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자 예측정보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

        박수연,유관희,유승원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경영자가 자발적으로 공시하는 예측정보는 경영자와 시장참여자들 간의 정보비대칭이 완화되는 장점에 있는 반면, 실제 매출액이나 보고이익이 경영자 예측정보를 통해 형성된 시장의 기대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주가의 하락이나 명성의 손실 등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경영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예측오차를 최소화하려고 할 것이며, 이는 이익조정의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선행연구들은 제시한다. 본 논문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대한 일반적인 결정요인들을 통제한 후에 경영자 예측정보가 가지는 이익조정 위험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자발적으로 예측정보를 공시한 기업일수록 자발적 공시를 하지 않은 기업에 비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정보의 내용을 매출액,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으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예측정보를 공시한 기업의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 예측정보를 매출액,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 예측정보로 세분하고 각각의 예측정보에 대한 예측오차를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매출액 관련 경영자 예측오차는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가 자신의 예측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이익조정의 유인이 있음을 감사인이 인식하고, 이러한 이익조정의 위험에 따른 감사위험을 고려하여 일정한 확신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감사시간을 투입하며, 감사노력의 증가 및 감사위험에 대한 대가를 감사보수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추가 분석으로 경영자 예측오차의 절대값을 예측오류로 간주하거나, 감사보수와 관련된 내생성의 통제를 위하여 감사시간을 통제한 후 분석한 결과 역시 위의 결과와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자 예측정보가 유발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이익조정의 위험을 감사인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대하여 사업보고서 상 공시된 실제 자료들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있다. 경영자 예측정보가 투자 등의 결정을 하는 시장의 정보이용자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본 연구는 예측정보의 공시에 따른 감사위험을 판단하는 감사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논문과 다른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risk related to voluntarily disclosed management forecast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firms' voluntary disclosure should lower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market and, thus, reduce the cost of capital. However, the firms that fail to meet their voluntarily disclosed forecasts experience the decrease of stock prices and the loss of reputation. Therefore, managers have incentives to manipulate reported earnings to meet or beat their voluntarily disclosed forecasts. Auditors who have responsibilities to provide assurance to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internal control system may concern about audit risks arising from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incentives. Especially, the lack of forecast accuracy is associated with internal control problems. As a result, auditors may increase audit fees for heightened audit risks and spend more audit hours for substantive evidences to reduce the audit risks related to earnings management possibilities. We analyze 2,252 firm-year observations over the 2002-2008 period. We first find that the firms that are voluntarily issuing management forecast have significantly higher audit fees and audit hours regardless of types of forecasted items. This suggests that auditors reflect the earnings management risks regarding management forecasts in audit decision, resulting in increased audit hours and higher audit fees. Second, audit fees and audit hours tend to be higher when management forecasts are less accurate. This implies that auditors consider inaccurate management forecasts as an evidence of management risks and increase their audit efforts to reduce the audit risks. Finally, we show the results do not change if we control audit hours in audit fees decision model. This suggests that th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does not drive our result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management forecasts affect the auditors' audit decisions since they think management forecasts affect audit risk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level of assurance and control audit risks, they increase audit hours and charge higher audit fees for the firms that issue management forecast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systematic evidence of an impact of firms' voluntary disclosures on auditors' decision makings such as audit efforts and audit fees.

      • KCI등재

        경영자 예측정보의 연속적 공시행태에 관한 연구 -전기 예측정확성 및 재무분석가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경혜 ( Kyung Hye Kim ),최경수 ( Kyong Soo Choi ),황문호 ( Mun Ho Hwang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학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경영자 예측정보의 연속적 공시행태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에 공시된 경영자 예측정보의 사후적 정확성 및 재무분석가와의 상호작용이 당기의 예측정보 공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경영자의 자발적인 예측정보 공시에는 다양한 경제적 유인이 수반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예측정보 공시에 따른 기대효익이 크게 예상되면 경영자는 적극적인 공시정책을 취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소극적인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향관계에 기초하여 과거에 발표한 경영자 예측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질수록 당기의 예측정보 공시가능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아울러 이러한 경영자의 연속적 공시행태에 있어 재무분석가들이 완충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한다. 경영자와 재무분석가는 예측정보를 생산하는 주요 주체로서 서로의 예측정보를 긴밀하게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경영자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를 통해서 자신의 예측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면 이를 적극 참조하여 공시에 반영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공정공시를 통해 발표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전기 예측정확성이 낮을수록 당기 예측정보의 공시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예측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질수록 당기의 공시에 따른 기대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소극적인 공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재무분석가의 전기 예측정확성이 경영자보다 우수할수록, 경영자의 전기 예측정확성과 당기 예측정보 공시 간에 나타나는 양(+)의 관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경영자의 예측정확성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의 예측정보 공시 의사결정에 재무분석가 예측정보가 참조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한편 재무분석가를 통해 경영자 예측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전기 예측정확성과 당기의 예측정보 공시간에 체계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유인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경영자의 예측정보 공시에 재무분석가 예측정보가 유의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경영자와 재무분석가간의 상호작용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적 공헌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examine the manager`s consecutive reporting behavior about the voluntarily disclosed earnings forecast. Specifically, the primary objective of our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financial analysts on the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First, we examine how the accuracy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fluences the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 addition, we investigate how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and analysts`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of prior year impact on the rel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In order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we hand collec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for fiscal years 2002-2008 from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 Our specific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finds that as the accuracy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ecreases the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lso decreases. Extant literatures demonstrate that various economic incentives have an effect on the disclosure policy of voluntarily disclosed earnings forecast. Therefore, if managers expect higher expected benefits of disclosing earnings forecast, he would be inclined to make an earnings forecast. On the other hand, when managers expect lower expected benefits of disclosing earnings forecast, he would not be inclined to make an earnings forecast. In this paper, based on the number of prior researches, we maintain that a relatively large errors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minishes the expected benefits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which in turn generates a diminution of managers` incentives to provide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o the market participants. Therefore, the systematic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is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Second, when the analysts` prior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are relatively high, the significant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becomes small.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of prior year does not affect the systematic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ince the manager`s specific ability to forecast a firm`s prospect increas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as the analysts` prior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becomes higher, the manager`s incentives to stop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 the current period which is due to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errors decrease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of prior year is limited in improving manager`s specific ability to forecast a firm`s prospect, it does not influence the manager`s incentives to stop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 the current period which is due to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errors. This paper, by demonstrating the systematic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provides a new insight about the manager`s consecutive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olicy. In particular, prior literatures which deal with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concentrate mainly on the temporary forecasting behavior of managers. On the other hand, our research is discriminated by focusing on the sequential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strategies. As a result, our research might expand the scope of prior literatures which have dealt with manager`s voluntary disclosure policy Also, establishing the fact that the significant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decreases as the analysts` prior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increases, this study documents the crucial impact of the analysts` on the manager`s consecutive earings forecasts behavior.

      • KCI등재

        IFRS 도입이후 기업지배구조가 경영자이익예측정보와 정보비대칭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지희,신호영,오현민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K-IFRS제도 도입 이후,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영자이익예측정보 공시가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기업지배구조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경영자이익예측정보 공시와 같은 자발적 공시의 경우, 경영자의 재량권에 따라 공시하므로 경영자의 사적인 임의성이 개입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정보비대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기업지배구조가 효율적으로 경영자를 감시․감독하여 정보비대칭을 감소시키는 지를 검증하였다. 2011년부터 2014년 말까지 256개의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사외이사비율이 높을수록, 이사회의 규모가 클수록 경영자이익예측정보 공시가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완화되었다. 이는 높은 사외이사비율과 큰 이사회의 규모는 경영자를 감시․감독하는 기능을 탁월하게 수행하여 정보비대칭 문제를 완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경영자이익예측정보 공시가 자본시장에서 정보비대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와 기업지배구조가 경영자이익예측정보와 정보비대칭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미래의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자이익예측 공시에 대한 연구에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rporate governance reduc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nd information asymmetry after the adoption of K-IFRS in 2011. In the case of voluntary disclosures lik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where management discretion exists, information asymmetry can increase. Thus, we hypothesize that corporate governance can decrease the degree by which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ffects the information asymmetry by performing the role of monitoring on management. Our sample consists of 256 firm-year observations after the adoption of K-IFRS from 2011 to 2014. The empirical results using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negative effec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on information asymmetry is reduced by th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s measured by the outside director system and the board size. This means that the outside director system and the board size decrease the degree by which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ffects the information asymmetry by performing the role of monitoring on management.

      • KCI우수등재

        투자자의 관심수준과 경영자의 자발적 이익예측정보 공시 간의 관계

        윤용석 ( Yongsuk Yun ),유승원 ( Seung-weon Yoo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투자자의 관심수준(investor attention)과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의사결정 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Da et al.(2011)이 투자자의 관심수준을 측정하는 직접적인 대용치로 제시한 검색량 지수(search volume index)를 사용하여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의사결정에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아울러 제공되는 예측정보의 질적 속성에 따라 투자자 관심수준과 경영자 예측정보 공시 간의 관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의 유가증권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기 투자자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경영자의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 원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투자자 관심 수준이 정보에 대한 수요를 나타낸다면, 경영자는 이러한 투자자의 정보수요를 충족시켜주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이익예측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는 투자자 관심수준이 높은 경우 정보에 대한 반응이 클 것으로 기대되고 이에 따른 유동성 증가 등의 효익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여 경영자가 이익예측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당기 투자자 관심과 경영자의 예측정보 공시 간에 나타나는 양(+)의 관계는 이익예측치의 편의의 성격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낙관적인 편의가 있는 경우와 비관적인 편의가 있는 경우 모두 투자자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공시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의 결과와 관련된 경영자의 공시 원인 중 투자자의 정보수요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자발적인 이익예측이 결정됨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경영자 이익예측정보 공시 전·후 기간에 대한 투자자 관심수준을 분석한 결과, 경영자 이익예측정보가 공시되기 전 기간과 공시가 이루어진 기간의 투자자 관심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가 공시된 이후 기간에 대한 투자자 관심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정보수요로 인한 높은 관심수준이 경영자의 공시의사결정을 통해 충족되어 이후 관심수준이 낮아짐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경영자의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가 정보제공유인에 기반함을 시사하는 두 번째 가설에 대한 결과를 뒷받침한다. 본 연구는 투자자의 관심수준이 경영자의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경영자의 공시의사결정에 있어서 시장특성적인 측면에서의 결정요인을 제시하는 선행연구들과 맥락을 이루는 동시에 경영자의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의 결정요인으로서 주식시장 투자자의 관심이라는 새로운 측면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investor attention affects the manager`s voluntary disclosure decisions. Proxying for investor attention using the search volume index suggested by Da et al.(2011), we examine whether managers react strategically to investor attention via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frequency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In addition, we investigate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investor attention and the frequency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is changed when considering bias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Using a sample consisted of listed companies during the period of 2007 to 2013, we fi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investor attention is higher, managers` voluntary earnings forecasts are significantly more disclosed. Second, the association between investor attention and the frequency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is unchanged even when considering bias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More specifically, the frequency of optimistic and pessimistic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re more disclosed when the level of investor attention is high. Finally, we examine the change of investor attention during before and afte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peri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investor attention is high during the periods befor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ed, while, the level of investor attention is low during the periods afte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level of information demand of investors before voluntary disclosure goes down after getting information via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herefore supporting information views.

      • KCI등재

        재무보고이익-세무보고이익의 차이 및 재무분석가가 경영자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

        김경혜 ( Kyung Hye Kim ),유승원 ( Seung Weon Yoo ),최경수 ( Kyong Soo Choi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의 차이(재무보고이익에서 세무보고이익을 차감한 값으로 정의: 이하 ``보고이익의 차이``)가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정확성과 편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 수가 보고이익의 차이에 따른 경영자 이익예측 정확성 및 편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2002년 11월부터 2009년 말까지 공정공시를 통해 발표된 경영자 예측정보 중 영업이익에 대한 예측값을 이용하며, 구체적인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고이익의 차이가 클수록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정확성이 감소하고 낙관적인 편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보고이익의 차이가 커질수록 이익지속성이 낮아져 미래이익에 대한 경영자와 외부투자자 간의 정보비대칭이 증가하므로, 경영자는 상대적으로 정확성이 낮고 낙관적인 이익예측치를 공시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따라서 이 결과는 보고이익의 차이로 인한 미래이익에 대한 정보비대칭이 경영자 이익예측치의 정확성을 감소시키고 낙관적인 편의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본 연구의 예상과 일치한다. 둘째, 해당기업에 대한 이익예측치를 제공하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을수록, 보고이익의 차이가 야기하는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부정확성 및 낙관적인 편의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하면 보고이익의 차이로 인한 미래이익에 대한 정보비대칭이 실질적으로 감소하므로, 보고이익의 차이에 따른 경영자 이익예측치의 왜곡이 줄어드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자발적 공시정보(경영자 이익예측 정확성과 편의)와 강제공시정보(보고이익의 차이)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입증함으로써, 경영자의 공시정책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자발적 공시와 강제공시의 관계를 살펴본 기존 연구가 자발적 공시의 양적 측면(즉, 빈도 또는 공시여부)에 편향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보고이익의 차이에 따른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부정확성과 낙관적인 편의를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재무분석가가 경영자 이익예측치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이 결과는 자본시장의 대표적인 정보중개인으로서 재무분석가의 긍정적인 역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경영자 이익예측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differences between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hereafter, book-tax differences) o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bias, incorporating the role of financial analyst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book-tax differences o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bias. Furthermore, we investigate how the number of analysts affects th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properties (i.e., accuracy and bias) and book-tax differences. We analyze the hand-collect data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for future operating income during fiscal years 2002-2009, from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 Our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accuracy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decrease in the book-tax differences. Also, we show tha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exhibit greater optimistic biases when book-tax differences are relatively high. In sum, book-tax differences not only generates the error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but also creates the optimistic forecasting behavior of corporate manager. Based on the prior studies, we predict that a lager book-tax differences decreases the persistence of current earnings, thereby creates a relatively larg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 and outside investors about firm`s future earnings. This information asymmetry which is generat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book and taxable income is expected to induce a manager to provide less accurate and more optimistic earnings forecasts. Therefore, the systematic associations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properties (accuracy and bias) and book-tax differences are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Second, as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the firm increases, we find that th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properties (accuracy and bias) and book-tax differences lessens. We specifically find that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book-tax differences decreases when the number of analysts i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bias and book-tax differences gets less positive as the number of analysts increases.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reduces the distortions induced by book-tax differences because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a manager and outside shareholder about future earnings diminishes as the number of analysts increases. These findings also stress that our first findings that a larger book-tax differences generate management earings forecast errors and bias are mainly induced by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 and outside investors regarding firm`s future earnings. Managers communicate information about firms` financial situations to outside investors through two important channels, that is, mandatory and voluntary disclosures. Both mandatory and voluntary disclosures are the main sources from which firm investors gets relevant (or valuable) information that is used in judgment. A considerable literature has, in fact, find that both types of disclosure significantly affects stock prices, and contains value-relevant information about a firm. This paper, by demonstrating the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the properties of voluntary disclosed informatio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bias) and mandatory disclosed information (book-tax differences), provides a new insight about the manager`s disclosure policy. In particular, prior literatures which deal with the relation between voluntary disclosure and mandatory disclosure concentrate mainly on the quantitative aspects (i.e., occurrence or frequency) of voluntary disclosure. Our research adds a new insight by focusing on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bias (i.e., qualitative aspects of voluntary disclosure). By establishing the fact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the firm lessens th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properties and book-tax differences lessens, we also document the analysts` behavior which enhances the quality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It provides a useful information for the outside investors because the result shows the important role of financial analysts as a prominent information intermediaries in the capital market.

      • KCI등재

        최고경영자 나이가 경영자 예측정보 공시여부와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오광욱 한국회계정책학회 2015 회계와 정책연구 Vol.20 No.5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Chief Executive Officer (here after, CEO) age on disclosure of management forecasts and its accuracy. Prior studies (Hambrick and Mason 1984;Hambrick 2007) suggest ‘the upper echelons theory’ which argues that personal traits of CEOs might have a discriminatory impact on their decision-making. In a side of the behavior papers(Vroom and Pahl 1971;Deshpande 1997;Graham et al. 2005;Hambrick 2007), they argue that the discriminatory decision might be caused by biased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thinking due to personal traits of particular person. In other words,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will be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CEO, in spite of the identical firm. To verify our hypothesis, we use the CEOs’ age as a proxy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CEO based on the suggestion of prior papers(Wallach and Kogan 1961;Rhodes 1983;Waldman and Avolio 1986;Prendergast and Stole 1996;Hess et al 2005;Twenge and Campbell 2008;Serfling 2014;Ban 2015). And we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CEOs’ age on the disclosure of management forecasts and its accuracy. According to this paper that covers 2002 to 2010 for KSE firms, the older managers are less likely to disclose the information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dditionally, we find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CEO’s age and accuracy of management forecasts. To sum up the results, the older managers have a tendency to disclose management forecasts when the information are highly reliable. It implies that the managers are more conservative and risk averse with aging. Our results are critical to examine the impact of internal factors on management forecasts by showing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CEO age and management forecasts. Also, we provide the supplementary implication to prior papers that is acknowledged in the upper echelons theory. 본 연구는 경영자 개별특성 중 나이가 경영자의 이익예측 정보 공시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주로 국외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최고경영자이론(upper echelons theory)’에 따르면, 경영자 개별 특성은 그들의 의사결정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Hambrick and Mason 1984;Hambrick 2007). 이를 행동학적(behavior economic)측면에서 살펴보면, 경영자 개인의 특성에 의한 편향된 인지적, 사회적, 감정적 사고 등의 이유로 차별적인 의사결정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Vroom and Pahl 1971;Deshpande 1997;Graham et al. 2005;Hambrick 2007). 다시 말해, 특정 개인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동일 기업이라도 개별 경영자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이익예측 정보 공시행태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고자 개별 경영자의 고유 특성의 대리변수로 최고경영자 나이(age)를 사용(Wallach and Kogan 1961;Rhodes 1983;Waldman and Avolio 1986;Prendergast and Stole 1996;Hess et al. 2005;Twenge and Campbell 2008;Serfling 2014;반혜정 2015)하여 동 변수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여부 및 동 정보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2002년-2010년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영자 나이가 많은 경우 경영자 예측정보를 공시하지 않으려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나이가 많은 경영자는 신뢰성 있는 매출액 예측정보를 공시하려는 경향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젊은 경영자에 비하여 나이가 많은 경영자는 예측정보의 신뢰성이 높은 경우에 이익예측 정보를 공시하려는 성향이 있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는 경영자 나이가 많을수록 보수적이고 위험회피적인 성향을 보여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최고경영자 나이가 자발적 공시 중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본 연구는 경영자 예측정보 유인의 기업의 내부 요인에서 찾으려 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다. 즉, 동일기업에서 경영자 이익예측 정보를 공시하는 행태가 개별 경영자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였다는 것에 추가적인 의미가 있다.

      • 이익동조성이 경영자예측정보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에 미치는 영향

        기은선,권수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3 No.1

        본 연구는 경영자예측정보(Management Forecasts: 이하 MF )를 공시한 기업이 동종 산업 내 다른 기업들과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지고 있어 재무분석가가 예측에 이용할 수 있는 유사기업 정보가 많을 때, 재무분석가가 MF를 예측수정에 반영하는 정도가 낮아지는지를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한 기업의 MF 공시가 동종 산업 내 다른 기업들의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동시에 살펴본다. 과거 연구에 따르면 경영자는 기업내부 정보에, 재무분석가는 산업정보 분석에 우위를 가진다(Ayers and Freeman 2003; Piotroski and Roulstone 2004; Jacob et al. 1999; Clement 1999; Langberg and Sivaramakrishnan 2010). 만약 동종 산업 내에 MF공시기업과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진 양질의 비교가능기업이 많으면 재무분석가가 산업분석을 통해 경영자 못지않게 정확한 예측정보를 생산하여 낼 수 있기 때문에 MF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추종 경향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한 기업의 MF 공시는 그 기업뿐 아니라 그 기업과 동종 산업에 속한 다른 기업들이 처한 경제적 상황(예. 총수요의 변동, 경쟁관계의 변화 등)에 관해 재무분석가가 가진 기대에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MF비공시기업의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에 수정을 가져올 수 있다. 만약 MF공시기업(기업 i)과 비공시기업(기업 j)이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지고 있으면 재무분석가가 MF를 보다 낮은 비용으로 보다 정확히 해석해서 비공시기업의 이익예측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 i의 MF 공시 후, 재무분석가가 기업 j의 이익예측치를 수정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유가증권상장기업의 경영자 영업이 익예측치 292건과 이에 대응되는 비공시기업 표본 8,002건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익동조성은 De Franco, Kothari and Veridi(2011)가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F공시기업이 동종 산업 내 다른 기업들과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질수록 재무분석가가 MF를 예측수정에 반영하는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기업의 MF 공시 후 재무분석가가 동종 산업 내 비공시기업 j의 이익예측치를 수정할 가능성은 i기업과 j기업 간 이익창출과정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기업이 기대보다 높은 경영자예측치를 제시했을 때, 재무분석가는 동종 산업 내 다른 기업들의 이익예측치 또한 상향조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기업과 j기업 간 경제적 비교가능성이 높아 i기업의 비기대이익 증가가 j기업의 상대적 경쟁력 약화를 의미할 수도 있는 상황 하에서는, 이러한 상향조정 경향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자본시장에서 MF의 유용성을 정보효과 측면뿐 아니라 정보이전효과 측면에서 동시에 살펴봤을 뿐 아니라, 유사기업 정보의 이용가능성이 기업의 자발적 공시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상대적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요인 중 하나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영자 이익 예측의 전략적 수정공시와 주식수익률

        이화진,이계원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2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managers' preferences for separating or combining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stock price effects of alternative frames of management forecasts. The hedonic editing model, being a hybrid of cognitive psychology and microeconomics,proposes the mental coding of combinations of gains and losses using the prospect theory value function. Thaler(1985) analyzed four cases applying this model:pure gains, pure losses, mixed gains, and mixed losses. We extend prior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descriptive validity of the hedonic editing model to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contexts. My primary tests are based on a sample of 62 forecasts disclosed by firms between 2002 and 2007. Several conclusions emerge from these tests. Corporate managers disclosure earnings forecasts within the context of this framework.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s managers combine(separate)good/positive(bad/negative) earnings news. This disclosure framework is effective(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he magnitudes of earnings news. Forecast disclosures remain highly informative. My study bridges a gap between results documented in financial accounting experimental studies and studies that use archival data within natural settings(Koonce and Mercer, 2005). 본 연구는 경영자가 예측공시의 정보량을 전략적으로 배분할 것이라는 선행연구와 개인들이 주관적 가치를 최대로 하기 위해 정보를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처리할 것이라는 Hedonic Editing Model(Thaler and Johnson, 1990)을 연결하여 이익예측정보를 공시하는 양태가 정보내용(호재/악재와 긍정적/부정적 수정공시)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경영자가 이익예측정보를 공시한 시점의 시장 반응이 이익예측정보에 담긴 정보량뿐만 아니라 이익예측치가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서도 다를 것이라는 가설도 검토한다. 재무․회계분야의 경영자 예측정보 공시에 관한 선행연구는 예측정보의 성격에 따른 공시정보의비대칭적 분포나 공시시점에 나타나는 비대칭적 시장반응을 보고하고 있으나 그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재무․회계정보를 이용한 의사결정과정 그 자체의 기제를 밝히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Hedonic Editing Model을 이용하여 경영자와 투자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예측하고 그 결과를 검증함으로써 인지심리학이론을 가치평가 맥락으로 확대하고자 하였다. 2002년부터 2007년에 걸쳐 년 2회 이상 경영자예측정보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공시양태와경영자가 이익예측정보를 정정 공시한 시점의 시장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양태에 대해서는, GP(호재/양의 수정공시 기업)의 경우 영업이익과 매출액 모두에서 유의한양의 관계가 나타나 공정 공시와 정정 공시로 나누어서 이익(매출액)을 보고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GN(호재/음의 수정공시 기업)의 경우 영업이익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으나 매출액은유의한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BP(악재/양의 수정공시 기업)와 BN(악재/음의 수정공시 기업)의 경우 가설과 방향이 일치하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공시 시점의 주가반응에 대해서는, 영업이익의 경우에 긍정적 수정공시에 비해 부정적 수정공시는 누적초과수익률의 부호도 일치하고 그 크기도 경제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자 예측정보의 성격에 따른 공시정보의 비대칭적 분포나 공시시점에 나타나는 비대칭적 시장반응을 초래하는 재무․회계정보를 이용한 의사결정과정 그 자체의 기제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한 종합적 접근이 유효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경영자 이익예측정보가 미래 이익조정 및 미래 시장기대치 달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혜 ( Kyung Hye Kim ),유승원 ( Seung Weon Yoo ),최경수 ( Kyong Soo Choi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당기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정확성 및 편의가 차기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당기의 경영자 이익예측 정확성과 편의가 차기 시장기대치 달성 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다. 본 연구는 2003년 부터 2009년 말까지 공정공시를 통해 발표된 경영자 예측정보 중 영업이익에 대한 예측값을 이용하며, 구체적인 주요 가설 및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당기의 경영자 이익예측 오차 또는 낙관적인 편의로 인해 시장의 사후적인 패널티가 가해지면, 경영자는 차기이익을 상향조정하여 자신이 받았던 불이익을 완화시키고자 할 것으로 예상한다. 실증분석 결과, 당기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오차 및 낙관적 편의가 증가할수록, 차기 재량적 발생액과 차기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은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당기의 경영자 이익예측 오차 및 낙관적 편의에 따른 차기 이익조정이 차기의 시장기대치 달성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예상한다. 실증분석 결과, 당기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정확성이 낮거나 낙관적인 편의가 증가할수록, 차기 이익에 대한 시장기대치를 달성할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당기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오차 및 편의가 차기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에 대한 시장의 사후적인 제재조치가 미래의 강제공시에 대한 경영자의 의사결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기존 연구는 이러한 사후조치가 향후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질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본 연구는 강제공시 사항인 미래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그 차별적 공헌점이 있다. 또한, 당기의 경영자 이익예측 오차 및 낙관적 편의가 차기 이익조정을 야기한다는 사실은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에 대한 시장의 사후조치가 향후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제한적일 수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보고이익과 이익예측치가 함께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기반할 때, 당기의 예측 오차와 낙관적 편의에 따른 시장의 사후적인 패널티가 차기 이익조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차기의 경영자 이익예측정보 또한 왜곡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In su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bias on next year`s earnings management. Second, we empirically investigate how the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bias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meeting or beating market expectation of following year. In order to properly perform the analysis, we hand collec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for fiscal years 2003-2009 from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 In terms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we focus on the operating earnings mamagement forecasts based on the number of prior literatures. The samples in order to properly examine the hypothesis 1 and 2 turned out to be 491 firm-years and the sample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hypothesis 3 and 4 are 330 firm-years. Using these samples, our specific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as the error or optimistic bias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crease discretionary accruals and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next year increase. In this paper, based on the prior studies, we expect that managers have incentives to manage next year`s earnings upward, when market penalties are given for the current inaccurate/optimistically biased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Therefore, the systematic associations between the accuracy/optimistic bias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next year`s earnings management are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Second, as the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s less accurate or shows more optimistic bias, the probability of meeting or beating market earnings expectation of the following year becomes hig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nager`s income- 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of next year which is due to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error/optimistic bias, is being conduct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meeting or beating market earnings expectation of following year. That is, manager`s future earnings management induced by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error/optimistic bias is being used to enhance the probability of meeting or beating future market earnings expectation. Third, in our robustness analysis, we find that as the error or optimistic bias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crease accruals quality in the next year decreases. This result provides more insight in relation to the results of hypothesis 1 and 2. Also we show that the results of hypothesis 3 and 4 do not change even if we change the measurement of market expectation in the next year. This finding corroborates that our result is not driven by specific proxy of market expectation. Lastly, various results we mentioned above are consistent when we control the endogeneity problems. Specifically, we utilize Heckman`s two-stag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lessen endogeneity issues. The result show that our results are robust after we control the endogeneity effects. This paper, by demonstrating the significant effects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or bias on next year`s earnings management, provides a new insight about the market punishment for the inaccurate or biased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might also influence the manager`s disclosure behavior related to future mandatory disclosure. Especially, the fact that prior researches mainly focus on the evidence whether market penalties for the current management earings forecast improve the futur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stresses our distinct contribution. Second, the relation between the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errors/ optimistic bias and the next year`s earnings management provides an indirect evidence that the market punishment for the inaccurate or biased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may be limite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More specifically, this is because the fact that market punishment to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error and optimistic bias induces managers to manage earnings upward implies that next year`s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could also be distorted, given that firm`s reported earings and earnings forecast might be managed concurrently. Third, outside investors might understand better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content in next year earnings when they incorporate the fact that current forecast error and optimistic bias affects earnings management of following year. Fourth, establishing the fact that next`s years earnings management due to current manager`s forecast error and optimistic bia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meeting or beating market expectation of the next year, market participants may better understand regarding the probability of meeting or beating market expectation. Lastly, notwithstanding the a number of contributions we mentioned above, our sample is confined to firms which disclose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herefore, our sample size is relatively small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Specially, the unsignificant results regarding pessimistic bias may be due to smaller sample siz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