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방안에 대한 논의

        송기창(Song, Ki Cha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9 No.2

        이 연구는 고등교육재정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본 후, 고등교육재정교부금제도 도입의 의의와 필요성을 설명하고,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의 필요성으로 고등교육재원의 안정적 확보, 고등교육의 최소수준 유지, 고등교육기관 세입의 등록금 의존도 감축, 고등교육재원의 효율적 배분 및 고등교육재정의 자율성 제고, 고등교육기관의구조조정과 자구노력 촉진, 사립대학에 대한 경상비 지원제도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방안으로 교부금법의 목적, 재원, 교부금의 종류와 배분기준, 교부금 사업, 교부금 수급자격 등을 논의하였다. 교부금 재원은 고등교육세 신설 또는 국세 교육세의 고등교육세 전환을 통해 확보하는 방안과 내국세의 일정률로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is study are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higher education finance, to explain the meanings and the necessities of enacting 「Grant Law for Higher Education」, and to discuss about enactment plan of the Law. The necessities of enacting 「Grant Law for Higher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steady securing of higher education finance, the maintenance of the minimum standard of higher education, the reduction of level of dependence of tuition,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and autonomy of higher education finance, the promotion of restructuring the institute and saving themselves, the introduction of grant system of current expenses for private higher education institutes. At the discussion chapter about Enactment Plan of 「Grant Law for Higher Education」, I suggested on the aim of the Law, the resource and kinds of the grant, the criteria of allocation of the grant, the enterprise by the grant, and the qualification for subsidizing the grant. The proposed resource of the grant are two. The one is new establishment of higher education tax, the other is the fixed percentage of internal tax.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국가 수준 고등학교 수학영재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황원호(Won Ho Hwang),조민식(Minshik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수학영재 교육이 어떻게 운영되는가를 고찰하기 위해 양국의 고등학교 수학 영재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교육과정과 내용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수학영재 교육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의 2022 및 2015 교육과정 내용과 중국의 가장 최근 변경인 201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 수학영재를 위한 내용과 구성 방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수,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수학사와 정의적 영역의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한국은 각 영역 내에서 표준화된 과정과 내용에 충실한 반면, 중국은 구체적인 주제 중심으로 전개하여 영역에 구애받지 않고 통합적 전개를 하는 경우가 있었다. 기하 영역에서는 한국의 2015 교육과정에서 수학영재를 위한 내용이 중국에 비하여 현저히 부족하였으나 2022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고급 기하에서 이를 충분히 극복하였고 수학사 및 정의적 영역 등 중국에 비하여 부족했던 부분도 2022 교육과정의 수학과 문화, 인공지능 수학 등에서 발전적으로 확대되었다. 결론 양국 모두 수학영재 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심화 과정과 교과서가 있으나, 한국은 내용 구성요소와 난이도에 따라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공통교과와 선택교과 그리고 특수목적 고등학교(과학고나 과학영재학교 등)에서 사용하는 전문교과로 구분되어 있는데 반하여, 중국은 필수교과와 선택교과로만 구분되어 있다. 다만 한국은 전문교과의 교과서가 단일 도서이지만 중국은 출판사별로 구성요소와 난이도에 따른 수준별 교과서를 허용하여 내용과 수준이 다양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by examining how gifted mathematics education is operated in Korea and China throug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basic direc-tions of gifted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 schools in both countries. Methods We analyz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method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s 2022 and 2015 curricula and China’s 2017 revised mathematics and curricu-lum contents and textbooks. Results Korea adheres to standardized processes and contents in each area of algebra, analysis, geometry,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mathematical history and definitional areas, while China sometimes develops integrated processes that are not restricted to areas by focusing on specific topics. In the geometry area, Korea’s 2015 curric-ulum lacked content for mathematics gifted students compared to China, but this was sufficiently overcome in the advanced geometry newly established in the 2022 curriculum, and the parts that were lacking compared to China, such as mathematical history and definitional areas, were also expanded in mathematics and culture, AI mathe-matics, and other areas of the 2022 curriculum. Conclusions Both countries have advanced courses and textbooks being used in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but Korea is divided into general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and specialized courses used in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such as science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content composition elements and difficulty, while China is only divided into required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However, while Korea’s specialized course textbooks are a single book, China allows publishers to create level-based textbooks based on composition elements and difficulty, resulting in diverse content and levels.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김지혜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3

        Currently, the most severe issue in high school education is its credit system. This system, which will be implemented in 2025, is a high school innovation policy that seeks flexible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focused on student growth. This is done by escaping from the uniform entrance-oriented education, expanding student’s options, and diversifying curriculum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linkage problems between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ollege entrance, among other issues surrounding the credit system, and the related challen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high school credit and college entrance systems have a direct impact on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student’s selection of subjects.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2018) announced plans to reorganize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improve its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 in order to prepar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ginning in 2025,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implemented by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cheme to all subjects. However, the reorganization of college entrance and evaluation systems seems to conflict with the pla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trengthen the fairness in the college entrance announced in the 2019. In some ways, it is also a risk that functions as an obstacl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normaliz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e reorganization of college entrance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s will greatly influence the status and for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al reorganization into “Common subject (<Reading>, <Literature>)” and “Elective subject (<Speaking and Writing> and <Language and Media>)”, in the Korean language section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leads to a subject’s decrease in weight. Korean language subject has multiple identities as a tool subject, as well as a thinking and cultural subject.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 revi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fully discuss the nature and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 along with the weake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 bias.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should not only provide a basic education, but also have a career subject role. 현재 고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고교학점제이다. 2025년에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선택권을 확장하고 교육과정을 다양화함으로써 입시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에서 학생 성장 중심의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꾀하는 고교 혁신 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 중 고교학점제와 대학입학제도의 연계성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다가올 고교학점제로의 전환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고교학점제 및 대학입학제도는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편성 및 학생들의 교과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교육부(2018)는 고교학점제를 준비하기 위해 대학입학제도 개편 방안과 내신 성취평가제 개선 방안을 발표하였다. 2025년부터는 성취평가제의 대입 반영 범위를 전 과목에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학입학제도 개편과 2019, 2020년 교육부의 공정성 강화 방안은 고교 교육의 내실화 및 학생부종합전형의 취지와 균열을 보이는 지점이 있으며, 일부는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안착 및 고교 교육의 정상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위험도 있다. 또한 대입제도의 개편과 고교학점제는 국어교육의 위상 및 비중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의 ‘공통(<독서>, <문학>)’과 ‘선택(<화법과 작문>중 <언어와 매체> 중 택1)’으로의 구조 개편은 국어 교과의 비중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국어 교과는 도구 교과, 사고 교과, 문화 교과로서의 다중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교학점제 도입 및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있는 지금, 국어교육의 약화 및 과목 편중 현상과 함께 고등학교 국어교육의 성격과 그 역할에 대한 국어교육계의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먼저, 국어교육은 기초 과목으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진로 교과로서의 역할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예술 교과로서의 문학 감상 및 창작 교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와 함께 실행될 내신의 성취평가제 및 수학능력시험의 개편 방향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기술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분석

        박창언,Jin-ling Wang,주동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3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process of Chinese artisan high school curriculum and present some matters for improving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For achieving the purpose,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of China and status of artisan high school were examined. And change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style, educational objectives, subjects, and curriculum formation and time allocation were analyzed. Finally, some matter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in the future were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m China,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style of artisan high school was changed to endow local area and school with autonomy to some degree, but there was no basic change and the leading autonomy still belonged to the nation. Second, regarding educational objectives, the presentation of them was simplified and the complexity of them was reduced. The main contents of them emphasized socialist ideological education and political education and ignored the specific goals of artisan education. Third, about curriculum formation and time allocation, the characteristic of current curriculum was the connection of them with continuing and life-long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of them with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real change in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e current curriculum should be reexamined overall. 본 연구는 중국 기술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할 점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중국의 교육과정 관리 체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1949년 사회주의 중국이 확립된 이후, 교육과정은 중앙집권적 관리 체제를 유지하였으나, 1960년대와 1980년대 중반에 분권형 관리체제로의 이행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본격적인 분권적 관리체제를 지향한 것은 1999년 국무원에서 공포한 ‘기초교육과정 개혁강요’에서 국가, 지역, 학교의 역할분담 체제가 정비되었다. 다음으로 직업교육에서 기술공업계 고등학교의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의 고등학교는 일반계와 실업계로 구분이 되고 있다. 실업계 고등학교는 다시 중등전문학교, 기술공업계열 고등학교, 직업고등학교, 성인중등전문학교로 구분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기술공업계열 고등학교는 실업계 고등학교에 해당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 논의된 사항은 교육과정 결정방식의 변화, 교육목표의 변화, 교과목의 변화, 편제와 시간배당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논의 결과 교육과정 결정방식에서는 지역과 학교에 어느 정도의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나, 이는 형식적인 것에 해당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아직까지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결정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교육목표에서는 구체적 내용에서 변화의 양상을 뚜렷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진술방식에서는 기존의 총괄목표와 하위목표로 구분하던 것을 통일적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교과목개설에서는 기존에 비해 산업체와의 긴밀도를 높이고 있으며, 평생교육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편제와 시간배당에서는 기본적으로 큰 변화의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었다. 이들 논의 결과에 기초해 볼 때, 교육과정 결정 체제의 실질적 분권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의 개발, 직업교육과정의 특성을 감안한 시간배당을 위한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중도중복장애학생 어머니의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이광림,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sons why mothers whose children are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decided on inclusive education in their children`s secondary schools, and explore improvement for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rough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ir children`s inclusiv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Method: Five mother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re receive inclusive education in regular secondary schools were interviewed. Results: First, the reasons for deciding on inclusive education were positive perceptions of past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advice from counselors, and parent expectations for positiv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mothers` thoughts about their children`s inclusiv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were that there are limits of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limitations of special teachers' perception which was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limitations on participating in school events and socializing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ue to the severe of disability, and satisfactions due to the autonomy of management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skill acquisition, which was possible due to support of the sam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hird, the requirements for inclusive education during secondary school periods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to expand the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nd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school staff and teachers for children's education. Conclusion: The study recognized mothers`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nd support requirements during secondary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dditional assignment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by disability level, and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에 통합교육을 받기로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통합교육 경험을 통해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고등학교 시기에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질적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변인들의 배려와 이해를 통한 통합교육의 긍정적 경험, 통합교육 결정에 영향을 준 주변인들의 조언,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를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내기로 결정하였다. 둘째, 어머니들은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육 보조인력 지원의 한계, 특수교사의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인식의 한계, 장애의 심각성으로 인한 학교 행사 참여의 한계로 인해 아쉬운 마음이 든다고 하였다. 이와 함께, 어머니들은 중도중복장애를 가진 자녀가 일반학생들과 어울릴 수 있고, 운영의 자율성과 동일교사 유지로 인해 가능했던 기능습득으로 인한 만족감으로 나타내었다. 셋째, 어머니들은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특수교육 보조 인력지원의 확대, 교사들의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전문성 향상, 학교와 자녀 교육에 대한 의사소통 강화를 언급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어머니가 자녀의 중·고등학교 시기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비용함수모형을 활용한 방송통신고등학교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남수경(Nam, Sookyong),윤홍주(Yun, Hong-Ju),이쌍철(Lee, Ssang cheol),이호준(Lee, Ho J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6 No.2

        이 연구는 방송통신고등학교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시․도간 학생 1인당 교육비 규모에서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송통신고등학교 표준교육비를 산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비용함수모형을 활용하여 방송통신고등학교의 표준교육비를 산출하였다. 전국의 방송통신고등학교로부터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세입 및 세출 결산 자료를 수집하고, 최종적으로 선정된 33개 방송통신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패널분석(panel analysis)을 실시하여 학교당 경비, 학생당 경비, 학급당 경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방송통신고등학교의 표준교육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방송통신고등학교 학교당 기본경비는 2,245만원, 학급당 경비 424만원, 학생당경비는 18만원으로 나타났다. 산출된 표준교육비 총액과 실제 배분된 학교기본운영비성 경비의 총액은 각각 약 38억 1,073만원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산출된 표준교육비의 학교간 편차가 실제 방송통신고등학교로 교부되는 학교기본운영비성 경비의 학교 간 편차보다 더 작았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표준교육비를 활용한 학교기본운영비 배분 방식이 기존의 배분 방식에 비해 교육재정 배분의 수평적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재정 배분의 수평적 형평성을 제고하고 학교별 예산 편성 및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업비성 으로 교부하는 예산의 상당부분을 학교기본운영비로 안정적으로 배부하는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imate Standard Unit Costs(SUCs) of education in Cyber High Schools(CHSs) by utilizing an education cost function. For this purpose, we attempt to collect revenue and expenditure data of 33 CHSs from 2013 to 2015, conduct panel analysis to estimate school unit cost, class unit cost, and student unit cost which are usually used for estimating SUCs of education in the economic and finance literature. Our results indicate that school unit cost in CHSs is approximately 22.4 million won, class unit cost 4.24 million won, student unit cost 0.18 m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total amount of estimated SUCs of education is 3.81 billion won which is almost same as total amounts of actual expenditures. Furthermore, it is remarkable that variation of SUCs of education is smaller than one of actual expenditur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llocation model of school basic funding using SUCs may enhance horizontal equity of resource allocation within CHSs. These findings also provide invaluable policy implication for establishing solid legal foundation based on an allocation formula of school basic funding for CHSs.

      • KCI등재

        고등교육 시장화 시대 유럽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정영근(Young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3

        대학이 학문자본주의(academic capitalism) 관점에서 재구조화됨으로써 기업과 노동시장의 요구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현장실무 연계과정을 중시하며, 경제적 효용성 지향의 연구나 실무인력 양성 및 공급에 앞장서고 있다. 유럽의 경우 사회ㆍ경제ㆍ문화적 발전을 주도하는 EU 국가가 중심이 되어대학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대처하려는 다소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정책구상 가운데 가장 핵심적이자 유럽 전역을 포괄하는 것으로는 1999년 볼로냐 선언에 따른 유럽 고등교육 통합정책의 추진과정인볼로냐 프로세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볼로냐 프로세스 정책수립의 역사적 과정과 정책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학교육의 시장화 변화과정을 서술하며, 이와 연관된 학술적 논의를 고찰하려 한다. 그 과정에서 유럽의 고등교육체제 통합이 정책적으로 대학을 경제혁신의 수단으로 구조개혁 하라는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고등교육의 접근성에 대한 ‘사회적 차원’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점은 우리가 생각해볼 점이다. 또 유럽의 대학이 문화적 상호이해와 학술지원을 위해 경제적 수익성이나 정치적 계산을 넘어서는 국제교류에도 활발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독일과 유럽의 비판적 지성인들은 대학이 특정한이해관심이나 정책적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적 지성과 균형 잡힌 전문가 양성에 기여하는 것이 미래지향적이라는 것이라는 입장을 지키려 한다. 글의 마지막에서 유럽 국가들의 고등교육 개혁정책의 이러한특성이 한국의 고등교육개혁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살펴본다. Forschung und Lehre an den Universitäten haben im globalen Wettbewerb um Anteile an der Wissensproduktion in der Wissensgesellschaft erstrangige strategische Bedeutung für die Politik erlangt. Es bildet sich eine Art akademischer Kapitalismus heraus, in dem Universitäten zu Unternehmen werden. Im Jahr 1999 unterzeichneten die Vertreter von 29 europäischen Regierungen die Bologna-Deklaration. Ziel des Bologna-Prozesses, der sich in wirtschaftlichen, universitären und politischen Interessen begründet, ist es, einen international wettbewerbs- fähigen und attraktiven Europäischen Hochschulraum zu schaffen. Die mittlerweile 47 teilneh- menden Staaten haben sich unter anderem verpflichtet, ein gestuftes Studiensystem aus BA und MA mit europaweit vergleichbaren Abschlüssen und anzuerkennenden Studienleistungen einzuführen, die Qualitätssicherung zu verbessern, die soziale Dimension einzubeziehen und die Mobilität zu steigern. Die Lissabon-Strategie aus dem Jahr 2000, durch die Europa bis 2010 zum wettbewerbsfähigsten und dynamischsten wissensbasierten Wirtschaftsraum der Welt gemacht werden sollte, wurde 2011 durch die Strategie Europa 2020 für Wachstum und Beschäftigung ersetzt. Der Umbau der Universität durch den Bologna-Prozess kann als eine Absage an die Idee der Universität als Bildungsinstitution verstanden werden, die trotz der aktuellen Reformpolitik nicht verzichtbar ist. Die mit dem an europäischen Universitäten entstehenden Entwicklungspfaden werden sich künftig unter anderem an dem Anspruch messen lassen müssen, ob es ihnen gelingt, Europas kulturelle Vielfalt und zivilisatorische Errungenschaften zu erhalten, ohne notwendige Modernisierungen zu versäumen.

      • KCI등재

        한국 고등교육팽창의 한계:

        김두환(Kim Doo Hw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3

        1995년 5․31 교육개혁정책 이후 진행된 고등육기회의 보편화는 대학서열구조에 대한 고려가 없이 진행되어 소위 명문대학에 입학하려는 경쟁을 가속해왔다. 중등교육이 보편화된 이후 교육포부의 수준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하는 것으로 동질화 되고 고등교육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실행된 고등교육기회의 확장은 가족계획 정책효과가 나타난 1980년대 이후의 인구동태에 대한 고려를 결하고 있다. 이에 더해 산업구조나 노동시장이 증가하는 고학력 인구를 수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고등교육기회의 확장은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 수익률, 즉 대학교육성과의 양극화를 결과했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진행된 고등교육기회의 급격한 팽창은 역설적이게도 1987년 민주화 과정을 겪으면서 우리사회 에 더욱 깊이 뿌리내린 평등주의와 90년대에 고착화되기 시작한 계층구조의 공고화가 상호작용한 것이라는 것을 보인다. 그러한 과정에서 한국사회의 불평등의 심화가 가져오는 사회적 불만을 고등교육기회의 팽창이라는 정책수단으로 일부 해소하려 했지만 학생 개인의 가족배경이나 그것을 통해 동원 할 수 있는 자원의 양에 따라 입학하는 대학의 서열을 결정하는 정도가 높 아지는 고등교육의 양적팽창은 학교교육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교육 불평등을 완화하기는커녕 심화시키고 있다. 한국 고등교육팽창 정책의 이러한 실패에 대해 우리사회는 이것을 단순히 교육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정치의 차원에서 그리고 전체 사회의 차원에서 교육적 재화의 공정한 분배에 대해 다시 고민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Since 5․31 Educational Reform in 1995, Korean higher education expanded and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became almost universal. But this expansion did not consider existing rank order of universities and thus competition for prestigious universities has been intensified. After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became universalized, almost all Korean adolescents’ educational expectation became four-year college. Such elevation of educational expectation raised demand for higher education in Korea. However Korea’s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responding to this demand did not consider demographic change in 1980s resulted from family planning policy in 1970s. In addition, industry structure and labor market could not accommodate fast increase of highly educated population at that time and consequently returns to college education become polarized. This study argues that fast increase of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from the middle of 1990s is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ironically strengthened egalitarianism in Koreans after democratization process since 1987 and crystallization of class structure in 1990s. In the process, Korean government used the increase of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as a policy measure to resolve the problem of deepening inequality. However, as the tendency of private resource determining college ranking admitted has gotten intensified, Koreans has lost trust in formal school education an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has not lessened inequality but deepened. The failure of Korea’s higher education expansion policy require us to rethink about the fair allocation of unevenly existing educational goods not at the level of education policy but at the level of politics and our society as a whole.

      • KCI등재

        회계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오성렬(Sung-Ryoel O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제주지역 특성화고등학교 상업정보계열 기준학과의 회계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제주지역 상업교육을 활성화시켜 좀 더 많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회계학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다. 오늘날 회계교육의 위기는 교육제도에서 초래된 측면도 있지만 학교에서 회계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부족한데도 상당부분 기인한다. 회계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제고하고 회계교육에 대한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회계교육에서 어떤 내용을 얼마만큼 왜 어려워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해가 선행될 때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이 가능할 것이며 학생들의 회계학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계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다양한 회계교육 교수방법의 사용 둘째, 고등학교 학생수준에서 이해가능한 회계교과목 교재의 개발 필요 셋째, 효율적인 회계교과목 개선 등이다. In this paper, we did not observe only the actual condition of accounting education, but also proposed the improvements for better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s in Jeju. We expect that those enable the high school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accounting. These days, crisis of the accounting education is not only caused by poor educational system, but also is caused in large part by lack of efforts for improving the accounti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ccounting education and enable th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account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y the students feel difficult about accounting. Learning the reasons enables teachers to educate by much more personalized curriculum, so that those will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enable the students to pay more attention to accounting. we analyzed the realities in educating accounting by conducting a survey for the students. We also proposed the impr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alities of the accounting educations. The improvements are followings. First, the accounting education should be educated through various ways. Second, curriculum fitt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level should be developed. Third, subjects related with accounting should be improved by considering efficiency.

      • KCI등재

        장애신입대학생들의 고등학교에서 제공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김경화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Since Korea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required high education institutes to accep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a special admission program in 1995,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tering colleges. The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provided by secondary schools beco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in order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into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students’ ratings of the perceived level of how important they consider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how much they receive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provided from secondary schools, and how satisfied they feel regarding the received education and services. The targeted participants were freshmen with disabilities who enrolled in top 100 universities through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data solicted from 207 survey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sidered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important. However, they perceived that the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provided by secondary schools were not enough as well as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received education and services.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perceptions of the extent of the received education and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such education and servic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college preparation by types of disabilities, types of high schools, and school rankings.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고등교육의 전환을 위해서 고등학교에서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장애학생들이 인식하는 중요 정도,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를 교육받았던 정도,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교육 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12학년도 장애인을 위한 대학입학 특별전형을 통해 들어온 상위 100위권의 4년제 대학에서 한 학기를 보낸 장애를 가진 대학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장애학생들은 고등학교에서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장애학생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중요 정도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교육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는 부족하였으며, 고등학교에서 제공 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해서도 만족하지 못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장애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성별, 장애영역, 소속학교급, 학교순위)에 따라 고등학교에서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중요 정도, 교육받았던 정도, 그리고 받았던 교육에 대한 만족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성별 변인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