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기능자폐아동의 부정문 이해

        이희란(Hee Ran Lee),김영태(Young-Tae Kim),이승복(Seung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자폐아동의 전제하기와 관련된 능력인 부정문 이해의 특성을 언어능력일치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고기능자폐아동 집단과 언어능력일치 집단에게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과제 조건(주격조사표지/주제보조사표지/무표지)과 어순과제 조건(표준어순/도치어순)에 따라 부정문을 들려주고 부정표지(행위자/대상/행위)에 따른 선택반응과 반응시간을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은 세 조사과제 조건 모두에서 대상부정을 많이이 선택한 언어능력일치 집단과 달리 행위부정 그림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둘째,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은 주제보조사표지 조건에서는 주어진 정보인 행위보다는 새로운 정보인대상에 부정을 표지하는 경향성을 반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은 무표지 조건에서는 주어진 정보인 행위부정을 더 많이 선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언어능력일치아동 집단보다 부정표지에 더 오랜 반응시간이 걸렸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자폐아동의 경우에도 전제 맥락이 주어진 경우에는 언어적으로 반복되는 정보를 부정문의 전제로 활용할 수 있지만, 무표지나 도치어순 등 언어적 맥락이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에게 무표지 단서가 새로운 정보에 대한 부정표지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주제보조사 '은/는'의 단서 효과를 장애아동의 언어중재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esupposition in children with high fU llCtioning autism (HFA) and to examine the mechanisms of their negative sentence comprehension which require presuppositional skill as a pragmatic abili ty. Methods: Fony children panicipmed in this study: 20 children with HFA were between ages 6.0- 8.1 1 years and the other 20 were normal children matched on the language age with the HFA group (LA cantrol group). In this study, we used the forced-choice task to examine the mechanisms of the comprehens ion o( negative sentences which were presented with presupposit ional context. The experimenl consisted of two conditions: First, the particles conditions were subjective particle 'ilia!' marking, topic-contrastive particle '(n)un' mark 109, and empty marking. Second, the word order conditions. consisted of normal word order versus reverse word order. The responses were count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negation (agent negation, object negation, and action negarion) and the latency of the responses was a lso measured. Results: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 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HF A group, when the negative sentences were presented as given informa tion, the responses were more action-oriented. In contrast, the agent-c ha n~ed pictures were chosen more :frequently in the LA control group. In the topic-contrastive particle (n)un ' marking condition, the o bj ect-negated 1?icmres were selected more as their comprehension in the HF A group compared to the other condillons, and (2) The response latency in the HFA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LA controls. The HF A group needed less time to respond to the topic-contrastive particle '(n)un' marking condition than the other conditions. The response time ofthe HF A group in the two-word o rder cond i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 ffere nces compared with the LA controls. DiSCll$sion & Conclll$ion: The resu lt of this study shows that c hildren with HFA may suffer some trouble in comprehending negative sentences because of their difficu lry with presuppositional skills. The implication ofibis study might be that for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HFA, the particle '(n)un' marking must be more careru lly considered than empty marking or subj ective particles markmg in their fo rmation of negative sentences.

      • KCI등재

        관용어 의미 유형과 친숙도에 따른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관용어 이해 능력

        이송이(Song I Lee),배희숙(Hee Sook Bae),이영미(Young mee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관용어 유형(감정표현, 행위표현)과 친숙도(고, 저)에 따른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관용어 이해 정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집단 내에서 오류 유형에 따른 오답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동작성 지능과 언어발달이 정상 범위에 있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N=15)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N=15)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용어 유형과 친숙도를 고려하여 개발한 관용어 이해 과제를 대상 아동에게 실시하여, 관용어 유형과 친숙도에 따른 이해 정확도를 측정하고 오류 유형에 따른 오답률을 산출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관용어 이해 정확도는 일반 아동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행위표현에 비해서 감정표현에서 관용어 이해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두 집단 모두 친숙도가 높은 관용어의 이해 정확도가 친숙도가 낮은 관용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오답 유형 분석 결과,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오답 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관용어 이해 능력은 일반 아동에 비해서 낮았으며, 감정표현 관용어와 친숙도가 낮은 관용어의 이해 능력이 일반 아동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관용어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해서 관용어 유형과 친숙도를 고려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betwee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 and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by type of idiom (emotion/action expression) and familiar-ity (high/low) and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misunderstood idioms (literal interpre-tation, idiom quote) within each group. Methods: Fifteen children with HFA and 15 age-matched children with T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 idiom comprehension task was developed for the study, which consisted of 40 items (10 emotion-familiar idioms, 10 emo-tion-unfamiliar idioms, 10 action-familiar idioms, and 10 action-unfamiliar idioms). Results: The idiom comprehension accuracy of children with HF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hil-dren with TD. Children with HFA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than children with TD in comprehending emotion idioms. Both children with HFA and children with TD had sig-nificantly higher accuracy in familiar idioms than in unfamiliar idioms. For children with HF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isunderstanding between literal interpretation of idioms and idiom quote. Conclusion: Children with HFA showed lower accuracy in idiom comprehension than children with TD. Children with HFA had more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emotion idioms and unfamiliar idioms than children with T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and familiarity of idioms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 idioms to children with HFA in speech-language therapy.

      • KCI등재

        고기능 자폐아동의 주어진정보와 새로운정보 처리능력

        이희란(Hee Ran Lee),김영태(Young-Tae Kim),이승복(Seung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의 전제하기와 관련된 능력인 주어진정보와 새로운정보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세 장의 그림카드에 대한 선택과제를 이용하여, 주어진정보(행위), 주어진정보(행위자), 그리고 새로운정보(동사)의 낱말 선택에 따른 두 집단 간(고기능 자폐아동집단과 언어능력일치아동집단)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고기능 자폐아동집단은 언어능력일치아동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새로운정보’ 낱말 처리에서 특히 어려움을 보였다. 즉, 고기능 자폐아동집단은 새로운정보(동사)보다는 주어진정보(동사)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둘째, 두 집단의 아동 모두 행위자와 동사가 모두 주어진 정보인 경우, 동사보다는 행위자를 더 많이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두 집단 간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집단의 새로운정보 선택에 대한 이러한 어려움은 과제의 복잡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언어적 맥락으로 제시되는 경우 고기능자폐아동의 전제하기 방식의 변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Presuppositional skills are defined as knowing what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e listener knows and needs to know.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HFA) are known to have difficulties in presuppositional skill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esupposi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HFA, and 2) to investigate the given-new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Forty children (20 children with HFA aged 6;0-8;11 and 20 normal children with language age[LA]-matched) were involved in the study. Ten pairs of sentences, the corresponding picture cards, and three word cards for each sentence-pair were used in the study. Ten sets of three word cards consisted of given informationof action (e.g., walk) or actor (e.g, girlfriend), and new information of action (e.g., sit). The children were to select a word card that conveys information regarding a picture card with new information of action that communication partner wanted to know. Results: Firstly, the HFA group chose significantly more word-cards of given information than the LA controls did. Secondly, as to a given information, the HFA group tended to choose the actor than action more than the LA controls did although the tendency was not significant. Discussion & Conclusion: Children with HFA may have difficulties in presuppositional skills in relation to given-new information processing.

      • KCI등재

        자기관리 전략을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고기능자폐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은미 ( Eun Mi Park ),정대영 ( Jung Dae Yo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자기관리 전략을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고기능자폐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상남도 ○○시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고기능자폐아동 2명을 대상으로 ○○아동발달센터 교육실에서 중재를 실시하였다. 3가지 문제행동에 대하여 행동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중재단계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 순으로 진행되었다. 중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으로 분석되었으며, 동시에 각 행동 발생률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대상아동 모두 중재가 시작된 이후에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 둘째,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기초선보다 낮은 수준으로 중재효과가 유지되었다. 즉, 자기관리 전략을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고기능자폐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최근 발전되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에 자기관리 전략을 접목시켜 중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개별교육실 상황에서 이루어졌다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참여 아동의 수, 상황조건, 기법 등의 변인을 확대시켜 연구함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s utilizing self-management strategy on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Two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were selected in this study. After three kinds of problem behavior were select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designed, and the experiment was ltiducted in three different stages: baseline, intervention and retention. Each kind of behavior`s frequency in each stage was calculated in percentage and depicted in graphic.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frequency of the problem behaviors of every child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the intervention effect remained unchanged even after it was withdrawn, as the frequency of their problem behaviors in the post-intervention stage was lower than that in the baseline stage. Therefore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s that made use of self-management strategy turned out to be effective at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offer intervention by incorporating self-management strategy into positive behavior supports that have lately been developed by researchers.

      • KCI등재

        고기능 자폐아동의 운율정보를 통한 정서 인식 능력

        강은주 ( Eun Ju Kang ),황민아 ( Min A Hwang ),정미란 ( Mi Ran Jeo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이 상대방의 정서를 인식하기 위하여 말의 내용과 운율 단서를 활용하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운율정보를 통한 정서 인식 능력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 각각 8명씩 총 16명이었다. 실험과제는 정서정보의 제시 조건-‘운율 없이 말의 내용에만 정서적 정보가 있는 조건’, ‘말의 내용과 운율의 정서적 정보가 일치된 조건’, ‘말의 내용과 운율의 정서적 정보가 불일치되는 조건’-을 구성하여, 말의 내용과 운율에 담긴 정서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았다. 말의 내용에 따른 정서판단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집단(2)×정서정보 제시조건(3)의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정서정보 제시조건의 주효과, 집단×정서정보 제시조건의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말의 정서정보를 위주로 정서를 판단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운율의 정서정보는 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의 내용에만 정서정보가 있는 조건에 비해 말과 운율의 정서정보가 일치하는 조건에서 아동들은 상대방의 정서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었다. 고기능 자폐아동은 운율정보를 활용할 수는 있으나 일반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율정보를 덜 활용하였으며 특히 말의 내용과 운율의 정서정보가 불일치하는 조건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는 고기능 자폐아동이 대화 상대자의 마음을 잘 읽지 못하고 화용 능력에 결함을 보이는 원인 중의 하나로 운율정보의 활용 능력이 영향을 끼칠 것임을 시사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motional recognizing ability from the prosodie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HFA). The participants were 8 children with HFA from the 3rd grade to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8 children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level. Children performed a task to recognize others’ emotional stat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motional information. The conditions were that which follows: the emotional information specific to contents in speech, the consistencies of contents of both speech and emotional information of prosodies and the inconsistencies of contents of speech and emotional information of prosodies. A two-way ANOVA of group(2)×conditions(3)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and condition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group×condition. Children with HFA recognized others’ emotions depending on the emotional information of speech rather than prosodies especially in the condition of inconsistencies of contents of speech and emotional information of prosodies.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고기능 자폐 아동의 질문유형 및 자극유형에 따른 아이러니 이해 능력과 마음이론과의 관계

        최수영,송승하,김영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의 질문유형 및 자극유형에 따른 아이러니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 마음이론과 아이러니 이해 능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만 7-9세 사이의 고기능 자폐 아동 12명과 연령 및 수용어휘력, 구문이해력 등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2명이었다. 아이러니 과제는 총 28문항으로, 개방형 14문항과 선택형 14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두 가지 질문유형에는 각각 내레이션 자극 7문항과 만화 자극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음이론 과제는 총 5개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아이러니 이해 능력을 보였으며, 특히 선택형에 비해 개방형에서 더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두 그룹 모두 자극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음이론과 아이러니 능력 간의 상관관계는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 아동은 아이러니를 이해하는 능력이 일반 아동에 비해 부족함을 나타내었고, 특히 구어 능력을 요구하는 개방형에서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기능 자폐 아동의 타인에 대한 감정과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 즉 마음이론 능력이 아이러니 이해 능력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고기능 자폐아동의 반어적 표현 이해 특성

        이진연 ( Jin Yeon Lee ),고선희 ( Sun Hee Ko ),이진연 ( Min A Hw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3

        반어적 표현은 화자의 의도된 의미가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 다른 표현이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맥락적인 단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화용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화용능력에 결함을 보이는 고기능 자폐아동들이 반어적인 표현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반아동들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 2학년의 고기능 자폐아동 10명과 생활연령, 언어연령, 동작성 지능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0명이었으며, 아동들에게 4가지 기능(강조, 질책·훈계, 비꼼·빈정거림, 제안·동의)의 반어적 표현이 포함된 대화를 들려준 후, 반어적 표현의 의미를 보기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기능의 반어적 표현의 이해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일반 아동은 반어적 표현의 기능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수행을 보인 반면 고기능 자폐아동은 강조, 비꼼·빈정거림, 제안·동의에서 질책·훈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로 보아 고기능 자폐아동은 반어적 표현을 듣고 화자의 의도를 추론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들의 반어적 표현 이해의 어려움은 이들의 인지적 결함과 관련 지어 해석할 수 있다. Verbal irony is a different expression from the literal meaning of words that a speaker intends. It is utterance that has to be interpreted with contextual c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irony comprehension betwee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is study carried out an experiment with 10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se chronological age, linguistic age and performance intelligence are all matched. Both groups ar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children heard dialogues containing 4 functions of irony (emphasis, reprimand·admonition, sarcastic·cynical, suggestion·consent) and asked to choose the meanings in multiple choi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howed significantly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the irony in terms of all the functions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howed a significantly low understanding of ‘emphasis’, ‘sarcastic·cynical’ and ‘suggestion·consent’ than ‘reprimand·admonition’ while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stable understanding of all the functions. Judging from these findings,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ave difficulty inferring the undertone through contextual information when they hear iron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ir difficulty in irony comprehension could be considered with their cognitive deficiency.

      • KCI등재

        과제 난이도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작업기억 수행능력

        김희진(Heejin Kim),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의 작업기억 난이도 간 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작업기억능력과 구문의미이해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ㆍ경기 지역에 사는 만 7~9세 고기능 자폐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작업기억 과제(문장폭기억 과제, 숫자폭세기 과제, 매트릭스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집단을 집단 간 요인으로 과제 난이도를 집단 내 요인으로 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 문장폭기억 과제(예/아니오)의 정반응율이 유일하게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문장폭기억 과제(예/아니오), 문장폭기억 과제(단어회상), 숫자폭세기 과제, 매트릭스 과제 모두에서 과제 난이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아동은 구문의미이해력과 문장폭기억 과제(단어회상)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고 기능 자폐아동은 구문의미이해력과 숫자폭세기 과제, 매트릭스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단일 과제, 회상능력 과제에서는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행능력을 보였지만, 이중 과제 및 문장이해처리가 필요한 과제에서는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또한 일반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의 작업기억 능력과 구문의미이해력간의 상관관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first, how children with high-function autism (HFA) perform on working memory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nd second, how language skills (Korea sentence comprehension test score, KOSECT) correlate with working memory. Methods: The study included children between 7 and 9 years of age, 15 with HFA, and 15 TD. The experiments consisted of 3 working memory span tasks: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CLPT), Counting span, and Matrix. The working memory span tasks consisted of different levels of complexity; 1) CLPT: 6 levels, 2) Counting span: 5 levels, 3) Matrix: 4 levels. Two-way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on CLPT (Yes/No) task, showing that children with HFA had lower accuracy than TD childre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mplexities within tasks. (3) No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group and complexity conditions.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OSECT score and CLPT recall accuracy in TD children. However, in children with HFA, Counting span accuracy and Matrix accurac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OSECT score. Discussion &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hildren with HFA had difficulty in sentence processing while their performance was similar to TD children on working memory span tasks.

      • KCI등재

        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김찬희(Chan-Hee Kim),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u-Jeo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적 운율이해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맥락(문장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하는 경우,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9-12세의 고기능 자폐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운율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는 운율 단독 제시상황에서 일치하는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정서적 운율(정서 일치, 불일치)과 맥락(문장 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이 함께 제시되었을 때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및 운율의존도과제로 구성되었다. 결과는 집단을 집단간 요인으로, 정서 유형 및 맥락 유형을 집단 내 요인으로 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무의미 문장의 정서적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였을 때, 정서적 운율이해력에 있어서 집단 간이나 정서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맥락의 정서와 일치하는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에도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이해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맥락의 정서와 불일치한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의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의존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맥락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할 때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얼굴표정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가 문장내용맥락, 그림상황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거나 정서가 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동시에 제시하였을 때 비슷한 정서적 운율이해력을 보였다. 그러나, 정서가 불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제시하였을때 고기능 자폐아동은 감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일반아동보다 운율에 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 and affective prosody on emotion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Fifteen HFA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who were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range, 9 to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different tasks,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task and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ask. Two way-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emotion types when prosody was given only. 2)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contexts when prosody and contexts were given at the same time. 3) For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HFA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an normal children. There was als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contexts.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facial expression than in lexical content and situation picture.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were as capable as normal children in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However, HFA children were less dependent on affective prosody to infer the speaker’s emotion than normal children when the emotion in various contexts (lexical contents, facial expressions, and situation pictures) conflicts with affective prosody.

      • KCI등재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Analogous to Korean Classroom Setting

        진연선(Yeon Sun J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배경 및 목적: 사회적 의사소통은 구어적ㆍ비구어적 행동 수단을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에서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은 맥락에 따라 다양한 변이성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교실 환경과 유사한 구조화된 환경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 집단 각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은 교실 환경을 구조화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행동을 유도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살펴보았다. 종속측정치는 총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수단은 구어적ㆍ비구어적 수단의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은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유형별(친화적, 소극적, 이탈적, 독단적)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보다 비구어적 수단 빈도가 더 적었다. 또한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이탈적ㆍ독단적으로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과 유사하게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몇몇 단순언어장애는 일반아동 집단보다 소극적으로 반응하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집단과 단순언어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교실환경을 반영한 구조화된 상황 내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일대일 상호작용 상황이 아닌 두 명 이상의 파트너와 함께 하는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더불어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만났을 때 평가 및 중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Social communic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comprise ongoing verbal and/or nonverbal behavior during interactive social context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HFA) to those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Forty-five children with HFA, SLI, and TD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task that was similar classroom setting in order to elicit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total frequency of social communication, the frequency of verbal/nonverbal behavior, and the frequency of initiation/response as assessed across four types of social interaction type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hree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social communication among the HFA, SLI, and TD groups. Children with HFA used nonverbal behavior less frequently than did SLI or TD children. HFA children responded and initiated more irrelevantly and assertively. The SLI children in this study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TD children in initiation and response behaviors although some SLI children used passive response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ose with TD. Conclusion: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seemed to be validly elicited in a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a classroom setting. It thus seems to be of considerable importance to tap into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involve more than two partners. The findings of this paper implicitly suppor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ructured group tasks in addition to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