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학연구 키워드를 통해 본 한국 경영학연구의 흐름

        김희천(Hicheon Kim),김영규(Young-Kyu Kim),김태경(Taekyung Kim)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3

        본 논문은 한국경영학회 창립 60년을 맞이하여 국내 경영학 분야 최초이자 최고 학술지인 경영학연구에 실린 논문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국내 경영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경영학연구가 첫 출간된 1971년부터 2015년 5월까지 경영학연구에 발간된 논문 1,618편 모두를 대상으로 1971년부터 1989년, 1990년부터 1999년, 2000년부터 2009년, 2010년 이후의 4시기로 나누어 키워드 어형 분석을 통해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어떤 연구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는지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971년부터 1989년 사이에는 증권시장, 회계기준 및 원칙, 한국에 맞는 경영교육 및 경영철학 정립, 경영학 이론의 소개 및 한국과 해외 경영 비교 연구 등 한국 경제 성장의 제도적․정책적 기틀 마련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반부에 경영 환경이 어려워짐에 따라 노사관계, 경영개선 등 기업 경영 효율화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에는 세계화에 발맞추어 국제경영 및 전략 분야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었고 시장 및 브랜드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으며, IMF 이전 및 이후에는 위기 극복과 관련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2000년대에는 불확실성과 경영혁신에 관한 연구가 주요 이슈로 등장했으며, 벤처기업에 관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었다. 한편 한류 열풍과 맞물린 한류 및 콘텐츠에 관한 연구와 인터넷에 관한 연구가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2010년 이후에는 불확실성, 지속가능경영, 사회적 책임 등에 관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이를 통해 경영학연구는 높은 수준의 현실적합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키워드의 수명주기 및 연관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경영학 개별 분야 간 연구주제의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통된 주제를 통한 학제간 연구가 보다 발전할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참고문헌 중 논문 비중의 증가, 공저자 수 증가 등을 통해서 학문적 엄격성이 높아지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 경제 발전사에서 한국 경영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 경제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한국형 경영학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o seek th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management studies by examining the papers published at Korean Management Review (KMR), the first and the best scholastic journal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ll 1,618 articles published at Korean Management Review from 1971, the year of first publication, to May 2015 and analyzed main research topics for four periods of time: 1971-1989; 1990-1999; 2000-2009; 2010 and onwards. According to our analysis, from 1971 to 1989, KMR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and policies for economic development by such studies as securities market, accounting standards and principles, establishment of business education and philosophy in the Korean context, introduction of up-to-date business and management theories, 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 and foreign states. In addition, in late 1980s, when economic conditions turned unfavorable, KMR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business efficiency by increasing publications on such critical issues as industrial relations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In 1990s, upon globalization, KMR increased research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strategic management field significantly as well as studies on markets and brands. Before and after the IMF crisis, KMR published more studies related to economic crisis. In 2000s, KMR made uncertainties and innovation the important issues and introduced studies on start-ups and small entrepreneurial firms from various perspectives. Moreover, KMR gave more attention to research on Hallyu and contents as well as the Internet. Since 2010, KMR hosted more studies on uncertainties, sustain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By looking at these trends, this study ha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KMR has had the high degree of relevance. This study has also performed analysis on life cycles and networks of keywords, based on which this paper suggests a possibility of more development in product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a few key research agenda through KMR. In addition, this study has observed the enhanced rigor by looking at changes in basic measures such as the weight of journal articles in references and the number of co-author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style management that will guide the future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usiness theories in Korea on the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 KCI등재

        스포츠경영학의 연구동향 비교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와 북미스포츠경영학회지를 중심으로

        김애랑 ( Ae Rang Kim ),조우정 ( Woo Jeong Cho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8 No.6

        본 연구는 스포츠경영학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있어 스포츠경영학의 선진국인 북미스포츠경영학회의 JSM과 한국스포츠산업 경영학회의 KJSM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외 스포츠경영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스포츠경영학 연구의 질적 제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간 발행된 KJSM 360편 및 JSM 241편등 총 601편의 연구논문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의 범주는 연구영역, 연구내용 그리고 연구방법으로 한정하였으며 교차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경영학 연구가 현장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영역의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스포츠용품, 스포츠서비스 그리고 스포츠시설업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다양한 스포츠경영 현장을 균형적으로 다룰 수 있는 연구영역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스포츠마케팅을 포함한 특정 연구내용 중심의 스포츠경영학 연구의 전략적 변화를 통해서 스포츠경영학의 이론체계 구축과 학문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학회에서 스포츠경영학의 핵심 이론 및 지식체계를 주기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스포츠경영학 연구자의 관심과 노력을 독려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경영학 연구방법의 다각화를 통해 스포츠경영학 연구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증진시키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study were to analyze sport management research trends including research field, content and method by comparing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KJSM) and Journal of Sport Management(JSM) and thus to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better sport management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such purposes, this study employed content analysis method using 601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2004 and 2012. Content analysis categories such as field, content and method were formula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each article from KJSM and JSM was coded by 2 sport management schol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 square tests at a=.05 and as a result, findings validated the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problems in sport management research. Thus, current study attempts to provid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research fields of study should be expanded to better serve practitioners including sport equipment, sport service and sport facility sectors. Second, currently overemphasized research contents such as marketing should be strategically changed to better build theoretical framework and academic identity. Finally, research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to increase validity of sport management findings by more applying integrated research methods such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field of sport management.

      • KCI등재

        신경영학 프레임워크 연구

        김현수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0 서비스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정립된 서비스철학을 기반으로 신경영학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립되는 힘들 간의 치열한 대대원리 및 변증법적 과정과 상반상성이 서비스철학의 중심이므로 신경영학의 구조와 방법론은 이러한 철학적 기반을 반영하여 구축되었다. 현대경제사회변화를 반영하고 기존 경영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영학 체계를 제시하였다. 현대경제사회의 거시적 변화와 미시적 변화를 모두 분석하여 신경영학 체계정립에 반영하였다. 학문으로서의 기존 경영학의 본질적인 문제와 실무적인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문제 해결책으로서 신경영학을 제시하였다. 신경영학은 본질학문으로서 위상을 가져야 하므로 인류사회를 움직이는 공통원리에 부합해야 한다. 인류가 살아가는 환경인 우주의 원리와 인류의 생명원리를 분석하여 반영하였고, 인류대표사상과 예술원리도 분석하여 신경영학 체계 구축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공통원리를 도출한 결과 경영학의 본질 학문으로서의 자격 요건이 정의될 수 있었고, 경영학의 학문적 체계는 3을 사용하는 것이 진리에 가까움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신경영학 체계는 3개의 분야로 구축된다. 경영철학, 경영자론, 경영기술 등의 3개 분야가 경영학을 구성하는 하위분야가 된다. 경영철학은 경영과 경영학에 대한 사상적 기반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경영자론은 경영의 주체로서의 경영자와 경영의 객체로서의 경영자를 탐구하는 분야다. 경영기술은 그동안 경영학의 중심 분야였던 경영과정론, 경영기능론 등이 모두 포함된다. 신경영학의 각 분야에 대한 세부 구조를 정의하고, 주요 탐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경영학을 본질학문화하기 위한 심화연구가 필요하며, 세부 분야의 이론 구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KCI등재

        우리 나라 스포츠경영학 연구의 방향모색

        김동선(Kim Dong Sun)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스포츠경영학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2002년 12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전자메일(E-mail)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은 약 43%(70매 중 30매)였다. 설문지는 스포츠경영학의 별도 연구의 필요성, 연구논문의 질적 수준, 그리고 스포츠경영학 연구의 문제점 및 향후의 연구방향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스포츠경영학 연구의 문제점은 첫째, 한국의 스포츠경영학계에서 발표되고 있는 대부분의 연구들이 외국의 연구에서 사용한 이론 또는 경영학 이론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둘째, 스포츠 경영학 연구가 스포츠산업 현장의 요구에 의한 기능 교육적 필요성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론이 축적되면서 독자적 학문으로 발전하는 다른 학문의 일반적인 경향과는 처음부터 거리가 있었다. 셋째, 스포츠경영학 연구자들이 최신의 경영이론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결과 스포츠경영학 연구는 한정된 영역 안에서 진부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즉, 연구자들의 아이디어 부재는 스포츠경영학의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향후 스포츠경영학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구가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스포츠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이 기대되기에 일반 경영학의 이론을 근간으로 이에 실무적 차이를 부가함으로써 경영학과의 차별화를 도모해야 한다. 둘째, 스포츠경영학과 같이 아직 연구수준이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고 경영학과의 차별성을 추구해야 하는 경우에는 창의적인 개념 개발을 필요로 한다. 즉, 창의적인 개념적 틀이나 아이디어를 더욱 중요시하는 논문을 「스포츠산업ㆍ경영학회지」에서는 일정한 지면을 할애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스포츠경영학의 이론적 배경은 경영학에서 도입하되 스포츠 특성을 고려하여 선별적용하고 실질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장 논문을 유도하는 한편 현장과의 연계성을 갖고 학생들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경영학 연구자의 질적 수준 향상을 우선하고, 스포츠경영학 전공자나 스포츠에 관심이 있는 경영학 전공자에게 교육 및 강의 기회를 확대한다. 또한 학자들의 연구활동 고취와 상호 교류를 통한 스포츠 경영학의 비전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실기와 이론적 자질을 갖춘 전문 스포츠 경영인이 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재정비하고 좀더 심층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과과정을 개설한다. According to the survey,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sport management studies are lower than the business administration studies' ones. These examples below are factors that obstruct the growth of sport management. First, many of the current studies or researches of the sport management major in korea are usually based on studies which employed in advanced countries, and it is sometimes applied general management theories as is. For these reasons, there aren't enough any independent researches, theories, and even any noteworthy results of them. Second, sport management wasn't previously established to relate with the necessity of practical skills and functional education as applied to sport industry, and it was just the study of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about management. So, it had distance from other studies which develop into individual studies by each new theory. Third, the sport management studies is dully growing within limited area. It is one of the reasons that many researchers and educators of the sport management are not interested in the latest management theories and methods today, and they responded that it has lower participation rate of the research, as well as project about sport management than another studies. Forth, the students who major in sport management didn't be learned a various and systematical curriculum. Thu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researcher suggests the solutions below. First, it is difficult to capture the entire body of the sport management knowledge in one book. so, it should be classified the field of the sport management by various section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very well. Second, theories of the sport management major is based on management' ones. but it should be different from typical theories of the business administ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orts industry. moreover, its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via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the sport management major. As we can see the survey results, many of them wanted that the sport management studies has to gain a good position as the vital and individual studies. Third, a creative concept and theory are necessary to development and improve of sport management including characteristic of the sport. Also, instead of the copied paper or research, these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to try new exploratory researches continuously. and they have to show a specific theory and vision in its entirely. Forth, the objective of the sport management major should be trained students to become competent and professional administrators in the entire sport sector so. educators should provide for the students to obtain the integrated knowledge of management and practicing skills in the field of the sports industry. Fifth, many of the sport management associations in korea have to contribute expanding qualities and quantities of the research, as well as researcher. The scholars of the physical education also have to exchange their informations. and cooperate each other for development and progress as a remarkable study in the entire sport studies. Finally, the sport management major have to offer several chance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to major students and minor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it. In addition, the researcher desires that these methods should be the shortcut for students who want to be a excellent sport administrator in the entire sport sector like sport marketing, advertising, media, and sports industry.

      • KCI등재

        한국 기업경영학의 연구동향

        김신,천만봉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5

        This Study is about the study trends of during the last 19 years that Th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was publishing a corporation management until Vol. 19 No. 3(2012. 6) since first issue(1994).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published a corporation management by th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it’s around study results. Also, This study is the activity performance and contribution to investigate the systematical study.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found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th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This study was analyzed time performance and professionally sectoral performance in published the corporation manag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rporation Management of 1990’s was embryonic stage in th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In this era was studied about relatively much more accounting and a human resource organization. The Corporation Management of 2000’s can the stabilized and the growth stage to th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During this period, First of all, The Corporation Management of the academy journal was enlarged to publish four times per year after 2009. Also the grand prize award of Korean’s Representative CEO began in this period. In addition, This periods began international policy seminar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f explor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for academic exchanges. Also, This period began the field trip of exploration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corporations for the opportunity to a wide range research and the benchmarking of management practices activities. In 2010, The Corporation Management of Academy journal was selected the scholarship registration journals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Corporation Management of the academy journal was enlarged to published six times per year from 2012.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classified by journal submission to the research result of the Korean corpor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it were classified by HR, Production Mete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MIS, Marketing, e-biz, Finance, Accounting, International Business, Management History, Business Strategy, Small Business, Tourism Management, General Management and the other. Look at these sectorial main research contents, First, HR has been studied the characteristic of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And Production Metering were studied DRP system and JIT Production Methods, Quality Management and Productivity. The MIS were studied IS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he other hand, In the Marketing field was studied about the consumer reaction for advertising, Brand recognition, service quality etc. The e-biz field was performing related to e-commerce. In addition, Finance field was performed bank management and financial institutions, corporate governance, date trading of the securities market, real estate market. And an Accounting has made relatively taxation system,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 related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nterprises and FDI, and korean corporations into china. Business strategy was studied related to strategic alliances. And Tourism Management has been performed the service quality of hotel companies and the research related of local government. And The other areas research have been performed a related of employment.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irst, In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the target of the research presented the journal of the corporate management research utilizing limited research. Second, Korean Corporate Management Association was contributed much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orporate Business Administration grown over past 19th years. But Performed in this study showed the limits the lack of a organize to resources systematically of the society data S... 본 연구는 한국기업경영학회의 1996년 창간호에서부터 제19집 제3호(2012년 6월)까지 지난 19년간의 기업경영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한국기업경영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기업경영연구」에 게재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학 연구에 있어서 한국기업경영학회의 연구 성과 및 기여도에 대한 부분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한국기업경영학회의 창립동기와 그동안의 성과와 현황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그리고 「기업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시대별 성과와 전문 분야별 성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악할 수 있다. 첫째, 기업경영학의 각 연구 분야에 있어서 학문적 편중성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1세기에 들어와서 기업경영학 관련 학문들이 점점 세분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는 가운데 각 분야별 연구자들의 활발한 연구 활동이 요구되어진다. 둘째, 기업 경영학의 연구에 있어서 국제적인 연구논문의 발표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기업경영학 연구는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이런 난점을 없애기 위해서는 외국 기업과의 국제 비교분석 같은 분야에 더 많은 논문이 게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외국학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기업경영학의 연구내용이 글로벌화 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국적이 다양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이는 기업경영학 연구의 글로벌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에서 기업경영학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넷째, 한국기업경영연구의 체계적인 자료정리가 필요하다. 한국기업경영학회는 1994년 출발 하였지만 2001년 6월에 지금의 명칭으로 개칭 후 전국 규모의 학회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한국기업경영학회는 지난 19년간의 학회역사를 이어오면서 체계적인 학회 자료의 정리에 일부 미흡한 부분이 남아 있었다. 특히 초기의 학회자료에 대한 체계적 정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는 지난 19년 동안 기업경영학에 있어서 많은 연구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학회가 세계적인 학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좀 더 활발한 연구 활동의 촉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과학, 인문학 그리고 경영학 : 미국의 경영대학 발전사에서 얻는 교훈

        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2

        최근 한국의 기업들 사이에 ‘열풍’이라는 단어가 부족할 정도로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민감한 경영학자들은 이 현상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겠지만 대부분의 경영학자들은 이를 무관심으로 대하고 있다. 한국의 기업들은 왜 갑자기 인문학에 관심을 보이는가? 이 현상은 다른 나라의 기업들에서도 발견되는 보편적 경향 일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논문은 근대적 경영학이 발원한 미국으로 시각을 돌려 미국의 경영대학들이 인문학과 역사적으로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최근의 발전상은 어떤 것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세기 말 경영학이 대학사회에 최초로 진입하던 시기에는 경영 대학을 대학사회의 일원으로 위치시키는 문제, 즉 정당성 확보의 문제가 매우 중요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당시의 경영대학들은 기업 경영을 전문직(profession)으로 격상시킨다는 명분을 전면에 내세웠는데, 당시의 전문직이란 전문적 지식 이외에도 공익을 수호하는 책임의식과 윤리적 판단능력을 보유하는 직업군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최초의 경영대학들은 정체성 확보의 중요 방편으로서 인문학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경영대학에서 인문학이 점하는 위상은 점점 쇠퇴하였다. 특히 Carnegie 재단과 Ford 재단이 미국 경영학의 실태를 조사한 보고서들이 1959년에 나란히 출간되었는데, 이때를 기점으로 해서 경영학은 과학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작업에 몰두하였고 인문학적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도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과학 으로서의 경영학은 그 후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그렇게 큰 성과를 산출하지 못했고, 경영학계는 유용한 지식을 축적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학계에는 현대경영학의 위기, 혹은 쓸모없음(irrelevance)을 지적하는 경영학자들이 적지 않고, 산업계에서도 경영학의 유용성을 의심하는 시각이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경영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등장하고 있는데, 현재 한국 기업들이 몰두하고 있는 인문학 열풍도 이런 흐름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실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이 논문은 한국 기업들의 인문학 수용의 현 상태에 대한 진단, 바람직한 방향, 그리고 이를 위해 한국의 경영학계가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many Korean firms have enthusiastically pursued the idea of using various disciplines of the humanities (i.e.,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and art) to boost corporate performance. For example, many firms are offering various in-house, humanities-related lectures to their employees, and in this milieu, outside training and education organizations and some humanities scholars are also busy seeking opportunities in this burgeoning market. So in Korean companies, especially large ones, corporate lectures that cover various humanities topics such as ancient history or the works and thoughts of great thinkers (e.g., Socrates, Goethe, Confucius, or Michelangelo) are very common. Books that try to bridge the humanities and business world, however clumsy and without elegance they may be, are also extremely popular among various ranks of Korean businessmen. As bizarre as they may seem, on a surface level these developments may well be viewed as the arrival of a new management paradigm in Korea. As a matter of fact, these developments, often dubbed ‘humanities fever’, are affecting all of Korean society, not just the business world. However, most of the management scholars and educators in Korean business schools are silent on these curious developments. Given the long-standing coevolution of the business world and business schools, this silence is unusual and awaits plausible explanations. This paper thus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y are Korean firms so fervently trying to embrace the humanities while management scholars pay little attention to them? Have Korean firms become humanized through these endeavors? And, can these developments be observed globally and thus signify some fundamental changes, or are they just peculiar to Korean companies? To satisfactorily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early years of American business schools and trying to gauge the nature and trans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that the humanities have maintained with the business world. Since American business schools are widely emulat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nd Korea is no exception, it wa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how the humanities were assimilated by American business schools and the trajectory of that relationship over the years would provide insights and a frame of reference by which the developments in Korea can be comprehende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umanitie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ve stages of American business schools.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schools on university campuses was pioneered by such institutions as Wharton, Tuck and Harvard Business School, which actively mobilized the ‘professionalization of businessmen’discourse as a rationale for their inclusion during a time when most university constituents were quite hostile about the idea. As the humanities were considered a necessary ingredient of the professionalization project, liberal arts education was heavily emphasized and, in the case of the Wharton School for example, historical approaches were deeply incorporated into the very core of business education. Second, the status of the humanities vis-à-vis science began to diminish rapidly as the business world became increasingly uncomfortable with humanitarian values and perspectives. Thus, business schools turned away from the humanities and began to emphasize the scientific aspects of managerial practices. This trend persisted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in 1959, it culminated in Ford and Carnegie Foundation research reports on the state of business education. Since then, research in business schools has become a quasi-scientific activity and as a consequence management education has become detached from the real world.

      • KCI등재

        한국경영학교육인증제와 세무학교육

        정연식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2

        In November 2005,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KABEA) was established to improve business education in Korea and train a capable man in business. KABEA put in force KABEA accreditation, which is applied to all the departments that award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other departments that belong to the same college. KABEA accreditation is also applied to the departments of which the ratio of business related subjects is over 25%, or the department that include "business" in its name. If any of these departments does not participate in accreditation, the university can not acquire the accreditation in principle. And all these departments should open at least 6 compulsory subjects among 5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which are Strategic Managemen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nternational Management, Marketing, Operations Management, Human Resources, Finance, and Accounting.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taxation departments can not avoid KABEA accreditation because they award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open several accounting subjects including tax accounting. But they can not acquire KABEA accreditation because they open few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except accounting.It is not reasonable for taxation department to open several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as compulsary subjects. So this study suggested that KABEA should exclude taxation departments from accreditation or should not request that the participating departments open several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2005년 11월에 경영학교육의 발전과 경영분야 인재 양성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사)한국경영교육인증원이 설립되어 한국경영학교육인증제가 시행 중에 있다. 한국경영교육인증원에서는 경영학사를 수여하는 모든 학과, 이들 학과들과 같은 학부나 대학에 소속된 학과, 전공과목 중 25% 이상이 전통적 경영학 과목인 학과, 학과 명칭에 ‘경영’이 포함된 학과 등을 모두 인증 대상에 포함시키고, 이들 중 한 학과라도 참여하지 않을 경우 원칙적으로 해당 대학교 전체를 인증하지 않는 기관인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인증제에 참여하는 모든 학과나 전공은 경영전략, 경영정보, 국제경영, 마케팅, 생산운영, 인사조직, 재무, 회계 등 전통적 경영학 분야의 과목을 최소한 5개 분야 이상, 총 18학점(3학점 기준으로 보면 6과목임) 이상을 전공필수로 개설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각 대학 세무학과들의 편제와 학사학위 명칭 및 교과과정을 검토하여 경인원의 인증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경인원의 인증을 획득할 수 있을 만큼의 경영학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세무학과들은 경영학사를 수여하고 있고, 세무회계를 포함한 회계 분야 과목을 다수 개설함으로써 한국경영학교육인증 대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계를 제외한 경영학 과목은 전공과목으로 거의 개설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무학의 학문 특성과 세무학과의 교육목표를 검토하여 세무학과에서 회계 이외의 경영학 과목을 4분야씩이나 전공필수로 개설하는 것이 합리적이 아님을 규명하고, 나아가 한국경영교육인증원이 인증 대상에서 세무학과를 제외하거나 경영학 과목 전공필수 요건을 폐지하는 등의 방향으로 한국경영학교육인증제도를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 휴먼 메타사이언스로서의 신경경영학과 융합과학의 산업적 기여

        이은주,이성근 한국경영학회 2018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8

        신경경영학이란 신경과학과 경영학의 융합학문으로서 의사 결정의 주체인 인간의 인지적 의사결정 기관이라 할 수 있는 뇌, Brain에 대해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경영자 혹은 소비자 思考의 인지적 정서적 생리적인 메카니즘을 밝혀, 이를 바탕으로 경영자는 더 좋은 의사결정(better decision-making)을 할 수 있도록, 소비자는 더 행복하고 가치있는 삶(gresJN() 1`cater life value)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위한 융합과학이라 하겠다. 신경경영학은 4차 산업 시대에서의 인간의 삶을 더 풍요롭고 가치롭게 만드는 미래 산업과 시장 혁신의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과학철학자 Thomas Kuhn이 제시한바 있는 패러다임 후반기 재생산적 연구에 머무르기 쉬운 경영학 연구활동을 보다 혁신적이고 생산적인 휴먼 메타 사이언스로 다시 포지셔닝 해야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경영학의 학문적 기반 이론의 틀 또한 기존의 인문 사회경제 이론 기반에서, 자연과학의 영역으로 통합/확대함으로써, 휴먼 메타 사이언스로서의 신경 경영학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창조와 그의 산업적 기여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本庫에서 간결히 논하고자 한다. 신경경영학의 산업적 기여는 바로 진화의 최고도의 산물인 인간의 뇌, Brain의 연결성에 대한 깊은 고찰과 이를 자연이 주는 바이오미메틱스 모델로 삼아 과거 단절되었던 시장 간의 연결, 사물 간의 연결, 사람 간의 연결고리로 이어내는 전환적 사고 실험(Thought Experiment)에서 태동할 것이다. 본 발표에서 제시하는 초연결시대의 휴먼 메타 사이언스로서의 신경경영학에 대해 경영학계의 관심과 활발한 담론을 요청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한국경영학 교수인력 수급에 관한 연구

        손태원(Tae Won Sohn),김주엽(Joo Youp Kim),김민수(Min Soo Kim),정헌식(Hun Sik Jung) 한국경영학회 2010 Korea Business Review Vol.14 No.2

        국내 경영학 교육의 문제점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는 바로 전임교수 부족 문제이다. 본 연구는 한국 경영학분야의 교수인력 수급에 대한 현황파악과 문제규명, 그리고 해결방안에 관련된 기초자료와 정책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진들은 전국 4년제 대학 중 경영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경영학과(부 또는 계열)가 개설된 대학을 대상으로 재학생 및 전임교수와 대학원 박사과정 및 수업에 대한 현황을 설문을 통해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교 전체 전임교수 1인당 학생 수(교과부 통계자료, 2008)가 24.5명인데 반해 경영학과의 경우 44.2명에 달하고 있다. 경영학과 재학생의 증가율은 전체 대학생 증가율을 앞지르고 있으나, 경영학과 전임교수의 증가율은 이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학교육 인증제도의 도입을 통해 인증을 받았거나 인증을 준비 중인 대학을 중심으로 전임교수 채용이 늘고 있어 인증제도의 도입이 경영학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전임교수를 해외 박사학위 취득자에게 의존하는 상황에서 최근 해외박사학위 취득자의 국내유입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국내대학들이 박사과정에 집중하여 역량 있는 전임요원 육성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당면 과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경영학 교육의 질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안정적인 교수 공급을 위한 학계 및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Among the problems in business education in Korea, the lack of full-time professors is the most noticeable.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identify the problems aroun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business professors in Korea, and contribute to formulating policies relevant to the solutions. Through the surve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4-year colleges(universities), which have the department of business that offers a bachelor`s degree in business, about the students, full-time professors, doctoral programs, and curriculums. The result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students per a full time professor reached 44.2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while it was 24.5 in the extent of the whole universit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The increase rate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surpassed the one of the whole university, but the increase rate of the full-time professors was lower than that. The employment of full-time professors was increasing mainly in the universities that were accredited or preparing fo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which clarified that the ado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business education. On the other side, the influx of the people with doctoral degree from foreign universities into Korea was rapidly decreasing recently, but the supply of full-time professors have been dependent upon them. Thus, it is required for Korean universities to systematize the cultivation of competent full-time professors by concentrating on the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 business education to meet the global standard, the cultivation system for stable supply of full-time professors should be supported by the academia and the national government, in terms of finance and policies.

      • KCI등재

        경영학 융복합 역량 진단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장영균(Chang, Young Kyun),김병직(Kim, Byung-Jik),정라미(Jung, Rami)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영학 교육이 지향하는 융복합 인재 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경영학에 특화된 융복합 역량(Business Confluence Competency)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진단 지표를 개발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융복합 역량의 중요한 이론적 틀인 메타인지이론을 기반으로 하되, 경영학이 탐구하는 기업 장면의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여 경영학 융복합 역량 모델(KTA 모델)을 경영학 분야 최초로 개발하였다. KTA 모델은 경영학 기초 인지력(K; Knowing), 융합사고력(T; Thinking), 융합실행력(A; Acting)의 세 가지 하위 역량과 25개의 세부 측정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측정 도구로서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경영학 융복합 역량 진단 지표는 높은 신뢰도와 더불어 내용/구성/예측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KTA 모델은 경영학 융복합 인재 교육의 정책 수립, 과정 및 교육 내용 설계, 학습 수행 도구, 성과 평가 및 경영교육 인증 등의 다방면에서 높은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confluence-oriented pedagogy for business major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business-specific confluence competencies and develops a diagnostic instrument to measure them. [Methodology] To this end, based on the metacognitive theory, this study introduces the measurement model (KTA model)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business,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context of the corporate landscape. The KTA model consists of three sub-competences of basic knowledge of business (K; Knowing), confluent thinking (T; Thinking), and confluent action (A; Acting) with 25 items for measuremen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KTA model,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tested. [Finding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KTA model was verified with reliability and content/construct/predictive validity. [Implications] The KTA model introduced here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various areas, including policy development of confluent education for business major, design of courses and contents, learning implementation tools, performanc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f educational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