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 공무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 관계- LMX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유재두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3

        최근 들어 안전을 주재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 중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하는 첫 번째 조직은 경찰이라고 할 수 있는데, 경찰 조직의 발전은 국민과 국가의 안전에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경찰 조직의발전을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경찰 조직의 구성원인 경찰 공무원의 발전 가능성과 관련된 내용이라고 할 수있다. 즉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접근 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관계가 어떤영향을 미치는지를 경찰공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경찰 공무원의 경우인적 네트워크에 대한 의존도가 다른 조직보다 매우 높기 때문에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능동성, 자율성, 창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조직의 성장과 개인의 성장은 비례하는데 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경찰공무원의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을 들 수 있다. 한편, 경찰 조직의 특성상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에 의한 직무가 행해지지만, 다른 그 어떤 기관보다 위험에 노출되어있는 등 여러 이유에서 다른 어떤 기관보다 리더의 구성원에 대한 통제력과 영향력이 강하다. 그러나 기존의 하향적 리더십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에 대해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경찰 조직의 경우 매우 미흡하다. 선행 연구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다수있어 이를 기초로 LMX를 조절 변수로 설계하여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종속변수인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LMX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경우 재량과 책임, 그리고 자신감과 같은 경찰 공무원으로서 자부심에 대해 LMX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 후 더욱세부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경찰 공무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시민행동, LMX 관련 논문이 매우 미흡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그 기초적결과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role of the police is to protect life, physical and property of the peopl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police organization is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people. What is needed in the police organizational development? Various studies are needed to target the police officers. This research is about the regulation of LMX for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lationship of police officers to the police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 police organization is very high dependence on the staff than any other organization. The reason is that the mission of the police is very dangerous. In addition, this property similar to the military police organizations, such as command and commanding. There are many similarities with the military police. for example, command, command, control, etc. Therefore,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ability of police officers activeness, autonomy, creativity must be guaranteed. In general,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was added to the control variable LMX. Research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d not affect LMX.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proud to serve as police officers. The reason for this may be seen as having a LMX a negative impact. In the future it requires a more detailed study. This result seems to be aware of the generational change, such as changes in police officers.

      • KCI등재

        경찰관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 분석

        송병호,성용은 한국경찰연구학회 2005 한국경찰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경찰관의 조직몰입의 특성을 살펴보고, 경찰관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와 리더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덧붙여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관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더에 대한 신뢰증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의 양자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경찰관의 성별과 근무기간에 따라서 경찰리더에 대한 신뢰의 정도가 달랐으며, 경찰관의 성별과 입직경로에 따라 조직몰입의 정도가 달랐다. 둘째,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경찰관의 리더에 대한 신뢰는 조직몰입의 유형에 따라 그 미치는 영향이 달랐는데, 즉 정서적 몰입보다는 규범적 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경찰관의 경찰리더에 대한 신뢰는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경찰관이 리더의 신뢰정도가 강할수록 소속된 경찰관의 조직몰입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리더가 경찰관에게 공정하게 대한다고 느낄수록, 부하를 속여 자신의 이익을 탐하지 않을 것이라고 느낄수록, 성실하다고 느낄수록, 업무추진능력이 확실하다고 느낄수록, 또한 열린 마음으로 대화를 나눈다고 느낄수록 리더를 강하게 신뢰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듯 경찰관은 리더에 대한 신뢰감을 많이 가질수록, 리더에 대해서 충성심을 가지고 어떤 위기상황에도 리더를 지지하며 더욱 조직에 몰입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찰리더는 부하직원에 대한 공정한 태도와 대우, 솔선수범, 의사결정의 공정성 확보를 통해서 부하들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받아 부하직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업무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an availability of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in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in an the organiza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ir confid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whether it be proper and practical for the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to apply Korea police organization, by actual works for investigation.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is the leader's trust will play a mediatorial role in th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0.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Factor-analysis was obtained to prove reliability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and the performance of police organization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considered and more considerations and concerns should be given to office workers and general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cogni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and hypotheses. The concerns on the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should be given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in an organization. Considering that the police officer's confidence to their leader was influenced greatly by the inspirational motivation, leaders must research more and more obtain reliability and a leader's intellectual ability. And Leaders are not occupied by what they may individually bargain for as a result of the crisis. Rather, Leaders are motivated to succeed beyond their immediate self-interests and to achieve the goals of organizational survival and prosperity.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조직평판 인식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임창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7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이 인식하는 조직평판이 조직 효과성의 주요 요소인 조직몰입․직무만족․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16년 8월에 경찰교육원의 9개 교육과정에서 직무교육을 받고 있는 경찰공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불성실하게 작성하여 결측치를 갖고 있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25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경찰교육원의 직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경찰관들은 전국 17개 지방경찰청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찰관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분석 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 조직평판은 조직몰입에 대하여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만족에 대하여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평판은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만족에 대하여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찰조직 상황에서 조직평판의 조직 효과성에 대한 영향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서 장기간에 걸쳐서 형성된 경찰조직 평판이 경찰관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조직몰입을 통해서 조직의 목표 및 가치를 수용하고, 경찰조직을 위해 근무하고, 경찰조직의 구성원으로 남아 있으려는 의도가 강해지면서 직무만족을 느끼게 되고, 공식적으로 보상을 받지 못하는 조직시민행동을 함으로써 직무성과가 향상되는 논리가 증명되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olice officers’ perceived organizational reput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57 police officers who was receiving job training at the Police Training Institute in August 2016.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rganizational reput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The study has significant value in analyzing systematically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reput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police organ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reputation of past behaviors of police organization affects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police officers accept organizational goals and values, and they are willing to work for police organiza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police officer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practice voluntary extra activities that are not officially rewarded.

      • KCI등재후보

        역사적 제도주의에 입각한 한국 해양경찰 조직개편에 대한 검토 : 2013년과 2016년의 구조와 기능비교

        윤희중 한국해양경찰학회 2016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6 No.3

        신제도주의의 한 유형인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에서 접근하면 세월호 참사는 충격적인 사회문제로서 해양경찰조직의 진화과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대표적 사례이다. 정부는 이 우연한 사건에 의해 발생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해양경찰조직을개편하였고 그 진화과정에서 지속성보다 단절을 선택했다. 그러나 정부는 절박한 고비와 혼란을 피하기 위해 짧은 기간에 조직개편을 단행함으로서 해양경찰의 자기강화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정권의 정치적 위기를 돌파할 기회로 삼거나 비난회피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조직의 개편과 관련하여 중대한 전환점인 세월호참사를 기점으로 2013년과 2016년의 조직구조와 기능의 특징을 비교하는데 목적을두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정태적인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해양경찰조직의합리적인 개혁과 제도의 발전경로를 탐색하기 위해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 분석결과와 정책적 함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연계하면 해양경찰조직과 해양경비안전본부조직은 모두 정형적 모델에가깝다. 둘째, 2014년 이후의 조직개편에서는 해양경찰 기능을 충분히 회복하지 못했다. 정부는 국민안전에 중점을 두고 분산된 관련기관을 통합하면서 새로운 부서를신설했다. 이 과정에서 조직규모는 확대되어 가외성(加外性) 현상이 나타났고 그 기능은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통합되었다. 반면에 최근 해양경찰 기능에서 강조되는 분야는 조직개편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 이 사례는 조직개편 방법 중에서 해양경찰 기능을 재중앙집권화 하기위해 독립적외청에서 정부 내의 부처로 내부화(incorporating)시킨 전형적 속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만약 조직개편의 궁극적인 목적이 국민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면 앞으로 조직개혁을 더 효율적으로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중요하다. In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view, as a type of the new institutionalism, the tragic Sewol ferry disaster is a great example of a shocking social issue influencing on evolutionary process of the Korea Coast Guard(KCG). The KCG newly organized its depart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due to a chance event by government. and during evolution, the government selected a break, not the stable continuity. Bu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The government reorganized the KCG to avoid crucial moment and confusion. As a result, The government has not strengthened self-reinforcement of the KCG. Rather, the KCG was taken this reorganization as political opportunity to get over difficulties, or was using it as a way to dodge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eature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reorganization in the KCG, in particular before and after the 2014 Sewol ferry disaster was a crucial turning point. Despite having static aspect, this study method need to search for rational reform and path dependence of the system. A review on analysi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KCG in 2013 and 2016 are closer to more formal model. Second, system of the KCG after the reform of 2014 had never fully recovered from the KCG functions than before. Government created new departments to consolidate many distributed agencies relates to public safety. Within this process, this massive reorganization was characterized by redundancy, and its functionality were consolidated too inclusive.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area of the Coast Guard interest was not reflected aggressively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KCG. Among the many methods for reorganization, this case connotes an typical attribute that was changed from external agency to incorporating in recentralization of the KCG. But most important of all, if the ultimate purpose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for the people, government should try again a new approach to promote a more effective organizational reform.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에피커시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병호(Song Byeong Ho) 한국공안행정학회 200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에피커시와 자신들의 정서적ㆍ지속적ㆍ규범적 몰입이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탐구하였다. 에피커시란 '목표한 조직의 업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활동과정을 조직화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이것이 큰 경찰관은 경찰조직에 더 몰입하게 되고 업무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한편 조직몰입이란 '구성원이 조직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과 그에 따라 조직에 남으려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메이어와 알렌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애착과 헌신의 심리상태'를 정서적 몰입이라 하고, '이직 시 포기하는 이익과 잔류 시 수여받는 혜택을 비교하여 남으려는 심리상태'를 지속적 몰입이라 하며, '조직에 대한 사명감이나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몰입'을 규범적 몰입이라 한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에피커시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에피커시 향상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기존의 관련이론을 정리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에피커시와 조직몰입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즉 독립변수인 에피커시를 측정하기 위해서 리그스와 나이트(Riggs & Knight)의 셀프에피커시와 그룹에피커시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앨런과 메이어(Allen & Meyer)이 다차원적 입장에서 세 개의 차원으로 유형화한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채택하여 재구성하였다. 경찰관의 조직몰입에 대한 에피커시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경찰관의 에피커시와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개인의 특성에 따라 에피커시와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ㆍ근무부서ㆍ근무기간ㆍ입직경로ㆍ외근비율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체적으로 경찰관의 에피커시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경찰관이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확신이나 자부심이 강할수록 또한 자신이 속한 부서의 현안해결능력, 창의성, 판단력, 및 대인관계기술 등이 뛰어 날수록 소속된 경찰관의 조직몰입은 증가하였다. 셋째, 에피커시와 조직몰입의 하위변수들과의 관계에서 각 변수간의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셀프에피커시는 규범적 몰입보다는 정서적 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고, 그룹에피커시는 규범적 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에피커시와 지속적 몰입은 일정한 영향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경찰관의 에피커시 향상방안으로 재교육 등을 통한 업무수행능력의 향상과 경찰관리자의 관리방식의 변화 및 첨단화된 과학기술의 도임에 따른 경찰조직의 업무능력 향상과 위상정립 등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an availability of police offices' efficacy in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in an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whether it be proper and practical for the theory of the relations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pply Korea police organization, by actual works for investigation. And For the purpose of working this study, the first thing is to find how the police offices' efficacy have effected to Korea police organization. The second is to research the role of police offices'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Correlation and mediating regression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es. The mediating role of police offices' efficacy was examined using Riggs and Knight's approach. And The extension of police offi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xamined using Allen and Meyer's approach. Total 1,315 policemen and women, served during the appraisal period, including chief of the police station and section chief, chief of police box, section-head, under position of director class, were selected as quota sampling and total 884 relies were recovered to analyze for proving work of this study.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first,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in police offices'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howed reactively higher. The second, police offices' affective commitment affect to positive(+) against self-efficacy and police offices' normative commitment affect to positive(+) against group efficacy. But police offices' continuance commitment don't any affect to against self or group efficacy.

      • KCI등재

        전남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

        박상진(Sang Jin Park),최재준(Jae-Joon Cho) 한국테러학회 2022 한국테러학회보 Vol.15 No.1

        어떠한 조직이든 각 조직의 특수성에 따라 고유한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문화는 그 조직 구성원들의 문화와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조직환경의 급속한 다변화 속에서 조직문화를 자체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경찰청은「고객만족 모니터센터 운영규칙」에 따라서 전국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직무몰입도와 경찰발전과 시민들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근무환경, 근로복지, 의사소통, 조직분위기, 교육훈련, 직무교육, 인사 및 성과관리 등 7개 분야를 2008년부터 현재까지 반기에 1회 설문조사를 통하여 경찰조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지방경찰청의 경우에도 지역별 전 경찰서를 대상으로 인사성과 관리, 근무환경, 복지, 내부의사소통, 조직·직무몰입, 조직운영, 교육 등 7개 분야에 걸쳐 ‘경찰공무원의 내무만족도’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경찰조직의 인적구성은 40% 이상이 수도권을 제외한 각 지방에서 직무를 수행하고 있고, 이들은 경찰조직의 의사소통 결여 뿐 아니라 지역적 특수한 조직문화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하고 있다. 하지만 지방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남 경찰조직문화(집단문화, 합리문화, 지원문화, 위계문화, 위계문화, 권위문화) 인식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개인특성에 따른 맞춤형 조직문화 개선 정책을 수립하는데 타당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Any organization has a unique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each organization, and this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ulture and activities of its members. In recent years,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on its own amid rapid diversification of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Monitor Center Operation Rules,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trying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problems in police organizations through a half-year survey from 2008 to now in seven areas: including working environment, working welfare, communications, organizational atmosphere, education and training, job training, personnel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addition, the local police agency is trying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internal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in seven areas, including personnel performance management, working environment, welfare, internal communications, organization and job commitment, organization operation, and education. More than 40% of police organizations perform their duties in each region except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y experience not only lack of communication, but also a relative deprivation due to local special organizational culture. However, it is true that research on organizational culture for police officer’s working in local area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Jeonnam Provincial Police officer’s organization culture (group culture, rational culture, suppor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uthority culture) and suggests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ions for police officials. Through the above analysis, we intend to present reasonable evidence for establishing a customized organizational culture improvement polic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조직 공정성과 경찰의 범죄억제효과성 간의 관계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정우열,이수창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4

        본 연구는 경찰관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 공정성과 경찰의 범죄억제 간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경찰관의 조직 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을 강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 공정성의 하위요인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과 경찰의 범죄억제 효과성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지원인식이 조직 공정성과 경찰의 범죄억제 효과성 간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은 경찰이 범죄억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개별 경찰관이 느끼는 조직의 공정성 수준을 높여야 할 뿐만 아니라 조직지원인식 수준도 함께 향상시킬 때 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조직 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경찰관의 조직 기여도에 대한 인정방법 개선과 인정에 따른 보상의 적절성 제고, 다양한 의사소통 매체를 통해 고충상담제도 적극 활용, 경찰관의 능력발휘나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기회 확대 그리고 유연보직제도 도입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Organizational justice consists of 3 factor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This research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The number of subject of the study is 285 police officers taking official education programs at Police Training Institute. The research variable in model of this study is analyzed by Baron & Kenny(1986)’s mediation method, the model could be estimat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with 3 steps regarding examination of medi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As a result, the research presents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 KCI등재

        경찰조직 내의 신뢰가 경찰관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유석,허용훈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1

        경찰 조직 내의 신뢰는 사회자본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경찰관들의 행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사기(morale) 등은 물론 나아가 직무성과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은 업무자체나 업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일종의 자신감으로서 경찰관의 심리적·정서적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직무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경찰관이 갖추어야 할 주요 자질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찰조직 내의 신뢰와 자아효능감이 지역치안 확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이들 두 변수간의 관계를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경찰조직 내의 신뢰수준의 평균값은 3.36으로 경찰관들은 경찰조직 내의 신뢰수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지표별로는 성실성, 정직성, 호의성에 대한 신뢰수준의 평균값은 3.5를 상회하고 있으나, 어려움에 처했을 경우의 조직의 지지에 대한 신뢰수준에 대한 평균값은 2.9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자아효능감의 평균값은 3.93으로 경찰관들은 업무와 관련한 본인들의 자아효능감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경찰조직 내의 신뢰수준은 통제변수를 포함한 회귀분석에서 경찰관의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경찰조직의 성과제고를 위해서는 대인관계에 기초해서 생산의 하부구조를 구성하는 신뢰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조직 구성원들 간의 신뢰수준의 제고는 곧 구성원 개개인들의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높여진 자아효능감은 성과제고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신뢰수준의 제고를 위해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참여기회의 확대, 상의하달식 의사소통구조의 개편, 동아리 활동 등의 활성화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trust influences on their perception on self-efficacy by analyzing survey data. Organizational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as a key component of social capital within organizations, is known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personal behavio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ale, and job performance.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is seen as a type of self-confidence recognized with job itself and in the process of the work. As a key indicator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ersonal well-being, self-efficacy is considered one of essential qualifications that police officers are to be equipped with since it eventually determines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measures the level of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trust and self-efficacy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trust on self-efficac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conducted on 314 police officers ser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organizational trust is 3.36, which shows that even though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trust is positive but in short of satisfaction. Second, the mean of self-efficacy is found to be 3.93 which show that police officers maintain relatively high level of confidence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ir duti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organizational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trust level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long as policing is a cooperative work in natur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olice organizations can not be improved not by increasing individual competency and expertise but by cooperations among various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units. Without trust within organizations, successful cooperations among relevant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units can not be achie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e management to maintain the level of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to improve performance level of police organizations.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several policy means to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within police organizations.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

        유재두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4 경찰학논총 Vol.9 No.1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이다. 1980년대 이후 조직 효과 증대를 위해서는 구성원에 대한 기존의 지시․통제로는 조직의 목표를달성하기 힘들다는 위기의식에 따라 등 장한 이론이 셀프리더십이다. 이 이론은 구성원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에 대한 보상을 스스로 정 하는 자율성으로 조직효과를 확대하는데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행 동 중심적 전략,자연 보상적 전략, 건설적 사고 패턴 전략이라는 변인으로 구성된다. 조직효과의 경우 연구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라는독립변수에 적합한 변인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셀프리더십은조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나 전통적 리더십이라 할 수 있는 명령과 통제에 의한 방식 보다는 경찰공무원 스스로 책임을 갖고 직무를 수행하는 셀프리더십의 개발이 필요로 하며, 이는 조직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의 경우 채택과 기각으로 양분되었다. 구체적으로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인 행 동 중심적 전략은 조직효과와 하위변인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모든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지만, 자연 보상적 전략의 경우 조직효과와 조직몰입에는 영향을 주었지만직무만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적 사고 패턴 전략의 경우 조직효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모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각의 결과는 그동안경찰공무원에 대한 근무여건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구성원 의 내재적 동기 부여를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경찰조직 효과를 위해 경찰공무 원에대한 형식적 노력은 있었지만 실질적 노력은 부족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공무원의 직 무만족 향상과 조직몰입을 통한 경찰조직의 효과 증진을 위해서는 경찰공무원의 의지, 잠재력 등 내재적 동기 향상 및 경찰공무원에 대한 신뢰 증진 등 경찰조직 자체및 국민들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leadership in policeofficers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theory, self-leadershiphad emerged in late 1989s to respond to the awareness of crisisthat it is har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with the controlover its members. In general, this theory is composed of three factors:the action-centered strategy, the natural-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thought pattern strategy. In this theory, consequently, theself-direction about setting goals and their rewards for achieving themamplifie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ough thi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we set self-leadershipas a dependent variable and self-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has found that self-leadership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effectiveness. The police officers perform better when they are incharge of their tasks driven by self-leadership than controlled by traditionalleadership such as orders and controls. This means self-leadership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 On theother hand, sub factors are divided into adoptions and dismissals. Specifically, the action-centered strategy which is sub factors ofself-leadership influences all the dependent variables like organizational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on. Whereas the natural reward strategy only influe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xcept job satisfaction. Aboutthe result of the dismissal ,the police had tried to improve officer’sworking conditions in many ways but its effort was not enough to givepolice officers internal motivation. Therefore paradigm shift that willlead to not only the enhancement of police officers’s will, potentials butalso internal motivation and trust in police officers from citizens, will beneed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poli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by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경찰 조직 내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에 관한 고찰

        강동범,김우준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1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는 삼진 아웃제와는 달린 위법한 행위를 범했을 경우 경고 없이 바로 처벌하는 것으로써 무관용주의를 취하고 있다. 이 같은 제도는 서울시가 청렴도 향상을 위행 2009년 처음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감사기관, 학교, 군대 등에서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경찰청에서는 2012년 경찰유착비리 사건인 일명 ‘이경백 사건’을 계기로 경찰의 부정・부패를 근절하고자 같은 해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 도입에 대하여 논의한 뒤 2013년도부터 “부정・부패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여성경찰의 인원이 증가하면서 경찰 조직 내 성범죄 사건의 증가를 방지하고자 2015년 8월 “성범죄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를 도입하였다. 경찰은 국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경찰윤리는 예전부터 논의 되고 있었으나 경찰의 총수부터 신임경찰에 이르기까지 부정・부패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 조직 내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의 시행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두고자 한다. 첫째, 경찰 조직 내 부정・부패 근절, 둘째, 경찰 조직 내 성범죄 완화, 셋째, 경찰 조직 내 청렴도 개선, 넷째, 경찰 조직 내 계도이다. 이상의 연구에서 고찰한 것을 비춰보면, 경찰 조직 내 부정・부패 근절을 위해서는 경찰관 개인의 윤리의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보수 및 처우의 향상, 국민과 제일 밀접한 파출소・지구대에도 외부로부터 감사를 받는 제도가 필요하다.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경찰조직이 국민으로부터 하루빨리 신뢰받을 수 있는 조직으로 성장하길 바라며, 관계기관에서는 보다 청렴한 조직으로 신뢰받을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길 바란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One Strike Out" system to stop illegality and corruption. Unlike "Three Strike Out" system, "One Strike Out" system has adopted a zero tolerance by punishing immediately without warning in a case of crime. Such systems are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2009 to improve the integrity of Seoul, and auditing agencies, schools, troops, etc. are performing methodically. In order to against the police's illegality and corruption with so-called "Lee Gyeong Baek case", Adhesion of police corruption case in 2012, through a discussion about the introduction of "One Strike Out" system same year,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carried out "Illegality and Corruption One Strike Out" system from 2013. And by the increasing the number of female police, to prevent an increase in sexual crimes in the police organization, "Sexual Crimes One Strike Out" system was introduced in August 2015. The police is closely linked to the people, and the police ethics is being discussed from the past. However, there is no end to the illegality and corruption from a commander-in-chief to a new appointment of the police. Accordingly, through the implement "One Strike Out" system in the police organization, this study seeks the following effects: First, effect of the illegality and corruption eradication. Second, effect of the sexual crimes mitigation. Third, effect of integrity improvement. Fourth, effect of guidance. In light as a consider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eradicate the illegality and corruption in the police organization, individual ethics of police officer, improvement of reward and treatment, and even in a brach office and police patrol unit that most closely related to the people, monitoring system from the outside are needed. It is expected implementing the "One Strike Out" system to grow up the police organization that can be trusted from the people quickly, and to consider the ways that can be trusted as incorruptible organization in the organs concer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