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위와 이상과 현실의 접점에서

        조용호(Yong-ho Cho)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1

        이 글은 ‘대학의 전공 교육으로서 고전문학의 새로운 길 찾기’라는 기획 발표에서 기조 논문으로 작성된 것이다. 이미 많은 교육자들이 고전문학 교육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논의가 지속된다는 것은 고전문학 교육에서 야기되는 문제가 개인적인 역량의 차원을 넘어서는 곳에 이유를 두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나는 그 원인이 대학에 대한 대중의 요구와 사회구조의 변화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고전문학 교육의 현재 상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변천사, 국어국문학과에 개설된 교과목, 졸업생의 진로환경이란 문제와 관련시켜 논하였다. 이것들은 각각 교수자, 교육과정, 학생에 초점을 맞춘 논지 전개이다. 먼저 교육과정기의 추이를 검토한 결과로 교수자들이 세대마다 특장점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그래서 중견급 이상의 교수들은 지식의 토대를 확충하여 주는 기본 과목을 강의하고 소장학자들은 고전문학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교육을 나누어 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는 여러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지식 습득을 위한 기본 과목과 현대적 활용을 위한 과목이 적절하게 분할되는 것이 좋으며, 지방대학에서는 해당 지역에서 창작된 작품 및 작가에 대한 연구와 강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졸업생들의 진로와 관련된 과목을 중시할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여기에서는 고전문학 콘텐츠를 활용한 시나리오 작성과 영상 제작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지만, 조만간 설치될 것으로 보이는 교육전문대학원 진학을 위해 기본 과목에 대한 강의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그렇지만 이런 역할 분담과 함께 연구와 해석을 통한 지식의 생산과 축적이라는 과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이 글은 개별적인 수업의 사례에 대한 제시가 아니고 고전문학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성격을 지닌 채 시작된 것이었다. 따라서 고전문학 교육을 위한 특별한 방안을 제시하는 대신에, 전공 교육으로서의 고전문학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에 대하여 논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교육이 성공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비결은 교육 당사자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바람직한 인간관계와 화합이라고 보았다. 이것이야말로 교육을 위해 필요한 기본 중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as a keynote paper in a planning presentation titled “Finding a New Way to Classical Literature as a Majo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lthough many educators have already suggested new ways to educate classical literature, discussions on this topic are repeated. This means that the problems arising fro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re reasoned beyond the dimension of personal competence. I judged that the cause was the public’s demand for universities and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In addition, the current situation and direction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re viewed from three directions. These are the history of changes in Korea’s education curriculum period, curriculum open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career environment of graduates. These are the development of thesis focusing on instructors, curriculum, and students, respectively. First of all,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trend of the education curriculum period, professors revealed that each generation has features. Therefore, it was desirable for senior professors to give lectures on basic subjects that expand the foundation of knowledge, and young professors to share education on the modern use of classical literature. Nex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various universities was reviewed. As a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basic subjects for knowledge acquisition and subjects for modern use be properly divided, and local universities need to study and lecture on literary works and writers created in the region. Finally, it emphasized the need to open subjects related to the career paths of graduates. This includes lectures on scenario creation and video production using classical literature contents. However, it was also emphasized that lectures on basic subjects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enter the education school, which is expected to be established soon. However, it should never be forgotten that the task of producing and accumulating knowledge through research and interpretation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along with this division of roles. This article began with the character of suggesting the direction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not presenting examples of individual classes. Therefore, instead of suggesting a special plan fo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 had no choice but to discuss the framework in which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s a major education could be activated. Nevertheless, the most important secret to the succes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as the warm human relationships and harmony formed between the educational parties. This is because this is one of the basics necessary for education.

      • KCI등재

        중등학교 고전문학교육의 위계성 검토 (1)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현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hierarch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secondary school with focused o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status of classical literature i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investigates the selection, hierarchical arrangements and frequenc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not distinctive and for this reason, classical literatures have low frequency in textbooks and only particular genres and works are chosen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s have low frequency and high repetitive inclusion rate in <Korean Language Ⅰ>,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The inclusion tendency is diverse according to standards of accomplishment. In <Literature> textbooks, educational contents are usually focused on history of literature, so the adequacy of these contents must be verified in accordance with literary experiences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고전문학교육의 위계성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상의 고전문학교육의 위상을 점검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국어>, <국어Ⅰ>, <국어Ⅱ>, <문학>, <고전>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선정과 위계적 배열, 고전문학 작품의 수록 빈도 등을 점검하였다. 점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단계에서는 고전문학교육이 변별적 지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빈도가 매우 낮았으며, 특정 장르나 특정 작품 위주의 수록 경향이 있었다. 고등학교 단계인 <국어Ⅰ>, <국어Ⅱ>에서 역시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빈도가 매우 낮았고, 고전산문의 경우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 다시 수록되는 등 작품 수록의 반복 현상이 심했다. 또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교과서 구성 방식으로 인해 ‘갈래’냐 ‘문학적 전통’이냐에 따라 작품 수록 경향에 차이가 있었다. <문학>에서는 교과서 수록 고전문학 장르가 다양하고 수록 작품의 성격 역시 다양하였으나, 과목 수와 성취기준 수의 축소로 인해 고전문학 교육의 내용이 문학사교육으로 수렴되었다. 학생들의 고전문학 작품 읽기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문학사교육 중심의 고전문학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고 적정한지에 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 KCI등재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맥락과 교육적 인식의 탐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문학교육 현상에 대한 관심의 일환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맥락을 탐색하고, 이를 매개로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교과서가 고전문학교육의 실행에 지배적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교과서 수록 제재는 특정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 교육의 의도, 요구, 관점 등에 따라 선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고전성과 문학성으로 나누고, 이를 준거로 2009,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록 실태와 맥락을 탐색하였다. ‘문학의 역할’, ‘문학의 수용과 생산’, ‘문학과 삶’의 영역에서 현대문학 위주로 수록, 편성됨으로써 고전문학은 전반적으로 소외, 배제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비교하여 고전성 강조와 문학성 약화의 경향성이 전반적으로 심화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고전문학이 과거의 산물이자 역사적 자료의 차원에서만 수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차원의 외적 변화 못지않게 고전문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같이 내적 차원의 대응이 요청된다. ‘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고전’으로서의 시공간적 거리감이 오늘날 학습자의 문제 상황과 요구에 응답하는 다양한 관계 맺음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로써 교과서 수록 맥락과 양상의 다각화, 수록 가능한 작품의 폭과 범위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학습량 감축, 역량 개념의 도래, 전통적인 문학 개념의 해체와 같은 외적 환경의 변화 또한 맹목과 당위의 차원을 넘어 이 같은 고전문학의 새로운 가치 탐색을 끊임없이 요청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xt of materials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awareness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as part of an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phenomena. This study accepts the premise that textbooks affect the practice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materials in textbooks are chosen according to the intentions, demands, and perspectives of education in specific social conditions. I divided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into two categories, classical and literary value,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and context of materials of literatur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1 revised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 is generally alienated and excluded; contemporary literature materials are mostly included and organized in the domains of ‘the role of literatur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and life.’ In addition, the tendency to heighten classical value and diminish literary value is deepen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only included as the product of the past, changes must be made not just to the curriculum, which are external changes, but to the awareness of the essence of classical literature, which are internal changes. Above all, generality as ‘literature’ and the sense of distance about space and time as ‘classic’ should be connected to various relationships which respond to problematic situations and the demands of learners. Based on the relationships, we can expect a rich diversity of contexts and aspects of included classical literature. In addition, an extension of the width and scope of included classical literature is anticipated. The reduction of workload, the advent of the concept of capability and the dissolution of traditional literature concepts are the changes of external environment, which is continuously requiring renewed investigation into classical literature beyond simple appropriateness.

      • KCI등재

        역량기반 고전문학교육의 방법과 과제

        최혜진 ( Choi Hye-ji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80 No.-

        본 논의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고전문학교육이 대학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방법과 과제를 제안한 것이다. 그간 대학교육에서 행해지는 고전문학교육은 고등학교 과정을 심화하거나 원문을 탐독하는 데 머무르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성찰하면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명명되는 미래의 삶에 고전문학이 기여하는 바가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제시했다. 대학에서의 고전문학교육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공통국어와 문학교육, 고전읽기 교과를 넘나들며 이해되고 교육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 사범계열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고전문학 관련 교과는 매우 한정되어 있어서 여전히 지식교육에 함몰되어 있다. 고전문학의 전통성과 문화적 원형성에 대해 현재적 의미를 끊임없이 찾도록 하는 교육방법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은 단순히 감상, 이해의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다양한 콘텐츠로 살아날 수 있는 창의적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교수-학습과정이 필요하며 교육평가방식도 다양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우리 시대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역량을 기르는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전문학교육도 여기서 예외가 될 수 없으므로 우리는 미래사회를 선도할 고전문학교육의 방법론과 과제를 고민해야 한다. 인간이해의 정수가 고전문학에 있으므로 고전문학교육은 인격적이고 인간다운 미래 문명을 건설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인문적 자산이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방법론으로 고전문학을 교육하기 위해 수행과제와 과정의 평가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역량개발을 위한 고전문학교육 방법으로 우선 정보활용역량을 기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식의 범주를 일방적 강의가 아닌 정보활용과 판단으로 자기화하는 힘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의사소통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매체 활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텍스트 위주의 문학교육이 아니라 이해와 감상을 다루는 다양한 매체로 만들고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고전문학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문화향유역량을 길러야 한다. 또한 적극적 차원의 문화 원형 재생산과 창작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작품에 대한 비판적, 창의적 사고역량을 기르기 위해 융합적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융복합적 수행 과제를 바탕으로 체험하는 학습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and tasks of how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view of the fact that, up until now,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t universities only reinforced the high school curriculum or remained at the level of reading the original text. My effort in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contribution the classical literature should make to our future life in a period commonly calle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t universities needs to be understood and educated across comm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classical reading. Classical literature-related subjects taught to students of Teacher’s College at the university are so limited that they are still immersed in knowledge-oriented education. It seems that what is required is an education methodology that constantly seeks the present meaning based on the tradition and cultural archetype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regard, classical literature should not simply stay at the level of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but should be related to the creative competence to enliven it by way of various contents To this end, a new teaching-learning process is needed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education should also be diversified. As a method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for competency development, it is suggested to develop the capability of information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the competence to self-enact the category of knowledge by using information and judgment rather than one-sided lectures. Next, it is necessary to use media to strengthen communication competence. It isnecessary to create and spread various media to deal wit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not text-oriented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apacity to enjoy culture in order to produce classical literature contents.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the reproduction and creation of cultural prototypes on an active level.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fusion practice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for the work. It emphasized the need for learning tasks to experience on the basis of fusion tasks. Now,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the direction of raising concrete and core competencies. Sinc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an not be an exception to this, we should consider the methodology and task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at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Since the essence of human understanding is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human asset for building a personal and human future civilization.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tasks and processes to educate classical literature with this new education methodology.

      • KCI등재

        팬데믹이 강제한 디지털 교육 환경 속 고전문학교육 장면 분석 -교육 공간/플랫폼의 확장을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7 No.-

        본 논문은 팬데믹이 강제한 디지털 교육 환경 속 고전문학교육 장면을 분석한 것이다. 고전문학 교사가 학습자들의 고전문학 리터러시 함양을 목표로 하였던 대면 수업은 팬데믹 상황이 강제한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새롭게 맞닥뜨린 수업 환경에서 고전문학 교사는 이전에는 몰랐던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었고, 고전문학 교육 장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무엇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미래 교육 환경을 예측한 보고서에서는 미래 교수 방법의 변화로 첫째, 교과 융합 교육의 확산, 둘째, 체험 학습 및 실험의 확대, 셋째, 학습 방식의 다양화(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확대, 온라인과 면대면 수업을 합친 혼합형 학습, 웹 기반 탐구 활동 등)를 거론하였으며, 미래 학교의 물리적 환경 변화의 방향으로 ‘디지털 교과서’와 ‘첨단 교실’을 주로 언급하였다. 우리는 2020-2021년 팬데믹 상황 아래에서 미래 교육 환경을 예측한 보고서의 상당 부분이 이미 고전문학교육 현장에서 현실화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고전문학 교실은 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넘나들며 유동적으로 구성되고 있고, 교실에 마련된 스크린 터치식 전자 칠판과 학습자들이 소지한 스마트패드, 스마트폰은 자연스럽게 연동되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넘나드는 디지털 교과서의 한 단계를 구현해내고 있다. 고전문학 교사가 고전문학 수업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는 학습자의 ‘고전문학 리터러시[Classical Literature Literacy]’를 신장시키는 것이다. 대면 수업이든 비대면 수업이든 수업의 기조가 변화하지 않았다. 2020-2021년 팬데믹 상황 아래에서 온라인 수업은 대면 수업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방법으로 고전문학 교실에 자리를 잡았다. 교수자와 학습자가 체험한 고전문학 교수-학습 경험의 질은 이전과 달라졌으며 특히 수업을 진행하는 공간/플랫폼이 크게 달라진 경험을 통해 교육 공간을 대하는 인식이 변화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대면 수업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지만, 비대면 온라인 수업은 대면 수업과 공존할 것이며, 대면 수업을 보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그리고 미래의 문학 교사는 대면 수업과 공존할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고전문학 교사에게는 다양한 교육 공간/플랫폼을 넘나들며 교사와 학습자가 수업을 통해 경험하게 될 교육 서사를 상상하고 구성하는 능력이 요청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cene of classical education in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forced by the pandemic. In the report that predicts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changes in future teaching methods include: first, the spread of subject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experiential learning and experimentation, and third, diversification of learning methods (expanding online learning community, blended learning, web-based inquiry activities, etc.), and mainly referred to 'digital textbooks' and 'high-tech classrooms' as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future schools. We have experienced the process of realizing a large part of the report predicting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under the 2020-2021 pandemic situation in the field of classical education. Classical studies classrooms are fluidly structured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and the screen-touch electronic blackboard provided in the classroom, smart pads and smart phones possessed by learners are naturally linked to the digital textbooks that cross text, images, and videos. Although we believe that online classes cannot completely replace offline classes, online classes will coexist with or assist in offline classes. After experiencing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forced by the pandemic, future literature teachers should have the ability to use variety of educational spaces/platforms, to design individual experiences across them, and eventually focus on a single class narrative or educational narrative to connect the teacher and learner's growth narrative.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문학의 역할과 의의

        정선희(Jeung Sun hee)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현재 우리나라의 각 대학의 교양 과목들을 살펴보면 인문교양이라고 할 수 있는 철학, 역사학, 문학과 관련된 과목이 적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양 과목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융합적 인재 양성, 통섭, 창조성 등을 논할 때에 늘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인문 교양이면서도 그 실제적 교육의 면은 아직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성은 인정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은 인문교양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우리의 고전문학이다. 주지하다시피 고전문학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민족에게 가치 있다고 여겨지면서 계승되어온 작품들이기에 우리의 사상, 미학, 생각과 생활이 모두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옛 문인, 사상가들이 정제된 문체와 논리적인 구성으로 깊이 있는 사상이나 문학적인 감수성을 다채롭게 표현해낸 작품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 하고 교육되지도 않은 채로 국문학과의 전공과목으로만 교육된다면, 우리의 고전문학은 더 이상 문학으로 감상되거나 후대로 계승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에서의 고전문학 교육은 대체로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었기에 요점만 간단히 알고 있거나 그나마 알고 있는 작품의 종류나 수도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읽고 감상하면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현재적인 텍스트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법을 고민할 시점이다. 이에 인문교양교육에서 기초가 되는 읽기ㆍ말하기ㆍ쓰기 교육에서 고전소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먼저 생각해 보고, 다음으로는 우리 문학의 전통과 통시성을 교육하는 방안을, 더 나아가 현대문학과 문화예술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면서 창작을 교육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인문교양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독서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 실용적ㆍ도구적 의미에서의 글쓰기 강좌에서 한걸음 나아가 독서와 토론과 유사한 과목들이 많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과목들의 독서의 대상으로 한국의 고전소설이 채택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고전소설에는 다양한 개성의 인물들이 등장하므로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서사 내의 갈등 양상은 예나 지금이나 보편적으로 있을 수 있는 것들이기에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소설에 형상화된 옛 사람들의 생활문화와 가치관은 현대문학이나 사회학, 신문방송학, 외국 문학 등의 교과목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고전문학을 통해 말하기와 글쓰기 방식을 교육하는 방법은 글쓰기나 논술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 교육 제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고전소설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활용된다면 인문교양교육이 정상화되어 대학생들이 다양한 지적 활동과 학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읽기를 유도하여 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현대사회는 세계화되어 있지만 이런 시대일수록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일이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계승하는 일이다. 그럼에도 이제까지는 전통적 문화 자산을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교육하지 못하였기에, 이러한 논의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작품 독서를 적극적으로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considering actual condition of human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suggesting using classical korean novels as solutions for its problems. That is, to discuss the role and meaning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to develop liberal arts that use classical korean novels. It is also to diverge from indicating classical korean novel just as one of major subjects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o consider ways to educate its various present values. I hope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literary tradition and identity of ethnic and to view korean culture variously through classical korean novel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actively use classical korean novels for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which is for cultivation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expression and the ability to reason. It is because classical korean novels are works that ancient writers and philosophers variously express thoughtful thoughts and literary sensitivity by a refined style and logical organization. Furthermore, with education that thematically connect classical korean novels and modern novels, students can diachronically experience korean literature, and by conceiving ideas and ways of remaking classical korean novels into modern poets, novels, movies and dramas, they can realize its contemporary values. The thesis of this manuscript is essential for invigoration and norma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hat can help students expand liberal art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l help set a found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mental and academic activities.

      • KCI등재

        한·중 고전 문학사 서술의 ‘장르’와 ‘시대 구분’ 용어 사용에 대한 비교 고찰 및 교육 방안 탐구

        왕샤오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3 고전문학과 교육 Vol.54 No.-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고전 문학사 서술 체계를 비롯한 문학사의 내용과 양국 고전 문학사를 접하는 학습자의 입장을 동시에 고려하여 향후 한국과 중국 고전 문학사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사’라는 개념은 서구 근대화 과정을 통해 동아시아에 도입되었고, 한국과 중국에서 각자의 문학사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문학사를 기술하는 서로 다른 체계와 관점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면 근대 민족주의의 산물로서의 ‘문학사’에 대한 재고가 오늘날에도 반복적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문학사 교육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아직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과거로부터 이어진 문학의 발전과 변화를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파악할 수 있는 고전 문학사 교육은 언어와 문학 전공자에게 중요한 지식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대학에서 주요 교과목으로 지속해서 다뤄질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문학사 교육에 대한 강조와 함께 현재 고전 문학사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육 목표와 내용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 내 한국 문학사 교육은 고전 문학에 접근하는 중요한 수단이므로 중국인 학습자의 고전 문학 학습 경험을 활용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학사 교육에서 용어 사용에 대한 비교 고찰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고는 먼저 1장과 2장에서 문학 교육 담론에서의 한국 문학사 교육 연구, 동아시아 문학사 비교 연구, 한·중 문학사 서술 체계와 관련 교육 문제를 제기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문학사 교육의 장에서 중국과 한국의 고대 문학사 서술 체계의 용어 사용이나 시대 구분 인식의 차이와 유래를 밝히고자 제2장에서 양국에서 널리 알려진 문학사 교재의 서술 체계와 맥락을 비교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과정은 중국에서 인지도가 높은 한국문학사 교재인 위욱승(韋旭升의『한국문학사(韓國文學史)』, 한국에서의 문학사 교재인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중국의 문학사 교재인 원행패(袁行霈)의 『중국문학사(中國文學史)』를 비교 제재로 삼아 한·중 문학사 전반적인 서술 체계, 대표적인 장르 용어와 분류 기준, 또한 그 맥락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양쪽에서 과거 한문학 장르를 공유하며 유사한 사상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근대화 이후 본국 문학의 발전 맥락을 고려한 정립 방법에 상당한 차이가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은 이론적 장르 구분의 인식이 강조하는 것에 비해 중국은 역사적 장르를 나열하여 그 변화 과정을 강조했다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양국에서 각자의 문학 발전 맥락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 교과서 서술에 드러나는 특징들은 한국과 중국의 고전 문학사 비교 연구나 향후 교육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 무엇보다 이러한 비교 고찰의 결과는 동아시아라는 포괄적인 시각에서 고전 문학사 교육을 전개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고는 양국 고전 문학사 서술 용어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전 문학사 교육의 방향을 ‘도표로 한·중 문학사 서술 체계 용어 사용과 그 배경을 쉽게 제시하기’, ‘한·중 고전 문학에 대한 비교 교육적 접근’, ‘한·중 문학사 ... The essay proposes an instructional methodology for teaching the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y focusing on comparing the usage of the terms “genre” and “periodization” in Korea and China’s literary history narratives.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was introduced to East Asia through Modernizatio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ir respective literary histories, Korea and China adopted distinct systems and perspectives to delineate literary development processes. To address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thesis begins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that have raised pedagogical concerns related to literary history narrative systems, encompassing literary education discourse and comparative East Asian literary history analyses. Furthermore,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rrative systems and contexts of literary history textbooks in China and Korea was conducted.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ree representative textbook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Wei Xushe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Cho Dong-il, and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by Yuan Xingpei). These textbooks are widely used in Korean and Chinese literary history class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hree textbooks reveals that the bifurca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which breaks away from the context of conventional classical scholarship using the genre of “Korean literat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introduction of genres in Chinese literary history, which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stylistic theory” of China. We can also see that the descriptors of these literary histories differed in the way they categorized the period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literary development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Thes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descriptions of Korean and Chinese literary history textbooks suggest that more comprehensive pedagogical measures need to be implemented in the classrooms to prevent learners from experiencing barriers to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genres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Classical literature. In Chapter 3, I proposed thre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such as “using diagrams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narrative system and its background,” “comparative pedagogical approaches to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in-depth learning based on specific periods or contact points of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ased on differences in the important terms that are used in two countries’ literary history narrative system.” Through thes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students of the classical literature of China and Korea will be able to exploit their background knowledge and develop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literary history narrative i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전문학과 교육』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염은열 ( Yeom Eun-yeo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8 No.-

        이 논문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고전문학과 교육』에 실린, 고전시가 관련 연구 경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관련 연구물들을 1차 자료로 삼아, 어떤 시기의 어떤 작품이나 장르, 문학현상 등이 주된 연구 자료가 되었는지 그 자료들이 어떻게 다뤄졌는지, 주된 관점이나 방법론은 무엇인지, 어떤 학문적 결과 내지 성과를 제출했는지 살핌으로써 학회의 학문적 정체성을 되짚어보고, 이후 학회 구성원들이 함께 논의하거나 해결해야 할 문제나 탐구 과제 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나아가 고전시가 교육 및 교육 연구를 둘러싼 갈등의 양상을 포착함으로써, 고전시가 연구에 바탕을 둔 고전시가 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가 성실한 기초 연구의 전통을 바탕으로 고전시가 연구의 본류에 있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고전시가 교육연구의 정체성 탐색 및 내용론 구축과 관련해서도 활발하게 연구 성과를 제출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전시가 연구자들과 고전시가 교육연구자들 사이에 ‘문학의 확장인가 아니면 축소인가’, ‘역사성의 외면이인가 아니면 보편성의 획득인가’, ‘인문적 기획인가 아니며 공학적 기획인가’ 하는 쟁점이 부각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제기된 쟁점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의 지향과 철학, 방법론 등을 재점검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문학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거나 문학교육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학술단체는 많지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처럼 고전문학연구와 고전문학교육연구 둘 다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학회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고전문학 연구 담론과 고전문학교육 연구 담론간의 길항 관계와 갈등 양상 등을 포착하는 데, 『고전문학과 교육』 만한 학술지가 없다. 따라서 이 학술지에 대한 검토는 비단 한 학회의 학술 활동을 점검하는 차원을 넘어서, 새롭게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여 기존의 학술 생태계에 진입하고자 하는 고전시가교육 연구 담론을 성찰함으로서, 한국 학술 담론의 지형도를 점검하고 다시 그려본다는 차원에서도 그 의미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보면, 고전시가 연구와 고전시가 교육 연구의 상생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우리가 반드시 살펴봐야 할 쟁점과 그 쟁점에 전제된 철학 및 방법론의 다양성과 차이를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he critical survey on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its education in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published by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From first volume(1996) to 16th volume(2009), 64 papers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here are three research trends, one is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38), another is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20), and the last is the literary therapeutic approach(6). In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historical approach has been preferred, and historical position and meaning of work or genre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ly. In the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e identity of education research and the theory of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has been pursued, and discussed how to approach old poetry as modern reader. After this general survey, we extracted several issues we should have discussed together in our academic society. These issues are 1) 'expansion of poetry? or reduction of poetry?', 2) 'lacking of historical perspective ? or getting universality?', and 3) 'educational technological approach ? or approach of humanities?'. As a fact, this survey was planned on the occasion of a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o, we hoped that we would reflect our researches and ourselves as researchers by now through our survey and find new themes to research through these issues.

      • KCI등재

        대학 고전문학교육의 현황과 그 방향성 모색

        박경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classical literary works are currently being appreciated and taught at universities, and to explore a fresh direction in this regard. There are problems surrounding the employment of graduates who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There is also a fierc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caused by a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Because of these, a need has arisen to take a drastic direction regarding the appreciation and teaching of classical works at universities. By making the most of existing studies on this issue,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t universities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from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level, to liberal arts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o convergence major and interdisciplinary major education. Changes in curriculum, opening of subjects, and securing a diversity of subjects are also examined to explore alternative methods. In addition, I tried to find a practical and specific direction for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t universities, taking the case of my experience in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I emphasized these with core competencies of Korean subjec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I found that students in classical literary classes can verify the current applicability of classical literary works based on the subject and performance-centered education. They can also increase their ability to analyze classical works by paying attention to the creative transformation of classical work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been inevitably changed by the COVID-19 pandemic, this direction raises questions of how the strengths of online lectures can be specifically us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classical literary classes. Attention was thus paid to the fact that, in online lectures, customized classes using presentations and feedback can work effectively. In the current university situation, it is not easy to realize both cause and practical value while discussing the enjoyment and teaching of classical literature. Further research in how to properly structur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continu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이 글은 한국고전문학 작품들이 대학교 내에서 현재 어떤 방식으로 향유되고 교육되고 있는지 그 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대해 좀 더 실제적인 측면에서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국문학 관련 학과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에 더해 학령인구의 저하로 인한 대학 간의 경쟁 구도까지 가세해, 대학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향유나 교육 상황에는 획기적인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해졌다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학에서 고전문학교육의 현황을 교양 교육과 전공 교육 및 융합전공과 연계전공 교육 영역에 이르기까지 행정적, 제도적 차원에서 자세히 파악하고, 교육과정의 변화나 교과목의 개설 및 과목의 다양성 확보 등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또한 필자의 고전문학 관련 수업 경험 사례를 들어 대학에서 고전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 이를 ‘2015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국어과의 핵심역량과 연결해 의미를 부여했다. 고전문학 수업에서는 주제와 연행(演行) 중심의 교육에 의거해 고전문학의 현재적 활용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고전 작품에 대한 창의적 변용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써 학습자의 개성적인 작품 분석 능력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 방향성 안에는 올해 내내 전 지구를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질 수밖에 없었던 교육 환경 속에서, 온라인 강의가 지닌 강점을 고전문학 수업의 교수 학습 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도 들어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강의에서 오히려 발표와 피드백을 활용한 단계별 맞춤수업이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현재의 대학 상황에서 고전문학의 향유와 교육을 논하면서 명분과 실제의 가치를 다 구현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고전문학의 가치를 지키면서도 시의적 차원에 맞게 적절히 이를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도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문학 교육 방법

        김민라(Kim Min Ra)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소설 교육의 일환으로써「허생전」이란 작 품을 토대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허생전」은 연암 박지원이 쓴 『열하 일기』의 「옥갑야화」편에 실려 있는 이야기이다. 허생은 그 당시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형의 인물로서, 당시의 비현실적인 명분론과 무능한 지배층을 비판하면서 구체적 행동을 통해 실학사상을 드러내고 있다.「허생전」은 연암의 선비정신과 이용후생의 실학사상을 탁월하게 형상화한 고전소설로 연암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18세기 후반 조선사회의 모순적 현실을 비판하고 그것을 해결하려는 연암의 의지와 노력이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허생전」은 단순한 허구의 소설이 아니라 강한 정치적 비판과 풍자성을 지니고 있어 현실 인식적인 에서도 문학 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문학교육의 일차적 목적은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있으며, 개인의 문학적 체험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문학 현상은 작가와 작품, 세계, 독자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문학교육은 작가와 작품에 반영된 세계의 이해가 그 주류를 이루었다. 그 결과 작품에 대한 접근보다는 작품 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문학 수업이 이루어진 것이다. 고전소설 교육은 그 작품이 창작된 시기에 살았던 선인들의 사유방식을 파악하고 민족 문화를 계승ㆍ발전시키며, 고전소설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고전문학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고 익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고전에 담겨 있는 선인들의 문학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작품의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통해 미적 감수성과 문학적 상상력을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전문학의 가치를 학습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편차를 극복하고, 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친숙하고 흥미있게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고전문학 교육의 특수성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높이고 능동적인 감상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에 치중하기 보다는 새롭고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여 고전문학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작품에 대한 친근감을 느끼고 교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paper studies building a teaching method of Korean for foreigners using the classic novel, <Heosaengjeon>. 「Okgapyajwa 」 in 『yeolhailgi』, which was written by Yeonam, Park Ji-Won, contains <Heosaengjeon>. Heosaeng, who is a problem solving character of the day, reveals Practical Thought through actions while criticizing unrealistic justification and the incompetent ruling class. <Heosaengjeon> is Yeonam's major work that formed classical scholar spirit and Practical Thought of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t criticizes contradictions of reality of Joseon in the later 18th century and it reflects Yeonam's will and endeavor. In this point of view, <Heosaenjeon> is politically critical and satirical beyond being a work of fiction. It is highly valued in its significance for literature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work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components of literature phenomenon are author, work, world and reader. Literature teaching has had a tendency to teach how to understand the world of the work so that it teaches external knowledge of that rather than approaching the work itself.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is to grasp the meaning of ancestor's thinking to inherit and develop cultural, traditions, and to comprehend their literal value.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is not only for putting knowledge to the learners, but for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ancestors' literature world, and inspiring aesthetic sensibility and literary imagination. It's purpose is also to convey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better, overcome the time variation and have learners to acknowledge classical literature and be familiar with them. Through considering the distinctiveness of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teachers should help to get rid of their own prejudice and commune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suggesting diverse opinions but not unilateral knowledge delivery, to elevate learners motivation and to develop appreciative ability about classical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