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시권역 분석을 통해본 경기북부지역 보루의 사용주체와 기능

        이정범(LEE Jung-bum)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7 No.-

        경기북부지역에 밀집하고 있는 보루는 고구려가 북부지방과 남부지방을 잇는 교통로의 장악을 위해 설치한 것으로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경기북부지역의 보루 중 고구려의 유물이 확인되어 고구려의 것으로 확인되는 보루 이외에도, 그 사용 주체가 확인되지 않은 보루가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단순히 경기북부지역의 모든 보루를 고구려의 성곽시설로 보고 그 분포에 따라 관방체계를 분석하는 단순한 추론보다는 이를 좀 더 세밀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양주분지와 아차산 일대에 위치한 각각의 보루들에 대한 가시권역을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시권을 분석하였다. 또한 서로 인접하고 있는 보루들이 감시하고 있는 주요 감시대상지역을 조사하여 몇 개의 감시권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권역은 경기북부지역을 남북으로 잇는 주요한 교통로에 해당한다. 양주분지에 위치한 보루의 경우 고구려의 보루와 고구려의 보루로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 보루들 모두 동일한 감시대상지역을 갖는다. 이는 양주분지 지역이 신라와 고구려 양측 모두 중요하게 여기는 교통로에 해당하며, 신라 역시 이 지역을 고구려와 같이 군사거점 지배 방식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포천지역을 조망하는 천보산3ㆍ4ㆍ5보루의 경우 다른 고구려의 보루들과 달리 포천일대를 주요 감시대상 지역으로 삼는다. 이는 이들이 한강에서 왕숙천을 따라 포천으로 이어지는 교통로의 감시보다는 북동쪽에서 남하하는 말갈세력을 감시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고구려보다는 신라에 의해 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아차산과 망우산 그리고 시루봉에 위치한 보루의 경우, 주요 감시대상지역이 왕숙천의 서쪽에 해당하는 평야지대이다. 하지만 왕숙천을 따라 북쪽으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감시하는 다른 보루들은 더이상 확인되지 않으며, 포천일대에서 이어지는 교통로도 왕숙천 방향이 아닌 중랑천쪽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아차산 일대에서 동쪽을 주요 감시대상지역으로 갖는 보루들은 왕숙천을 이용한 교통로 보다는 오히려 한강 너머의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일대와 한강 상류가 주요한 감시대상지역으로 보여진다. 이는 남한강을 통하여 한강유역으로 진출하는 신라세력을 감시하기 수단으로 판단된다. It is the dominant view that the forts in northern Gyeonggi-do were built by Koguryeo to seize the traffic route which connects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of Koguryeo. However, aside from the forts in northern Gyeonggi-do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Koguryeo’s by Koguryeo’s artifacts, there exist numerous forts of which the user has not been identified. Therefore, in respect to the analysis of the defense system, a more detailed analysis method is required rather than the simple inferenc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forts in northern Gyeonggi-do were Koguryeo’s. This paper analyzes the visibility zone of each fort located on Acha Mountain and its neighborhood using ArcGIS program, through which it sets the surveillance range of the fort. Further, the paper investigates the primary surveillance zones observed by the adjacent forts and classifies them into several districts, which are part of the major traffic route that runs north and south of northern Gyeonggi-do. In respect to the forts located in Yangju basin, Koguryeo forts and the forts which are not definitely identified as Koguryeo’s all have the same surveillance zone. This falls into the traffic route considered significant by both Shilla and Koguryeo, indicating that Shilla also chose the military base control system as Koguryeo did. Notwithstanding, the Cheonbo Mountion forts 3, 4, and 5 overlooking Pochen, unlike other Koguryeo forts, aim primarily to surveil around the Pochen region. This suggests that Cheonbo Mountion forts 3, 4, and 5 were used more by Shilla than Koguryeo, and they were built to watch the Mohe-Ruzhens (靺鞨) moving southward from the north-east rather than the traffic route that runs from the Han River along the Wangsuk Stream to Pocheon. In addition, the forts located on Acha Mountain, Mangu Mountain, and Shirubong Mountain primarily aim to watch the plain south of the Wangsuk Stream. However, the forts overlooking other traffic routes that run to the north along the Wangsuk Stream are no longer found, and the traffic routes from the Pocheon region are not directed to the Wangsuk Stream but to the Jungrang Stream. Hence, it is presumable that the forts in the Acha Mountain region overlooking the east primarily aim to watch the Mongchon Mud Wall Fortress region and the upper region of the Han River, rather than the traffic routes using the Wangsuk Stream. This is believed to be the means to watch Shilla advancing to the Han River basin through the Namhan River.

      • KCI등재

        한강유역 고구려 보루의 조사 성과와 연구 쟁점

        양시은(Yang, Si Eun)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2

        한강유역은 고대 삼국이 각축을 벌인 곳으로, 고구려 유적 역시 다수 분포하고 있다. 한강북안의 아차산과 그 인근(수락산, 배봉산, 봉화산)에는 정상부에 보루가 축조되어 있는데, 상당수는 고구려의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강유역 고구려 보루에 대한 그간의 조사 성과와 연구 쟁점, 그리고 앞으로의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1997년에 아차산 4보루의 조사를 시작으로 고구려 보루에 대한 지속적인 발굴과 이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된 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연구자간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부분도 적지 않다. 연구 쟁점별로 주요 사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석축성벽 외 목책과 토성의 존재 여부와 같은 보루의 구조적 문제, 보루가 단순히 군사적인 목적에 따라 축조된 것인지 아니면 행정관청을 홍련봉 1보루에 두고 한강유역을 지배하였던 것인지와 같은 보루의 성격과 지배방식 문제, 그리고 아차산 보루군이 551년 백제와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에 따라 폐기된 것인지 아니면 그 이후에도 고구려에 의해 재이용되었던 것인지에 대한 편년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아차산 보루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본격화된 고구려에 대한 관심은 국내 고구려 고고학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다. 한강유역의 고구려 보루와 출토 유물 연구는 역사적인 정황상 5세기 후반에서 6세기라는 확정된 시간 폭을 가지고 있어 고구려 고고학 연구에서 일종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제는 학문적인 깊이를 더하는 것 외에도 그간의 성과를 어떻게 활용하고 대중적으로 홍보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re are many Koguryo sites in Han River basin where the ancient Three Kingdoms were in fierce competition. Especially, the Koguryo fortresses are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Acha Mountain, to the north of the Han River. This paper examined the research issues of Koguryo fortress in the Han River Basin. Beginning with the Mt. Acha Fort 4 in 1997, the continuous and full-fledged investigation of Koguryo fortresses has resulted in much research achievements in a relatively short time. However, since there were disagreements among researchers in terms of detail, the major issues were examined in this paper. First, regarding the main fortress structure, the question of whether wooden fences and earthen walls existed in addition to the current stone walls was reviewed. Seco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t. Acha fortresses, whether whether such fortresses were built simply for military purposes or whether they controlled the Han River basin with government offices, such as that present at Hongryeonbong Fort 1, was examined. Third, regarding the chronology of the Mt. Acha fortresses, it was examined whether Koguryo troops had retreated permanently due to Baekje and Silla forces in 551, or if the fortresses had been reoccupied after that. The interest in Koguryo, which began with the excavation of the Mt. Acha fortresses, has becom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Koguryo archeology in South Korea. The study of Koguryo fortresses and excavated artifacts in the Han River basin is significant in that these sites can be a kind of reference point in archaeological studies of Koguryo because they have a fixed time span ranging from 475 to the 6th century in historical contexts. It is important to do advanced research, but it is also time to seriously consider how to utilize and promote the achievements of the Mt. Acha fortresses.

      • KCI등재

        5~6세기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형태

        이정범(李廷範)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1 No.-

        고구려는 새로 영입한 영토를 지배하기 위해 거점지배와 권역지배를 단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한강유역 역시 이러한 단계의 순차적인 적용이 시도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한강유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형태를 이해하기 위해 비슷한 시기에 진출한 한강유역과 경기북부지역 그리고 금강유역의 관방체계와 관련된 유적들에 대한 분포상의 특징이나 편년, 방어체계 등을 통해 이 지역이 고구려에 의해 어떻게 지배되었고 운영되었는지 추론하였다. 한강유역에는 몽촌토성 내부에서 고구려 유구가 확인되며, 5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한강유역 일대에 교통로를 감시하기 위해 조성된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군의 주 사용연대는 6세기에 해당하며, 홍련봉보루의 경우 기와를 사용한 건물지가 확인된다. 임진강유역에 위치한 호로고루는 석축성벽 이전단계로 보이는 목책유구가 확인되며, 이후 기와를 사용한 내부시설과 석축성벽에 조성되었다. 금강유역에서 확인되는 청원 남성골산성과 대전 월평동산성의 경우 5세기에 해당하는 목책유구를 사용한 군사적거점이 확인된다. 이는 고구려가 5세기 중?후반에 한강유역으로 남하하여 백제의 한성을 함락시켜 한반도 중부지방에 대한 영향권을 손에 넣는 과정에서 임진강과 한탄강유역에 군사적 거점을 조성하였으며, 한강유역에는 몽촌토성에 군사적 거점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강유역에서 확인되는 청원 남성골산성과 대전 월평동산성 역시 5세기에 해당하는 이른 시기의 군사적 거점이 확인되는데, 한강유역에서부터 남하하여 설치된 군사적 거점이기 보다는 5세기 초?중반에 이미 안정된 영역화를 이룬 충주지역에서 이루어진 진출의 결과물로 이해된다. 6세기 이후 한강유역에는 아차산 일대에 교통로 방어를 위한 보루군이 조성되었으며, 홍련봉보루에서는 기와가 사용된 건물지가 조성되며 치소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임진강 유역에는 호로고루와 같이 일시적인 군사적 거점에 치소의 역할을 담당하는 평지성을 축조하였다. 하지만 아차산 일대의 경우 거점 지배소인 홍련봉보루 이외에 다른 치소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권역지배 단계로 이행은 하지 못하였으며, 신라에게 상실한 이후 신라의 영역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임진강 유역에 위치한 고구려의 성곽의 경우 기와가 확인되어 거점지배가 추정되는 성곽은 총7개로 무등리1보루 당포성?호로고루?두루봉 보루?아미성?칠중성?이잔미성 이다. 이들은 거점지배 치소들은 하나의 권역을 이루며 권역지배 형태로 전환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안정적인 영역화를 이루며 권역지배를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다르게 양주분지에 위치한 보루들의 경우, 군사적 거점 이후 단계로는 나아가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6세기 중?후반 임진강 유역과 한강유역을 각각 영토화 시킨 고구려와 신라가 끊임없이 충돌하는 전략적 완충지대로 남아있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연천 무등리보루군의 가치와 활용방안

        최종택(Choi, Jongtaik),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연천 무등리보루군의 역사ㆍ문화적 가치를 바탕으로 유적의 정비 및 활용 방안을 검토해본 것이다. 무등리보루군은 임진강변에 위치한 보루 중 발굴조사를 통해 그 구조와 성격에 관한 기본 자료가 확보된 유일한 유적이다. 특히 고구려 기와 건물지 즉 행정 관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1보루와 완전한 형태의 고구려 찰갑과 더불어 고구려 제철장 및 곡물 창고가 있었던 군수기지로서의 2보루는 행정관청과 군수기지라는 고구려 변경 지역에서의 치소 및 병참 운영 체계를 연구하는데 단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무등리보루군은 독특한 축성기법으로 인해 고구려 보루에 대한 축성 연구뿐만 아니라 임진강 일대의 고구려 관방 체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처럼 역사·문화적 가치가 충분한 무등리보루군은 역사교육의 장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연천군 관내의 여러 고구려 유적과 연계하는 다양한 역사탐방루트는 물론이고, 임진·한탄강의 수려한 자연경관 및 이미 개발된 안보관광루트나 둘레길(평화누리길) 탐방과 연계하는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전곡선사박물관과의 적극적인 활동 연계나 유적 인근의 관광시설에서의 홍보 등을 통해 유적의 자연스러운 방문을 유도함으로써 무등리보루군의 조사 성과와 역사적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향후 남북관계 개선을 염두에 두고, 고구려유적을 매개로 한 남북교류 방안 등도 미리 준비해둘 필요도 있다. 이상 제시된 활용 방안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등리보루군을 국가사적으로 지정하는 행정조치가 선행되어야할 것이며, 이후 체계적인 발굴조사와 관련 연구를 통해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함으로써, 그 역사적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the utilization plan of Mudeungri forts in Yeoncheon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Mudeungri forts are the important site where basic data on structure and character were obtained through excavation. It is assumed that fort no. 1 had a roof tile building that served as the administrative office and fort no. 2 was a logistical base with a grain warehouse and iron refinery. These forts provide important data for studying administrative locations and logistical systems in the Koguryo border area. And These forts are also important to study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Koguryo forts. Mudeungri forts, which have sufficie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like this, need to be used as a place for his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like as a variety of historical routes linked to Koguryo sites in Yeoncheon as well as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of the Imjin and Hantan rivers and the Peaceful Nuri-gil.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ways to promote the investigation results and historical values of the Mudeungri forts by increasing the opportunity to visit the site through active links with Jeongok prehistory museum or promo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above-mentioned utilization plans,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administrative measures to designate Mudeungri forts as a national historic site.

      • KCI등재후보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양시은(Yang, Si Eun) 중부고고학회 2010 고고학 Vol.9 No.1

        475년 고구려는 당시 백제의 도성이었던 한성을 점령하고 이후 남진히여 금강유역까지 진출하였다. 551년 신라와 백제의 연합군이 북상하지 고구려는 한강 유역에서 후퇴하였다. 고구려가 한강 이남으로의 남진 한시기 내지는 점유 방식 등과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최근 한강 이남지역에서 고구려 고분과 생활 유구 등 여러 고구려 유적들이 조사되기 시작하면서. 475년부터 551년까지 약80년간 고구려는 한강 유역을 거의 줄곧 점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구려는 풍납도성을 점령한 뒤 몽촌토성에 남진을 위한 사령부를 축조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몽촌토성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한강 이북의 아차산 보루군에서 출토되는 것들보다 시기기 이 른 5세기 중후반에 해당된다. 또한 몽촌토성 내에서 확인되는 유구의 축조 방식이나 고구려 고분에서 주로 확인되는 의례용 용기인사이장경웅의 출토, 과거 백제의 도성이었다는 점 등은 몽촌토성이 고구려 군의 남진사령부로서의 기능하였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또한 최근 판교, 용인, 정계, 충주 등 한강 이남에서 확인되고 있는 5세기 중후반대 고구려 고분군들은 고구려기 당시 한강 유역을 인정적으로 점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역 지배를 실시하고 있었음을 보여줄 수 있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다만 금강 유역의 경우에는 유적 분포 양상과 역사적인 상황들을 감안해볼 때 영역지배보다는 거점지점 외 같은 군사적 점유의 성격이 보다 강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6세기가 되면 백제의 세력 확장으로 인해 남쪽 전선이 불안정해지면서 몽촌토성 내 고구려 유적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고 이후에는 아차산 보루군이 한강 유역 지배와 관련된 중심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아차산 보루군은 아치산, 용마산, 망우산, 시루봉 등의 각 봉우리에 성을 축조하여 보루기 여러 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보루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아차산 보루군 자체기 마치 하나의 중대형 성처럼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차신 보루군의 중심은 기외 건물지기 축조된 홍련몽 1보루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아차산 4보루에서 출토된 명문도기 등 주변 유적에서 확인된 여러 유물들은 이러한 기능성율 높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구려는 475년부터 551년까지 한강유역을 안정적으로 점유 및 지배 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며. 5세기 중엽에는 몽촌토성을 중심으로 한강유역 전역을, 6세기에는 아차산 보루군 자체기 중심이 되어 한강 이북을 경영하였을 것으로 파악된다. In 475 CE, Goguryeo (Koguryo) dominated Hanseong, the capital of the Baekje kingdom, moved southward and then advanced to the Geum River basin. In 551 CE, as the allied powers of Silla and Baekje moved northward, Goguryeo retreated from the Han River basin. Within academic circles, there exists much debate regarding Goguryeo's southward expansion south of Han River with regards to the way it dominated the region. However, as various Goguryeo remains have recently begun to be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 region, including tombs and household architectural remains, it can be assumed that Goguryeo continued to dominate the Han River basin for about 80 years from 475 to 551 CE. Upon dominating the Hanseong region, Goguryo built a command center for southward expansion at Mongchonroseong (earthen wall fortress), Relics excavated from Mongchontoseong date back to the mid to late 5th century CE which is earlier than those found in the fortresses of Mt, Acha,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region. The building construction mechanism identified at Mongchon toseong and the fact that a large jar with flared mouth - a container for rituals often found in tombs - was excavated illustrate that Mongchontoseong served as a command center for the Gogureyo military in its southward campaign. In addition, Goguryeo tombs of the mid to late 5th century identifi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 region, including Pangyo, Yongin, Cheonggye and Chungju, indicate that Gogureyco not only dominated the Han River area in a stable manner but also dominated the wider region. However,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relics and the historic circumstances of the Geum River, it is likely that this dominance was more in the form of military dominance, such as foothold dominance, rather than regional dominance. Meanwhile, in the 6th century, due to the unstable situation in the southem area following Raekje's power expansion, the Goguryeo site at Mongchontoseong ceased to function and the fortresses or Mt. Acha, instead, played a pivotal role in dominating the Han River region. The Mt. Acha fortresses consist of various fortresses built on each mountain peak (i.e, Mt, Acha, Yongma, Mangu and Siru), However, these fortresses were organically interlinked, so the fortresses of Mt Acha may have served as a single mid-scale castle, whose center is assumed to have been Hongreonbong Fort No.1. In conclusion, Goguyeo is likely to have dominated and ruled the Han River region in a stable manner from 475 to 551 CE. In the mid 5th century, Goguryeo is judged to have ruled the whole Han River region with Mongchoruoscong at its center, and to have ruled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with the fortresses of Mt, Acha at its center in the 6th century.

      • KCI등재

        5~6세기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형태

        이정범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1 No.-

        . 고구려는 새로 영입한 영토를 지배하기 위해 거점지배와 권역지배를 단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한강유역 역시 이러한 단계의 순차적인 적용이 시도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한강유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형태를 이해하기 위해 비슷한 시기에 진출한 한강유역과 경기북부지역 그리고 금강유역의 관방체계와 관련된 유적들에 대한 분포상의 특징이나 편년, 방어체계 등을 통해 이 지역이 고구려에 의해 어떻게 지배되었고 운영되었는지 추론하였다. 한강유역에는 몽촌토성 내부에서 고구려 유구가 확인되며, 5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후 한강유역 일대에 교통로를 감시하기 위해 조성된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군의 주 사용연대는 6세기에 해당하며, 홍련봉보루의 경우 기와를 사용한 건물지가 확인된다. 임진강유역에 위치한 호로고루는 석축성벽 이전단계로 보이는 목책유구가 확인되며, 이후 기와를 사용한 내부시설과 석축성벽에 조성되었다. 금강유역에서 확인되는 청원 남성골산성과 대전 월평동산성의 경우 5세기에 해당하는 목책유구를 사용한 군사적거점이 확인된다. 이는 고구려가 5세기 중·후반에 한강유역으로 남하하여 백제의 한성을 함락시켜 한반도 중부지방에 대한 영향권을 손에 넣는 과정에서 임진강과 한탄강유역에 군사적 거점을 조성하였으며, 한강유역에는 몽촌토성에 군사적 거점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강유역에서 확인되는 청원 남성골산성과 대전 월평동산성 역시 5세기에 해당하는 이른 시기의 군사적 거점이 확인되는데, 한강유역에서부터 남하하여 설치된 군사적 거점이기 보다는 5세기 초·중반에 이미 안정된 영역화를 이룬 충주지역에서 이루어진 진출의 결과물로 이해된다. 6세기 이후 한강유역에는 아차산 일대에 교통로 방어를 위한 보루군이 조성되었으며, 홍련봉보루에서는 기와가 사용된 건물지가 조성되며 치소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임진강 유역에는 호로고루와 같이 일시적인 군사적 거점에 치소의 역할을 담당하는 평지성을 축조하였다. 하지만 아차산 일대의 경우 거점 지배소인 홍련봉보루 이외에 다른 치소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권역지배 단계로 이행은 하지 못하였으며, 신라에게 상실한 이후 신라의 영역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임진강 유역에 위치한 고구려의 성곽의 경우 기와가 확인되어 거점지배가 추정되는 성곽은 총 7개로 무등리1보루·당포성·호로고루·두루봉 보루·아미성·칠중성·이잔미성 이다. 이들은 거점지배 치소들은 하나의 권역을 이루며 권역지배 형태로 전환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안정적인 영역화를 이루며 권역지배를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다르게 양주분지에 위치한 보루들의 경우, 군사적 거점 이후 단계로는 나아가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6세기 중·후반 임진강 유역과 한강유역을 각각 영토화 시킨 고구려와 신라가 끊임없이 충돌하는 전략적 완충지대로 남아있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고구려 남부전선 주둔부대의 생활상

        신광철(SHIN Kwang-cheol)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보루는 군사적 기능이 극대화된 군사시설로서 동시기 백제와 신라, 중국 왕조 등 주변 국가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형태의 관방시설이다. 이러한 보루는 고구려 내에서도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남부전선만의 특수한 군사전략에 의해 구축ㆍ운영되었으며, 중앙에서 파견된 수천 명의 상비군이 주둔하였다. 각 보루에는 창수, 궁수, 부월수, 환도수 등으로 구성된 10~100명 단위의 보병부대가 주둔했으며, 주로 한강 이남의 백제ㆍ신라에 대한 감시와 통제 및 국지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보루의 주둔군이 常備軍이라 하더라도 매일 군사업무만 수행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전투가 없는 시기에 교육ㆍ훈련을 통해 전투력을 유지ㆍ증진시켰으며, 자체적으로 수렵 및 어로 활동을 통해 식량을 공급하기도 하고, 성벽 및 건물지 등을 증ㆍ보축하기도 했다. 이러한 주둔군의 의식주 생활 일부를 보루에서 출토된 다양한 토기와 철기 및 토제품, 보루 내의 건물지, 성벽, 내부시설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한편, 고구려의 남부전선에는 대규모 성곽이 없는 대신 소규모 관방시설인 보루를 중심으로 하는 방어체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둔군의 성격이나 편제는 물론이고, 지휘체계나 보급체계 역시 다른 전선과 달랐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보루라는 관방시설 자체가 전투를 주목적으로 하는 군사시설인 만큼 자체적으로 군수물자를 생산ㆍ보급하기 힘들지만, 구의동보루의 경우 호미와 보습 등 적지 않은 수량의 철제 농구류가 확인되어 일부 보루에서는 소규모로 둔전 경작이 이뤄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구의동보루를 비롯한 한강 유역에 소재하고 있는 20여 개의 보루에서 주둔군의 병영막사로 쓰였던 건물지 이외에 단야시설, 디딜방앗간, 간이 소성시설 등이 확인되어 보루 내에서 전투 이외의 각종 생업활동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을 통해 보루 내에 단야작업, 취사, 토기 소성 등을 담당하던 기술병이 주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강 유역 고구려 보루群의 보급체계 일면을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더 나아가 각 보루마다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내부시설 이외에 몇몇 보루에서만 확인되는 특수한 내부 시설들을 통해 보루마다 기능과 성격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보루의 위계와도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Defense posts established by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eo along mountaintops near the Han River represent frontier defense facilities whose military functions were emphasized. These defense posts are unlike any frontier defense facilities found in rival kingdoms of Baekje and Shilla, or even in China and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These facilities were built and operated within the specialized context of Goguryeo’s ‘southern frontier; manned by thousands of troops dispatched from the capital. Posted in each outpost was a garrison of 10 to 100 infantry troops that included spearmen, archers, axemen, and swordsmen; responsible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concerning movements of Baekje and Shilla troops, as well as engagement in armed skirmishes when necessary. Despite the fact that the soldiers posted were regular troopers, their activities included more than typical military duties. Various fo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undertaken when they were not fighting, in order to improve their skills for combat in case it should actually come to pass, as well as maintenance work on walls and buildings of their outpost. The diverse array of pottery, iron tools, earthen items, building sites, walls, and remnants of facilities uncovered at the site allows us to trace the daily lives and routines of these garrisons. As Goguryeo’s defensive network in the southern frontier consisted not of massive fortresses but small defense outposts, it can be safely assumed that the nature and organization of the garrisons, and the logistics network, would be different from Goguryeo’s other frontiers. These outposts were military facilities specialized for warfighting, which made self-sufficiency in production of weapons and other supplies difficult. However, the discovery of significant numbers of hoes and plows at the outpost in Guui-dong in Seoul indicates that some farming activity took place within the grounds by the garrison. In addition to the Guui-dong outpost, excavation at twenty other outposts along the Han River revealed facilities for ironworking, milling, and pottery making (small kilns); evidence of various daily activities other than combat. The facilities also provide proof of ‘specialist’trooper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activities that can be inferred from above (ironsmith, cooking, potter making, etc.), enabling us to reconstruct at least one aspect of the logistics system used to support Goguryeo outposts in the Han River area. Facilities peculiar to certain outposts, aside from facilities basic to all of them, points to differences in the role and character of each, and a hierarchy that existed among the outposts in the network.

      • KCI등재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와 성격

        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6 No.-

        고구려 성곽에 대한 남한의 연구는 중국이나 북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었으나 짧은 기간 동안 14개의 성곽 관련 유적이 조사되면서 연구의 기초 자료가 축적되었다. 남한의 고구려 성곽은 임진ㆍ한탄강 유역, 양주 일대, 한강 유역,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양주 일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 살펴본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성벽 축성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체성벽은 목책, 토석 혼축 그리고 석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남한에서는 목책이 석축 성벽에 앞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석혼축 성벽은 은대리성에서만 확인되었으나, 호로고루나 당포성 또한 석축 내부에 토루를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될 수 있다. 한편,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대부분은 석축 성벽인데, 보루에서 확인된다. 보루는 산봉우리를 둘러싸고 한 두 겹의 석축 성벽을 세우고 흙으로 뒷채움을 하고 있어 중대형 고구려 성곽과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성벽은 산 정상부의 평탄면 정도까지만 쌓았는데, 이로써 생활공간을 확장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남한의 고구려 보루에는 여장이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용마산 2보루나 아차산 4보루, 시루봉보루 등에서 방어력을 강화한 특이한 구조의 치가 발견되었는데, 출입시설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성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우선 고구려에 의해 축조된 성곽은 신라나 백제에 대한 방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강 북안에 위치하고 있었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남한의 성곽은 중국이나 북한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작은데, 아차산 보루군의 경우에는 여러개의 보루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치 하나의 대형 성곽으로써의 기능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르면 보루는 기존에 논의된 것처럼 단순히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거점으로써만이 아니라 특정 구역을 관할할 수 있는 행정중심으로써의 기능도 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남한에 분포하고 있는 성곽에 대한 편년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그동안 역사기록에 너무 치중하여 오히려 잘못된 해석을 내리는 예가 있어 본고에서는 고고학 자료를 중심으로 성곽에 대한 개략적인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The thesis looked at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Goguryeo fortresses located in South Korea. Although the kingdom collapsed 1,300 years ago, its fortresses still look the same as they were built. Goguryeo people’s high technical capacities are fully demonstrated as fortresses built by them are well preserved until now and their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stone fortresses built since the era of Three Kingdoms. Many Goguryeo fortress are founded in South Korea and excavated over thirteen sites. Of course, these fortresses were smaller than those located in China and North Korea. However, these excavations somewhat extended understanding in structures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Goguryeo. This thesis took an overall look at construction techniques and facilities of Goguryeo fortresses based on basic data on them excavated until now. This examination helped to clarif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oguryeo fortresses. In addition, this thesis examined characteristics of Goguryeo remains located in South Korea. It was found that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are located in the north of rivers for high efficiency of defense against the other two kingdoms, Silla and Baekje. Also, this thesis looked at problems caused due to the fact that many researchers failed to consider construction timing, use period, and occupants of those fortresses in their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Goguryeo fortresses located near the Imjin and Hantan rivers. In terms of size, many fortresses in South Korea are much smaller than those in China and North Korea. However,this thesis found that in the case of linked fortresses at Mt. Acha one small fortress is linked to another to function as one large fortress. Through this examination, this thesis highlighted that linked fortresses not only functioned as a strategic base to secure traffic roads but also as an administrative center to govern specific area. Inaddition, this thesis pointed out cases of wrong interpretation due to excessive focus on historical records for studies on chronological records on fortresses located in South Korea and tried to rectify this wrong chronological view.

      • KCI등재

        남한지역 고구려 관방시설의 연구 성과와 과제

        윤성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0

        The number of military facilities left after Goguryeo's entry into the area of South Korea has been 70 places, and 20 ones have been excavated.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Goguryeo's Military facilities in the area of South Korea by combining them with the four regions of the Geumgang River- Mihocheon stream basin zone, the Hangang River-Jungnangcheon stream basin zone, the Yangju basin zone, and the Imjingang River-Hantangang River basin zone. The results of major excavation surveys in each region were reviewed, and the pres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study of the Goguryeo's Military facilities were described.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types of Goguryeo's Military facilities. The first is the type of breeze castle recycled Baekje's Earthen Fortification in the Hangang River -Mihocheon stream basin zone, the second is the type of Fort in the Hangnag River-Jungnangcheon stream basin and the Yangju basin zones, and the third is the isosceles triangle in the isosceles triangle using the natural topography of the Imjingang River-Hantangang River basin zone. We divided the time period by associating these types of military facilities with Goguryeo's southern region. The 1st Period of the three ones was the time when the Imjingang River-Hantangang River basin zone was constructed before the 5th century and constructed Military facilities.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2nd period was a time when Chungju was used as a Gukwon. And the 3rd period was the time when King Jangsu of Goguryeo captured the capital of Hansung Baekje in 475 and Goguryeo built a Forts by fighting against Baekje in the Hangang river basin zone. Next, the operation period of the Goguryeo's Military facilities in the Hangang River basin zone was reviewed. It is common idea to use it from the 6th century to the mid-6th century. However, recent analysis of the Fort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Goguryeo had come back south after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Finally, we looked at facilities similar to Goguryeo's Military facilities in South Korea. The Forts of Baekje in the 6th to 7th century, similar to the Forts of Goguryeo, have been identified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re is a small Fort in China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fortress It is not yet investigated, but if these data are secured in the future, I think that it will be an important foundation to restore the genealogy and operation method of the Goguryeo's Military facilities and to fill the vacancy of the ancient military History of Korea. 고구려가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진하면서 남긴 관방시설은 현재까지 현황 조사를 통하여 70여개소가 확인되었고, 20개소에 대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남한지역 고구려 관방시설을 금강-미호천 유역권, 한강-중랑천 유역권, 양주 분지권, 임진강-한탄강 유역권의 4개 지역권으로 묶어서 살펴보았다. 각 지역별로 주요 발굴조사 성과를 검토하고, 고구려 관방 시설의 연구 현황과 전망을 서술하였다. 우선 고구려 관방시설 유형을 살펴보았다. 첫째 금강-미호천 유역권의 백제의 토성을 활용하여 축조한 목책도니성 유형, 둘째 한강-중랑천 유역권과 양주 분지권에 집중적으로 조성된 보루 유형, 셋째 임진강-한탄강 유역의 자연 지형을 이용한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강안 평지성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 구분을 고구려의 남진과 결부하여 5세기 이전에 임진강-한탄강 유역으로 남진하여 관방시설을 구축한 Ⅰ기와 5세기 중반경에 춘천 방면으로 남진하여 충주를 國原으로 삼아서, 대전까지 진출한 Ⅱ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475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한성 백제의 수도를 함락시키면서 고구려가 백제와 한강 유역을 두고 공방을 벌이면서 보루를 설치한 Ⅲ기로 구분하여 관방시설의 유형과 고구려 남진의 방향성을 연결해 보았다. 다음으로 한강유역의 고구려 보루를 중심으로 운영시기를 재검토하였다. 기왕의 통설은 6세기대에 초축되어 6세기 중반 고구려가 한강유역을 상실하는 시기에 폐기된 것으로 이해한 것이다. 그렇지만 최근 연구 결과 보루의 수개축과 출토 유물의 분석을 통하여 6세기 중반 이후에 신라 진흥왕의 한강 유역 진출 이후에도 고구려가 다시 남진 하였을 가능성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남한 지역 고구려 관방시설과 유사한 시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남한 지역에서는 고구려의 보루와 유사한 6~7세기의 백제의 보루들이 확인되고 있다. 아울러 중국에서도 보루의 특징을 보이는 소형 관방시설이 확인된다. 아직 조사가 미비하지만 향후 이러한 자료가 확보된다면 고구려 관방시설의 계보와 운영 방식을 복원하여, 한국 고대 군사사의 공백을 채워 나가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전망해 보았다.

      • KCI등재

        서울 구의동 보루의 구조와 사용시기의 再考

        안성현,박동선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3

        Although Guui-dong fortress consider as a Baekje tumulus, It reperceive as a Goguryeo military facility dur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relics that excavated from Mongchontoseong Fortress. In this writing, after recognizing synchronism of a pit dwelling and excavated relics in Guui-dong fortress, we looked at the landsc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during the period of the fortress, focusing on the loading metho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fortress in Guui-dong was divided into threee periods. The remains belonging to the first stage are drainage channels and earth mines. However, the remains of this period were damaged because of transfusion residence was installed. Therefore, the exact aspect is unknown. Rampart of first stage was stacked up by large size of chipping, a spur -chiwas not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xact structure of the fortress, however considering the size of the fortress and the installation of drainage channels insid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resided. State of second stage changed extremely. Projection added in rampart and digged structures installed inside. Inside the residence, an area of up to seven troops will be secured. Considering the organization of Goguryeo army, it is believed that about five people were stationed. However, the number of weapons or household containers used by the garrison is unknown.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the importance of the fortress has increased or was actively used as the ruins, earthworks, and stone pillars were installed in the south of the portress. The standard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is whether excavated artifacts can be loaded inside the residence, and if the structures functioned inside the residence, the excavated relics cannot be loaded, indicating that they were expanded to their appearnace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Furthermore, unlike the previous period, it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changed to special facilitiessuch as warehouses and were discarded in that state. Since troops could not reside inside the warehouse during this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the management would have alternately worked with the troops residing in the 2st bastion of Guui-dong or the troops from the surrounding bastion. The fortress in Guui-dong was built as a the secretaria relic, but its character changed to a warehouse, and as it was discarded in that state, a large amount of relics were excavated from inside the remains, unlike other dwellings. This aspect can be applied to Goguryeo and South Korea fortresses in Achasan Mountain and also other region both. Therefore, if the fortresses in Guui-dong and Goguryeo fortresses in Achasan Mountain are reexamined, Goguryeo’s rule over the Hangang River basin from 475 to 551 years will be restored in three dimensions. 구의동 보루는 백제 고분으로 인식되었으나 몽촌토성 출토 유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재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고구려 군사시설로 재인식되었다. 이 글에서는 구의동 보루 내 수혈주거지와출토유물의 동시성을 인정한 후 유물의 적재 방식을 중심으로 보루이 시기적 경관과 성격의 변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의동 보루는 세 시기로 나누어짐을 밝혔다. 1기에 속하는 유구는 배수로와 토광인데, 수혈주거지가 시설되면서 이 시기의 유구가 훼손되어 정확한 양상은 알 수 없다. 1기의 성벽은 대형의 할석으로 허튼층쌓기를 하였으며, 돌출부-치- 는 설치되지 않았다. 보루 내부의 정확한 구조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보루의 규모와 내부에 토광및 배수로가 설치되었음을 고려할 때 다수의 인원이 상주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2기에는 경관이 획기적으로 변한다. 성벽에는 돌출부가 가축되며, 내부에는 수혈 건물지가 설치되었다. 주거지 내부에는 최대 7명의 병력이 상주할 정도의 면적은 확보된다. 다만, 고구려 군대의 편제를 고려할 때 1오(伍)인 5명 정도가 주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주둔 병력이 사용하였던 무기나 생활용기의 수량은 알 수 없다. 이와 더불어 보루의 남쪽에도 전을 깐 유구와 토광및 석렬이 설치되면서 보루의 중요성이 이전보다 높아졌거나 아니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음은분명하다. 2기와 3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출토된 유물을 주거지 내부에 적재될 수 있는가 여부인데, 주거지 내부에 구들이 기능을 하였다면 출토된 유물을 적재할 수 없으므로 조사 당시의 모습으로 확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 이전 시기와 달리 창고와 같은 특수 시설로 성격이 변화하였고, 그 상태로 폐기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시기 창고 내부에 병력이 거주 할 수 없으므로 관리는 구의동 2보루에 상주한 병력이나 주변 보루의 병력이 교대로 근무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구의동 보루는 관방유적으로 축조되었으나 창고로 성격이 변화였고, 그 상태로 폐기됨으로써유구 내부에서 다른 주거지와 달리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아차산 일대 고구려보루를 비롯해 남한지역 고구려 성곽 및 보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의동 보루와 아차산일대 고구려 보루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진다면 475년에서 551년간 이루어진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을 입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