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려대장경』과 문화콘텐츠 활용

        최연주 ( Choi Yeon Joo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4 文物硏究 Vol.- No.25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족문화유산으로 경남 합천 해인사에 소장된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이하 『고려대장경』으로 줄여 부름)은 다른 문화유산에 비해디지털 기반이 잘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콘텐츠로의 개발이 용이하다. 『고려대장경』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은 그 자체가 갖고 있는 역사성과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추진해야 한다. 『고려대장경』은 목판이라는 하드웨어가 있고, 그 인지도 또한 높기 때문에 콘텐츠로서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 폭넓은 활용을 위해서는 여러 방면에서 응용 및 개발될 수 있는 문화원형 자원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고려대장경』이 문화콘텐츠로서 적극 활용되고 대중성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대장경의 이해를 높이는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한다. 단순히 인터넷으로만 제공되는 콘텐츠가 아니라 대중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발달과 문화상품재의 온라인화·디지털화는 각 영역 간, 문화상품 간의 장벽을 허물고 있다. 콘텐츠는 생산→유통→소비→생산이라는 선순환구조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므로 각 단계별 전략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전문 인력의 확보이다. 이를 위한 인적 자원의 발굴과 지원에 대해서는 불교계뿐 아니라 대장경세계문화축전(이하 대장경축전으로 줄여 부름)의 위원회 등 유관 기관에서 많은 관심과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大衆書籍을 중심으로『고려대장경』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필자 및 대중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고려대장경』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활용성 등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문화원형으로 재편집(재창조)되어, 문화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으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대중들에게 폭넓은 인지도를 형성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고려대장경』에 대한 문화콘텐츠로서의 응용과 활용은 부족한 실정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고려대장경』이 갖고 있는 주요한 요소들을 스토리텔링, 캐릭터, 콘텐츠 개발로 연결시켜야 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콘텐츠로서 개발 및 응용될 수 있는 지원 정책이 절실하다. 그래서 학문후속세대를 비롯한 전문 연구자를 적극 발굴하고, 소설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창작물과 기획물 등이 발간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Buddhist cultural heritage of Korea`s representative for The Tripitaka Koreana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content. Recent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and cultural products, digitize material online, the barriers between each area and each can break down barriers between cultural products. Considering this point, The Tripitaka Koreana is very likely that development. The Tripitaka Koreana compared to other digital-based cultural heritage is quite established. Content Production→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continues to grow through that cycle, because the structure strategy is needed for each step. In particular, it is urgent that the securing of professional staff. So that the excavation and support for human resources should have a lot of interest. The Tripitaka Koreana is a wooden plank that is hardware count as content is well-established infrastructure. Lots of software to be developed in terms of the variety of ways in the future should be applied. Tripitaka written in Hangul is easy to understand. Many modifications are needed to existing content. And experts or investigators should be excavated and actively. Based on this, such as the creation of various sectors should come out. Finally, as The Tripitaka Koreana is cultural content and application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to support measures to be ensured.

      • KCI등재

        동아시아불교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 -송(宋)과 고려의 대장경 편찬을 중심으로-

        박용진 ( Park Yong Ji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5

        본고는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에서 인도 성립의 외래사상인 불교가 중국에 수용되면서, 그 사상의 원천인 불교 경전을 번역하여 경록을 편찬하고, 이를 통하여 대장경을 조성한 전반적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불교사상과 정전화라는 측면에서 역경국가인 송나라와 이를 수용한 비역경국가인 고려의 대장경 조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송대의 대장경 조성은 『대중상부법보록』, 『천성록』, 『경우신수법보록』을 중심으로 역경과 경록의 편찬 전반을 살펴보았다. 송대의 역경은 비중역(非重譯)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243부 574권이 역출되었다. 그 가운데 대승의 경·율·론이 165부 448권이고, 대승경은 대부분 비밀부이며 123부 228권으로 인도 밀교 수용과 관련이 있다. 송대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의 특징은, 기존 사본 대장경의 정리를 통한 북송관판대장경[북송장]의 조성이 선행되었고, 이후 역경원을 두어 역경 사업을 진행한 점이다. 이 사업을 통하여 번역된 경전은 황제의 칙허를 거쳐 입장하는 한편 대장경의 정장을 보속하는 속장으로 간행되었다. 이러한 역경과 대장경 편찬은 국가 관리를 통한 규정성과 통일성을 갖추어 정전화(正典化)된 것으로 이해된다. 고려의 불교 경전에 대한 정전화 과정은 송나라 대장경 수용과 후속의 경전을 입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초조장과 재조장의 구성과 입장 경전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고려는 역경을 통한 경록의 제작이나 입장은 없었고, 북송장의 정장과 속장의 수용을 통하여 대장경을 조성하였다. 고려시대의 대장경 조성은 초조장과 재조장으로 나뉘며, 재조장은 1,498종 6,573권이었다. 고려의 대장경 수용과 전개는 대장(大藏)과 교장(敎藏)으로 구분되며,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대장경과는 그 구성에 있어 일부 차별적이고 독자성이 있다. 이러한 고려의 대장경 수용과 편찬을 통한 정전화 과정은 북송장과 또 다른 고려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과정과 전개에 해당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the compilation of the Canon catalogs(經錄), and the creation of the Tripitaka.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osition of the Tripitaka of Song Dynasty and Goryeo Dynasty.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The composition of the Song Tripitaka(北宋藏)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the "Xiangfulu(祥符錄)," "Tianshenglu(天聖錄)," and "Jingyoulu(景祐錄)". The translation of Song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non-duplication, and 243 copies of 574 volumes were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and the Tripitaka collation of Song are as follows. The Beisongzang(北宋藏) was made through the Kaiyuanlu Tripitaka(開元錄藏). Since then, the Song Dynasty has carried out a translation project with its business office Yeoggyeong- won(譯經院). The process of Canonization the Buddhist scriptures of Koryo is related to acceptance of the Song Tripitaka and subsequent entry into the scriptures. This was analyz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Goryeo Tripitaka-Chojojang(初雕藏) and Jaejojang(再雕藏) and scriptures included. Goryeo did not include the production of the Canon list through translation into classical Chinese, and created the Tripitaka Koreana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Jungjang(正藏) and Sokjang(續藏) of the North Songs. Tripitaka recognition of Goryeo had recognized to be divided into groups constituted by < Tripitaka with a focus on Sutras, Vinaya, Abhidharma sastras, the thre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and Kyojang with a focus on Commentary, Courtesy and Biography etc >. In Goryeo, it was deployed Goryeo-daejanggyung(高麗大藏經:the Korean Tripitaka) and Goryeo gyojang(高麗敎藏). In East Asia Buddhist community, this is the uniqueness and particularity with the Goryeo-daejanggyung.

      • KCI등재

        1915년 조선총독부의 고려대장경 인출 사업

        양혜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2 No.-

        본고에서는 1915년 조선총독부에서 인출한 고려대장경 관련 자료를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그간 불분명하던 자료들의 성격과 특징을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 자료의 첫 번째 분류는 규장각에 소장된 3종 자료로 ‘1915년 조선총독부 인출 고려대장경 관련 자료군’인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海士일10, 한은40) - 『大藏經綴本目錄』(奎26757) -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奎15036)’이다. 두 번째는 ‘1915년 조선총독부 인출 고려대장경 3부’로,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과 그 동일 판본인 일본 東京 宮内庁 書陵部 소장본 및 일본 京都 泉涌寺 소장본이다.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은 1915년 고려대장경의 인쇄 경위와 인쇄 과정을 소상히 밝히고 있다. 이에 의하면 당시 일본 천황가에 바치기 위해 조선 총독이던 寺内正毅가 해인사 대장경을 절본 1부, 철본 2부로 총 3부 인출하였다. 현재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은 그 중 ‘철본’ 대장경으로, 철본이란 선장본을 뜻한다. 『大藏經綴本目錄』은 규장각 소장 철본 고려대장경의 經名, 卷數, 張數, 冊次 등을 정리한 것으로, 그 내용은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의 현황과 정확히 일치한다. 또 여기 수록된 대장경의 경전 종수와 권수를 헤아리면 1,511종 6,805권이 되는데, 이는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 수록 小田幹治朗의 「大藏經印刷終了報告」에서 전체 경전이 1,511종 6,805권이라 언급한 것과 일치한다. 즉, 『大藏經綴本目錄』의 정리 결과를 근거로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이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은 위 두 자료의 기록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으며,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에서 서술한 조선 전통의 대장경 제작 기술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결국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한 이 세 자료는 서로가 서로를 설명해 주는 자료인 셈이다. 한편, 『大藏經綴本目錄』에서 고려대장경의 경전 종수와 권수를 각각 1,511종 6,805권으로 정리한 것은 현재 학계에서 통용되는 1,514종, 6,808권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大藏經綴本目錄』에서 「補遺目錄」, 『金剛頂瑜伽念珠經』, 『蓮華眼陀羅尼經』의 3종 3권을 별건으로 헤아리지 않았기 때문임을 밝혔다.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에서 언급한 1915년 조선총독부 인출 고려대장경 절본 1부, 철본 2부는 그 소장처가 불분명하였는데, 실물 조사를 통해 각각 일본 교토 泉涌寺, 서울대학교 규장각, 일본 도쿄 궁내청 書陵部 소장 고려대장경을 가리킨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書陵部 소장 대장경 사이에서 나온 카드를 통해,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에서 말하는 갑본이 泉涌寺 대장경, 을본이 규장각 대장경, 병본이 書陵部 대장경임도 밝혔다.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이 수집한 기록유산과 그 가치 - 특히『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광철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ere are many ancient books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e volume of books is 22,170 books of 5,750 kinds. These ancient books have collected by Jeong Jae-Hwan, the founder of Dong-A University. These books are classified in the form of Siku Quanshu(四庫全書). The volume of Gyung-Bu(經部) is 2,312 books of 556 kinds, Sa-Bu(史部) is 7,331 books of 1,175 kinds, Ja-Bu(子部) is 8,118 books of 2,014 kinds, Jip-Bu(集部) is 4,409 books of 2,005 kinds. 『Goryosa(高麗史)』 is essential data for the study of the Goryeo period and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ours.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Goryosa』). The DAU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Goryosa』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臧經)』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recognized as a priceless Korean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They represent the advanced level of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and its printing technology. The 『Tripitaka Koreana』 also reflect the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13th century East Asia. This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is Tripitaka Koreana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This Tripitaka Koreana has been printed in a circular pattern, providing a rich source of data. 동아대학교 고서 도서관 석당함진재에는 동아대학교 설립자 석당 정재환 총장이 수집한 고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 고서는 한국본, 중국본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주제별로는 경서를 비롯하여『고려사』 등 사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책판 등 불경, 법가를 비롯한 제자백가서 그리고 문집 등 다양한 주제의 고서들이다. 그 수량은 經部 556종 2,312책, 史部 1,175종 7,331책, 子部 2,014종 8,118책, 集部 2,005종 4,409책 등 모두 5,750종 22,170책에 달한다.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는 동아대학교의 고전에 대한 연구와 역주사업의 전개는 대학이 수집한 고서가 상당 수준에 올라 있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고서의 수집과 정리작업을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석당선생의 수집한 기록유산의 가치를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고려사』는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 나라 2대 정사의 하나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목판본 『고려사』는 보기드믄 완질의 판본으로, 『고려사』 139권을 75책으로 분책하여 15개 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책은 그 권 수를 일정량씩 묶은 것이기 때문에 책 수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분량과 내용을 고려하면서 요령있게 묶을 때 독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규장각 소장의 85책 태백산사고본과 대조해 본 결과, 그 광곽과 판심의 형태, 자형이 같은 모습이며, 오탈자가 동일하게 추출되고 있는 점도 동일한 판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함진재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1963년 4월부터 1968년 9월까지 인출한 13질 가운데 1질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는 고려대장경판이 갖는 본래의 가치와 인경과정과 방식에서 비롯된 가치 두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고려대장경은 현존하는 대장경판 가운데 최고의 정확한 대장경이다. 함진재 소장의 고려대장경 인경본에는 인경 당시의 각수 자료가 상당 부분 원형대로 인경되어 있어 원천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들 각수 자료 가운데는 그들의 출신성분이나 발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 고려대장경의 역사․문화적 실체와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이 수집한 기록유산과 그 가치 - 특히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광철 ( Kim Gwang-cheol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동아대학교 고서 도서관 석당함진재에는 동아대학교 설립자 석당 정재환 총장이 수집한 고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 고서는 한국본, 중국본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주제별로는 경서를 비롯하여 『고려사』 등 사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책판 등 불경, 법가를 비롯한 제자백가서 그리고 문집 등 다양한 주제의 고서들이다. 그 수량은 經部 556종 2,312책, 史部 1,175종 7,331책, 子部 2,014종 8,118책, 集部 2,005종 4,409책 등 모두 5,750종 22,170책에 달한다.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는 동아대학교의 고전에 대한 연구와 역주 사업의 전개는 대학이 수집한 고서가 상당 수준에 올라 있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고서의 수집과 정리작업을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석당선생의 수집한 기록유산의 가치를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고려사』는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 나라 2대 정사의 하나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목판본 『고려사』는 보기드믄 완질의 판본으로, 『고려사』 139권을 75책으로 분책하여 15개 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책은 그 권 수를 일정량씩 묶은 것이기 때문에 책 수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분량과 내용을 고려하면서 요령있게 묶을 때 독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규장각 소장의 85책 태백산사고본과 대조해 본 결과, 그 광곽과 판심의 형태, 자형이 같은 모습이며, 오탈자가 동일하게 추출되고 있는 점도 동일한 판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함진재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1963년 4월부터 1968년 9월까지 인출한 13질 가운데 1질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는 고려대장경판이 갖는 본래의 가치와 인경과정과 방식에서 비롯된 가치 두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고려대장경은 현존하는 대장경판 가운데 최고의 정확한 대장경이다. 함진재 소장의 고려대장경 인경본에는 인경 당시의 각수 자료가 상당 부분 원형대로 인경되어 있어 원천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들 각수 자료 가운데는 그들의 출신성분이나 발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 고려대장경의 역사·문화적 실체와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었다. There are many ancient books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e volume of books is 22,170 books of 5,750 kinds. These ancient books have collected by Jeong Jae-Hwan, the founder of Dong-A University. These books are classified in the form of Siku Quanshu(四庫全書). The volume of Gyung-Bu(經部) is 2,312 books of 556 kinds, Sa-Bu(史部) is 7,331 books of 1,175 kinds, Ja-Bu(子部) is 8,118 books of 2,014 kinds, Jip-Bu(集部) is 4,409 books of 2,005 kinds. 『Goryosa(高麗史)』 is essential data for the study of the Goryeo period and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ours.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Goryosa』). The DAU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Goryosa』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臧經)』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recognized as a priceless Korean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They represent the advanced level of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and its printing technology. The 『Tripitaka Koreana』 also reflect the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13th century East Asia. This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is Tripitaka Koreana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This Tripitaka Koreana has been printed in a circular pattern, providing a rich source of data.

      • KCI등재

        고려대장경의 정치ㆍ사회적 기능과 의의

        박용진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9 No.-

        This stsudy analyzed ‘Political-social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Tripitaka Koreana in the Goryeo Dynasty’. This study analyzed political and diplomatic background of Tripitaka import of Goryeo, philosophy that made the Tripitaka, political and social utilization of Tripitaka.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Goryeo imported the Tripitaka in Song(宋) and liao(遼). These Tripitaka became foundation of Chojo-Taejanggyong(初雕藏) and Jaejo-Taejanggyong (再雕藏). Tripitaka imports have international politics correlation between three countries such as Goryeo and Song(宋) and liao(遼). In addition, countries were advocating cultural nation through the Tripitaka making. This study analyzed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authorities’ and ‘purpose of the Tripitaka making from aspect of the inclusion’ for making of Goryeo Tripitaka and national Buddhist. Philosophy that made the Tripitaka pray for peace of the nation and overcome of national crisis in the blessedness of the Tripitaka. In addition, it is the idea that protect the country through the power of Buddhism(佛法治國). Tripitaka was accomplished the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 to construct a sense of unity by integrating society with the idea that protect the country through the power of Buddhism(佛法治國) through the Buddhist rituals and temples enshrined. 본고는 고려시대 대장경의 정치사회적 기능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고려가 대장경을 수용한 정치외교적 배경, 대장경 조성의 이념, 대장경의 정치사회적 활용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고려의 대장경 수입은 북송과 요에서 최소 12차에 걸쳐 이루어졌고, 이 대장경이 고려 초조장과 재조장의 근간이 된다. 대장경의 수입은 고려와 송 그리고 요와의 국제정치적 상관성을 가진다. 또한 각국은 대장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국을 표방하였다. 고려대장경 조성의 이념은 대장경의 공덕으로 국난의 극복과 화합평안을 기원한 것으로 불법치국의 이념에 기초한 진호국가의 사상을 담고 있다. 대장경의 정치적 기능은 대장경 관련 국가 불교의례의 설행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사』에 수록된 대장경 관련 불교의례는 5종 43회가 개설되었다. 대장경 관련 불교의례는 국가적 불교의례로 설행되었으며 불법치국을 널리 펴는 정치적 성격을 가졌다. 대장경의 사회적 기능은 중앙과 지방의 주요 사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사회통합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대장경은 국가가 조성한 것으로 왕명으로 반사되어 주요 사원에 봉안되었다. 고려후기에는 재조장이 조성되어 소장처가 확대되었고, 원간섭기에 이르면 왕실이나 권문세족, 더 나아가 군현민의 시주를 통하여 원나라에서 대장경을 구입하여 수장하는 대장경의 소장 범주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고려말에는 재조장에 한정하여 인경되고 유통되었다. 대장경은 고려 일대 불교의례나 사원 봉안을 통하여 불법치국의 이념으로 사회를 통합하고 일체감을 조성하는 정치사회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고려시대 『金剛般若波羅密經』 彫成 현황과 書誌的 성격

        최연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is the 13th-century elites, including unmanned forces and local-powered, etc. are organized by officials was published. In addition, the monks and Buddhist temples personnel were actively involved. In an optative sentence review period - there was hope that the end of the 13th century, safety, security and the war of the people of the country, the 14th century there was hope that the Emperor Yuan(元) and King of longevity. Such information may be published at the time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came in the 13th century, was investigated thoroughly and check the caret such as a piece in contrast to the content. The same two kinds of woodblock this contrast is to present the results. In particular, participants i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of the 13th century sculpture professionals and many monks were investigated. The figures from the survey hyoyeo(孝如), chungseo(冲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etc., are the same person and the person involved when a piece of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Discussed previously published Sutra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goals and business looks to be the same with each other and their desire to pursue a practical sense. So hyoyeo(孝如), chungseo(冲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such as who will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business.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of business, we can guess that the propulsion to take advantage of existing facilities and professionals. 이 글은 고려시대 간행된 『金剛般若波羅密經』(이하 『금강경』이라 줄여 부름) 각 本의 서지 사항과 지․발문, 板의 비교 등을 통해 『금강경』 조성이 갖는 시대적 의미와 역사적 의의를 다루었다. 『금강경』은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阿彌陀經』과 함께 널리 알려진 불교 경전 중 하나이다. 禪宗의 중심 敎義를 담고 있어 존중되며, 구마라집 번역본이 가장 널리 읽혀져 왔다. 7세기경 신라에서 암송된 기록이 있으며, 고려 전시기에 걸쳐 여러 차례 雕成되었다. 13세기와 고려 말기에 집중되었는데, 당시 시대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이하 『고려대장경』이라 줄여 부름)에 편입된 『금강경』을 제외한 판본의 조성 및 인출 주체를 구분해 보면 고종대 무인집권자인 崔瑀를 비롯하여 鄭晏 등과 같은 집권층과 지방 유력자내지 官員과 같은 在鄕勢力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원의 승려 및 불교계 인사들이 주도하기도 하였다. 발원문의 내용으로는 13세기 판본에서는 國泰民安과 전쟁 종식을, 원간섭기 판본에서는 皇帝 또는 國王의 祝壽를 기원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조성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금강경』(대자본)의 조성은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이 진행되던 고종 24년 12월에 이루어졌다. 제1장은 두 종의 목판이 있는데, 그 존재 이유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판본의 오류 정정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판하본의 瑕疵가 있는 판은 폐기보다는 별도로 보관되어 온 것이 아닌가 한다. 비록 『고려대장경』 편제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조성과정에서 교감과 교정은 물론 판본 재질 등을 꼼꼼히 살펴 제작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조성 주체와 참여 전문가와의 긴밀한 연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것이다.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은 기왕에 활동한 刻字僧과 刻手가 적극 참여해 주도하였다. 13세기 간행된 『금강경』 조성에 참여한 孝如, 大呏, 冲敍, 釋光, 明覺 등이 『고려대장경』 각성인으로도 조사되었다. 『금강경』 경전의 조성 의도는 각성사업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염원 및 실천적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 당시 현실을 직시하고 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明覺과 釋光 등과 같은 승려 지식인들은 각성사업에 적극 참여하면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다. 각성사업 직전에 활동한 각자승이 적극 참여한 사실은 기왕의 사원이 보유하고 있던 인적․물적 자원은 국가사업과 공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정병삼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송의 開寶版 대장경이 『開元錄』을 바탕으로 983년에 간행된 이래 3차에 걸친 증보되었다. 개보판 대장경은 곧 고려에 전래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불교계의 의지는 마침 일어났던 외침을 계기로 1011년에 초조대장경 조판 사업을 시작하였다. 1029년에 1차 조판이 완성된 고려의 初雕本 개판은 처음에는 개보판을 그대로 새겨 간행하였으나, 2차, 3차에 걸친 보완을 거쳐 보다 정확한 契丹本을 적극 수용하고 고려 傳本들과 상호 校勘한 충실한 대장경을 1087년에 600여질로 완성하였다. 초조본은 『개원록』과 그 이후의 목록에 충실하게 간행하였다.義天은 經論의 바른 뜻을 펴기 위해서는 章疏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20여 년간 국내외에 걸쳐 수집한 장소를 정리하여 1090년에 장소 목록인 『新編諸宗敎藏總錄』을 편찬하였다. 의천은 경·율·론으로 구성된 대장경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그동안 대장경이 거의 외면하였던 고금의 章疏를 모아 一藏을 만들어 대장경의 이해를 보충하려는 뜻에서 수집한 장소를 교감하고 독자의 교학관에 따라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하였다. 독자적인 회통적 사상 체계에 따라 『화엄경』을 필두로 1,040종의 경·율·론 장소 목록을 제시하고 4,740권에 이르는 방대한 교장을 간행하였다. 신라와 고려 및 거란의 찬술이 대거 포함된 교장은 동아시아 불교학의 체계적인 정리로서, 송과 일본에도 전해져 교학 발전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하였다.몽골의 침공으로 초조본이 불타자 大藏都監과 分司大藏都監을 설치하고 국가적 운영 체제 아래 체계적이고 방대한 재조대장경을 조판해냈다. 특히 재조대장경은 『校正別錄』에서 보여주는 정확한 교감 기준에 따라 고려본과 개보판·거란본을 활용하여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는 이들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을 正本으로 삼는 보편성을 지향한 정밀한 간행이었다. 재조본의 특징은 ‘外藏’에 있다. ‘정장’과 동일한 기관에서 동일한 시기에 개판된 20여 종의 전적은 화엄과 선적 및 천태 주석서들로서 고려 후기 화엄종의 사상적 의도와 수선사와 백련사 계통의 다양한 사상을 반영한다. 이들의 다양한 경판 판식은 국내 傳本을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서 고려 불교의 문화적 역량이 반영된 것이었다. ‘외장’은 고려의 문화적 전통에 바탕을 둔 출판인쇄술의 능력과 고려불교의 사상적 경향이 결합하여 이룬 고려불교의 역량 표현이었다. Goryeo published two editions of Daejanggyeong and one Gyojang. The publishing of Daejanggyeong shows the trend of Buddhism and cultural ability of Goryeo. In Northern Sung, Chinese produced the first Tripitaka Kaibao Dazangjing in 983, afterwards enlarging it by three times. The Goryeo dynasty wanted to show cultural power and overcome the national crises caused by the invasion of the Khitan, so it started engraving Daejanggyeong in 1011. The First Daejanggyeong was finished in 1029, with national support. At first it was based on the Kaibao edition, but a second and third enlargement were corrected using the Kitan edition and Goryeo traditional copies. In 1087, over 600 boxes of the First Daejanggyeong were completed. The First Daejanggyeong was published by Chinese catalogs which made in succession. Euicheon, who entered the monkhood as a prince, thought that commentarie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ipitaka completely. In 1090, Euicheon edited the Sinpyeon Jejong Gyojangchongrok , the catalogue of commentaries on the tripitaka. He revised, edited, and published Gyojang which he collected from Goryeo, Sung, Kitan and Japan. In this catalogue, Euicheon showed the unique organization of the tripitaka. He listed Avatamsaka first, and listed 4740 rolls of 1010 books, and using this list he published commentaries. Many commentaries of Silla and Kitan were enlisted in that list. These publications brought to Sung and Japan and helped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Buddhism. The First Goryeo Daejanggyeong was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Goryeo established Daejangdogam to produce a new Daejanggyeong. The new Second Goryeo Daejanggyeong revised and edited the First Goryeo, Kaibao and Kitan editions. As a result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guaranteed high accuracy. The standard edition was recorded in Sinjodaejang Gyojeongbyeollok . Moreover,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subjoined more than twenty books. They include the commentaries of Hwaeom, Zen and Cheontae schools of China and Korea. this work shows the trend of late Goryeo Buddhist thought. These subjoinders succeeded Goryeo tradition, so the publishing form of the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ain Daejanggyeong. These subjoinders were joined by combining the Goryeo Buddhist thought and printing ability.

      • KCI등재후보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이재수 ( Jae Soo L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1

        본 논의는 고려대장경에 담긴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고, 그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여 과거의 소중한 문화유산과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치를 다시 한 번 논의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문화유산이자 기록유산인 고려대장경을 활용하는 한 방안으로서의 전자불전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논의는 과거의 역사적인 상황의 규명과 과정에 대한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서 대장경의 가치를 드높이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먼저 대장경이 지니는 불교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 경이 조성되게 된 경위와 그 의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고려대장경의 가치를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고 세계 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를 함께 논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고려대장경이 지니는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문화적 함의를 살폈다. 우선 대장경의 의의와 특징을 원형성에 있다고 보았고, 종교적 기능을 담당했으며, 대중성과 사회성의 지향의 결과물이라는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한글대장경과 세 번째 대장경 조성불사라 할 수 있는 전자불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불전전산화의 토대를 확립한 고려대장경연구소의 고려대 장경 디지털 서비스로 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경연구소를 비롯한 전자불전을 위한 단체들과 전자불전 보살들의 노력의 성과를 통해 디지털 대장경의 현재를 조망해 보았다. 이는 유산으로서의 대장경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논의에서 대장경 2.0의 제안을 통해 초조대장경 천년의 해에 새로운 도전이라는 발걸음을 크게 내딛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ripitaka Koreana, rediscover its cultural values, and renew its status as one of the valuable cultural and record assets of the past. It also aimed to discuss electronic Buddhist Texts as a way to utilize Tripitaka Koreana, a cultural and record asset. The study tri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higher values of Tripitaka Koreana in the present and future rather than to examine its historical situations and processes. First examined in the study was the Buddhist significance of Tripitaka Koreana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its creation. Then the investigator moved onto examining its values as a world cultural and record asset and further its overall and solid cultural implications. Tripitaka Koreana, whos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lie in its qualities as an archetype, performed religious functions and was the product of orientation towards popularity and sociality. Also discussed in the study were electronic Buddhist Texts, which are called the third Tripitaka creation project, as well as the Hangul Tripitaka.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the digital service of Tripitaka Koreana provid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which built a foundation for Buddhist Texts digitization, and the efforts to create electronic Buddhist Texts by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and Buddhists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getting a picture of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tripitaka based on the accomplishments, which are attributed to diverse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the tripitaka as a legacy. The study proposed a big step of new challenge in the 1,0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through Tripitaka 2.0.

      • KCI등재

        고려시대 『金剛般若波羅密經(금강반약파라밀경)』 彫成(조성) 현황과 書誌的(서지적) 성격

        최연주 ( Yeon Joo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이 글은 고려시대 간행된 『金剛般若波羅密經』(이하 『금강경』이라줄여 부름) 각 本의 서지 사항과 지·발문, 板의 비교 등을 통해 『금강경』 조성이 갖는 시대적 의미와 역사적 의의를 다루었다. 『금강경』은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阿彌陀經』과 함께 널리 알려진 불교 경전 중 하나이다. 禪宗의 중심 敎義를 담고 있어 존중되며, 구마라집 번역본이 가장 널리 읽혀져 왔다. 7세기경 신라에서 암송된 기록이 있으며, 고려 전시기에 걸쳐 여러 차례 雕成되었다. 13세기와 고려 말기에 집중되었는데, 당시 시대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江華京板『高麗大藏經』(이하 『고려대장경』이라 줄여 부름)에 편입된 『금강경』을 제외한 판본의 조성 및 인출 주체를 구분해 보면 고종대무인집권자인 崔瑀를 비롯하여 鄭晏등과 같은 집권층과 지방 유력자 내지 官員과 같은 在鄕勢力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원의 승려 및 불교계 인사들이 주도하기도 하였다. 발원문의 내용으로는 13세기 판본에서는 國泰民安과 전쟁 종식을, 원간섭기 판본에서는 皇帝 또는 國王의 祝壽를 기원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조성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금강경』(대자본)의 조성은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이 진행되던 고종 24년 12월에 이루어졌다. 제1장은 두 종의 목판이 있는데, 그존재 이유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판본의 오류 정정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판하본의 瑕疵가 있는 판은 폐기보다는 별도로 보관되어 온 것이 아닌가 한다. 비록 『고려대장경』 편제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조성과정에서 교감과 교정은 물론 판본 재질 등을 꼼꼼히 살펴 제작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조성 주체와 참여 전문가와의 긴밀한 연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것이다.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은 기왕에 활동한 刻字僧과 刻手가 적극 참여해 주도하였다. 13세기 간행된 『금강경』 조성에 참여한 孝如, 大승, 沖敍, 釋光, 明覺등이 『고려대장경』각성인으로도 조사되었다. 『금강경』 경전의 조성 의도는 각성사업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염원 및 실천적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 당시 현실을 직시하고 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明覺과 釋光등과 같은 승려 지식인들은 각성사업에 적극 참여하면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다. 각성사업 직전에 활동한 각자승이 적극 참여한 사실은 기왕의 사원이 보유하고 있던 인적·물적 자원은 국가사업과 공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is the 13th-century elites, including unmanned forces and local-powered, etc. are organized by officials was published. In addition, the monks and Buddhist temples personnel were actively involved. In an optative sentence review period - there was hope that the end of the 13th century, safety, security and the war of the people of the country, the 14th century there was hope that the Emperor Yuan(元) and King of longevity. Such information may be published at the time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came in the 13th century, was investigated thoroughly and check the caret such as a piece in contrast to the content. The same two kinds of woodblock this contrast is to present the results. In particular, participants i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of the 13th century sculpture professionals and many monks were investigated. The figures from the survey hyoyeo(孝如), chungseo(沖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etc., are the same person and the person involved when a piece of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Discussed previously published Sutra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goals and business looks to be the same with each other and their desire to pursue a practical sense. So hyoyeo(孝如), chungseo(沖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such as who will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business.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of business, we can guess that the propulsion to take advantage of existing facilities and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