변의 기대(5문항), 육아와 가사에 대한 낮은 흥미(5문항), 경력단절의 두려움(4문항) 총 5요인 30문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 척도 문항들이 다른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고학력 기혼 여성 48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 도출된 하위요인과 문항들이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서의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의 이해와 활용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arried Korean Women’s Career Persistence Motivation Scale (KWCPMS). Study 1 addressed procedures to identify items used to measure the motivational aspects of married women’s career persistence and explore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items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Study 2 tested the construct validity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e 5-factor solution identified via the EFA to be acceptabl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ies were also examined via correlation studies with measures of intrinsic motivation, burnout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including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KWCPMS are satisfactory.

      • KCI등재

        일-가정 양립제도와 경력개발에 대한 구조적 탐색 : 고학력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이수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여성연구 Vol.103 No.4

        이 연구는 고학력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노동시장 내에서 경력을 유지, 개발하기 위한 조직차원의 개선사항을 찾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가정 양립제도의활용과 경력개발 사이의 관계를 살폈다. 특히 이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정규직기혼여성근로자의 경력개발에 주목하였다. 분석에는 연세대학교와 한국연구재단의 공동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조사된 ‘고학력 여성의 경력개발요인에 대한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49세 이하의정규직 기혼 여성근로자 286명을 대상으로 구조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잠재변수로 조직 내 일-가정 양립제도의 활용, 직무만족, 경력만족, 경력개발이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 내 일-가정 양립제도의 활용이 고학력 여성의 경력만족과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만족과 경력만족이 고학력 기혼여성의 경력개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내 일-가정 양립제도의 활용이 고학력기혼여성의 경력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하지 못했으나, 경력만족과 직무만족에대한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고학력 기혼여성에 있어 조직에서 제공하는 일- 가정 양립제도의 활용이 지속적인 경력개발에 중요한 요인임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조직 내 여성근로자의 역할갈등이나 조직이탈요인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의 활용이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일-가정 양립 제도의 실효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학력 취업여성의 일자리 만족과 생활만족의 결정요인 탐색

        강영희(Kang, Young-He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취업여성의 일자리 만족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결혼 여부에 따라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이 달라지는가를 조사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15차 패널(panel) 데이터 중 560명의 고학력 여성 임금 노동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들의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임금, 업무 내용, 근로환경, 개인의 발전가능성, 의사소통·인간관계, 인사고과의 공정성, 복지후생제도였다. 기혼 여성은 임금, 업무내용, 개인의 발전가능성, 인사고과의 공정성, 미혼 여성은 업무내용, 근무환경,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복지후생제도가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고학력 취업여성의 생활만족은 가족 수입, 여가활동, 주거환경, 친인척 관계, 사회적 친분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끼쳤다. 가족 수입, 주거환경, 사회적 친분관계는 결혼에 상관없이 고학력 취업여성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준 반면, 가족관계는 기혼 여성에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wo factors influencing highly-educated female workers’ satisfaction: workpla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ighly-educated married female workers and their single counterparts. To this end, a sample of 560 highly-educated women workers was selected from the 15th wave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Panel Study data set. This study finds that workplace satisfac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wages, job duties, work environment, personal development possibilities, communication or personal relationships, fairness of performance appraisals (PA), and benefits. Job duties have effects on both married and single women workers. Wages, personal development possibilities, and fairness of PA are associated with married female workers only while work environment, communication or relationships, and benefits are related to single women. Also, this study finds that satisfaction with household income, leisure life, housing environment, relations with relatives, and social relation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ly-educated women workers’ life satisfaction. Family incomes, housing environment, and social relations have effects on both married and single women workers while family relations are related to married ones only.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계획과 재취업교육 요구분석 연구

        김영경(Young kyou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7 여성연구 Vol.73 No.-

        본 연구는 고학력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경력단절을 경험한 고학력 여성들을 면접하여 경력개발계획 및 의식과 재취업교육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고학력 여성들은 가정적인 배경을 고려하면서 직업 경력을 갖겠다는 경력 의식을 갖고 있었다. 경력단절기간이 짧은 여성들은 본인의 지속적인 경력개발을 위해 안정적인 자격을 갖추고자 하였고, 경력단절기간이 긴 경우에는 직업 전환이나 창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개발계획 및 의식 부분은 1) 좋은 직장에서 좋은 직업을 갖겠다는 의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고, 2) 경력계획과 관리는 전공, 특기, 취미, 좋아하는 분야의 교차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3) 소득보다는 자아성취와 자기 개발이 되는 경력을 희망하고, 4) 전문가 또는 전문 프리랜서라는 일관된 경력의 목표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재취업교육 부분은 1) 쓰임새나 목적성이 뚜렷한 맞춤형과정, 2) 능력 검증과 장기적인 경력개발이 가능한 ‘전문 자격증 과정’이나 ‘시험 준비 과정’, 3) 최신직업정보를 고려한 공신력 있는 전문교육, 4) 기혼여성의 여건을 고려한 인터넷 전문창업교육과 계속교육, 5) 교육적 접근의 용이성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과 경력에 대한 의식을 도출하여 이에 따른 재취업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reer building plans, attitude and reemployment needs of highly educated women whose careers have been interrupted by childbirth, childcare, housework, etc. The method of research employed was an interview of the subjects, an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id the reemployment of such highly 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highly educated women have progressive career attitudes, concerned both with their families and personal career building. Women with short career interruption terms were found to acquire stable qualifications for continuous personal career development, and those with longer career interruptions were found to favor career change or personal enterprise. Regarding career building plans and attitude, study results showed that: 1) Women"s career attitudes are shifting. Instead of getting jobs in good companies, they tend to be specialized in particular fields and work as freelancers or start up new jobs. 2) Joint priorities of career planning and management are college major, area of specialization, hobbies, and areas of interest, 3) Careers allowing for self-attainment and development are preferred over high-income careers, and 4)Most subjects interviewed want consistent careers as professionals or professional freelancers. It was determined that reemployment education must accordingly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Tailored education with clear objectives and purpose, 2) "Professional qualification courses" and "Test preparation courses" allowing for certification of competency and long-term career development, 3) Reliable specialized education based on the most recent job information 4) Continued education and on-line profession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tailored to the needs of married women, and 5) easy educational accessibility. This research is significance in analyzing reemployment education need from highly educated career interrupted woman"s employment and career attitude.

      • KCI등재

        체육계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전환에 따른 적응과정 탐색

        이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and psychosocial situation of the women, and provide the fundamental resources to build educational, sociocultural, systematic environment to help the smooth adaptation and self-development, improvement process of the women. Methods This study selected 6 participants based on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As for the analysis, the study adopted 2-step analysis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nd conducted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also conducted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in entire proces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secure the veracity of the data. Results For As the result, total 117 concepts, 25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educed from ‘categorization of adap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role changes of highly-educated women in physical education’. The study conducted category analysis in accordance with paradigm on axis coding, ‘structuralization of adap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role changes of highly-educated women in physical education’, arranged categories on 6 elements,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 of each element, conducted the process analysis to draw up 4 stages.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highly-educated women in physical education with career breaks endured difficult times to adapt to given situation and role, and formed stability in life and satisfaction by planning for future and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전환에 따른 적응과정을 범주화 및 구조화함으로써 체육계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의 구조적인 상황과 심리 사회적인 상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원활한 정착과 더 나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을구축해 나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근거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에 따라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 단계를 바탕으로 전사 자료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개방코딩과 패러다임 범주분석 및 과정분석을 포함한 축코딩을 수행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구성원 간 검토및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결과 개방코딩에 해당되는 ‘체육계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전환에 따른 적응과정의 범주화’를 통해 117개의 개념과 25개의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인 ‘체육계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전환에 따른 적응과정의 구조화’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을 실시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고, 모형을 기반으로 과정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범주를 시간의 흐름에따른 단계에 맞도록 재배치하여 ‘역할혼란단계’, ‘전환인고단계’, ‘적응노력단계’, ‘생활안정단계’ 총 4단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생활 만족감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작용/상호작용 전략 중 나만의 시간 갖기가 생활만족감을 형성해나가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고, 육아에 대한 변화된 사회적 시각은 주부에 대한 역할과 가치에 대한 생각을긍정적으로 형성하고 변화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체육계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이 역할전환 되면서 변화된 위치와 생활로 인해 힘겨운 시간을 대체로 오랜 기간 견뎌내야 했고적응을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생활 만족감을 점차 형성해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는 체육계 고학력 여성 및 경력단절, 체육계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높여줄 수 있는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학력 30대 여성의 경력이동: 일과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신나라(Shin Nara)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고학력 여성의 경력이동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론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5년 이상의 경력이 있으며, 2회 이상 자발적 이유로 경력을 이동한 고학력 30대 여성이다. 내러티브 탐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경력이동 과정을 살펴본 결과 경력은 ‘일로 인해 구성되는 경험’을 넘어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전한 자신으로 살기 위해 ‘자신을 찾는 과정’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고학력 여성인 연구참여자들의 경력이동의 과정을 사회문화적 관계 속에서 논의한 결과, 여성이 조직 내에서 ‘온전한 나’로 존재할 수 없는 인정의 부재(Fraser & Honneth, 2009)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조직을 떠나는 것은 손상된 정체성을 회복하고 일을 통해 자기를 실현하기 위한 선택이며. 학력 등의 개인적 자본을 활용하여 불평등한 사회구조에서 기인하는 미묘한 차별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전략을 수행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교차성 분석을 통해 결혼하지 않은 30대 고학력 여성들이 경력을 이동 경험에서 드러나는 일과 정체성의 의미를 보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using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to understand career movement experiences of highly educated women in their 30s. The three participants were single women in their 30s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who had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and had changed their career path for voluntary reasons at least twice.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It was found that career is a “process of finding oneself” to live as a whole self, to construct an individual"s identity, beyond the “process of finding themselves through work.” It was discussed in a socio- cultural context through a cross-intersection analysis, leaving an organization in a situation where women are experiencing an absence of recognition (Fraser & Honneth, 2003), where they cannot exist “entirely as me” within the organization, is the choice to recover their impaired identity, and to realize themselves through work. It emerged that participants were carrying out a personalized strategy that responds to micro-aggression resulting from unequal social structures. This strategy utilized personal capital, such as academic background, in the career movement process. This study contained qualitative research data for discussion of their meaning of work and identities through a cross-intersection analysi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 KCI등재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직활동과 취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전은희(Jeon Eun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는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직활동과 과정, 직장생활의 어려움과 성취, 향후의 직업적 전망과 실천에 대해 내러티브적 접근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은 배우자와 가족의 정서적, 경제적 지원 하에 구직활동과 취업에 나서고 있었으며, 이들에게 경제적 이해는 구직의 여러 동기 중 하나일 뿐이었다. 또 이들은 사회참여와 직장생활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았으며, 또 우울증과 고립감으로부터의 탈피, 한국어 습득과 한국사회 이해 등을 위해 취업을 원하고 있었다. 이들은 인터넷과 지인, 사회적 관계 및 대학의 언어교육원 등을 통해 취업소개와 일자리 관련 프로그램을 접하고 있었으며, 특히 대졸 결혼이주여성들에게만 한정된 공공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직장생활에서 해당 여성들은 전문용어나, 공문서 작성 등 한국어와 관련한 곤란을 겪고 있었으며 업무의 단조로움과 발전적 전망의 부재로 힘들어하고 있었다. 더해서 한국적 인간관계와 위계적 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동료들 사이에서 관계적, 업무적으로 소외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한국사람들의 문화적 편견과 차별에 노출되고 있었으며,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 과도한 업무 부담, 고용의 불안정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한국사회를 이해해 가고 있었으며, 직무와 관련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 가고 있었다. 또 한국인들의 문화적 편견에 저항하고 있었으며, 일을 통한 사회적 주체로서 자기확인과 성취에 이르고 있었다. 아울러 귀국과 모국 취업의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하였으며, 학력갱신, 각종 자격증 확보 및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직업적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과 직장 경험에 대한 연구와 여러 모로 상이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고학력결혼이주여성의 취업 촉진과 직장 적응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narrative study aims to analyse the processes and backgrounds of job-seeking activities, difficulties of job experiences and self-improvement practices for professional career for well-educated marriage-immigrant women who live around Seoul. The well-educated marriage-immigrant women who supported by their husbands emotionally and physically started job-seeking activities of their own free will, searched for job-informations through internet, personal connec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etc. They wanted not only to realize themselves socially and break out of depression and sense of isolation, but also to learn Korean and Korean society thorough life at work. Financial interests by jobs, though always important, was a secondary matter for them and some of them investing their own money challenged to get other certificates available in Korean job market. While they had hardly no problems in communicating teammates in Korean. they still lacked professional or technical vocabularies and had difficulties in sophisticated language lives. Furthermore, they suffered from long hours and low wages as temporary employees, monotonous tasks in their work and absences of developmental blueprint in their career. They were also hard put to it to mak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who adhere to their cultural way of life and sometime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marriage-immigrant women and exclude them socially or transactionally. At the same time, they became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learned professional knowledges and skills related to their tasks and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independent social subjects. Most of them kept their nationality and wanted to find another occupational possibilities sometime in the future in their home country. In addition, they tried to enhance their cultural capitals by getting a master's degree or some licenses and to join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to find a new vocational opportunities. Abov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in many points, hence may have variou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promotion and job adjustment of the well-educated marriage-immigrant women.

      • KCI등재

        중국 출신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교육을 통해서 본 정체성 재구성: 대구,경북 지역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이민경 ( Min Kyung Lee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중국 고학력 결혼이주 여성들의 정체성을 자녀교육 태도와 실천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1990년대 이후 한-중 간 국제결혼은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한-중 수교이후 중국내에서의 한국바람, 양국 간 경제교류의 증가, 유학생과 여행객 급증이 상호교차하면서 전개되어 왔다. 이처럼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증가되고 있는 한-중 국제결혼의 흐름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중국여성들의 한국유입을 촉발해 왔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삶도 매우 차별적으로 전개되고 있어, 이들을 단일한 집단적 정체성으로 범주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중국 결혼이주 여성들의 특수성을 염두에 두고, 자녀교육은 이들의 삶에 어떻게 개입하는지, 그리고 행위주체로서 이주여성들은 이를 어떻게 의미화하면서 실천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체성이 어떻게 재구성되는 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중국 결혼 이주 여성 9 명을 심층 인터뷰하여 그 결과를 주제별 분석에 의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고학력 중국 결혼이주 여성들의 자녀교육 태도와 실천은 1) 인정투쟁으로서의 취업: ‘당당한 엄마 되기’ 2) ‘다문화 가정자녀’으로부터 거리두기: 위계적 구별짓기 3) 초국적 자녀교육과 유동적 정체성: 현실은 여기, 미래는 거기, 3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바탕을 두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교육태도와 실천을 이주여성들의 다양한 위치와 갈등, 사회문화적 해석이 중첩되어 드러나는 복합적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case study explores the identity constitution process of Chinese migrant women who are highly educated with relation to education of their children. Since 1990, the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has been developped in interaction with socio-economic change by Chinese reform policy, Korean wave after establishment of deplomatic relation between two countries, the increase of overseas students and travelers, etc. These factors has caused various types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them with simple collective identity. regarding the context of Chinese migrant wom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dentity construction of chinese marriage migration women which are highly educated with relation to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nine chinese migrant women. Research result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1) employment as recognition struggle: becoming a dignified mother 2) Keeping distance from ‘Damunwha’: hierarchical distinction 3) Transnation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flexible identity. This case study shows that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s a result of complex process for their identity in which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national relatio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v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