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에도시대의 고증수필 고증수필의 의미와 상품성을 중심으로

        김학순 ( Kim Hark-soo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9 일본연구 Vol.32 No.0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에 고증이라는 지적, 학문적 작업을 통해 탄생한 고증수필에 대하여 그 특징과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에도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고증수필을 그 내용에 기반 하여 「학문에 관한 고증수필」, 「예능, 놀이에 대한 고증수필」, 「에도 중심의 지역풍속에 대한 고증수필」, 「중국과 일본을 비교한 고증수필」의 네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산토 교덴, 교쿠테이 바킨과 같은 에도시대 후기 대중 작가들이 집필한 고증수필은 상품성을 가진 서적으로 인식되었다. 풍속과 항담 등을 주로 고증한 그들의 고증수필은 작품 구상과 창작의 중심을 이루기도 한다. 즉 대중 작가들의 「창작을 위한 고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들의 고증 취미는 「고증만을 목적으로 한 고증수필」의 집필로 이어지며 상품으로 유통, 소비되며, 대중 독자들에게 오락적 성격의 서적과 같은 흥미와 재미를 주고 있다. 또한 개인의 고증이 아닌 문인 그룹에 의한 공동의 고증 작업을 통하여 고증 대상과 고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공동체의 지적 작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 고증수필로 평가받아 온 작품들의 개략적 내용을 정리, 분류하여 고증수필의 성격과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증수필이라는 장르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고증수필의 전체적인 특징과 그 의미부터 살펴보았다. 유학자, 국학자와 같은 전문 지식인이 쓴 고증수필이 아닌 당시 게사쿠와 같은 대중적 읽을거리를 주로 집필했던 대중 작가들의 고증수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중 소설과 고증수필과의 관계, 고증을 통한 소설의 창작, 지적활동인 고증을 위한 고증 등에 대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당시 서적의 간기를 통하여 고증수필에 대한 광고의 양상과 선전방법에 대하여도 논하였다. In the late Edo period, writers created novels with a strong entertainment component with genres designed to show their intellectual ability and to satisfy intellectual curiosity through verification essays for the public. The verification essay, which was mainly about professional knowledge and learning, began to have value as a product that aroused readers’ interest, such as popular books that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at the time. Unlike previous academic content, popular writers have devoted their efforts to strange rumors, legends, or phenomena that were circulating in the past. At that time, readers were interested in new stories, objects, legends, and rumors that stimulated fun and curiosity even if they lacked expertise, and the verification essays were recognized as books with recreati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for intellectual consumption. By the modern era, verification essays were actively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and nationalists. The contents included various records of nature, history, society, and culture, and reports, criticism, speculation, and evidence. The essays began to be widely introduced to the public beyond an intellectual individual’s desire for knowledge and intellectual ability. At that time, essays of popular writers were circulated and consumed like popular novels. Among these essays, the essays containing the criticism, examination, and ideas of the author were promoted with the novels at that time and attracted many reader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essays by examining the outlines of the works that have been evaluated as essays in the Edo period. With the essays of popular writers as the su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novels and essays, the creation of novels through the essays, and essays are explored. Also, advertisements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through the book’s publication about the profitability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are discussed.

      • KCI등재

        에도시대의 고증수필: 고증수필의 의미와 상품성을 중심으로

        김학순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9 일본연구 Vol.32 No.-

        In the late Edo period, writers created novels with a strong entertainment component with genres designed to show their intellectual ability and to satisfy intellectual curiosity through verification essays for the public. The verification essay, which was mainly about professional knowledge and learning, began to have value as a product that aroused readers’ interest, such as popular books that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at the time. Unlike previous academic content, popular writers have devoted their efforts to strange rumors, legends, or phenomena that were circulating in the past. At that time, readers were interested in new stories, objects, legends, and rumors that stimulated fun and curiosity even if they lacked expertise, and the verification essays were recognized as books with recreati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for intellectual consumption. By the modern era, verification essays were actively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and nationalists. The contents included various records of nature, history, society, and culture, and reports, criticism, speculation, and evidence. The essays began to be widely introduced to the public beyond an intellectual individual’s desire for knowledge and intellectual ability. At that time, essays of popular writers were circulated and consumed like popular novels. Among these essays, the essays containing the criticism, examination, and ideas of ​​the author were promoted with the novels at that time and attracted many reader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essays by examining the outlines of the works that have been evaluated as essays in the Edo period. With the essays of popular writers as the su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novels and essays, the creation of novels through the essays, and essays are explored. Also, advertisements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through the book’s publication about the profitability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are discussed.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에 고증이라는 지적, 학문적 작업을 통해 탄생한 고증수필에 대하여 그 특징과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에도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고증수필을 그 내용에 기반 하여 「학문에 관한 고증수필」, 「예능, 놀이에 대한 고증수필」, 「에도 중심의 지역 풍속에 대한 고증수필」, 「중국과 일본을 비교한 고증수필」의 네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산토 교덴, 교쿠테이 바킨과 같은 에도시대 후기 대중 작가들이 집필한 고증수필은 상품성을 가진 서적으로 인식되었다. 풍속과 항담 등을 주로 고증한 그들의 고증수필은 작품 구상과 창작의 중심을 이루기도 한다. 즉 대중 작가들의 「창작을 위한 고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들의 고증 취미는 「고증만을 목적으로 한 고증수필」의 집필로 이어지며 상품으로 유통, 소비되며, 대중 독자들에게 오락적 성격의 서적과 같은 흥미와 재미를 주고 있다. 또한 개인의 고증이 아닌 문인 그룹에 의한 공동의 고증 작업을 통하여 고증 대상과 고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공동체의 지적 작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 고증수필로 평가받아 온 작품들의 개략적 내용을 정리, 분류하여 고증수필의 성격과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증수필이라는 장르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고증수필의 전체적인 특징과 그 의미부터 살펴보았다. 유학자, 국학자와 같은 전문 지식인이 쓴 고증수필이 아닌 당시 게사쿠와 같은 대중적 읽을거리를 주로 집필했던 대중 작가들의 고증수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중 소설과 고증수필과의 관계, 고증을 통한 소설의 창작, 지적활동인 고증을 위한 고증 등에 대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당시 서적의 간기를 통하여 고증수필에 대한 광고의 양상과 선전방법에 대하여도 논하였다.

      • KCI등재

        일본근세 고증수필 속 조선관련 기사

        김미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3 No.-

        Joseon was a country which ha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Edo shogunate. Joseon and Edo had a active cultural exchanges. Japanese literatians of the 17th and 8th centuries interested in Joseon cultures and wrote in what they thought about it. Joseon articles in the research essay of the early modern japan have not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studying Japanese modern literature. The articles related to Joseon in the research essay are Joseon goods(ink stick, tortoiseshell, shoes etc), Joseon books(『Jingbirok(懲毖錄)』『Jinbeob(陣法)』『pyohaelog(漂海錄)』 etc), Joseon characters (such as Hangul notation of “Namiamidabu” engraved on a stone monument), Joseon person(the person who came to buy Japanese books in Nagasak and Park sa-bu, Lee Me-gae etc). Among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ink stick form an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shoes sole are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the study of Joseon culture and custom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re was an intellectual exchange about the Joseon’s money ‘Sangpyeongtongbo(常平通寶)’and the paintings of the tiger etc. 조선은 일본 근세기의 에도막부가 유일하게 정식 국교를 맺은 나라로 양국은 활발한 교류를 이루었다. 조선의 문물은 일본에 전파되었으며, 이를 접한 근세 문인들은 자신의 수필집에 이에 대한 고증내용을 기술하게 된다. 고증수필집에 기록된 조선관련 문물은 조선의 물건(조선의 먹, 대모갑 비녀, 신발 등), 문자(비석에 ‘나무아미타불’ 한글표기 등), 조선본(『징비록』,『진법』,『표해록』등), 조선인(나가사키에 온 조선인, 이매계, 박사부 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본 문인들 사이에서 조선의 상평통보, 호랑이 그림, 조선통신사 행렬도에 대한 지적 교류가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선에서 건너간 먹의 모양, 조선 신발의 밑바닥 모양 등에 관한 조선 측 자료는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근세중후기의 고증수필 속 조선 관련 기사는 그들이 어떠한 조선 문물을 접했는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리가 알지 못했던 조선 문물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峿堂 李象秀의 『詩經』해설 방식과 의미

        신재식(Jae-Sik Shin)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본고는 조선후기 학자 峿堂 李象秀(1820~1882)의 「讀詩隨筆」을 통해 그 『詩經』 해설 방식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상수는 조선후기 호론계 경학자이자 농암계 문학가이다. 그는 호론계와 농암계의 여러 문인 학자와 교유하면서 고증학과 수사학의 장점을 아우르게 된다. 이는 다양한 해설 방식을 경학 연구에 활용하는 계기가 된다. 그 대표적 사례가 「독시수필」이다. 「독시수필」은 『시경』 해설서이자, 소견·감상·의론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술한 단편수필집이다. 이는 『시경』의 變風·變雅 중 위정자의 失政을 소재로 한 시구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사건의 배경과 인물의 심정을 분석하고 자신의 의론을 개진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는 경학자의 식견 뿐 아니라 문학가의 면모를 아울러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다. 「독시수필」의 『시경』 해설 방식을 검토한 결과, 그 양상이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사를 통한 의론의 강화, 서정을 통한 의론의 강화가 그것이다. 서사를 통한 의론의 강화의 경우 독자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시경』의 저작 시기에 근접한 사료를 논거로 삼아야 한다고 판단한 그의 고증학적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서정을 통한 의론의 강화의 경우 독자의 공감을 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시경』의 문학성을 ‘감정 이입을 통한 공감 유도’로 이해한 그의 수사학적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이상수의 경전 해설 방식은 호론계와 농암계의 고증학과 수사학의 장점을 계승 변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유연한 태도로 다양한 학설과 방식을 수용하여 활용하는 등 조선후기 변화된 학풍의 구체적 사례를 엿보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of commentary on 『Shijing(The Classics of Poetry)』 through 「Dúshīsuíbǐ」 by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Sang-soo(1820~1882). He was a Horon scholar and a nongam literatur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associated with various litterateurs and scholars of the Horon and Nongam worlds, and combined the strengths of Philology and rhetoric.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use various commentary methods in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A typical example is 「Dúshīsuíbǐ」. It is a commentary on 『Shijing』, and a collection of short essays that describe opinions, impressions, and opinions in a free form. It is in the form of aimed at poems about the ruling party's mismanagement,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and the feelings of the characters, and advanced one's own opinion. This is a case that reveals not only the insight of a scholar of scripture but also the aspect of a writ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thod of its commentary on 『Shijing』,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consisted of two main parts. First, Reinforcement of reasoning through narrative. Second, Reinforcement of reasoning through lyricism. First, It is to secure the trust of the readers, and reflects his bibliographical opinion, which judged that historical records close to the time of the writing of 『Shijing』should be used as a basis. It was intended to elicit sympathy from readers, and his rhetorical view was reflected in his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quality of 『Shijing』as ‘inducing empathy through empathy’. Therefore, his way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can be said to be a case of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merits of Philology and rhetoric.

      • KCI등재

        峿堂 李象秀의 『詩經』해설 방식과 의미 -「讀詩隨筆」을 중심으로-

        신재식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of commentary on 『Shijing(The Classics of Poetry)』 through 「Dúshīsuíbǐ」 by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Sang-soo(1820~1882). He was a Horon scholar and a nongam literatur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associated with various litterateurs and scholars of the Horon and Nongam worlds, and combined the strengths of Philology and rhetoric.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use various commentary methods in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A typical example is 「Dúshīsuíbǐ」. It is a commentary on 『Shijing』, and a collection of short essays that describe opinions, impressions, and opinions in a free form. It is in the form of aimed at poems about the ruling party's mismanagement,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and the feelings of the characters, and advanced one's own opinion. This is a case that reveals not only the insight of a scholar of scripture but also the aspect of a writ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thod of its commentary on 『Shijing』,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consisted of two main parts. First, Reinforcement of reasoning through narrative. Second, Reinforcement of reasoning through lyricism. First, It is to secure the trust of the readers, and reflects his bibliographical opinion, which judged that historical records close to the time of the writing of 『Shijing』should be used as a basis. It was intended to elicit sympathy from readers, and his rhetorical view was reflected in his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quality of 『Shijing』as ‘inducing empathy through empathy’. Therefore, his way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can be said to be a case of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merits of Philology and rhetoric. 본고는 조선후기 학자 峿堂 李象秀(1820~1882)의 「讀詩隨筆」을 통해 그 『詩經』 해설 방식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상수는 조선후기 호론계 경학자이자 농암계 문학가이다. 그는 호론계와 농암계의 여러 문인 학자와 교유하면서 고증학과 수사학의 장점을 아우르게 된다. 이는 다양한 해설 방식을 경학 연구에 활용하는 계기가 된다. 그 대표적 사례가 「독시수필」이다. 「독시수필」은 『시경』 해설서이자, 소견・감상・의론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술한 단편수필집이다. 이는 『시경』의 變風・變雅 중 위정자의 失政을 소재로 한 시구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사건의 배경과 인물의 심정을 분석하고 자신의 의론을 개진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는 경학자의 식견 뿐 아니라 문학가의 면모를 아울러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다. 「독시수필」의 『시경』 해설 방식을 검토한 결과, 그 양상이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사를 통한 의론의 강화, 서정을 통한 의론의 강화가 그것이다. 서사를 통한 의론의 강화의 경우 독자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시경』의 저작 시기에 근접한 사료를 논거로 삼아야 한다고 판단한 그의 고증학적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서정을 통한 의론의 강화의 경우 독자의 공감을 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시경』의 문학성을 ‘감정 이입을 통한 공감 유도’로 이해한 그의 수사학적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이상수의 경전 해설 방식은 호론계와 농암계의 고증학과 수사학의 장점을 계승 변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유연한 태도로 다양한 학설과 방식을 수용하여 활용하는 등 조선후기 변화된 학풍의 구체적 사례를 엿보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삼관여록(三官餘錄)」에 나타난 가람 이병기의 학문과 인생관

        이경애(Lee. Kyeong-ae)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8 No.-

        가람은 전북대학교에 재직하던 중 「삼관여록(三官餘錄)」 (『전북대학교보』, 1954. 2. 16.-1956. 4. 30.)이라는 제목으로 수필과 잡록 16편을 연재하였다. 그의 생전에 이루어진 많은 저작과 활동이 매 시기마다 중요하고 의미가 있지만 「삼관여록(三官餘錄)」은 그의 국문학을 정리하고 종합하는 기간에 이루어진 수필과 비평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순(耳順)에 이른 가람의 견문과 관심과 기호들을 중심으로 그의 학문관이나 인생관이 종합적으로 투영된 사유 체계를 탐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본 논문에서는 「삼관여록」의 구성과 특징을 살피고, 가람의 학문 연구가 문헌에 의한 고증학적 실증주의 방법임을 규명하였다. 이에 가람은 고전 문학작품을 해독하고 해석함에 있어 독창적인 용어와 해석으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고 국문학사를 전개하여 우리 국문학을 풍성하게 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가람은 인간의 힘으로 가능한 지식의 획득을 독서의 힘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강하게 주장하면서, 겸손한 학문의 자세로 자신의 삶이 놓이는 자리를 일관되게 기술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한국의 지성인이나 지성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아쉬운 현실에서 가람 이병기의 학문과 인생관은 한국학이나 한국 지성에 대한 사상사적 지평을 넓힌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he From 1952 when Garam served in Jeonbuk University to August 1956 when he retired, Garam had written a series of articles on essay and sixteen miscellanies named 「Samkwanyeorok」 for the University newspaper.(『Jeonbuk University Newspaper』, 1954. 2. 16.-1956. 4. 30.). It is significant that almost his main literary works about arranging and synthesizing in Korean Literature had been written during that period. Therefore, 「Samkwanyeorok」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that showed Garam’s affairs and his knowledge and literary thinking synthetically in his later years and is a material that was reflected his literary and real life as it was. 「White lotus」, 「Neofinetia falcata」, 「Candlelight」, 「Ogongjeup」, 「The shores of Deokjin lake」 and 「The friendship of Gu, Yul, U and Song)」 included in 「Samkwanyeorok」 were six essays in which Garm expressed his thought about the things and the characters he had an interest. Also,「Samkwanyeorok」(1954. 2.16), 「A hasty conclusion」, 「The children’s song and tale of Seodong)」, 「Jeongseokga」, and 「The song of the country」 were five works that the contents was his impression and criticism of Classical literature. 「Beauty and reality」, 「Geukga and Novel」, 「Strait reading of Chinese character」, and 「Series problem of Sijo」 were four works in which he wrote his opinion about literary theory and genre division. In this thesi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amkwanyeorok」 and the study on the methodology positivism way literature of Garam showed in 「Samkwanyeorok」 were reviewed and his modest academic position and position that will be held in th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