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법학 106년 회고와 전망 -민법학-

        김제완 ( Je Wan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8

        이 글은 고려대학교 CJ법학관 준공을 계기로 고려법학 106년의 회고와 전망을 민법 분야에서 정리한 것이다. ``고려법학``은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우선 ``학술지로서의 고려법학``이 있고, 다음으로는 ``학교로서의 고려 법학``, 그리고 ``학문공동체로서의 고려법학``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학술지로서 고려법학에 나타난 민법학의 논제들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학교로서의 고려대 법대에서 역대 민법 교수들의 연구업적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학문공동체로서의 고려법학으로서 고려대 출신의 많은 민법 학자들과 실무가들의 연구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학파로서의 고려법학의 발전적 형성가능성을 생각해 본다. This article is a tentative extensive bibliography of the Korea University civil law scholars commemorating the dedication of CJ Law Hall. The author suggests the three aspects of ``Korea University Law`` which are KU Law as a journal, KU Law as faculty members, and KU Law as alumni. According to these aspects, this bibliography covers most of KU Law Review articles on civil law, articles, books and main researches of KU Law faculty members and KU Law alumni scholars on civil law area.

      • KCI등재

        고려법학 106년의 회고와 전망 ; 행정법학 발전의 회고와 전망 -고려법학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김연태 ( Yeon Tae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8

        《고려법학》의 전신인 《법학논집》이 간행된 이래 지금까지 《고려법학》 및 《법학논집》, 《법률행정논집》에 실린 행정법학 논문을 개관하여 《고려법학》이 행정법학의 발전에 기여한 의의를 찾고 행정법학의 발전상을 역사화하면서, 동시에 행정법 분야의 미래적 전망을 그려보는 것은 우리나라 법학의 발전에 있어서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그리고 그 학술논집인 《고려법학》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추어 볼 때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고려법학》에서의 행정법학의 역사를 어떻게 시대구분 할 것인지는 다양한 관점에 따라 행해질 수 있을 것인데,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제1기는 《법학논집》이 간행되기 시작한 1958년부터 《법률행정논집》으로 발간된 1981년까지의 시기로, 한국 행정법 1세대인 윤세창 교수를 중심으로 한국 행정법이 뿌리를 내리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2기는 《법률행정논집》에서 다시 《법학논집》으로 바뀌어 발간된 1982년부터 《법학논집》 제28집이 발간된 1992년까지의 시기로, 한국 행정법 2세대인 김남진, 이상규 교수가 중심이 되어 한국 행정법의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던 시기이다. 제3기는 《법학논집》 제29집이 발간된 1993년부터 제35집이 발간된 1999년까지의 시기로, 한국 행정법학의 성숙기에 해당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4기는 《법학논집》에서 《고려법학》으로 학술지 이름이 바뀌어 발간되는 2001년 이후의 시기로, 《고려법학》이 변화된 법환경에 대응하고 새로운 법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며 우리나라 법학의 발전을 주도적으로 끌고나가는 시기라고 평가될 수 있다.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행정의 기능과 과제가 변화하고 그를 대상으로 하는 행정법학 또한 새로워져야 함은 행정법을 전공으로 하는 우리들의 사명이며 계속 짊어지어야 할 부담이라 할 것이다. 새로운 행정법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고려법학》이 이루어 온 업적을 앞으로도 계속 계승,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고려법학》, 그 전신인 《법학논집》 및 《법률행정논집》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행정법 이론 및 판례의 변화와 발전에 주도적이며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 행정법 이론과 제도를 정립하고 창조적인 법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고려법학》이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것을 기대한다. Since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which is the former name of the “Korea Law Review” was published, it has become academically important to overview the thesis published in the “Korea Law Review”,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and the “Law and Administration Review” in order to study the contribution of the “Korea Law Review” on the developments of the science of Administrative Law. Overviewing the Korea University law journal series listed above is also helpful in historicizing the aspects of the evolution of Administrative Law while simultaneously outlining the future prospects of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The vitality of the efforts explained above is emphasized when concerning the high degree at which the College of Law at Korea University and its law journals influence the academic developments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In full consideration of the notion that the methods in which the history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is periodized in the “Korea Law Review” can by no means be interpreted under a single perspective, this paper divides them as follows. The first period is the time between 1958 when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was published and 1981 when the publishing title of the journal changed to “Law and Administration Review”. This period is when Korean Administrative Law laid its roots, primarily propelled by the efforts of professor Se-Chang Yoon, an academic among the first generation of the science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The second period begins in 1982 as the title re-changed to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and runs until 1992 when the 28th volume of the journal was made available. This period is shined with the great strides in the science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around the work of professor Nam-Jin Kim and Sang-Kyu Rhi, who were the second generation academics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The third period can be remarked as the time when the science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attained to maturity, running from 1993 when the 29th volume of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was published until the publication of the 35th volume in 1999. Lastly the beginning of the fourth period is marked by the change of the journal`s title to “Korea Law Review” in 2001 and the period has not seen its end until present. The fourth period can be evaluated as the time that the “Korea Law Review” copes with fluctuating legal circumstances and takes a key part in forming the theoretical base of new legal fields, as well as actively leading the way of progress in Korean Law studies at the very forefront. In accordance with periodical and societal variations, functions and tasks of administrations must change and it is not only an important mission but also a continuous responsibility of those who pursue the study of Administrative Law to recognize the changes and correspondingly renew the Administrative Law that applies to those changes. In order to vitalize interests and studies on the new fields of Administrative Law, researchers are advised to sustainably succeed and develop the achievements that the “Korea Law Review” has produced thus far. The “Korea Law Review”, along with its former versions that are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and the “Law and Administration Review” has been taking a significant role as an academic pioneer in modifying and maturing the theories and judical precedents of Administrative Law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 Law Review” will proceed and take charge of playing a principal role in establishing the legal theories and related systems in Korean Administrative Law while fostering a creative legal culture.

      • KCI등재

        고려법학 106년 회고 및 전망 -민사소송법의 관점에서-

        정영환 ( Young Hwan Chu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8

        본 논문은 고려법학 106년 회고 및 전망이라는 제목으로 민사소송법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고려법학(Korea Law Review)의 뿌리는 보성전문학교(Bosung University) 당시인 1907년 법정학계(Bosung Law Review)에 뿌리를 두고 있다. 논문의 내용은 고려법학의 학문적 업적은 보성전문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전임교수가 쓴 글이 주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1905년 이후의 보성전문학교와 고려대학교의 교수진을 살펴본 후에 고려법학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을 간단히 본다. 논문 중 1908년에 법정학계에 게재된 논문 2편은 민사소송법의 법제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생각되어 원문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으로 고려법학의 106년을 나름대로 회고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 고려법학의 향후 발전방향을 간단히 제시함으로써 그 전망에 갈음하고 있다. Under the title “Retrospecting one hundred and six years of Korea Law Review and prospecting its future”, this article is describing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journal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 procedure. Korea Law Review has roots in Bosung Law Review that was first published in 1907, by “Bosung University”, the former self of Korea University. Because academic values of Korea Law Review have been established by faculty members of Bosung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this article first examines faculty members of the two universities; then it briefly looks through contents of the scholarly articles published in Korea Law Review. This article reviews contents of two articles more thoroughly that were published in Bosung Law Review in 1908, because they are thought to have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legal history of Korean civil procedure. Likewise, this article looks back one hundred and six years of Korea law Review. Based on the retrospect, this article briefly suggests possible directions of future development of the journal in lieu of the prospect of it.

      • KCI등재

        3·1운동 100주년에 돌아보는 법학교육 100년 - 普成專門學校와 京城專修學校를 중심으로 -

        명순구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0 No.2

        The year 2019 marks the centennial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of international politics, as well as that of sociocultural history, the significanc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cannot be overstate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ccurred at a time when Japanese colonialism was gaining a firm grip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the Japanese Empire shifted from the initial so-called "military rule" to a "cultural rule". This could not but effect the educational system in Korea.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from a historical educational perspective is also great. During the late XIX century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found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se institutions began teaching jurisprudence which had developed in the West. The level of legal education provided during this period ranged from rudimentary to that of higher education.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latter, with particular emphasis on Bosung College and Kyungsung Special School. These two institutions were chose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osung College and Kyungsung Special School were the two main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With Bosung College being private, and Kyungsung Special School being public, it is worthwhile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stitutions. Secondly, the history of Bosung College and Kyungsung Special School is related to two currently existing institutions of legal education, namely Korea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as Bosung College became Korea University and subsequently Korean University School of Law, thereby maintaining its identity, the development of Kyung- sung Special School is slightly more complex. Kyungsung Special School in 1922 became Kyungsung College of Law, and after Korea gained independence merged with the Faculty of Law of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and is now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During turbulent time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proved to be a milestone in the educational history of Korea. In 2019, on the centennial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is paper proposes to commemorate higher legal education in Korea and provide a vision for the future.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독립운동사, 사회문화사, 국제정치사 등의 시각에서 3·1운동은 묵직한 의미를 가진다. 3·1운동은 일제의 한반도 식민지화가 공고하게 자리를 잡는 시점에 발생했는데, 이 사건으로 인해 일제의 통치방식이 ‘무단통치’에서 이른바 ‘문화통치’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교육제도 또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그러므로 3·1운동은 교육사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진다. 19세기 후반 한반도에 근대적 학교가 활발하게 설립되면서 각급 학교는 서양에서 형성·발전된 법학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법학교육은 매우 초보적인 수준으로부터 고등교육에 이르기까지 그 수준이 다양했다. 이 글에서는 고등교육 수준의 법학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여러 법학 고등교육기관 중 이 글에서 특별히 다루고자 하는 것은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와 경성전수학교(京城專修學校)이다. 그 이유는 이러하다. 첫째, 이들 두 학교는 3·1운동 전후의 시기에 전문적 법학교육을 지속적으로 수행한 대표적인 교육기관이면서, 각각 사립과 관립으로 그 설립주체를 달리하여 사립과 관립의 특성을 비교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 이들 두 학교는 현존하는 두 법학 고등교육기관(고려대학교와 서울대학교)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만 보성전문학교는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거쳐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역사적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존속하는 반면, 경성전수학교는 1922년 경성법학전문학교로 전환되고 해방 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중 법학계열과 통합되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구성하고 현재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존재하는 것이어서 다소 복잡한 성격을 가진다. 굴곡진 역사 속에서 3·1운동은 대한민국 교육사에서도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2019년, 3·1운동 100주년의 시점에 대한민국 법학 고등교육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법학교육의 미래 비전을 고민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고려법학 106년의 회고와 전망 -헌법-

        윤영미 ( Yeong Mi Yun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8

        고려법학이 106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고려법학에서의 헌법학의 역사는 상당히 짧다. 1960년대 초반부터 헌법학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1987년의 민주화 이전에는 그 수가 적었다. 한동섭, 구병삭, 계희열 교수가 이 시기의 주 저자들로서 정치적 성격을 가진 주제를 자유롭게 다룰 수 없었던 어려운 환경에서 헌법학의 기초를 닦았다. 1980년대 후반 이후로는 헌법학 연구가 매우 활성화되었다. 헌법원리, 기본권, 국가조직 등 여러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The history of constitutional law studies in Korea University Law Review(KULR) is very short compared with KULR`s 106 year history. Limited numbers of constitutional law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the early 1960s until the democratization in 1987. Main writers during this time were Han Dong Seop, Koo Byung Sak, Kay Hee Yol. Although important issues of political nature could not be published due to restriction of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expression, their research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law studies. After 1987, constitutional law studies began to develop significantly. Many articles addressing a wide range of topics in constitutional principles, basic rights, organization of state, etc. have been published.

      • KCI등재

        일반 논문 : MOOC에 의한 민법 교육, 경험과 진단 -고려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명순구 ( Soonkoo Myou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고려법학 Vol.0 No.80

        필자는 2015학년도 제2학기 고려대학교에서 ``민법`` 교과목을 MOOC로 운영했다. 이른바 오프라인 대학에서 정규 교과목을 MOOC로 개설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이 글은 대규모 강의에 있어서 학생들의 협력을 통해 단위 시간 동안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를 실행한 경험을 소개하고 그 효용을 진단한 것이다. MOOC는 민법 강의에서 자주 느끼는 시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MOOC ``민법``과 그 전에 통상적인 방식으로 운영했던 ``민법``의 여러 차이점 중 특기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준비를 매우 면밀하게 했다는 점이다. 교재로 사용할 교과서를 집필하여 출판하고, 각 주차별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여 그에 맞추어 강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강의 동영상을 모니터링하여 교정하는 등 준비작업에 들어간 시간이 적지 않았다. 둘째, MOOC ``민법``에서는 목표 진도를 무리없이 달성했다는 점이다. MOOC ``민법``에서는 전반부와 후반부의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면대면 수업에서는 교실에서 여러 번 반복 설명함으로써 시간적 손실이 불가피한 현상을 피할 수 있었다. 즉 학생들의 스스로 학습을 통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학습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셋째, MOOC ``민법``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을 촉진하는 동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한 학기 동안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교수든 학생이든 법학 교육의 방법에 관한 새로운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컴퓨터 네트워크를 비롯한 상호작용적 첨단교수매체를 활용한 강의는 정제된 수업준비를 통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면밀하게 구성된 온라인교육은 면대면 교육에 비하여 효율이 높다는 많은 연구결과를 체험할 수 있었다. 고려대학교 대학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또한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015학년도 2학기 MOOC ``민법``을 운영하면서 MOOC의 장점 옆에는 보완해야 할 단점도 병존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정규교과목을 MOOC으로 진행한 것이어서 시행착오도 있었다. 그러나 219명의 학생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쌍방향소통을 하면서 공부한 경험은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During the fall semester of 2015 at Korea University the present author taught a course on civil law by means of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This was the first time a regular course was opened as MOOC at an offlin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offer an introduction to and assessment of the experience the present author has had in MOOC as a method of conducting massive courses where students can learn efficiently through their cooperation during a unit period. MOOC has shown new possibilities in solving the problem of time constraints while teaching civil law. The following are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that teaching civil law through MOOC has shown compared to traditional offline courses. First, preparations for class required a far more meticulous and detailed approach. Writing a textbook as teaching material and having it published, shooting lectures according to a storyboard that is prepared on a weekly basis, monitoring the videos and reshooting necessary fragments were very demanding and time-consuming. Second, making it through the whole course on civil law via MOOC was not a difficult task. It was possible to maintain a balanced pace throughout the whole course, thereby allowing steady progess. It was possible to aviod time loss that inevitably occurs during traditional offline courses when there is a need to explain certain parts repeatedly. Therefore students could save time and thus enhance efficiency by studying on their own. Third, civil law courses via MOOC served as a stimulus for self- directed learning. This proved beneficial both for the professor and students alike, thereby opening up new possibl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use of computer network and other interactive means of teaching in conducting courses allowed for meticulous preparations for class which proved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vel of education. Experience in such teaching has shown that carefully structured online courses can be, as some research suggest, more efficient than traditional offline courses. A survey conduc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 University points to the same conclusion. Along with numerous advantages of teaching civil law as MOOC, the experience of the fall semester of 2015 has also revealed weaknesses that need to be addressed. However such trial and error were only natural, given that it was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a regular course was taught as MOOC. The experience with 219 students in interactive teaching and learning free from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will remain a memorable achievement to rec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