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해충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의 살충력 및 섭식저해력 평가

        김유화,나영은,김민준,최병렬,조형찬,김순일,Kim, Yoo Hwa,Na, Young-Eun,Kim, Min Joon,Choi, Byung Ryul,Jo, Hyeong-Chan,Kim, Soon-I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2

        충해 또는 병충해 관리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제품 29종의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과 섭식저해활성을 분무법과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추천농도 분무 또는 잎침지시 유효성분으로 고삼 추출물 60% 단제(EOIS)와 고삼외 3종 식물 추출물(백부근, 멀구슬나무, 개박하, EIOSm) 및 고삼외 2종 식물추출물(EOISc)을 함유한 혼합제의 살충력이 우수했다. 하지만 반량 처리 시 그 활성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는 고삼 60%단제(EOIS)만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고, 비슷하게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 후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시 85%와 9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한 분무시험에서 고삼 외 3종 혼합제(EOISm)와 유채외 2종 혼합제(EOIR)가 93%와 68% 살충력을 보였는데, 농도를 배량 증가시켜도 살충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추천농도 잎침지에서는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만이 100%의 강한 접촉독성을 나타냈는데, 노출 시간과 농도를 증가시키면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과 유채외 2종 혼합제(EOIR)들의 살충력이 증가하였다.흥미롭게도 cedar oil 16%(EOICe), 고삼 60% 단제(EOIS),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 고삼외 2종 혼합제(EOISc), 미생물 89.62%(EOIM), 유채외 2종 혼합제(EOIR), 식물추출물(EOIPe), 차나무추출물 48%(EOIT)제 등은 파밤나방에 대해 분무처리 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이들 혼합제들 이외에 3종 미생물제들(EOIB, EOIM, EOIBs)과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 겨자외 2종(EOIMc) 등의 식물 추출물 혼합제들이 70% 이상의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대상 곤충 종 및 유효성분이나 처리량에 따라 살충력과 섭식저해력이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고삼추출물외 2-3종 식물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혼합제들의 유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Insect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29 commercialized eco-friendly organic products for managing plant diseases and insect pests against Plutella xylostella larvae, Spodoptera exigua larvae, Frankliniella occidentalis adults, and Myzus persicae adults were tested using spraying and leaf dipping bioassay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Products containing 60% Sophora extract (EOIS) and mixtures (EOISm) with Sophora extract, Stemona japonica extract, Melia azedarach extract, and Nepeta cataria extract as well as mixtures (EOISc) with Sophora extract, Chenopodium ambrosioides extract, and Melia azedarach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showed strong insecticidal activity at recommended concentration against P. xylostella larvae. At half concentration,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were decreased under 50%. The EOIS gave good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S. exigua larvae and also showed 85% and 95% insecticidal activity at 24 and 48 hours after treatment to F. occidentalis adults, respectively. For M. persicae adults, EOISm and mixtures (EOIR) containing rape seed extract, neem extract, and castar oil produced 93% and 68% insecticidal activity, but their activities did not be increased at double concentration. EOISm only showed 100% contact toxicity against M. persicae adults exposed to dipping leaves. Interestingly,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EOIR and EOICi (citronella oil and derris extract) against M. persicae adults was increased with exposed time and concentration. In addition, EOICe (cedar oil), EOIS, EOISm, EOISc, EOIM (microorganism), EOIR, EOIPe (plant extract), and EOIT (tea tree extract) gave strong antifeeding activity against S. exigua and P. xylostella larvae. EOIB, EOIBs, EOIM, EOICi, and EOIMc showed above 70% antifeeding activity to the lepidopteran larva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xtures containing 2 to 3 plant extracts with Sophora extract show good activities against insect pests, although the difference of insect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was produced depending on both a tested insect species and an active ingredient or concentration.

      • 친환경유기농자재의 농업해충에 대한 살충효과

        김순일,김유화,김민준,고현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병해충방제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27종 품목을 대상으로 복숭아혹 진딧물, 파밤나방, 배추좀나방, 꽃노랑총채벌레 등 농업해충들에 대한 살충력을 실 내에서 분무법과 잎침지법으로 4가지 농도(×2, ×1, ×0.5, ×0.25)로 검정하였다. 검 정에 사용한 27종 품목들 중 유효성분으로 고삼추출물, 백부근추출물, 멀구슬추출 물, 개박하추출물을 혼합 함유한 혼합제가 추천농도에서 분무법과 잎침지법 검정 시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각각 90%와 100%의 살충력을 보였다. 또한 파밤나방 2-3령충에 대해 분무법 및 잎침지법에서 90% 이상의 강한 살충률을 나타낸 제제는 고삼추출물을 60% 함유한 품목이었고, 고삼, 양명아주, 멀구슬나무를 혼합 함유한 제제가 잎침지법에서 80%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유효성분으로 고삼추출물 60%와 고삼추출물, 백부근추출물, 멀구슬추출물, 개박 하추출물을 혼합 함유한 제제가 분무 처리 시 90% 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반면 잎침지법에서 고삼추출물 등 식물 추출물을 혼합 함유한 혼합제와 미생물배양액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제제가 100% 살충력을 나타냈다. 한편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법에서 고삼추출물 60% 함유제가 85% 살충력을 보였다. 약량 을 배량으로 처리하여도 기타 다른 식물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제제들 에서는 유의할만한 살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아토피 피부염의 동물 모델인 NC/Nga mice에 고삼 증류수 추출물 크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송다해,김형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3

        Atopic Dermatitis is a recurring skin condition characterized by rash, dryness, and itching. The itching is often so severe that it leads to scratching, infection, and sleep disturbance. There is no known single cause for eczema, however allergies are often implicated - many patients with atopic eczema have increased blood levels of Class E Immunoglobulins, which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allergic reactions. The disease can occur at any age, but it is most common in infants, children, and young adults. To examine effect Sophora flavescens radix from distilled water extract cream used to NC/Nga mouse get in atopy control. The atopic drumatitis patients are extremely sensitized with BMAC allergens like Dermatophagoides farinae. so repeated application of BMAC ointment to the NC/Nga mice caused increase in dermatitis scores and serum IgE. After 2weeks application with kushen cream to the Nc/Nga mice, it caused decrease in dermatitis scores, serum IgE, skin erythema values and increase moisture ․sebum values in the back and ear skin. In view of the results, introduction of the kushen cream for atopic dermatitis is expected to be an appropriate supplementary treatment for patients who suffer from frequent recurrence of atopic dermatitis. 아토피(atopy)는 ‘이상한 (strange)’ 혹은 ‘부적절한 (out of place)’ 이라는 의미를 지닌 용어로서, 음식물 또는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난치성인 이 질환을 위해 다양한 치료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많은 부작용들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은 늘어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료효과는 높으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의 계발을 위해 기초 자료검색을 통해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되는 고삼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고삼(Sophore flavescentis radix)은 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의 양지의 초원에 자생하며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하며 근은 고삼, 종자는 고삼실이라 칭하며 약용한다. 고삼의 작용으로 항균작용, 소염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암작용, 이뇨작용, 강심작용, 항원충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진정작용, 항뇌수종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삼을 distilled water로 추출하여 엑스로 만들어 크림으로 조제 후 NC/Nga 마우스들에 도포하여 Clinical skin score, 혈청 IgE, 마우스 귀의 부종 및 두께변화, 피부의 염증, 수분, 유분정도를 측정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재일동포 고삼권 작품의 조국 이미지 연구

        김명지 ( Kim Myung J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고삼권(高三權 1939)은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난 재일동포 2세 작가이다. 그는 초창기 재일동포 미술의 형성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대표적인 민족미술단체와 일본미술계에서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러나 한국 미술계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삼권 작가의 생애와 그의 작품에 구현된 조국의 이미지에 내포된 의미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재일동포들은 과거 식민종주국으로의 이주로 인한 억압과 차별에 대한 반발로서 다른 재외동포들 보다 자신들만의 민족적 정서를 고수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을 대표적으로 보여준 작가가 고삼권이다. 그는 작품을 통해 조국에 대한 자긍심과 조국과 자신의 삶을 엮는 공통운명체 의식을 강하게 드러냈다. 그에게 조국은 그리움의 대상이며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고삼권 작품에 구현된 조국의 이미지를 세 가지 형태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는 조국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민족적 정서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사물인 도자기, 장구, 한복, 그리고 소와 조국의 자연환경을 작품 속에서 드러냈으며 자신의 조국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조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에 관심을 가지고 작품화하였다. 특히, 5.18 광주민주화 운동과 한국이 베트남 전쟁에 한국군을 파병한 것을 중심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가 구현한 조국의 이미지는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하나로 통일 된 조국이다. 그는 태양과 비둘기를 통일된 조국의 메타포로 사용하여 작품 속에서 통일에 대한 염원을 보여주었다. 그는 재일동포 2세로서 일본사회 속에서 민족적 자긍심을 가지고 작품 속에서 민족적 의식을 고취하고 민족적 동질성을 추구하는 작품을 하였다. 또한 그의 작업은 재일동포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는 장이였으며 조국에 대한 갈망을 예술로 승화시킨 것이다. Ko Sam-Gwon was a second generation Korean-Japanese that was born in Osaka, Japan in 1939. Even though he holds an important place in the formation of early Korean-Japanese art and was an active artist around a national art organization. Based on those discussions, the investigator interpreted the meanings connoted in the images of his mother country embodied in his works in multilateral ways. The images of mother country embodied in his works were analyzed in three forms: he depicted the objects and natural environments containing the national sentiment in his works to embody the images of his mother country, took interest in and introduced the historical events that took place in mother country in his works based on his affection for it, and embodied a single unified nation that did not exist in the reality and was imagined by him as the image of mother country. He used and presented the sun and the dove as the metaphors of his unified mother country in his works. He endured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in the Japanese society as a second generation Korean-Japanese, creating works in which he elevat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sought after the national homogeneity based on his national pride.

      •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조명나방에 대한 살충효과

        김순일,김민준,고현인,김유화,윤성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병해충방제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10종 품목을 대상으로 조명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력을 실내에서 검정하였 다. 목록공시된 각 유기농자재를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옥수수 잎에 방사한 조명나방 2령 유충에 수동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사하였다. 24시간 후, 살충력을 조사한 결과 고삼추출물, 백부근추출물, 멀구슬추출물, 개박하추출물 등이 혼합된 제제가 100% 살충력을 나타냈고, 고삼추출물 60%를 함유한 제제에서도 100% 살충력을 보였다. 그 외 님추출물, 피마자추출물, 유채추출물을 혼합 함유한 혼합제와 고삼, 양명아주, 멀구슬나무를 혼합 함유한 혼합제에서 약 50%의 살충력을 나타냈고, 미생물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제제와 씨트로넬라오일과 데리스추출물을 혼합 함유한 혼합제, 고삼추출물 만을 함유한 제제에서는 30% 미만의 낮은 살충력을 나타냈다. 나머지 3종의 유기농자재에서는 10% 미만의 낮은 살충력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가 우수한 제제에 대해서는 풋옥수수, 조, 수수 등 유기농 야외 포장에서 포장관리용 자재로서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것이다.

      • 님(Neem)과 고삼 기반의 식물성살충제가 귤굴나방 및 기생봉 천적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현승용,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주로 잎에 굴을 만들어 피해를 주는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Lepidoptera: Phyllocnisitidae)은 노지 감귤인 경우 7월 하순이후 여름순과 가을순 에 피해를 주고, 피해 부위로 감귤 궤양병 병원균이 침입하여 과원에 궤양병의 발생 을 촉진하므로 농가에 방제비용의 부담을 주고 있다. 본 실험은 친환경 농가에 귤굴 나방 방제방안을 제시하고자 기계유제 150배 처리, 고삼(상표명 : 경농 보검) 및 님 (상표명 : 동방아그로 푸른꿈) 기반의 제형화된 약제를 감귤포장에서 처리하였다. 님과 고삼약제는 1000배에 기계유 150배를 혼용 처리하였으며, 모든 처리는 7일 간격으로 3번 살포하고, 5개 신초를 채취하여 피해 잎 수와 기생봉의 기생여부를 조사 하였다. 처리결과 기계유제 단용처리는 귤굴나방에 대한 효과가 없었고, 님 또는 고삼 약제를 기계유유제와 혼용하여 처리하였을 때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처리구와 기계유제 단용 처리구에서 귤굴나방 천적 기생봉들이 발생되 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귤굴나방 발생을 억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고삼추출물을 이용한 식물기생선충의 방제 및 난낭형성 억제효과

        박상은,고나연,류태희,김정곤,신효섭,권혜리,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우리나라에서 토양 내 식물기생선충은 점차 밀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과채 류에 기생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주고 있다. 또한 식물기생선충은 주로 화학 적 방제를 이용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대체 방제제로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고삼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제품을 사용하였고, 토마토를 이용한 실내 포트실험을 통하여 대조약제(fosthiazate 30%)와 비교했을 때 선충을 방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희석배수를 조사하였으며, 충남 논산시 연산 면에 위치한 멜론 재배지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포트실험의 경우, Meloidogyne spp.는 1,000배와 2,000배에서 100%, Pratylenchus spp.는 2,000배에서만 100%의 살선충효과를 보였고, 기타 식물기생선충에서도 2,000배에서 높은 살충효과를 확 인하였다. 멜론 포장에 고삼추출물 약제의 희석배수를 2,000배로 처리했을 때, 약 제를 처리하지 않은 포장은 식물기생선충의 수가 늘어나는 반면, 약제를 처리한 포 장에서는 평균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eloidogyne spp.를 대상으로 난 낭형성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유충과는 달리 희석배수를 1,000배로 했을 때 가 장 적은 수의 난낭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다양한 해충에 대한 고삼추출물의 살충효과 구명

        박정현,홍석일,윤여준,김영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국내 친환경 유기농자재 목록공시에 등재되어 있는 303 종의 작물충해관리용 자재 중 고삼추출물이 원료로 등록되어 있는 자재는 63 종으로 약 20% 이상을 차지한다. 이 자재들의 대상해충은 어느 한 종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진딧물류, 응애류, 가루이류, 나방류, 멸구류, 깍지벌레류 등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심지어 선충류도 포함되어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삼추출물의 특이적 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각각의 해충에 효과가 있는 시중에 유통 중인 제품 6 종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파밤나방, 파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에 처리하여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사충률 80%를 기준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는 KB-B와 KB-N이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파밤나방에는 KB-C와 KB-U가 높은 살충력을 나타냈다. 파총채벌레에는 KB-D와 KB-N이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목화진딧물에는 KB-J와 KB-N이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었고, 점박이응애에는 KB-C, KB-N과 KB-U가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시중에 유통 중인 6 종의 제품은 시험에 사용된 5 종의 해충에 각각 다른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 KB-N은 파밤나방을 제외한 4종의 해충에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 Major pest and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for control in Sophora flavescens

        Hyo-Jeong Kim,Jin-Hee Lee,A-Hae Cho,Ji-In Kim,Kil-Ho Shin,Do-Ik Kim,Jin-Woo Lee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0

        유기농업자재 제조 원료가 되는 주요 식물인 제충국, 고삼, 데리스, 님 등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 으로 제품수급, 효용성 및 안전성 등에 빈번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자생식물을 추출물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중 마트린이 함유되어 살충제로 이용되고 있는 고삼에 흰가루병, 총채벌레, 줄붉은들명나방, 담배거세미나방, 거품벌레류가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특 히 줄붉은들명나방(Uresiphita prunipennis)은 7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발생하여 엽육을 갉아먹고 엽맥만 남기는 피해를 주었고, 피해주율은 11% 였다. 이를 방제하기 위해 18종의 유기농업자재의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주성분이 마늘추출물 80%, 데리스추출물 70% 등인 자재 6종이 80% 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고삼추출물의 항우식효과와 세포독성

        이현옥 대한구강보건학회 2001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ticaries activities of Sophora flavescens Ait, extracts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caused by Streptococcus mutans. The fraction 5-4-3 of the ethyl acetate soluble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Ait, showed strong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MIC, 3.13㎍/㎖). The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inhibited the formation of glucan by the fraction 5-4-3 and showed 77% of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at 100㎍/㎖, The ac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action 5-4-3 of the ethyl acetate soluble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Ait. may be a effective material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