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근로자의 고용불안정 상태, 고용불안과 우울증상의 관계

        정윤경(Yunkyung Jung)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1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3 No.-

        우리나라 고령자들의 광범위한 고용불안정 상태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고령근로자들의 주관적인 인식이나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근로자의 고용불안정 상태 및 고용불안 인식과 우울증상의 시간에 따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은 한국고령화연구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차(2006)~6차(2016)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한 55세 이상 대상자 중 조사기간 동안 한번 이상 임금근로자로 일한 90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혼합효과 모델을 사용하여 고용유형 및 주관적 고용불안의 우울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용직에 비해 일용직 고령근로자들은 높은 우울수준을 보였으며 고용불안 인식 또한 우울수준과 정적인 관계에 있었다. 고용유형과 고용불안의 시간과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고용유형과 고용불안 인식에 따른 우울수준의 차이는 시간이 지나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근로자들의 상당한 비율이 객관적 고용불안정과 주관적 고용불안을 경험할 뿐 아니라, 이들은 고령근로자들의 정신건강의 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고용불안정 개선을 위한 정책적 개입과 비정규직 근로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significant proportion of olde workers with instable employment condition, empirical studies about their subjective perception on their employment instability and the health consequences remain limited.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job insecurity, and depressive symptoms of older workers over time. Analyses were based on 906 individuals aged 55 and older, who had ever worked as paid employee, and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1st to 6th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Findings from mixed-effects models indicated that compared to standard workers, daily-work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ve symptoms. Older workers with job insecurity perception also demonstrated greater depressive symptoms. Interactions of employment type by time and job insecurity by time were not significant reflecting the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depending on employment type and job insecurity perception tend to remain consistent over tim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not only high levels of employment instability and job insecurity perception, they also can be determinants of disparity in psychological health of older workers. Implications to the intervention needs for reducing employment instability and better working conditions of older workers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조도구성 인식이 노조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의 조절효과: 사립대학 직원을 중심으로

        박재희,이영면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1 産業關係硏究 Vol.31 No.4

        The recent decline in school-age population in Korea has caused some colleges to close, and this is expected to continue for some tim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mployees in private universities, unlike the professors, the level of employment security is low.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assumption that the union instrumentality can lead to the participation of trade union activities and ultimately improve employment stability.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is link will be strengthened in case of employment insecurit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surveyed the employees of four-year private universities and analyzed 290 sampl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on instrument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union activity participation. Unfortunately,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insecurity has not been identified. However, when an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employment insecurity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on the possibility of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of the university, the moder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verifying the relation between union instrumentality and union participation, which was confirmed mainly in the West, also in the domestic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analyze after the mid-2020s when the employment insecurity of the university staffs will become serious. It also means that the partnership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is important to respond the overall university crisis in the near future.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는 일부 대학의 폐교를 불러 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상당 기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사립대학교에 종사하는 직원 들의 경우 교수와는 달리 고용보장 수준도 낮아서 미래에 대한 불안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동조합의 실질적 효과인 노조도구성에 대한 인식이 노동조합 활동의 확대를 가져와서 궁극적으로 고용안정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는 가정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노조 가입이 나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할 때, 노 조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할 것이라는 가정이다. 더불어서 고용불안을 느끼는 경우 이러한 연결고리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국내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4년제 사립대학에 소속된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290개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조도 구성 인식은 노조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노조도 구성 인식과 노조참여와의 관계에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 다. 다만‘내가 속한 대학의 미래가 불확실해질 가능성’에 대한 설문 항목만으 로 측정한 고용불안을 조절변수로 하여 추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에는 노조 도구성 인식과 노조참여와의 정(+)의 관계를 고용불안이 강화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는 주로 서구에서 확인되었던 노조도구성 인식과 노조참여의 관계를 국내 상황에서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비록 당초에 측정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는 확인하지 못했으나, 향후 고용불안을 유발할 수 있는 설문 항목으로 측정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성과가 있었다. 차후 대학의 고용불안이 본격화될 2020년대 중반 이후에 재분석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대학의 노동조합이 사용자에 대한 교섭을 넘어 산별노조가입이나 기타의 연대 활동을 통해 입법부나 정부에 영향력을 강화 할 가능성과 전반적인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 간 파트너십 형성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는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반복되는 고용불안 발생 패턴과 정신건강의 관계 연구

        양정연(JungYeon Yang),이준협(Jun Hyup Lee) 한국보건사회학회 2021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58

        고용시장의 유연화 흐름 속에서 불안정 고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업자뿐만 아니라 비경제활동인구 증가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고용불안은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나 불안의 누적·반복 패턴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과거의 충격은 시간이 흐르면서 약화된다는 치유 모형과 스트레스의 축적이 특정 기준을 넘을 때 변화가 나타난다는 한계점 모형에 따라 과거 고용불안 경험이 현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복지패널자료(8기~14기)를 활용하여 10기~13기 임금근로자, 실업자, 구직포기자, 취업준비자 중 연령 조건을 충족한 2,673명을 선정하였다. 고용불안의 객관적, 주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자승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일회성의 고용불안 경험으로 인한 유의한 우울 및 자아존중감 악화는 발견되지 않았고 이를 넘어서는 불안이 최근까지 연속해 발생한 경우 정신건강의 악화 양상이 부분적으로 나타나 한계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과거에 고용이 불안했어도 최근 고용안정을 경험한 집단에서는 고용안정 집단에 비해 정신건강 수준이 낮지 않아 치유 가설을 지지하였다. 본 연구는 반복적으로 고용불안이 누적되고 있는 집단에 대한 관심과 고용불안 상태가 만성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신속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Job insecurity is increasing due to the flexibility in the job market, and the problem of increasing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as well as the unemployed is also becoming serious. Job insecurity is kn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mulated and repeated job insecurity and mental health. We examined the impact of past job insecurity on current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healing model that past shocks are weaker than current shocks and the breaking point model that changes occur when stress accumulation exceeds certain points. Using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cycles 8~14), 2,673 of wage earners, the unemployed, discouraged workers, and job seekers were selected. We considered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aspects of job insecurity and used Ordinary Least Squares(OLS) regression in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due to the one-time job insecurity, but if job insecurity occurred continuously until recently, it could worsen mental health, which confirmed the breaking point hypothesis. In addition, people who were unstable in employment in the past but are stable in recent years didn’t have a lower level of mental health than job security groups, which supported the healing hypothesis. Therefore, this study urges attention to people who experience repeated and accumulated job insecurity, suggesting that prompt policy intervention is required to prevent job insecurity from becoming chronic.

      • KCI등재

        고용불안정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용상태 변화 유형과 우울의 인과관계 추정

        변금선 ( Byun Geumsun ),이혜원 ( Lee Hyew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자료의 18세 이상 65세 미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불안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비정규직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고용유형의 다변화로 고용불안정이 일상화되고 있지만 고용불안정의 영향, 특히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자료 6차(2010년)와 7차 자료(2011년)의 근로연령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2개 연도 사이의 고용상태 및 고용상태 변화가 우울수준(CES-D)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구변수추정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적용해 고용불안정과 우울간의 역인과관계로 인한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고용불안정은 우울수준을 증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현재 고용상태보다는 고용상태의 변화가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었으며, 고용불안정의 유형별 분석에 있어서는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이동 혹은 실직 집단이 정규직 유지 집단에 비해 우울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생성을 제거하였을 때, 기존 연구에서 제한적으로 확인된 고용불안정과 우울의 인과관계가 더욱 명확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적극적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on depression among wage earners aged 18 to 65 years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 data. Employment instability is becoming more common with the increase in irregular worke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type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fu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between 2010 and 2011 on the level of depression (CES-D) in 2011. We controlled for the endogeneity due to reverse causation and selection bias by applying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s a result, employment instability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ed level of the depressive symptom. In particular, the unemployed and those who moved from regular to irregular jobs ha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ose in regular employment. This result shows the social causation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depression. Active policy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precarious workers.

      • KCI등재

        베이비 부머의 고용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조절·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은경 ( Chung Eunkyung ),하정화 ( Ha Jung-hwa ),한경혜 ( Han Gyoungh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 부머가 경험하는 고용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영향이 통제감에 의해 조절 및 매개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의 1차년도 및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1차시의 고용불 안정 정도 및 2년 사이 고용불안정 정도의 변화가 조사 참여자들의 건강상태(신체증 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관계를 통제감이 조절하는지, 그리고 2년 사이 통제감 수준의 변화가 고용불안정과 건강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고용불안정 정도가 높을수록, 또한 2년간 고용불안감이 증가할수록 신체증 상을 경험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통제감은 고용불안정 정도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는 못했지만 고용불안정 변화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하였다. 한편 고용불안정 정도 및 그 변화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2년간의 통제감 변화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 부머에게 있어 고용불안 정이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하는 주요한 스트레스원이며, 개인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통제감을 증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용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거시적 차원의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baby boomers` health and the extent to which these effects are moderated and mediated by a sense of mastery. Analyses are based on data from the 2010 (Time 1; T1) and 2012 (Time 2; T2) waves of the Korean Baby Boomers Panel Study. The results show that higher levels of job insecurity at T1 and changes in the level of job insecurity from T1 to T2 are both associated with more physical symptoms at T2. A sense of master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ange in the level of job insecurity and physical symptoms, but it does not moderate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at T1. Also, higher levels of job insecurity at T1 and changes in the level of job insecurity lead to a decrease in mastery, which in turn increases physical symptoms. The findings suggest that job insecurity is a major stressor which leads to adverse health outcomes. Moreover,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develop social policies which ensure employment stability as well as interventions to increase psychological resources.

      • KCI등재

        고용불안이 노조몰입, 이중몰입, 노사관계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헌일,정현우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고용불안이 종업원의 노조태도와 노사관계관련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노조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 포항지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노동조합에 소속된 조합원 236명을 대 상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를 설계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용불안이 노조몰입과 노조참가행동 그리고 투 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용불안은 노조몰입과 노조참가행동과 투쟁행동의 선행요인 임을 밝힐 수 있었고, 종업원의 노조몰입은 고용불안이 종업원의 노사관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 과를 갖는 것으로 실증분석결과 확인되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실시한 고용불안과 이중몰입의 관계는 유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용불안이 노조몰입은 높이고 회사몰입은 낮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자는 종업원의 고용불안을 줄여야 한다는 시사점과 노조몰입에 대한 관리 를 통해 종업원의 노사관계행동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연 구는 연구표본의 한계와 설문지법을 통한 실증분석이 가질 수 있는 한계점이 있음을 인정하며, 향후 연구에 서는 다양한 샘플을 통한 일반화의 노력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한 보다 엄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 시하였다. Recently many organizations have engaged in widespread restructuring as well as more flexible usage of labor in an attempt to cut costs and to increase profit. As a result of lays offs resulting from frequent restructuring, many people no longer consider their jobs as permanent positions. many employees have an increased feeling of job insecurity. There structuring and following downsizing have created an uncertain environment within creased fear offer ther job losses. therefore the study of job insecurity is significant.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curity and union-relation behaviors on the industrial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ed the strategies to company and u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union-relation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 job security. This study built a exploratory model that there is causal relationship of job security to union commitment, dual commitment, and labor related behaviors.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study model, th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urveys of 236 members of union that are located in Busan, Gyeongnam, Ulsan, and Poha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job insecurity is strongly related to the union commitment and union related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effect that the job security affects union commitment and union related behaviors are positive. With the research outputs, we have discussed about the academic and pragmatic viewpoint. We proposed comprehensive model to verify how the job insecurity affects the union-related behaviors, and objectively analyzed the model. The research result was opposite to what the existing theories have said that high job insecurity derives high union-related behaviors. This result is meaningful because it is concerned with the social issues-present situation of Korean company, low-employment, unstable employment and so on. Moreover,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expand the aspect of academic research on job insecurity as there are few research conducted in korea.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realistic alternative of union-related behaviors because it is proved that job security can contribute to innovation activities. Also,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matter of job insecurity is the basic need of organizational individual and presents that job security is not a notion but the alternative by using of the positional stability and situational control power.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is only utilized the cross-sectional study. To remedy the cross-sectional study, vertical, and serial method of research is needed. And there is no enough sample to secure more comprehensive data as the targets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Busan and Gyeongnam regions. Finally, the measurement tool for job security is needed to be suitably modified to by the South Korea's economic, linguistic, and cultural situation.

      • KCI등재

        고용불안과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도구변수법을 이용한 분석

        김준영(Joon-Young Kim),오혜은(Hea-Eun Oh) 한국보건복지학회 2023 보건과 복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제6차 한국근로환경조사(KWCS)를 이용하여 인지된 고용불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고용불안이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인과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고용보험DB에서 도출된 [중분류 산업 수준 비자발적 이직률]을 도구변수로 활용하는 2단계 프로빗 모형을 사용한다. 분석 결과를 보면, 단순 프로빗 모형은 물론 고용불안의 잠재적 내생성을 고려한 도구변수모형 모두에서 고용불안은 건강에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하부집단별 분석에서는 고용불안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다. 고용불안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여성, 임시·일용직 근로자, 장년층, 무노조 사업장 종사자 등 노동시장 취약집단에서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상용직 근로자, 남성, 노동조합이 있는 사업장 종사자 등 노동조건이 비교적 양호한 집단에서는 고용불안과 건강과의 관계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발견은 노동시장에서 고용 안정성의 격차가 건강 불평등의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KWC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ceived subjective employment insecurity on health.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ity of the effects of employment insecurity on workers health, this study uses a two-stage probit model that utilizes the involuntary turnover rate at the 2-digit industry derived from the Employment Insurance DB as an instrumental variabl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mployment insecur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worker’s health, both in the simple probit models and in the instrumental variable models that consider the potential endogeneity of job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health are not inconsistent in the analysis by subgroup.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health are relatively evident in vulnerable labor markets groups, such as women, temporary and daily workers, the elderly, and non-unionized business workers. However, for sub-groups with relatively favorable working conditions, such as permanent workers, men, and workers in unionized workpl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health is either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r positive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equalities in job stability across sub-groups might lead to growing health inequalities in the labor market.

      • 고용불안 지각, 조직기반자긍심, 반생산적 과업활동과의 관계

        조윤형(Cho, Yoon-Hyung),문명(Moon, Myung),정진철(Jung, Jinchul) 대한경영학회 2014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고용불안 지각이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역할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생산적 과업활동은 개인에 대한 활동과 조직에 대한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로 구분하였다. 먼저 주효과 가설은 고용불안 지각이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고용불안을 지각하는 조직구성원들은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할 것으로 보았다. 매개효과 가설은 조직기반자긍심이 이들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았는데 고용불안을 지각하면 조직기반자긍심을 통해 반생산적 과업활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고용불안 연구에 가장 적합하다가고 판단된 은행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7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용불안 지각은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기반자긍심은 고용불안 지각이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용불안을 지각하는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에서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유도하는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수를 규명하는 차원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고용불안 지각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반생산적 과업활동으로 이어지는지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job insecurity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CWB). also investigate mediator rol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those variables. OBSE has crucial positively related to work motivation and performance. as such, employees with high OBSE tend to develop and maintain favorable attitudes and perform effectively because such attitudes and behaviors are consistent with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386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job insecurity would increase CWB. based on result, we found that perceived job insecurity is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 to inducement CWB. Second, OBS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job insecurity and CWB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 fo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our finding of the mediating role of OBSE suggest that organization should recognize the effect of employment relationship which based on self-esteem. specifically, we suggest that it is organization`s interest to enhance employees` OBSE by promoting their perceived value as relational organization with respect to various workplace relationship.

      • KCI등재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변화에 대한 정보와 의사소통의 이중매개효과 연구

        김정원,서혜린,김동주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11

        본 연구는 IT 기업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변화에 대한 정보와 의사소통의 이중매개 효과를검증하고자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량 휴직 및 실직, 무급 휴직의 장기화, 임금 감소 등 근무환경의 변화가발생하고 노동시장의 축소라는 결과로 이어져 많은 이들이 고용불안을 경험하고 있다. 동시에 고용불안 속에서변화에 관한 정보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조직구성원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고 있지만, 어떤기제를 통해 발생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최근 높아지고 있는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고용불안이 높아지고있는 상황 속에서 변화에 대한 정보는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종단에는 직무만족에도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 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IT 기업 근로자 203명이 응답한 자료를분석했다. SPSS 25.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고, 연구모형의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ɑ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적용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불안은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388, p<.001). 둘째, 고용불안은변화에 대한 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418, p<.001). 셋째, 고용불안(β=-.135, p<.001) 정도가 낮을수록, 변화에 대한 정보(β=.517, p<.001) 정도가 높을수록 의사소통이높아진다. 넷째, 고용불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변화에 대한 정보와 의사소통을 투입했을 때 감소했으며,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완전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IT 기업 근로자들의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on changes and communication 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at IT companies. While changes are occurring in the working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uch as mass layoffs and unemployment, prolonged unpaid leave, and wage reductions have happened. This has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eople starting work, leading to many people experiencing employment instability. However, although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bout organizational change is being verified as a variable that can predict members’ resistance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what mechanisms it occurs through. In a situation where job insecurity is increasing due to increas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hreats, information on changes can be predicted to sequentially lead to activ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and ultima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formation on change an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rapidly changing labor market.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as follows.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answered by 203 IT company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ɑ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Process Macro’s Model 6 was applied to determine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e effects were analyze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insecur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β=-.388, p<.001). Second, job insecur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on changes (β=-.418, p<.001). Third, the lower the degree of job insecurity (β=-.135, p<.001)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information on changes (β=.517, p<.001),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Fourth,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job satisfaction decreased when information on changes and communication were applied, and since the 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mplete double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IT companies, and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후보

        고용불안의 선행요인과 고용불안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진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0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고용불안의 선행요인으로서 향후의 조직변화 가능성, 역할모호성, 비정규직 증가추세와 조직지원 인식을 통하여 고용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첫째, 종업원이 느끼는 고용불안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향후 조직변화의 가능성, 역할모호성이 고용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정규직 증가추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종업원의 고용불안은 조직지원을 통하여 감소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그러므로 종업원들이 향후의 조직변화 가능성, 역할모호성으로 고용불안을 지각한다고 하더라도 조직지원을 통하여 고용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조직지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or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the antecedents of Job Insecurity and the Job Insecurity Han, Jin-Hwan A study aims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job insecurity of the employees, and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o survive from business restructuring. We propose that survivors' job insecurity increase with their expectation about further organizational change, role ambiguity and irregular increase of employees. Based on the sample of 312 workers from nine firms that undertook restructuring, we find that anticipation about organizational change, role ambiguity increase workers' job insecurity, but irregular increase not increase. It is also found that their job insecurity has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this study found medi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linking antecedents of job insecurity to job insecurity. Key words:organizational change, role ambiguity, irregular increase, job insecurit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