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복궁 자경전 ‘瑞獸’의 고찰

        李旺茂(Lee, wang-mo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경복궁의 십자각과 宮牆들은 고종대 대원군의 왕권강화 차원에서 경복궁 중건이 이루어질 때 재건되었다. 조선전기에도 십자각은 존재했지만, 임진왜란시 왜군이 한양을 약탈하면서 경복궁이 파괴될 때 같이 없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종대 대원군이 심혈을 기울여 중건한 경복궁은 왕실의 권위를 세우고 왕조의 무궁함을 이어가기 위한 방안의 하나였다. 경복궁의 전각 배치가 조선전기의 형태와 청나라 자금성의 형태를 모델로 하여 지어진 것에서도 대원군의 고심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정치적 구상에서 만들어진 경복궁은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침략 속에서 그 자리를 점점 잃어버리게 된다.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경운궁이 제국의 正宮이 되면서도 경복궁은 정궁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이후 일본에 합병된 이후로는 경복궁의 훼철과 매각이 자유로워졌다. 공식적으로는 1911년 李王職에서 순종의 명의로 조선총독부에 경복궁 부지의 권리를 넘기면서 경복궁 전각의 운명이 일제의 의사에 따라 좌우되었다. 경복궁이 본격적으로 해체되는 것은 일제시대부터였다. 1915년 시정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1916년 조선총독부 신청사 건립, 1918년 창덕궁 소실에 따른 전각의 이전, 1923년 전차선의 개설, 1929년 조선박람회를 위한 궁장 훼철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시에 경복궁 좌우의 십자각들이 궁장과 분리되거나 사라진 것은 일제시대 총독부가 계획적으로 정치?사회적인 행사를 경복궁내에서 개최한 결과이다. 1914년 조선물산공진회를 열면서 흥례문 구역이 모두 훼철되었고, 1920년대로 접어들면서 대규모의 박람회가 개최되며 궁궐의 전각과 궁장 및 십자각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이 훼철되는 양상이 발생하였다. 서십자각이 1923년 9월에 광화문에서 영추문으로 연결되는 전차노선을 연결하면서 훼철되었다. 총독부 정문에서 좌우로 나뉘어 좌측은 서십자각 터를 지나 총독부 담장과 나란히 달리며 효자동 방향으로 가고 있고, 우측은 동십자각 외곽을 지나 안국동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따라서 전차노선만을 보아도 서십자각의 위치가 그 노선에 포함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서십자각이 사라진 배경이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런데 공진회 개최 이후 자경전이 박물관사무실 용도로 활용되면서 경복궁에서 진행된 각종 공사의 결과 훼손되거나 분리된 기물들이 사무실에 보관내지는 임시로 두었다고 생각된다. 경복궁 영추문으로 전차선이 가설될 때 서십자각이 훼손되면서 그곳의 서수가 이동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배경이 아니라면 자경전 서수의 존재는 조선왕조 궁궐의 역사에서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동십자각 서수는 어디로 갔는지 의문이 든다. 『조선고적도보』 권10에 실린 동십자각의 원형은 오늘날 자경전의 서수와 상이하다. 서십자각이 완전히 파괴되어 사라졌음에도 그 부속물인 서수가 존재하는데, 십자각의 외관을 현재에도 유지하고 있는 동십자각은 서수의 향방을 전혀 알 수 없다. It was the palace is destroyed in earnes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 the time they left the pavilion of the palace is separated with a fence or disappeared is the result of a deliberate Government-General was held as a political event. Large fairs are held up to the engravings were mostly destroyed and walls and tower of the palace. In addition, a tram route connections were destroyed, while the palace. But while the political event held at the palace was used as a museum Jagyeongjeon office. At this time they were placed in temporary storage of damaged goods result of various construction. When the catenary hypothesis Youngchumun Seosipjagak the palace was damaged while standing there not moving. Whereas the costs are gone where Dongsipjagak stone statues question. Dongsipjagak is the prototype of today is different from the stone statues Jagyeongjeon. Seosipjagak even disappeared completely destroyed in the presence of a number of books that appendage, Dongsipjagak that cross each of the exterior maintenance and even now can not know the stone statues.

      • KCI등재

        ‘경복궁가’의 이본 양상 연구

        박은빈(Park Eun-bi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6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9

        ‘경복궁가’는 경복궁중건가사 중에 유일하게 이본이 확인된 작품이다. 경복궁가의 이본으로는〈경복궁가〉,〈경복궁영건가〉,〈경복궁창덕가〉,〈경복궁영단가〉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본들을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이본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본의 발생 배경과 향유형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경복궁가는 경복궁 중건이 시역될 당시의 영의정이었던 심암 조두순이 지은 것이다. 그러나 작품 자체는 비교적 다양한 계층에서 향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여러 형태의 이본들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다양한 계층의 많은 이들에게 향유되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이본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경복궁가가 이본 간의 큰 변이가 드러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경복궁가의 향유 시기는 그리 길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본들의 형태를 살펴보았을 때 경복궁가는 글로 향유되기보다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형태로 향유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본 간의 변이형으로 어미변화가 빈번하게 드러나며 특정한 단어가 비슷한 발음의 다른 단어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경복궁가에서 한문 표기가 드러난 이본을 살펴보면 같은 단어가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한자음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다. 이는 경복궁가의 구비전승 및 향유의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그러므로 경복궁가는 그리 길지 않은 기간 동안이었지만 많은 이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향유되었던 가사문학이라고 볼 수 있다. The Gyeongbokgungga tune is the only work where different versions were discovered, of Gasa about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Such different versions include 〈Gyeongbokgungga〉, 〈Gyeongbokgung-yeonggeonga〉, 〈Gyeonbgokgung-changdeokga〉, and 〈Gyeongbokgung-yeongdanga〉. This paper analyzed and compared these different versions, to examine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to discuss the background for such different versions and the types of enjoying them. Gyeongbokgungga Gasa were written by Simam Jo Du-sun, the prime minister when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began. However, the work itself seems to have been enjoyed by relatively diverse classes of people This can be known by the fact that several patterns of different versions of Gasa have remained. The diverse versions suggest that the song was enjoyed by diverse classes of people. However,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diverse versions of Gyeongbokgungga, suggesting that the time of enjoying Gyeongbokgungga was not so long. A review of these different versions suggests that Gyeongbokgungga was transferred from mouth to mouth rather than being shared in writing. Different versions are characterized by frequent changes to endings, and by particular words appearing as different words with similar pronunciations in many cases. Also, the version of Gyeongbokgungga where Chinese characters were more used has same words having same sounds but different meanings in many cases. This supports the possibility that Gyeongbokgungga was handed down and shared through mouth to mouth transmission. Therefore, Gyeongbokgungga is seen as a form of poetic song literature that, although for a short period of time, was shared and enjoyed by many people.

      • KCI등재

        경복궁 자경전 ‘瑞獸’의 고찰

        이왕무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It was the palace is destroyed in earnes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 the time they left the pavilion of the palace is separated with a fence or disappeared is the result of a deliberate Government-General was held as a political event. Large fairs are held up to the engravings were mostly destroyed and walls and tower of the palace. In addition, a tram route connections were destroyed, while the palace. But while the political event held at the palace was used as a museum Jagyeongjeon office. At this time they were placed in temporary storage of damaged goods result of various construction. When the catenary hypothesis Youngchumun Seosipjagak the palace was damaged while standing there not moving. Whereas the costs are gone where Dongsipjagak stone statues question. Dongsipjagak is the prototype of today is different from the stone statues Jagyeongjeon. Seosipjagak even disappeared completely destroyed in the presence of a number of books that appendage, Dongsipjagak that cross each of the exterior maintenance and even now can not know the stone statues 경복궁의 십자각과 宮牆들은 고종대 대원군의 왕권강화 차원에서 경복궁 중건이 이루어질 때 재건되었다. 조선전기에도 십자각은 존재했지만, 임진왜란시 왜군이 한양을 약탈하면서 경복궁이 파괴될 때 같이 없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종대 대원군이 심혈을 기울여 중건한 경복궁은 왕실의 권위를 세우고 왕조의 무궁함을 이어가기 위한 방안의 하나였다. 경복궁의 전각 배치가 조선전기의 형태와 청나라 자금성의 형태를 모델로 하여 지어진 것에서도 대원군의 고심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정치적 구상에서 만들어진 경복궁은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침략 속에서 그 자리를 점점 잃어버리게 된다.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경운궁이 제국의 正宮이 되면서도 경복궁은 정궁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이후 일본에 합병된 이후로는 경복궁의 훼철과 매각이 자유로워졌다. 공식적으로는 1911년 李王職에서 순종의 명의로 조선총독부에 경복궁 부지의 권리를 넘기면서 경복궁 전각의 운명이 일제의 의사에 따라 좌우되었다. 경복궁이 본격적으로 해체되는 것은 일제시대부터였다. 1915년 시정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1916년 조선총독부 신청사 건립, 1918년 창덕궁 소실에 따른 전각의 이전, 1923년 전차선의 개설, 1929년 조선박람회를 위한 궁장 훼철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시에 경복궁 좌우의 십자각들이 궁장과 분리되거나 사라진 것은 일제시대 총독부가 계획적으로 정치․사회적인 행사를 경복궁내에서 개최한 결과이다. 1914년 조선물산공진회를 열면서 흥례문 구역이 모두 훼철되었고, 1920년대로 접어들면서 대규모의 박람회가 개최되며 궁궐의 전각과 궁장 및 십자각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이 훼철되는 양상이 발생하였다. 서십자각이 1923년 9월에 광화문에서 영추문으로 연결되는 전차노선을 연결하면서 훼철되었다. 총독부 정문에서 좌우로 나뉘어 좌측은 서십자각 터를 지나 총독부 담장과 나란히 달리며 효자동 방향으로 가고 있고, 우측은 동십자각 외곽을 지나 안국동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따라서 전차노선만을 보아도 서십자각의 위치가 그 노선에 포함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서십자각이 사라진 배경이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런데 공진회 개최 이후 자경전이 박물관사무실 용도로 활용되면서 경복궁에서 진행된 각종 공사의 결과 훼손되거나 분리된 기물들이 사무실에 보관내지는 임시로 두었다고 생각된다. 경복궁 영추문으로 전차선이 가설될 때 서십자각이 훼손되면서 그곳의 서수가 이동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배경이 아니라면 자경전 서수의 존재는 조선왕조 궁궐의 역사에서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동십자각 서수는 어디로 갔는지 의문이 든다. 『조선고적도보』 권10에 실린 동십자각의 원형은 오늘날 자경전의 서수와 상이하다. 서십자각이 완전히 파괴되어 사라졌음에도 그 부속물인 서수가 존재하는데, 십자각의 외관을 현재에도 유지하고 있는 동십자각은 서수의 향방을 전혀 알 수 없다.

      • KCI등재

        「경복궁도」 제작 시기와 배경 연구

        홍현도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4

        Gyeongbokgungdo depicts the composition and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well as a monument related to pro-jamrye held at the site of Gyeongbokgung Palace in Yeongjo. Based on literature such as Dongguk Yeoji Seungram, such as Gyeongbokgungdo painted major buildings, government offices, and buildings in the backyard. In addition, the literature and the foot of the mountain, waterway, and Pond,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site identifi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are reflected, and some of the Gyeongbokgungdo contain reconstruction records. As such, Gyeongbokgungdo depicts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facilities built after the Imjin War based on the literature, and seems to have been produced around the time of reconstruction as it reflects the mountain and water system. In addition, the layout of the main hall of Gyeongbokgungdo was partially reflected in the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and used as a material to understand the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경복궁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이후 임진왜란 이전 경복궁 모습을 추정하는 그림은 여러 차례 그려졌다. 이렇게 제작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는 「경복궁도」는 총 12점으로 임진왜란 이전 경복궁 건물 구성과 배치를 묘사하고 있으며, 영조 대 경복궁터에서 열린 친잠례와 관련하여 채상대와 정해친잠비도 함께 그려져 있다. 친잠례 관련 시설과 함께 간의대, 소간의대 등 천문관련 시설과 수문, 수로 등 수계와 산록 역시 대부분 「경복궁도」에 표현되어 있다. 지금까지 「경복궁도」의 제작 시기는 「경복궁도」에 표현된 친잠례 관련 시설에 따라 대체로 영조 이후로 추정되고 있다. 「경복궁도」 건물 배치와 구성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그려졌으며, 특히 임진왜란 이후 각종 행사를 통하여 계속해서 관리된 근정전, 강녕전, 경회루 등은 대부분「경복궁도」에 유사하게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를 알지 못한 천추전, 연은전을 비롯하여 궐내각사나 후원 건물들은 「경복궁도」별로 차이를 보인다. 「경복궁도」에서 표현된 것 중 문헌과 차이를 보이는 것이 있는데 바로 궁성 규모로 「경복궁도」에 기록된 궁성 규모는 실제 경복궁 규모와 유사하다. 이와 함께 문헌에 나타나지 않는 산록과 수문, 수로 등 수계 관련 시설은 경복궁 중건 당시 상황과 상당히 일치하여 중건 당시 경복궁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 「경복궁도」에는 중건 일정 및 중건 당시 궁성 밑 민가 훼철과 관련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대부분 「경복궁도」는 중건 무렵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조선 전기 주요 건물의 배치가 그려졌으며, 중건 당시 경복궁의 상황을 반영하여 산록과 수계 등을 표현한 것이다. 이는 경복궁 중건 당시 소실 이전 경복궁 건물 배치를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와 경복궁의 여러 상징 연구

        김민규(Kim Min gyu) 국립고궁박물관 2018 古宮文化 Vol.- No.11

        경복궁景福宮의 재건은 19세기 후반 조선 최대의 공역工役이었다. 조선은 이러한 공역 마다 상세한 기록을 의궤儀軌, 등록謄錄 등의 형태로 남겨 놓아 그 공역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경복궁은 현재 의궤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초기草記 형태의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 총 9권 완질이 일본日本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경복궁영건일기』는 영건도감營建都監 초기낭청草記郎廳 원세철(元世澈, 1817~?)과 김석근(金晳根, 1826~1907)이 기록한 것으로 경복궁의 영건 시작인 1865년 4월부터 완공된 1868년 7월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이 『경복궁영건일기』에는 경복궁 영건과정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 경복궁의 여러 상징을 발견할 수 있고 그 중 제화制火와 서수瑞獸의 의미를 이 논문에 정리했다. 목조건축의 최대 단점인 화재를 제압하는 제화制火의 상징이 경회루 연못의 청동용, 숫자 6, 감괘坎卦, 현판의 검은 바탕색, 초룡草龍 등의 문양 등을 통해 경복궁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더불어 광화문 홍예 천장의 봉황鳳凰, 낙귀부서洛龜負書, 하마부도河馬負圖 등의 명칭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더불어 근정전 월대에 조각된 서수상들은 사신四神과 십이지신十二支神을 각 정방正方에 배치하고, 28수宿중 해당하는 동물을 동서 협보계挾步堦에 배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복궁에베풀어진 다양한 상징은 경복궁과 그 시대 지식인들의 생각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되었다. While it had been customary in Joseon Korea to record the details of official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form of “ceremonial protocols” (uigwe) and “registers” (deungnok),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the largest official construction project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oseon, was recorded in the style similar to fieldnote, in The Daily Record of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景福宮營建日記). Currently housed in Waseda University Library, Japan, The Daily Record is an account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from the early April 1865 until its completion in July 1868 by Won Se-cheol (1817-?) and Kim Seok-geun (1826-1907), the record keepers in the Directorate of Construction (Yeonggeon Dogam). The book also identifies various symbolic objects and images found in the palace architecture. Among those images, symbols related to water such as a bronze dragon at the bottom of the pond of Gyeonghoeru Pavilion, number six, the water trigram (gam 坎), black background for the plaques, or the “dragon-vine” scroll decorative patterns were applied in various spots to protect the wooden buildings from fire. Names of auspicious symbols are also mentioned, such as the twin phoenixes (鳳凰), a tortoise bearing the Luo River Inscription (洛龜負書), and the horse bearing the Yellow River Chart (河馬負圖) decorating the ceilings of the arches of Gwanghwamun Gate. Animal figurines on the stone terrace of Geunjeongjeon Hall symbolize the Four Deities and the Twelve Zodiac signs, and the Twenty-Eight Mansions, clarifying our understanding of the palace and the ideas of the late-Joseon intellectuals who designed it.

      • KCI등재

        경복궁(景福宮) 배수시설(排水施設)의 조성원리(造成原理)에 관한 연구

        김태민,남호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4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rainage facility of Gyeongbokgung Palace based on the traces of the relic found during the excavation survey.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for smooth drainage facility for the palac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re are no drawings showing the image of early appearance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the found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it through the drawings prepared after the King Yeongjo’s reign. The image of the palace after reconstruction can be seen through the 「Bukgwoldohyeong」 and other relevant documents. At this present, since the survey intends to determine the image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based on the standard restoration pla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drainage facility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King Gojong’s reign, particularly on the collecting wells and culverts of six areas including “Chimjeon Hall”, “Taewonjeon Hall”, “Geoncheongung Hall”, “Sojubang Hall”, “Hamhwadang – Jipgyeongdang - Yeonghundang Hall”, and “Heungbokjeon Hall”. Gyeongbokgung Palace is divided into various zones composed of the central halls and surrounding corridors, and the drains also primarily start from each hall and later join the central drain of the zone. The central drain then leads to the "Eo-gu(御溝)"37 and the water led to the "Eo-gu"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gate. It appears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were basically devised to coordinate artificial drain with the natural drain using the natural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palace. Research showed that the collecting well where the draining begin wa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a large amount of household sewage was generated but mostly in the corners where corridors met or corridors and wall met. This appears to be an arrangement to handle the water falling from the roof and household sewage. Also, “Ju(廚)”38 was installed mainly at the end of the corridor to handle household sewage. The installation of these drainage facilitie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drainage of Gyeongbokgung was very compact under a series of plans. 본고의 목적은 유구의 발굴조사로 확인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복궁의 배수시설을 파악해보는 데 있다. 궁궐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여러 노력은 창건기 경복궁에서부터 지속되었음을 사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창건기 당시 경복궁의 모습을 확 인할 수 있는 도형은 남아있지 않지만, 영조대 이후 제작된 도형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중건 이후의 모습은 「경복궁전도」, 「경복궁도」, 「북궐도형」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이 고종대 중건 경복궁을 복원 기준으로 삼고 있기에, 본고 역시 고종대의 경복궁 배수 시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본고에서는 침전, 태원전, 건청궁, 소주방, 함화당·집경당·영훈당, 흥복전 등 여섯 권역의 집수정과 암거를 분석해 보았다. 경복궁은 중심전각과 주변행각으로 구성된 여러 개의 권역으로 구성되는데, 배수 역시 각각의 행각과 전각에서 시작하여 권역별 중심배수로로 합수되는 방식임이 확인되었다. 기본적으로 중심배수로는 개방형 어구로 연결되고 어구로 나온 물은 최종적으로는 수문으로 출수되는 형태가 확인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경복궁의 구지형을 이용한 자연배수와 인공배수를 조화하기 위한 배치로 보인다. 배수가 시작되는 집수정은 생활하수가 다수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행각과 행각, 행각과 담장이 접하는 모퉁이에 주로 설치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는 지붕의 낙수 처리와 생활하수 처리를 고려한 배치로 판단되며, 특히생활하수의 처리를 위해 행각이 끝나는 부분에 주로 주(廚)칸을 설치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배수시설의 설치는 경복궁의 배수가 일련의 계획 하에 매우 치밀하게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19세기말 고종대 경복궁 중건 자료에 대한 일고찰

        이왕무(Lee, Wang-Moo)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2

        지금의 경복궁은 고종 즉위 초기에 중건한 궁궐이다. 조선왕조 개국기 웅비하던 왕조의 모습을 상징하던 궁궐의 자취는 임진왜란기에 소실되어 알 수 없다. 오늘날 경복궁은 서세동점기인 고종대에 대원군이 주도하여 중건한 것이다. 따라서 조선왕조 전체 시기를 대표하는 기념비적 모습을 찾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왕조의 번창을 위해 국가의 인적, 물적 토대를 아낌없이 소용한 모습에서 19세기말 왕실 및 궁궐 문화의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에 학술적이나 문화적으로 주목되는 궁궐이다. 이런 역사적 배경을 지닌 경복궁의 중건에 대한 연구는 역사학보다 건축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역사학에서는 대원군의 통치술과 연관시켜 정국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경복궁 중건을 언급하였다. 건축사에서는 건물의 조성부분에서 인력 동원에 이르기까지 건축과 관련된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런데 19세기말 역사적 가치를 품고 있는 조선왕조의 대표적인 정궁에 대한 연구 자료는 생각보다 소략했다. 현재까지도 연대기와 편린으로 남아 있는 영건 관련 자료만을 이용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기존 경복궁 중건 연구들은 구체적으로 사안을 심층적으로 다루거나 해석하는 부분에 다소 미약할 수밖에 없었다. 무엇보다 중건 시기 전체를 정리한 영건 자료가 없었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것이 일본의 궁내청 소장 『경복궁영건일기』 9권이다. 이 자료는 서울대에 소장 중인 『경복궁영건일기』에서 누락된 권2에서 권9를 포함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시기들의 영건 기록이 망라되었다. 물론 궁내청 소장본이 서울대 소장본처럼 하나의 자료로 정리된 것이 아니라 『이태왕실록자료』에 채록된 점은 자료로서 지니는 한계이다. 그럼에도 현재 궁내청 소장본을 능가하는『경복궁영건일기』의 완본이 없는 상황에서 이 자료의 가치와 성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궁내청 소장 『경복궁영건일기』의 전체를 분석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그 자료의 가치와 성격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으로 두어 국내 소장본과의 비교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The Palace of Kyongbokkung is a rebuilt in the early reign of King Gojong. The Palace which revealed the figure of the dynasty during the 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can not be known by the disappearance after the war of Imjin. Today Kyongbokkung is the one rebuilt led by King Gojo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a monumental figure representing the who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till using the resources of the country for the prosperity of the dynasty, it shows the Royal family and the Palace cultur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o it is an academically and culturally attractive Palace.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Kyongbokkung with such historical background shows active research results from the history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istory. In historical studies, we refer to the reconstruction of Kyongbokkung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politics in connection with the reign of the crown.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e concentratedly studied areas related to architecture, ranging from building components to human resources mobilization. However, the research material of the representative shrine of the Joseon dynasty which has historical valu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ame more than I thought.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only records related to the present and only the cemetery related data remaining in the scales. Therefore, existing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Kyongbokkung had to be somewhat weak to the part specifically dealing with or interpreting the case. It is because there was no campany material that summarizes the whole period of reconstruction. It is the data of the collection of the Japan Imperial Household Agency that it can break through the limit of such research. This material contains the missing parts of the materials hel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ords of time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existing research were covered.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material prioritizing the books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and character of this material. In this paper, we aimed to preferentially investigate the value and character of the Collection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and compared it with domestic books.

      • KCI등재

        조선시대 漢詩文에 나타난 景福宮에 대한 心象

        김용태(kim yong ta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3 No.-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法宮이었기에 경복궁에 대한 수많은 시와 산문이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이 글들을 검토하게 되면 ‘경복궁’이 어떻게 표상되었는지를 시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복궁은 지금도 ‘복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인문학적 깊이를 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세움(영광)’과 ‘무너짐(성찰)’이라는 열쇠말을 통해 이 자료들을 분석해 보았다. 주지하듯, 경복궁은 창건 이후 수차례에 걸쳐 화재등의 심각한 재해를 입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그 후 19세기에 대규모 중건이 이루어졌지만 일제시기에 대부분의 전각이 헐리고 말았다. 이런 점에서 ‘세움’과 ‘무너짐’은 의미 있는 분석의 도구가 될 수 있 다고 보았다. 먼저 ‘세움’과 ‘영광’을 강조하는 글들에서는 조선왕조의 무궁한 안녕을 바라는 마음이 강하게 투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폐허가 된 이후에도 이 마음을 담은 글들이 지어졌으며, 이것이 결국 19세기 경복궁중건으로 이어졌다고 본고는 분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글들은 다분히 ‘선전’의 목적을 띄고 있어 문학적 흥취는 높지 않은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경복궁이 심하게 훼손됨을 목격하고 지어진 글들은 보다 성찰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경복궁이 무너진 원인을 찾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지배계층의 반성을 유도하는 내용이 담기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임란 이후 경복궁이 오래도록 폐허로 방치되자 그곳이 여러 사람들이 유람하는 곳이 되었던 점이 흥미롭다. 당시 사람들은 그곳을 생활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것이며, 이를 표현한 한시들이 많이 지어졌다. 이러한 점을 살펴보았을 때, 경복궁은 ‘영광의 기억’과 함께 ‘폐허의 기억’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향후 경복궁 복원 사업을 해나감에 있어 ‘영광’의 측면만 강조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This paper will analyze poetry and prose related to Gyeongbokgung in two major keywords, “building/glory” and “demolition/introspection”. Since Gyeongbokgung had been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people in the Joseon era had consistently written a lot of poetry and prose about Gyeongbokgung. By examining the poetry and the prose,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how Gyeongbokgung had been symbolized in each period. Furthermore, we will be able to add new humanistic meanings to Gyeongbokgung's recent reconstruction plan. The reason why we should look at the writings related to Gyeongbokgung through the keywords of “building/glory” and “demolition/introspection” is as follows. In fact, the palace has both the memory of glory and that of pain. To be specific, while Gyeongbokgung had reigned as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for several years, it had also suffered from few major fire, and thoroughly ruined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In the 19th century, the palace had underwent reconstruction plan on a large scale, however the majority of the buildings were demolished in the Japanese ruling era. In this point, two keywords mentioned above will be an effective tool to analyze the writings. In the case of the writings which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s about Gyeongbokgung, such as “building” and “glory”, we can understand that patriotism toward the Joseon Dynasty is strongly reflected in the writings. After the demolition, the writings with patriotic purposes were written continuously, and the writings seem to result in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19th century. However, these writings have strong propagational purpose, so they show a tendency of lacking in literary merit.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writings which emphasize the aspect of the demolition, the writings reveal the characteristic of introspection. Looking for causes of the palace’s destruction, writers put contents that led the ruling class to an introspection naturally in their writings. Interestingly, after Gyeongbokgung went by ruins, it was used as a place to entertain many ordinary people. At that time, people considered the palace as their part of life, and this notion was portrayed by Joseon writers in numerous Chinese poetry. Considering these standpoints, we are able to say that Gyeongbokgung has both memory of glory and that of demolition, and we are able to argue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memory of demolition not only the palace’s glorious memory.

      • KCI등재

        고종조 중창된 경복궁 후원 규모 및 건축 구성에 관한 연구

        김성도 국립고궁박물관 2022 古宮文化 Vol.- No.15

        본고에서는 고종조 중창된 경복궁 후원인 신무문 북측 후원 및 그 측후면의 백악산 후원의 두 후원을 대상으로 그 규모와 건축 구성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신무문 북측 후원은 옥연정 영 역, 경무대 영역, 경농재 영역의 세 권역으로 이루어졌지만, 경무대 영역이 중심이 되어 인재 선발· 양성과 군사 훈련을 지속하며 자주·자강을 도모한 핵심 근거지였으며, 후원이라는 명칭과 달리 통치 영역인 궁궐로서 환궁 장소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백악산 후원은 기본적으로 수려하고 울창한 경관을 갖춘 동시에 국가와 왕실의 안위를 지키는 역할을 하는 백악산의 신성성을 그 근간으로 삼고서 경복궁 재건 당시 궁성으로 둘러싸인 경복궁의 안전 확보를 위해 조성되었으나, 1880년대의 궁성 위쪽으로부터 산꼭대기까지 토성 축조와 태화궁 건립에 따라 기존 경복궁 안전 확보 기능을 강화하고 통치 기능까지 갖춘 후원으로 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후원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경무대 영역 및 태화궁 등을 중심으로 하여 통치 기능을 하였던 경복궁의 중추 장소임을 알 수 있으며, 우리나라 궁궐 후원의 개념과 관련하여 독특한 한국적 특성과 함께, 독자성 및 규모는 물론이고, 격변의 시대에 맞선 고종의 노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신무문 후원 내에서 이건되었지만 그 원래 모습을 온전히 갖추고 있는 옥연정이 현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고종이 이곳에 들러 남긴 시 ‘등옥련정登玉蓮亭’이 전하는 살아있는 문화재로서, 문화재 지정 승격에서 나아가 현존하는 ‘천하제일복지’ 각자 암석 및 〈북궐후원도형〉 등 자료를 통해 원 위치 이건도 검토 가능하여 신무문 북쪽 후원의 역사성 회복에 매우 중요한 문화 유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의해 자행된 경복궁의 기록 왜곡 조작 내용도 고찰한 바, 본 연구가 법궁 경복궁의 규모와 역사를 제대로 밝히고, 청와대 영역과 백악산 일대를 궁역으로 삼은 경복궁 전체 영역에 대한 우선 사적 가지정 후 사적 지정 확대와 경복궁 후원 궁역에 대한 발굴 조사 및 경복궁 복원 정비에 필요한 기초 학술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 KCI등재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김동영(Dong-Young Kim),양원직(Won-Jik Yang)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본고에서는 고종조 중창된 경복궁 후원인 신무문 북측 후원 및 그 측후면의 백악산 후원의 두 후원을 대상으로 그 규모와 건축 구성에 대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신무문 북측 후원은 옥연정 영 역, 경무대 영역, 경농재 영역의 세 권역으로 이루어졌지만, 경무대 영역이 중심이 되어 인재 선발· 양성과 군사 훈련을 지속하며 자주·자강을 도모한 핵심 근거지였으며, 후원이라는 명칭과 달리 통치 영역인 궁궐로서 환궁 장소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백악산 후원은 기본적으로 수려하고 울창한 경관을 갖춘 동시에 국가와 왕실의 안위를 지키는 역할을 하는 백악산의 신성성을 그 근간으로 삼고서 경복궁 재건 당시 궁성으로 둘러싸인 경복궁의 안전 확보를 위해 조성되었으나, 1880년대의 궁성 위쪽으로부터 산꼭대기까지 토성 축조와 태화궁 건립에 따라 기존 경복궁 안전 확보 기능을 강화하고 통치 기능까지 갖춘 후원으로 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후원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경무대 영역 및 태화궁 등을 중심으로 하여 통치 기능을 하였던 경복궁의 중추 장소임을 알 수 있으며, 우리나라 궁궐 후원의 개념과 관련하여 독특한 한국적 특성과 함께, 독자성 및 규모는 물론이고, 격변의 시대에 맞선 고종의 노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신무문 후원 내에서 이건되었지만 그 원래 모습을 온전히 갖추고 있는 옥연정이 현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고종이 이곳에 들러 남긴 시 ‘등옥련정登玉蓮亭’이 전하는 살아있는 문화재로서, 문화재 지정 승격에서 나아가 현존하는 ‘천하제일복지’ 각자 암석 및 〈북궐후원도형〉 등 자료를 통해 원 위치 이건도 검토 가능하여 신무문 북쪽 후원의 역사성 회복에 매우 중요한 문화 유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의해 자행된 경복궁의 기록 왜곡 조작 내용도 고찰한 바, 본 연구가 법궁 경복궁의 규모와 역사를 제대로 밝히고, 청와대 영역과 백악산 일대를 궁역으로 삼은 경복궁 전체 영역에 대한 우선 사적 가지정 후 사적 지정 확대와 경복궁 후원 궁역에 대한 발굴 조사 및 경복궁 복원 정비에 필요한 기초 학술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review the area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Rear garden of Gyeongbok Palace which was comprised of the Garden on the north side of Sinmumun and the Baegakssan Garden constructed during King Gojong’s Reign. The former consisted of three areas; Okyeonjeong, Gyeongmudae, and Gyeongnongjae, and it was a key base for selecting talented people, training them, continuing military training, and promoting self-reliance with the Gyeongmudae area at its center, however unlike its name, it was a governing area. The latter, which was situated and based on the beautiful and dense scenery and the sacredness of the mountain to protect the safety of both the country and the royal family,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tection of Gyeongbok Palace that was surrounded by a fortress during the palace’s reconstruction, and it can be seen that, as the earthen fortifications were built from the top of the fortress to the top of the mountain and with Taehwagung Palace also built in the 1880s, he Palace’s security function was strengthened and the function of governance of the Baegaksan Rear Garden was established. From this, it was found that these were the central places of Gyeongbok Palace, which had the function of a garden, but actually served as a function of governance centered on the Gyeongmudae area and Taehwagung Palace. Also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a palace garden in Korea, it was possible to grasp King Gojong's hard effort against the turbulent times as well as to recognize the garden's unique characteristics as a Korean palace garden and enormous siz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record distortion and manipul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conducted by Jap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ere also considered. This study was made to reveal the area size and history of Gyeongbok Palace and to present the basic academic data necessary for the exca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ear garden of Gyeongbok Pa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