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경주지역 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재방문객 유치를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

        박진영 ( Jin Young Park ),이성각 ( Sung Gak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경주관광 경험자의 재방문을 통해 경주 관광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단골 관광객을 확보함으로써 경주관광의 활성화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증조사를 통하여 경주관광의 재방문 요인을 추출하고 이러한 요인 중 경주의 재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관광동기 군집과 경주 재방문요인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광동기 군집별에 따른 경주 재방문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5개의 모든 관광동기에서 군집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검증 결과 적극적 활동형, 주변권유형, 사교형 일수록 각 관광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활동형 일수록 각 관광동기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주관광 재방문 유발요인이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주 재방문화 요인이 경주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서비스성, 교통편의성, 홍보성, 유희성 요인이 경주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성은 경주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성 요인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교통편의성, 서비스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성 요인은 경주 재방문 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igorate tourism in Gyeongju by boosting the loyalty to Gyeongju tourism through repeat visits of those who have visited the city and securing regular visitors. To this end, factors for a repeat visit to Gyeongju were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among them, those with positive effects on repeat visits to the city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usters of tourism motivations and the factors for repeat visits to Gyeongju.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luster in terms of all of five tourism motivations. Second, we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factors for repeat visits to Gyeongju on repeat visit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service, traffic convenience, promotion, and amusement had effects on repeat visit intention. The factor of promotion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followed by traffic convenience and service. The factor of amusement had negative effects on repeat visit intention.

      •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의 실태와 대응방안

        오세연 한국중독범죄학회 2013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의 실태를 사례분석과 관련 통계를 중심 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경주스포츠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경주스포츠 이용객은 줄어든 반면 경주스포 츠 순매출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경주스포츠에 대한 병적 도박중독자가 심각 한 것을 알 수 있고, 둘째, 불법 경주스포츠 단속현황에서 온라인상에서의 불법경주스 포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심의요청건수가 오히려 감소하거나 신 고고발 또한 매우 미비한 숫자여서 불법경주스포츠의 지하양성화 경향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셋째,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자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박자금 등의 마련을 위하여 강력범죄와 가정폭력, 자살, 아동학대 등의 도박의 제2차 범죄화 행위로 발전 될 가능성과 사회적인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을 위한 효과적인 대응방 안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홍보와 교육 등을 통하여 경주스포츠 도박이 범죄라는 인식을 강화시키고, 경 주스포츠 도박중독과 관련하여 이들로 하여금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핫라 인 등을 개설하여 24시간 언제든지 상담과 치료를 병행 할 수 있게 하고,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화 하고 종합적인 치료기관의 수를 늘리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에 대한 보다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의지 와 경찰청 내의 전담부서를 통한단속 및 1인 1매 판매규제의 법제도의 재정비가 필요 하다. 마지막으로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각 기관과의 연대를 통한 협 력체계구축과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도박중독자로 하여금 정상적인 생 활로 돌아가게 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주 3·1운동에 대한 역사적 고찰 : 경주제일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아라키 준(荒木潤)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1

        경주 3·1운동은 대구 3·1운동의 부차적 소규모 운동으로 간주되어 지금까지 한국사학계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적이 거의 없다.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경주 3·1운동의 규모나 시위장소 등에 관한 기본정보가 정확히 검토되지 않았고, 또한 경주 3·1운동 당시의 정황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그 뒤에 일어난 사건과의 연속성이 간과되었다. 경주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제대로 고찰하려면 경주 3·1운동의 실상을 정확히 확인하고 그 후속 운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우선 관련 자료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경주 3·1운동의 실상을 확인했다. 경주 3·1운동은 대구 3·1운동의 영향을 받아 노동리교회(현 경주제일교회) 기독교인의 주도로 준비되었다. 큰 장날 3월 13일의 계획은 모로가 히데오로 추정되는 일본인의 ‘밀고’로 불발에 그치고 말았고, 작은 장날 노동리 봉황대 일대에서 3월 15일에 실행되었다. 그 규모는 원래 수천 명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밀고’로 인해 100-150명 정도의 비교적 소규모 시위로 끝났다. 다음으로 노동리교회 기독교인들이 전개한 경주 3·1운동의 후속 운동을 검토했다. 노동리교회 기독교인들은 1921년 가을 경주 시가지에서 우연히 발견된 금관총 유물을 경주에서 보관․전시하려는 ‘금관총 출토유물 경주 유치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그 운동을 성공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리고 그들은 민족의 기원적 의미를 지닌 고대신라의 유적·유물이 민족적 자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깨닫고, 신라 고적 사진을 상영하는 ‘환등회’를 구상하여 조선 각지를 순회했다. ‘환등회’는 노동리교회 부설 계남학교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한 모금 운동이었으나, 실제로는 신라 고적을 시각매체를 통하여 각지 조선인에게 소개함으로써 민족적 자각을 불러일으키려는 문화운동이었다. ‘환등회’는 조선인 사이에 경주가 ‘민족적 고장’으로 인식되고, 조선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고, 그 정신은 오늘날의 한국인의 삶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는 경주 3·1운동이 그동안 대구 3·1운동의 부차적인 소규모 운동으로 간주되었던 것을 재검토하고, ‘유치운동’ 참여와 ‘환등회’ 전개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부각시켜, 발생순서나 규모만으로 헤아릴 수 없는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奧田悌의 『慶州誌』 발간의 역사적 성격

        이동주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A town chronicle(邑誌) is a reference book about a particular region. Originally, the town chronicle generally organized the region to help the chief govern it smoothly. However, two types of Gyeongju town chronicles(慶州誌), published by the Japanese during Japanese opium policy in Korea, had completely different chapters from prior town chronicles. The former town chronicles were comprised of history·culture, economy, politics·administration·military, nature,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Gyeongju town chronicles had only a chapter on history, which focused on the ancient Silla dynasty. The first Gyeongju town chronicle by Kimura-sizuo(木村靜雄) published in limited edition by the time Derauchi-masadake(寺內正毅), governor-general, visited Gyeongju. The second town chronicle of Gyeongju, by Okuda-yasushi(奧田悌), was sold as an initial modern guide book which informed outsiders about Gyeongju, as Gyeongju tourism increased. The compiler of the second chronicle was a capitalist and one of the three Japanese antique collectors at the time. He was thus highly concerned about Gyeongju, as he sought the antique. Gyeongju was transformed during Japanese opium policy in Korea. The former capital underwent improvements such as newly constructed roads and train tracks. Maintenance of a traffic network into the city center was also made in preparation for tourism. Developing the former capital was an expedient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effectivly publicized Gyeongju to other nations. The popularity of field trips and tour stamps in Gyeongju is a result of that time. Gyeongju was symbolized as the preserved place of the former capital of the Silla dynasty. The Japanese not only resided in Gyeongju, but they also inserted advertisements about their shops in the Gyeongju chronicles to promote their own profit. Outsiders coming into Gyeongju by the train and newly constructed roads were able to see Gyeongju arranged and preserved by the authorities. They most likely used Gyeongju chronicles as guide books. 읍지는 그 지방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서이다. 원래 지방 수령의 통치를 원활하게 하고자 그 지방의 전반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에 의해 편찬된 경주의 읍지가 2종 확인된다. 이 2종은 그간의 읍지와는 항목의 구성이 전혀 다르며, 더구나 대부분이 신라와 관련된 내용으로 일색되어 있다. 그 가운데 먼저 편찬된 키무라 시즈오(木村靜雄)의 『慶州誌』는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 총독의 경주방문에 맞추어 한정판으로 제작된 것이다. 그리고 오쿠다 야스시(奧田悌)가 편찬한 『慶州誌』는 판매용으로 제작된 것인데, 본격적인 경주 관광에 짝하여 발간된 최초의 근대적인 가이드북이었다. 그는 일본인 자본가로서 조선으로 건너왔다. 그리고 대표적인 일본인 골동품 수집가 3인방 가운데 1인이었다. 그가 그토록 경주에 관심을 가진 이유가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경주는 고도정비라는 명목으로 새롭게 一新되었다.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신작로의 개설과 철도의 부설이었다. 교통망의 정비는 관광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볼 수 있다. 고도 관광은 식민통치의 한 방편으로 정비된 고도를 萬邦에 선전하는 문화전인 전략이 깔려 있다. 당시 유행하던 경주 수학여행, 관광엽서, 스템프 찍기 등은 모두 이 당시의 산물이다. 이제 경주는 신라의 고도가 진열된 공간으로 상징되었다. 그와 짝하여 거류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고자 『慶州誌』에 광고를 실어 자신들의 상점을 홍보하였다. 철도와 신작로라는 근대적 교통로를 통해 경주에 들어 온 외부인들은 식민지 권력에 의해 정비된 신라의 옛 자취를 관람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아마 그들의 손엔 『慶州誌』라는 가이드북이 들려져 있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오전제(奧田悌)의 『경주지(慶州誌)』 발간의 역사적 성격

        이동주 ( Dong Joo Lee ) 동국사학회 2011 동국사학 Vol.51 No.-

        읍지는 그 지방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서이다. 원래 지방 수령의 통치를 원활하게 하고자 그 지방의 전반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에 의해 편찬된 경주의 읍지가 2종 확인된다. 이 2종은 그간의 읍지와는 항목의 구성이 전혀 다르며, 더구나 대부분이 신라와 관련된 내용으로 일색되어 있다. 그 가운데 먼저 편찬된 키무라 시즈오(木村靜雄)의 『慶州誌』는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 총독의 경주방문에 맞추어 한정판으로 제작된 것이다. 그리고 오쿠다 야스시(奧田悌)가 편찬한 『慶州誌』는 판매용으로 제작된 것인데, 본격적인 경주 관광에 짝하여 발간된 최초의 근대적인 가이드북이었다. 그는 일본인 자본가로서 조선으로 건너왔다. 그리고 대표적인 일본인 골동품 수집가 3인방 가운데 1인이었다. 그가 그토록 경주에 관심을 가진 이유가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경주는 고도정비라는 명목으로 새롭게 一新되었다.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신작로의 개설과 철도의 부설이었다. 교통망의 정비는 관광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볼 수 있다. 고도 관광은 식민통치의 한 방편으로 정비된 고도를 萬邦에 선전하는 문화전인 전략이 깔려 있다. 당시 유행하던 경주 수학여행, 관광엽서, 스템프 찍기 등은 모두 이 당시의 산물이다. 이제 경주는 신라의 고도가 진열된 공간으로 상징되었다. 그와 짝하여 거류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고자 『慶州誌』에 광고를 실어 자신들의 상점을 홍보하였다. 철도와 신작로라는 근대적 교통로를 통해 경주에 들어 온 외부인들은 식민지 권력에 의해 정비된 신라의 옛 자취를 관람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아마 그들의 손엔 『慶州誌』라는 가이드북이 들려져 있었을 것이다. A town chronicle(邑誌) is a reference book about a particular region. Originally, the town chronicle generally organized the region to help the chief govern it smoothly. However, two types of Gyeongju town chronicles(慶州誌), published by the Japanese during Japanese opium policy in Korea, had completely different chapters from prior town chronicles. The former town chronicles were comprised of history·culture, economy, politics·administration·military, nature,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Gyeongju town chronicles had only a chapter on history, which focused on the ancient Silla dynasty. The first Gyeongju town chronicle by Kimura-sizuo(木村靜雄) published in limited edition by the time Derauchi-masadake(寺內正毅), governor-general, visited Gyeongju. The second town chronicle of Gyeongju, by Okuda-yasushi(奧田悌), was sold as an initial modern guide book which informed outsiders about Gyeongju, as Gyeongju tourism increased. The compiler of the second chronicle was a capitalist and one of the three Japanese antique collectors at the time. He was thus highly concerned about Gyeongju, as he sought the antique. Gyeongju was transformed during Japanese opium policy in Korea. The former capital underwent improvements such as newly constructed roads and train tracks. Maintenance of a traffic network into the city center was also made in preparation for tourism. Developing the former capital was an expedient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effectivly publicized Gyeongju to other nations. The popularity of field trips and tour stamps in Gyeongju is a result of that time. Gyeongju was symbolized as the preserved place of the former capital of the Silla dynasty. The Japanese not only resided in Gyeongju, but they also inserted advertisements about their shops in the Gyeongju chronicles to promote their own profit. Outsiders coming into Gyeongju by the train and newly constructed roads were able to see Gyeongju arranged and preserved by the authorities. They most likely used Gyeongju chronicles as guide books.

      • KCI등재

        아이덴티티의 장소로서의 경주

        황종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9

        The image of Kyŏngju as a local Confucian town changed radically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rchitectural scholar Sekino Tadashi's study of Kyŏngju's historical remains placed the city under heavy Japanese scrutiny and signaled its conversion from Confucian city to ancient capital of Silla. Kyŏngju was meticulously re-spatialized, by colonial officials and settlers alike, through a sustained project aimed at discovering and preserving the remains of Silla and, in doing so, suppressing any surviving traces of Koryŏ and Chosŏn. Their survey and development of Kyŏngju created new appearances and instilled new conditions for experiencing the city. Hence, Korean writers, from Yi Kwangsu to Yi T’aejun, had no choice but to see and experience Kyŏngju according to the spatial representations produced and disseminated by the Japanese. Despite the regulated experience, their understanding of Kyŏngju's space differed greatly from that of the Japanese settlers and travelers: they believed a revelation instrumental to their self-awareness was hiding within the relics and legends. Regardless of its intentions, the colonial reorganization of Kyŏngju provided the cultural resources for awakening a Korean national self-consciousnes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anctification of the city which would later become invaluable in forming a South Korean national culture. This essay examines how Japanese colonialism transformed the spatial representations of Kyŏngju and how Korean writers came to perceive, imagine, and render Kyŏngju with cultural meanings. My reading of Hyŏn Chin’gŏn and Yi T’aejun will reveal that Kyŏngju became a symbolic source for Korean self-definition and self-reflection in conflict with Japanese representations and ideologies. 1902년 건축학자 세키노 다다시(関野貞)의 보고를 통해 경주의 고적이 일본인들에게 알려진 이후 경주는 신라의 도읍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인식되고 개발되기 시작했다. 식민지 정부의 관리를 비롯한 일본인 거류민은 신라 유적의 발굴과 보존 사업을 주축으로 경주의 공간을 재편하면서 그곳에 잔존한 고려와 조선의 자취를 억누르고 그곳을 신라 구도로서 재생하고자 했다. 그들의 경주 조사와 개발은 경주의 새로운 광경을 창출한 동시에 사실상 경주 경험의 새로운 조건을 창출했다. 1917년 조선 남부 순례 중에 경주를 방문한 이광수를 시작으로 조선인 작가들은 일본인이 개발한 유람 행로를 따라 경주를 여행하고 일본인이 만들어낸 표상 구조에 의존하여 경주를 인식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그들이 일본인 거류민이나 여행자와 같은 방식으로 경주를 이해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경주의 고적과 전설에서 조선인의 자각에 유용하다고 믿어지는 어떤 계시를 구하고 있었다. 경주 공간의 식민주의적 재편은 그 의도와 무관하게 조선인의 민족의식의 발양에 적합한 문화적 자원을 공급했으며 나중에 한국 국민문화 구축의 중요한 수단의 하나를 이루는 경주의 성지화(聖地化)에 토대를 제공했다. 경주는 식민지 조선인이 당대의 집합적 삶의 요구에 맞게 스스로를 형성하는 데에 유용한 상징과 이야기의 원천이 되었다. 현진건에게 박제상의 이야기는 현대의 자주적인 조선인의 전상(前像)을 담고 있으며, 이태준에게 오릉의 경관은 특유의 미적 감수성을 지닌 동양인이라는 의식을 북돋운다. 그들의 경주 텍스트는 흥미롭게도 1920년대와 1940년대 사이에 일어난 조선관의 중대한 변화, 즉 일본에 대립하는 자주 민족으로서의 조선에서 일본 제국의 한 지방으로서의 조선으로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경주에 관한 현진건과 이태준의 텍스트는 그곳이 조선인 아이덴티티의 구성에 준거가 되는 장소의 하나였음을 알려준다.

      • KCI등재

        ‘경주’의 도시 이미지 분석과 향후 과제

        박선진(Park Seon jin),김억조(Kim Eok j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경주’의 도시 이미지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경주’는 신라 천년의 고도로 누구나 인정하는 문화관광 도시이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화관광 도시의 이미지는 줄어들고 다른 이미지가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주’가 가진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도시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경주’ 이미지를 분석하고 향후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경주의 이미지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관광 도시로서 경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바 있지만 대부분이 국내 혹은 경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의견이 주로 반영되어 온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신문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국제화 시대에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과 전국 대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가 느끼는 최근 ‘경주’의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신문기사 키워드 분석을 통해 ‘경주시’의 도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주의 도시 이미지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문화관광 도시’로 인식되었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문화관광 이미지와 더불어 ‘원자력 도시’의 이미지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설문을 통해 ‘경주’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는데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을 비교하였다. 경주는 천년 고도로 신라를 대표하는 곳이라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여행하기 좋은 곳’과 ‘문화적 다양성이 많은 곳’으로 문화·관광의 이미지도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도 경주는 ‘역사의 도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원자력 도시’도 보통 이상의 인식 정도로 나타난다는 것은 경주의 도시 이미지 인식 변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2장의 결과와 일치한다. 경주의 도시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국내와 국외 학생들간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2장과 3장의 결과를 토대로 4장에서는 ‘경주’ 이미지 제고를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통시적 신문 기사 키워드 분석과 국내와 국외의 청년들을 대상 ‘경주’의 도시 이미지 설문을 분석하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는데 이 연구의 결과가 ‘경주’의 도시 이미지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ity image of “Gyeongju” and present future directions and tasks. Gyeongju is the ancient city of Silla of a thousand years, which i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recognized by everyone. However, upon entering the 2000s, its image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decreased and a different image came to the 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of Gyeongju until now as a way to restore its image as the representative city of culture and tourism in South Korea and present future directions and tasks. Previous studies on the image of Gyeongju mainly proposed the directions in which Gyeongju should proceed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Man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in most of them, only the opinions of the people residing in Korea or Gyeongju have been reflected, which is a limitation. Thu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study analysed newspaper materials that reflect the opinions of foreig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nationwide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his, the latest image of Gyeongju in younger generations was analyzed objectively.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Chapter 2 presents an analysis of the city image of Gyeongju through a newspaper article keyword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ity image of Gyeongju had been recognized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from the 1950s through the 1990s. However, it turned out that upon entering the 2000s, it has gained the image of a “nuclear energy city” in addition to the image of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Chapter 3 show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on the image of Gyeongju based on a questionnaire.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commonly think that Gyeongju is an ancient city with a history of a thousand years and a place that represents Silla. In addition, the image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was high as a “good place for a trip” and a “place with a lot of cultural diversity”. The ancient city Gyeongju mostly had the image of a “city of history”. However, it had the image of a “nuclear energy city” at the level of recognition above the average, which is an aspect of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city image of Gyeongju.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2.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city image of Gyeongju between domestic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tailed in Chapters 2 and 3, Chapter 4 proposes directions and tasks to promote the image of Gyeongju. The results of the diachronic newspaper keyword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city image of Gyeongju with domestic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he city image of Gyeongju.

      • KCI등재

        경주학으로서의 동학(東學)

        최천집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4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경주학으로서의 조건과 의미 등을 밝혀보는 데에있다. 동학이 경주에서 발생하고 전해진 것이지만 경주와 동학이 구체적으로어떤 점에서 연결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방학 차원에서의 논의는 이루어지지않았다. 현재의 지방학이 놓인 위기와 한계를 동학이 경주학으로서 가진 위상을 점검하는 것으로 일정하게 보완할 수 있다는 점도 본고를 집필하는 동기가 되었다. 동학이 경주와 갖는 관계와 위상 등을 점검하여 동학의 지방학으로서의 가치가 밝혀지는 것이 경주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도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동학이 경주에서 발생하게 된 요인으로 최제우와 최시형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한 점에 주목하였다. 최제우는 아버지 최옥이 경주에 대한 인식을 퇴처로만 인식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에서 벗어나 새롭게인식하고 있다. 아버지 최옥이 도연명을 본받아 경주를 숨어들어 학문을 익혀야 할 곳으로 인식한 반면 최제우는 제갈량을 본받아 익힌 학문을 펼칠 세상의 하나로 인식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런 인식에 기초하여 경주에서 세상을 구제할 이념의 기반을 다지고 그것을 실험하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경주는 그에게 중요한 사상적 기초를 다지고 실천을 펼쳐볼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은 최시형에게서도 일정하게 나타난다. 최시형은 태어난 곳이 경주였기 때문에 동학을 쉽게 접하고 자기 사상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무대로 활용한다. 경주라는 곳이 동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장소로서 기능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런데 이런 점은 후기 동학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후기동학에서도 경주에서 발생한 동학의 원류에 대한 일정한중시와 나름의 독자적 사상을 펼치는 장소와 시기에 맞는 이념을 개발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활동지역에 기초하여 모색되고 있다. 즉 동학의 발전에서경주나 사상이 펼쳐지는 개별 지방은 중요한 기초로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동학이 경주학의 하나로서 중요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진 것이다. 지방의 정체성이 다양하게 제출되고 그에 따른 지방의 독자성에 대한 모색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시대에 동학은 여러 측면에서 경주지역을 대표할만한 점들도 가지고 있어 지방학의 한 대표적인 학문으로 정립될만한 학문이다. 동학은 지방학이 어느 하나의 지방에만 한정되어 머물지않고 다른 지방에서 어떻게 전개·변화될 수 있는지를 역사로 보여주었고 미래에서도 어떻게 변화할지를 예비하고 있다. 또한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특성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고 방향을 모색하는 동학의 특성은 지방학이지향하고 목표할 바를 안내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ditions and meanings of the Gyeongjuhak of DonghaK. Although dynamics occurred and transmitted in Gyeongju, there was no discussion at the local level about the specific connection between Gyeongju and dynamics. It was also a motivation to write this paper that the current crisis and limitations of local studies can be constantly supplemented by checking the status of Donghak as a race. Examining the relationship and status of Donghak with Gyeongju reveals the value of Donghak as a local science, which is expected to have a certain meaning in seeking the ident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Gyeongju. The contents of this study noted that the role of Choi Je-woo and Choi Sihye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ynamics of racing. Choi Je-woo points out that his father, Choi Ok, recognizes Gyeongju as only a retirement. While his father, Choi Ok, imitated Doyeonmyeong and conceived Gyeongju as a place to learn, Choi, Jewoo showed the attitude of recognizing one of the worlds to learn the study by imitating Zhuge Liang. Based on this perception, it is used to lay the groundwork for an ideology that will save the world from racing and to actively experiment with it. Gyeongju is acting as a foundation for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ideological foundation that is important to him. This is consistent with Choi Si Hyung. Since Choi was born in Gyeongju, he is easily seen as a stage where he can easily come to know Donghak and unfold his ideas. It is confirmed that Gyeongju is functioning as a great place for the development of dynamics. However, this point continues in the late dynamics, and in the later dynamics, the question of whether to develop a place that is appropriate to the origin of the dynamics in Gyeongju and develop an idea that is appropriate to its origin is based on the area of activity. In other words, in the development of dynamics, it is confirmed that the region where races and ideas are unfolded is used as an important foun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dynamics is an important part of racing science. In an age when various local identities are submitted and the search for local identity is important, Donghak has many aspects to represent Gyeongju. Donghak has shown in history how local studies can be developed and changed in other provinces rather than staying limited to just one province, and is preparing for changes in the future. The dynamics of continually asking and seeking directions on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lso play a role in guiding the direction and goal of local studies.

      • KCI등재

        언어문화를 활용한 ‘경주’의 이미지 제고 방안

        김억조(Kim Eok j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이 연구의 목적은 ‘경주’의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경주’의 지명과 인명 관련 언어문화 자료를 발굴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데 있었다. ‘경주’는 신라 천년의 고도로 누구나 인정하는 문화관광 도시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경주에 위치한 월성 원자력 발전소와 방사성 폐기물장의 영향으로 ‘원자력 도시’ 이미지가 대두되었으며, 지난2016년 9월에 강진이 발생한 이후에는 ‘지진의 도시’ 이미지가 대두되었다. 이로 인해 경주가 가진 문화관광 이미지는 큰 타격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경주’가 가진 고유의 ‘문화 관광’ 이미지의 복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언어문화 자원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연구로 앞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주’의 언어문화 자원 중 인명 기록인 ‘혁거세’의 고유어는 ‘거(그)내’이고 ‘알지’의 고유어가 ‘아기’임을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문화자원화 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알영’ 또는 ‘아리영’은 ‘알라(얼라)’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의 경주 문화관광 자료에서 ‘거(그)내’와 ‘아기’ 또는 ‘알라(얼라)’의 명칭을 되살려 표기하고 문화콘텐츠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고유어 지명 기록을 통해 경주의 명칭인 ‘서라벌(벌)’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모벌’이나, ‘아불’ 등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알천’에 대한 명칭은 ‘아리내’ 혹은 ‘알라내/얼라내’를 살려 사용하여야 하고, ‘입천’도 ‘수모내’를 살려서 표기하여 언어문화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 이 연구는 이전의 수많은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고유어를 바탕으로 ‘경주’의 언어문화 자원을 문화콘텐츠화 하자는 시론에 불과하다. 지금도 수많은 고유어들이 발굴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활용한다면 경주의 도시 이미지는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discovery and utilization of language culture data related to place names and people s names about ‘Gyeongju for the promotion of the image of the Gyeongju city. Gyeongju is a millennial ancient city of Silla and city of culture and tourism. And yet, recently, affected by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and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located in Gyeongju, its image as a nuclear city came to the fore, and since September 2016 when a strong earthquake broke out, its image as an earthquake city was on the rise. Accordingly, Gyeongjus images of culture and tourism suffered a great blow. This study proposes the utilization of language cultural resources from the pos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store Gyeongju s unique image of cultural tourism, and the above discus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oted that the native word for Hyeokgeose( ) is Balgeo(geu)nae( ( ) ) as a record of a persons name in the language cultural resources of Gyeongju and that for Alji( ) is Agi( ). Accordingly, this study argu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ver these as cultural resources.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at for Alyeong( ) or Ariyeong( ) is Alla (Eolla)( ( )). it is necessary to revive and write the names Balgeo(geu)nae and Agi or Alla (Eolla) in the present materials of Gyeongju culture and tourism and utilize them as culture content materials. Second, it seems through the records of place names in native words that the name of Gyeongju, Sorabol( ) is used often. And yet, Mobeol( ) or Abul( ) is little used. Also, for the name of Alcheon( ), it is necessary to revive and use Arinae( ) or Allanae/ Eollanae( / ), and Ipchen( ), too, it is necessary to revive and write Sumonae( ) to utilize the language culture materials. This study is just a comment to suggest that the language cultural resources of Gyeongju should be made into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native words mentioned in numerous previous studies. Since a lot of native words are discovered, it is expected that utilizing these will further promote the image of Gyeongju city.

      • KCI등재

        경주양식 토기 생산의 고고학적 함의

        고상혁(Ko SangHyuk)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생산과 유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동일지역 내 복수의 생산시설에서 제작된 토기가 동일한 양식을 보여 줄 것인가 하는 의문에서 이 글을 시작하였고, 분석 결과 생산의 관점에서 토기 양식이가지는 고고학적 함의를 다각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경주지역에서는 5세기대 복수의 토기 생산시설이 확인되므로 이러한 문제의 해답을 찾기에 가장 적절할 공간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토기 양식을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있어서 가장적합한 것이 경주 양식토기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경주양식토기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황남대총 남분 출토 토기를 대상으로 5세기대 고배의 형태적 속성을 생산 기술의 변화라는 시각에서 관찰,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경주양식 토기는 경주 사라리-경주 월성북고분군-울산 중산동-울산 산하동으로 이어지는 선을 기준으로 경주 동북양식과 경주 서남양식이 구분되는 소지역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경주양식 내의 소지역권이 생산시설 유구를 통해 생산과 결부되었음을 설명하고, 이는 토기 양식과 생산의 관련은 고분 구조를 통해서 검증되었다. 그리고 경주 양식 토기를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설정된 5세기대의 경주 동북과 서남 두 소지역양식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중기를 기점으로는 소지역색이 점차 약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서 이를 경주양식 토기로의 제일성이 갖추어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소지역권에서 생산된 고배는 각기부나 돌대 등에서 소지역 양식의 속성이 일부 존속되고 있어서, 이는 해당 소지역의 토기 생산 기술의 전통이 일부 유지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ncient earthenware, the driving force of this article is whether the pottery produced at multiple kilns in the region has the same style. Since earthenware production facilities of the 5th century were confirmed in Gyeongju, it is an appropriate area to check whether the sam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atch. By closely observing and examining the morphological attributes of Mounted dishes in the 5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change, it was confirmed whether sub-regional area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Gyeongju.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spatially that the Mounted dish with two layers of openwork could be divided into Gyeongju northeast style and Gyeongju southwest style based on the boundary line connecting Gyeongju Sarari, Wolseong north side and Ulsan Joongsandong, Sanhadong. The divided pottery distribution area is also consistent with the type classification range of tombs. Starti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southern grave of Hwangnam grand tomb, the region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distribution gradually weakens. It was interpreted that the change in the technical style mad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huge amount of earthenwar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pottery production facility considered the topography and the distance from the adjacent facilities in order to smoothly supply earthenware to a number of tomb group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types of pottery did not necessarily belong to political power. In this way, a completely new interpretation of the pottery type study was possible under the assumption tha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did not unilaterally belong to a political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