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속마을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유성과 무대화된 고유성 개념의 적용-

        이후석 ( Hoo Suk Lee ),맹창호 ( Chang Ho Maeng ),오민재 ( Min Jae Oh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안동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그들이 방문한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고유성 인식과 만족의 차이 그리고 고유성 인식과 만족 간에 영향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성 인식은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의 차원으로 요약되었고 관광만족은 만족의 단일요인으로 요약되었다. 둘째, 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과 만족에 대한 지역별 차이에서는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차원에서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유성 인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고유성 인식 모든 요인에서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구성적 고유성, 객관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의 순으로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Z- Score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것은 안동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지역 간 차이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verify that the differ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Andong Hahoe Folk Village and Yongin Korean Folk Village) perceived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stination, exi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authenticity was summed up by objective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existential authenticity, Tourism satisfaction was summed up by the sole factor of satisfaction. Secondly, in perceived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between Hahoe Folk Village tourists`` and Korean Folk Village tourists``,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dimensions of objective and constructive authenticity. Thirdly, in the effect which perceived authenticity had on satisfaction, every factor of perceived authenticity had an meaningful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structive authenticity, objective authenticity, existential authenticity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order, Ye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Z-Score to confirm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Hahoe Folk Village and Korean Folk Village existed, there were no regional differences in the effect which Hahoe Folk Village tourists`` and Korean Folk Village tourists`` perceived authenticity had on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중국 내몽골지역 문화관광의 고유성에 대한 연구

        박근수 ( Keun Soo Park ),이영관 ( Young Kwan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固有性은 관광지와 관광자원이 가지고 있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이며 관광객들의 여행체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固有性에 대한 연구는 관광객들의 문화적 여행체험 차원으로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다. 고유성에 대한 연구는 고유성의 유형, 성격, 그리고 고유성 입증과정과 같이 세부적이고 심층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관광매력물의 고유성은 MacCannell(1973)에 의해서 소개되었고 관광객들이 여행지에서 지역문화를 체험할 때 체험한 문화가 진짜인지 혹은 가짜인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이 맞추어졌었다. 관광객들은 다른 시대의, 다른 지역의, 다른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있는 고유한 문화를 경험하기 위해 여행을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현대사회의 생활자체가 고유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며 (unauthentic) 생활속에서 결핍된 고유성을 여행을 통해서 추구한다는 MacCannell(1976)의 주장에 많은 연구자들이 논의를 벌여왔다. 최근 관광대상의 고유성에 대한 논의는 누가 고유성을 부여할 수 있느냐는 주제로 확산되었다. Cohen & Cohen (2012)은 관광대상에 대한 고유성은 고유성을 부여하는 대상에 따라 Cool Authentication 과정과 Hot Authentication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Cool Authentication 과정은 권위 있는 인물이나 기관이 관광대상물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진품임을 공표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Hot Authentication 과정은 관광대상물을 중심으로 한 행위에 참여하는 대중들의 입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Cohen & Cohen (2012)은 Cool Authentication 과정을 통해 입증된 관광대상물은 종종 ‘박물관화 (museumization)’되는 과정을 겪으며 구식의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유물과 같은 처지가 되는 반면 Hot Authentication 과정을 통해 입증된 관광대상물은 관광객들의 입소문 등으로 알려지기에 알려지는데 시간은 필요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종종 관광매력이 더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관광지의 고유성에 대한 연구는 관광의 질적 체험을 높이고 여행의 문화적 중독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관광지 경영자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인 소재가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내몽골 지역(Inner Mongolia)은 1947년에 중국의 첫 번째 자치구가 된 역사적인 지역이며 중국이 국호를 중화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China)으로 선포한 1949년보다 2년 먼저 자치구로 인정되었다. 이 연구는 중국 내몽골 지역의 관광자원의 특징을 문화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내몽골지역 관광자원을 고유성 입증과정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내몽골 지역은 독특한 자연적 관광자원과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한 문화적 관광자원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고유성 입증과정의 두 범주인 Hot Authentication과 Cool Authentication에 속하는 각각의 관광자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내몽골 지역의 관광매력물 중에서 물리적인 자연매력물, 나담축제(Naadam Fair), 몽골 결혼 의식, 음악, 음식, Aobao 등의 문화자원이 Hot authentication에 속하며 Cohen & Cohen (2012)이 제시한 여행객들의 신념, 충성도, 비공식적인 구전에 의한 여행매력도가 있으며 관광유인력이 높은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몽골 지역의 역사성 있는 문화자원들인 징기스칸능, 왕소군묘, Wudangzhao 수도원, Wanbu Huayanjin탑, Dazhao 사찰, 5층탑 사찰 등이 Cool Authentication에 속하며 공식적으로 인정된 고유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유성 입증과정에 기반한 관광기획과 마케팅 방안이 문화적인 맥락에서 제안되었다. The concept of ‘authenticity’ has been proposed by MacCannell(1973). MacCannell, a socialist, argued that tourists could experience either a fake or real culture of destinations. According to him, the most important travel experience for a tourist is the culture itself of a destination. That is, a tourist’s experience level is determined rather by the essence of culture, such as staged or true authenticity of tourist resources. Recently, Cohen & Cohen (2012) argued authentication, the social process of authenticity is the essence of tourist experiences and more important than the authenticity, the culture itself. The study tried to analyze natural and cultural tourist attractions of Inner Mongolia by authentication process such as hot and cool ones. Several discussions regarding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tourist resources in the region are made. The authentication of tourist attractions of Inner Mongolia could be done by the qualitative criteria suggested by Cohen. Through this analysis of authentication of tourist resources in Inner Mongolia, the study suggests that tourism industry could take advantage of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resources into two different authentication categories to propel the tourism of Inner Mongolia as ecotourism of grassland.

      • KCI등재

        어촌체험휴양마을의 고유성이 체험가치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조성대,김창수 한국수산경영학회 2024 수산경영론집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체험휴양마을에서 직접 체험활동을 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고유성이 체험가치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방법과 설문지를 활용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등을 통해 3개의 주요변수와 7개의 변수별 구성요인을 정하고 선행연구와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은 어촌체험휴양마을(experiential fishing village) 중 경관(환경)·서비스, 체험, 숙박, 음식이 1등급의 우수한 평가를 받고, 갯벌체험과 온라인으로 고객관리가 가능한 4개 마을을 대상으로 2023년 2월 5일부터 4월 5일까지 설문 조사를 하였다. 기재사항이 빠진 설문지 등을 제외한 371부의 유효 표본을 데이터 코딩 후 SPSS 2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촌체험휴양마을의 고유성 요인으로는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의 3개 하위요인이 도출되었고, 체험가치 요인으로는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 등 2개 하위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주관적 행복감은 긍정적 감정, 삶의 만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어촌체험휴양마을의 고유성의 중요성을 살펴본 결과 실존적 고유성, 객관적 고유성 순으로 감정적 가치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만, 구성적 고유성은 감정적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기능적 가치에서는 구성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 객관적 고유성 순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체험가치는 감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 순으로 주관적 행복감의 긍정적 감정과 삶의 만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촌체험휴양마을의 고유성이 체험가치와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는 전략으로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어촌체험휴양마을의 방문객 대부분이 가족 중심(86.5%)이라는 특성, 체험활동에서 자아를 발견하는 실존적 고유성의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감정적 가치 제고를 위한 마케팅 경영전략의 적용은 체험 방문객의 주관적 행복감을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act of authenticity on experience value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visitors who have participated in direct experiential activities in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The research method used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using questionnaires, and this questionnaire was composed by determining three major variables and seven constituent factors for each variable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onducting prior research and preliminary survey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5, 2023 to April 5, 2023 among experimental fishing villages with excellent ratings for scenery (environment), service, experience, accommodation, and food, and four villages that can experience tidal flats and manage customers onlin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5, 2023 to April 5, 2023, among experimental fishing villages with excellent ratings for scenery (environment), service, experience, accommodation, and food, and four villages that can experience tidal flats and manage customers on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authenticity in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include three sub-factors: objective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The factors of experience value include two sub-factors: emotional values and functional values. Subjective well-being is derived from posi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upon examining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in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it was found that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objective authenticity, in that order,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otional values. However, constructive authentic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otional values. Third, in terms of functional values, constructive authenticity,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objective authenticity, in that order, had a significant impact. Fourth, experience value, in the order of emotional values and functional valu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si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henticity of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is important as a strategy to enhance experience value and subjective well-being.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visitors to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are family-centered (86.5%), applying marketing management strategies to develop programs that enhance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improve emotional values could elevat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xperiential visitors.

      • KCI등재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 수준에 따른 관광체험 차이 연구 - 서울 북촌을 방문한 외래객을 사례로 -

        이후석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2

        This study explored foreign tourists' authenticity perception on a Korea traditional vill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tourists' travel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Seoul Buckchon Korean Village on August 2010.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12 items of authenticity perception suggested three dimensions of authenticly perception: 'objective authenticity,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constructive authenticity'. In addition, a cluster analysis yielded two groups of authenticly perception groups(i.e., a low authenticity perception group and high authenticly perception group).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uthenticity-perception group and the low-authenticity perception in the four dimensions of tourism experience dimensions(i.e., escape/immersion, experience, edutainment, the sense of ties). Results also indicat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북촌 한옥마을에 방문한 외래객(inbound)을 대상으로 고유성 인식에 대한 수준과 그에 따른 관광체험 차이에 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고유성에 대한 측정치는 ‘객관적, 실존적, 구성적 고유성’으로 요약되었다. 그것은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한 것이다. 관광체험에 관한 측정항목은 “일탈/몰입, 신기성, 에듀테인먼트, 유대감”으로 요약되었다. Pine & Gilmore(1998)의 관광체험 4가지 구분[(미적 체험, 몰입, 교육 그리고 엔터테인먼트)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이다. 둘째, 고유성 인식수준별 집단은 2개(고유성 고인식 집단과 저인식 집단)로 구분되었으며, 특히 실존적 고유성은 위의 두 집단 간에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고유성 인식 수준이 관광객의 특성(성별, 연령, 학력, 직업, 수입, 동반자, 방문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북촌 한옥마을에 대한 고유성 인식 수준 집단(고인식, 저인식)에 따라 모든 관광체험차원(일탈/몰입, 신기성, 에듀테인먼트, 유대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관광체험 향상을 위한 고유성 인식 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상품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관광체험의 에듀테인먼트와 신기성 요인에 초점을 두는 상품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북촌 한옥마을에서만 가능한 유일성, 독특성을 갖는 다양한 관광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고유성 인식 수준을 밝혀주는 중요변수였던 실존적 고유성 요인인 북촌한옥마을의 고유한 볼거리와 한국의 전통적 생활방식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고궁의 행동의도 연구 : 고유성과 관광활성화 인식을 중심으로

        윤설민,장희숙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7

        Authenticity is a meaningful keyword in terms of invigora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in modern society. Therefore, studying the authenticity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identify the effect of authentic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ors of an ancient palace apply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by introducing authenticity and perception of tourism invigoration. To this end a sample of 404 tourists visiting an ancient palace in Seoul was obtained by onsite surve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ace-to-face interview, and a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bjective authenticity was found to have positively influenced existential authenticity. Second, only attitude excluding both authenticity (objective, existential)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ption of tourism invigoration. Third, objective authenticity and subjective norm excluding existential authenticity seem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Fourth, all constructs (perception of tourism invigora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intention. Meanwhile, after examining indirect effect by constructs, objective authenticity and attitude are important to form indirect relationships with behavioral intention. Also, subjective norm is important to form indirect relationships with behavioral intention as well as perception of tourism invigora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objective authenticity of ancient palace and promote positive attitude of visitors for the role of ancient palace as tourist sit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ancient palace were further suggested in the conclusion section. 현대사회에서 고유성은 문화유산관광의 활성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주제어이다. 따라서 고유성을연구하는 것은 더욱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고유성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고유성과 관광활성화 인식을 도입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적용하여 고궁에 대한 방문객의 행동의도를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의 고궁을 방문한 404명의 관광객에 대한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법, 면대면 인터뷰, 그리고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한 현장조사에 의해 얻게 되었다. 실증적 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객관적 고유성은 실존적 고유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둘째, 두 가지 고유성(객관적, 실존적)을 제외하고 태도만이 관광활성화인식에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존적 고유성을 제외하고 객관적 고유성과 주관적 규범은 태도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든 구성개념들(관광활성화 인식,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성개념별 간접효과를 규명한 결과 객관적 고유성과 태도는 행동의도에 간접 영향을 형성함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뿐만 아니라 관광 활성화 인식간접 영향을 형성함에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종합해봤을 때 이 결과들은 관광지로서 고궁의 역할을 위해 고궁의 객관적 고유성을 확보하고, 방문객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촉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가리킨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고궁을 위한 시사점들은 결론 부분에 더 제안되었다.

      • KCI등재

        문화유산관광지의 이미지와 행동의도 간 관계에서 고유성 인식의 매개효과: 백제문화유적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류재숙,임재필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1

        역사문화자원이 주된 관광자원으로 활용되는 지역은 방문객에게 과거에 대한 느낌을 제공해주고, 그 당시의 생활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더불어 관광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의 형성은 재방문이나 구전효과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문화유산관광지의 이미지에 대한 관리와 고유성의 인식은 재방문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문화유산관광지의 이미지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고유성 인식이 매개효과를 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백제문화유적지를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이미지의 3개 요인(관광자원, 관광시설, 접근성)과 행동의도 간 관계에서 고유성 인식(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객관적 고유성은 관광자원, 관광시설, 접근성 모든 요인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적 고유성은 관광자원과 관광시설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존적 고유성은 관광시설에서만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문화유산관광지에 대한 고유성 인식은 이미지와 행동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요인이며 특히 객관적 고유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저자의 고유성 강화를 위한 글쓰기 교육의 의의와 방향

        이재기 ( Lee Jae-ki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6

        글쓰기 교육은 수사적 맥락을 구성하는 요인 중에서 저자, 특히 저자의 고유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글쓰기는 저자의 고유성을 강조할 때 가능해진다고 보고, 저자고유성의개념, 저자의 고유성을 지향하는 글쓰기교육의 의의와 접근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유성은 ‘절대적으로 다른 것’으로서, 공간적으로 삶의 모든 층위에 존재하며, 시간적으로 전 생애에 걸쳐서 발현된다. 저자의 고유성을 강조할 때, 글쓰기 교육 중심에 전략이나 기능이 아닌 저자를 세우게 될 것이며, 이때 글쓰기 교육은 학생 저자의 자아실현과 자아 창조를 돕는 활동으로 재인식될 것이다. 저자의 고유성을 강조하는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활동은, 1)고유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내면화하도록 돕는 일, 2)고유성을 발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표명하도록 격려하는 일, 3)차이를 바탕으로 저자의 고유성들이 소통하도록 지원하는 일이다. 이러한 글쓰기 교육을 통해 학생 저자는 차이를 발견하고 차이를 인정하는 인식적·윤리적 감수성, 더 나아가 차이를 누리는 심미적 감수성과 차이를 조정하는 정치적 감수성이 형성될 것이다. 저자의 고유성을 강조하는 글쓰기 교육을 위해서는, 글쓰기에서 저자의 목소리를 중시하는 표현주의 접근법, 낭만중시 학파의 관점과 방법론이 적극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 여기’의 글쓰기 맥락을 강조한 연암 박지원과 바흐친의 관점이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측면에서 보면 자기 표현적 글쓰기 장르를 확대하고, 성취기준 진술에서 세부적인 기능과 관련된 진술을 삭제하거나 진술의 포괄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Writing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in a way that among the factors comprising the rhetorical context, the author, or especially the uniqueness of the author is strengthened. Considering that a new writing becomes possible when the uniqueness of the author is emphasized, this study is designed to discuss what the uniqueness of an author is and explore the meaning and approach of writing education which is oriented towards the uniqueness of an author. Uniqueness refers to ‘something which is absolutely different’. It exists above all other layers of life in terms of space while it is expressed across all life cycles in terms of time. When emphasis is made on the uniqueness of the author, the author would be put at the center of writing education rather than strategy or skill. At this time, writing education would be recognized as activities helping the student author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self-creation. What is important in writing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uniqueness of an author is as follows; 1) to understand the value of uniqueness and help it to be realized, 2) find out the uniqueness and actively encourage it to be expressed, and 3) help the uniqueness of the author to be communicated based on its distinguishing properties. Through this writing education, the student author will form the perceptive and ethical sensitivity which identifies and recognizes the distinguishing properties through the writing education, the aesthetic sensitivity which further enjoys the distinguishing properties, and the political sensitivity which adjusts the distinguishing properties. For the writing education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the author, the viewpoint and methodology of expressive approach and the romantic school, which put priority on the author’s opinion, need to be actively introduced. In addition, the viewpoints of Park Ji-Won and Bakhtin, which emphasized the writing context of ‘now here’ should be given a new spotligh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e expressive writing genre should be expanded, and the statements related to detailed skill should be deleted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inclusiveness of the statement should be enhanced.

      • KCI등재

        안확의 `조선민족담론`과 상호중심주의: 『조선문학사』와 『조선문명사』를 중심으로

        김현양 ( Kim Hyeon-ya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글의 목표는 안확의 대표적 저술인 『조선문학사』와 『조선문명사』를 중심으로, 그의 `조선민족담론`의 논리체계를 밝히고, 논리체계를 구성하는 체계항인 `고유성`과`고유성의 보편성`의 서술시각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술장에서 안확의 고립성을 지적하고 `상호중심주의`의 시각으로 안확의 `조선민족담론`을 독해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먼저, 안확의 `조선민족담론`은 고유성의 기원-고유성-고유성의 보편성-고유성의 계승으로 그 논리체계가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 다음으로 안확이 『조선문학사』와『조선문명사』에서 각각 `조선숭배`와 `자치`라는 고유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은 민족(국가)공동체의 혈연적(민족적) 바탕과 민주적 역량을 확인하고자 한 것이라 했다. 마지막으로 `고유성의 보편성`은 `조선은 서양과 다르면서 같다`는 상호중심주의 시각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며, 이는 탈식민의 방법이라 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logic system of Ahn Hwak(安廓)`s `Korean national discourse(朝鮮民族談論)` focusing on “Chosun literature history(朝鮮文學史)” and “Chosun civilization history(朝鮮文明史)”, and to grasp the narrative point of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uniqueness` which are the systematic constituents of his logical system. To this end, I pointed out the isolation of Ahn Hwak in the academic field and proposed to read `Korean national discourse` in the perspective of `mutual centrism`. On the basis of this, it is said that the logic system is composed of the origin of uniqueness - universality of uniqueness - uniqueness - inheritance of uniqueness. Next, it was said that Ahn Hwak tried to reveal the uniqueness of `ancestor worship` and `autonomy` in “Chosun literature history” and “Chosun civilization history” to confirm the national (ethnic) background and democratic competence of the nation. Finally, the universality of uniqueness was intended to reveal the viewpoint of mutual centrism that `Chosun is different from the West`, this is called the way of post-colonization.

      • 크리스천의 자아정체성 회복을 위한 칼 융의 개성화의 과정 연구

        김화정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07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2 No.-

        본 논문은 크리스천의 고유성 회복을 위한 치유의 도구로서 칼 융의 개성화 과정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참된 자기의 실현 과정으로서 개성화 과정을 기독교 상담학적인 견지에서 조명해 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고유성(uniqueness)의 의미는 성경적 관점의 자아정체성을 뜻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개인의 본래적인 모습과도 같다. 고유성은 일반적으로 자아정체성(self-identity)의 개념으로 이해 될 수 있으나, 필자가 말하는 고유성은 일반적인 자아정체성을 성경적인 관점에서 읽고, 해석한 것으로서,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 독특하게 지음 받은 개인의 본래적인 특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유성의 회복은 하나님의 자녀인 한 사람이 하나님께서 원래 의도하신 대로 변화된 것을 말한다. 그러한 시각에서 융의 개성화 과정은 크리스천들에게 본래의 자기를 실현해가는 삶의 여정을 위한 심리학적 통찰을 줄 수 있다. 특히, 무의식의 깊은 성찰을 통한 정신적 측면들에 대한 각성과 이에 대한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해준다. 융이 말하는 개성화 과정은 인격의 통합임과 동시에 자기(the self)됨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점에서 크리스천의 고유성 회복을 위한 치유의 도구로서 개성화 과정을 논할 근거가 있는 것이다. 고유성의 회복은 크리스천들이 그들 자신의 내적 분열을 인식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크리스천의 고유성 회복과 치유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인간은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 문제의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근본적인 부분을 간과하고는 진정한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본래 모습으로 돌아가고 원초적인 통일성을 회복하는데 까지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특히, 크리스천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더 깊은 수준으로까지 성장하기 위해서는 의식의 차원을 뛰어 넘어 ‘무의식’ 에 자리 잡고 있는 내적인 문제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래서 영적 성장을 방해하는 심리적 억압 요소들을 발견하고 그것을 치유 받아야 한다. 여기에서 기독교 상담의 답변이 요청되는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인 크리스천 한 사람이 궁극적인 자아상을 회복한다는 것은 진정한 자기로 바로 선다는 것이며, 고유한 존재로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것은 곧 하나님의 부르심을 깨달아 평화와 기쁨을 맛보는 삶인 것이다. 그런 면에서 융의 개성화 과정은 기독교 상담학적 입장에서, 크리스천의 고유성 회복을 위한 치유의 도구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맺는다. 이러한 탐구가, 크리스천들로 하여금 개인의 고유성을 회복해야할 필요를 인식하게 하고, 그것을 위해서 그들 자신의 무의식의 역동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를 일깨우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아동기 고유성에 따라 결정되는 자유발도르프 초등교육 : 이갈이 시기에서 사춘기까지

        정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고는 아동기 고유성이 그 단계 교육을 결정하는 자유발도르프학교 초등교육을 살펴보고, 우리 초등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자유발도르프학교를 세운 슈타이너 관점에서 본 7-14세 아동기의 고유성, 그리고 이에 기초한 자유발도르프학교 1-8학년 교육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슈타이너에 따르면, 초등교육기에 해당하는 7-14세 아동기의 고유성은 에테르체의 탄생에서 비롯된다. 에테르체는 내면세계(특히 감정 영역)의 발달과 관련된다. 또한 아동기 고유성은 대략 7년 주기의 리듬으로 발달하는 성장하는 과정 중의 존재로서의 특징이기도 하다. 아동은 눈에 보이는 신체만이 아니라, 영혼의 활동을 통해 자기만의 내면세계를 형성해가며, 그것이 정신세계와 관계를 맺는 신체?영혼?정신의 통합적 존재로서의 특성을 나타낸다. 아동기 고유성에 따른 자유발도르프 초등교육은 첫째, 리듬체계와 감정에 주안점을 둔 교육으로 수업에서 예술적 요소를 강조한다. 둘째, 초등교육은 교사의 권위에 의해 이 시기 아동이 갖는 세계에 대한 의문을 재확신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정신성(영성) 차원을 포함하는 전인교육을 추구한다. 이와 같은 자유발도르프 초등교육이 시사하는 점은 첫째, 발도르프교육이 기초하고 있는 인간관과 교육관의 통합성이다. 이것은 정신성을 포함한 전인교육을 추구한다. 둘째, 자유발도르프 초등교육은 인간됨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다. 셋째, 자유발도르프학교에서 말하는 아동기의 고유성은 에테르체의 탄생으로 결정된다. 이것은 초등교육이 주지주의 교육 일변도의 교육을 지양하고 예술적인 접근의 교육이 필요함을 설명해 준다. 마지막으로 영혼의 예술가로서의 교사는 초등교사가 교육내용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 창조성을 지니고 가르치는 아이들을 세심하게 알아야 함을 역설한다. This paper deals with Free Waldorf elementary school that the characteristic of childhood determine education of its period, and puts the purpose on exploring suggestions for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the philosophy of human being and characteristic of 7-14 years childhood of Steiner who established Free Waldorf school will be examined first. And then from these bases, features of Free Waldorf elementary education( 1-8 grade) will be inquired. The features of Free Waldorf elementary education are: Firstly, as the education putting emphasis on child's rhythm system and feeling, artistic elements are accentuated in education & teaching, Secondly, by a teacher's authority, elementary education should re-confirm the questions of world which child has. Thirdly, Free Waldorf elementary education pursuits whole education including a spiritual dimension. The suggestions of Free Waldorf elementar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viewpoint on human being and education is integrating. Second, the education aiming at humanness. Third, the childhood characteristic of Free Waldorf school is determined by etheric body. This tells that elementary education needs not the wholly-devoted knowledge education but the education of artistic approach. As an artist of soul, teacher must know the child carefully and breathe vitality into educational contents with one's own creativity and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