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 동반된 원위 경골 관절내 골절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의 유용성

        변성은 ( Seong Eun Byun ),이상준 ( Sang June Lee ),김욱 ( Uk Kim ),최영락 ( Young Rak Choi ),한수홍 ( Soo Hong Han ),김병국 ( Byong Guk Kim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2

        목 적: 경골 간부 골절 중 나선상 골절은 경골 원위 관절내 골절이 동반되는 빈도가 높으나 단순방사선 검사만으로 발견되지않아 적절히 치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mputed tomography (CT)에서만 확인 가능하였던원위 경골 관절내 동반 골절의 양상 및 수술적 고정의 적응에 해당하였거나 시행했던 경우를 분석하여, 경골 간부 나선형 골절에서 발목관절 CT 촬영의 필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전 족관절 단순방사선 검사 및 CT를 시행한 95예의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CT에서만 진단된동반 원위 경골 관절내 골절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 중 수술적 고정의 적응에 해당하였거나 수술적 고정을 시행한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원위 경골의 관절내 골절이 62예에서 확인되었다. 복합골절을 포함한 52예의 후과 골절 중 20예는 단순방사선 검사로 진단되었고, 이 중 16예가 수술적 고정의 적응증이 되었으며, 14예에서 시행되었다. CT로 진단된 32예의 후과 골절 중 26예에서 수술적 고정의 적응증이 되었고, 이 중 18예에서 시행되었다. 결 론: CT는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서 동반골절의 진단율을 높이며, 진단된 후과 골절의 경우 수술적 고정이 시행된 빈도가 높아 나선상 경골 간부 골절에서 CT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puted tomography (CT) for spiral tibia shaft fracture by analyzing associated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s diagnosed by CT only which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were fixed. Materials and Methods: Ninety-five spiral tibia shaft fractures with preoperative ankle plain radiographs and CT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incidence and type of associated distal tibia articular fractures were evaluated by reviewing ankle plain radiography and CT. The number of fractures diagnosed by CT that correspond with the indication of fixation and that were actually fixed were analyzed. Results: Among 95 spiral tibia shaft fractures, 62 cases (65.3%) were associated with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 There were 37 cases of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5 cases of avulsion fracture of the distal 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5 cases of medial malleolar fracture, and 15 cases of complex fracture. Among 52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including complex fracture, 20 cases were diagnosed by ankle plain radiograph. Of these 20 cases, 16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80.0%)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14 cases were actually fixed with a screw. Among 32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diagnosed by CT only, 26 cases (81.3%)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18 cases (56.3%) were fixed by screw. Conclusion: Approximately 50% of associated fractures were diagnosed by CT only and more than 80% of associated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met the indication of surgical fixation and among these fractures, 18 cases (56.3%) were actually fixed by screw. This result suggests that CT is useful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tal tibia intra-articular fracture associated with spiral tibia shaft fracture.

      • KCI등재

        경비골 간부 골절에서 비골 불유합과 경골 불유합의 상관관계

        고상봉 ( Sang Bong Ko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경비골 간부 골절의 유합 과정 중에서 비골의 불유합과 경골의 불유합과의 상관관계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소아를 제외한 경골 골절과 동반된 비골 골절 환자 322예 가운데 관절과 무관한 전체 비골 골절 환자 198예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9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자신의 인자와 경골 골절 자체의 인자들이 경골 골절과 동반된 비골 골절에서 비골 골절의 유합에 얼마나 의의가 있는지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비골의 유합 여부는 환자 자신의 인자와 경골 골절 자체의 인자의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비골의 유합군에서는 경골의 불유합이 1예 (1/68)에서만 보였으나, 비골의 불유합군에서는 경골의 불유합이 6예 (6/30)에서 있어 비골의 불유합과 경골의 불유합은 상관관계가 있다 (p=0.003). 결론: 경골보다 조기에 유합되는 비골의 불유합 소견으로 경골의 불유합을 어느 정도 추측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ship of tibial nonunion with fibular nonunion in the tibio-fibular shaft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8 to February 2004, 98 tibio-fibular shaft fractures which did not involve adjacent joints and were followed up at least 1 year we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tibia shaft fracture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know the above relationship. Results: The patient`s factor and tibia shaft fracture factor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patients with the fibular union, there was 1 case (1/68) of tibia nonunion, but in patients with the fibular nonunion, there were 6 cases (6/30) of tibia nonunion. So fibular nonunion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ibia nonunion (p=0.003). Conclusion: Fibular nonunion was presumed to have a higher risk of tibia nonunion.

      • KCI등재

        경골 간부 골절과 동반되는 족관절부 골절

        김지완 ( Ji Wan Kim ),최홍준 ( Hong Joon Choi ),이동현 ( Dong Hyun Lee ),김영창 ( Young Cha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2

        목적: 경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족관절 손상의 발생 빈도와 형태를 파악하고 족관절 손상에 영향을 주는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간부 골절 6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족관절 손상의 빈도 및 종류를 알아보았다. 골절 분류, 골절 위치, 골절 형태에 대한 조사를 하여 족관절 손상과 관련있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족관절 손상이 있는 예는 20예(33%)였고, 외과 골절 4예, 후과 골절 4예, 경비인대 견열골절 2예, 복합 손상 10예였다. 족관절 손상이 있던 20예 중 14예(70%)는 방사선 사진에서, 나머지 6예(30%)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진단하였다. 족관절 손상은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45.1%의 높은 빈도를 보였고, A형에서 41.4%의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지 않았다. 경골 간부 골절 형태가 나선형 골절에서 족관절 손상은 54%에서 관찰되었고, 비나선형 골절 형태 19%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발생하였다. 결론: 경골 간부 골절에서 족관절 손상은 33%에서 발생하였으나 이 중 방사선 사진에서 70%에서만 진단할 수 있었다. 나선형 형태의 골절 양상에서 족관절 손상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므로 이러한 경우 전산화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족관절 손상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ankle injury in ipsilateral tibial shaft fractures and to assess the risk factors for ankle injury associat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ith tibial shaft fractures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ankle injury were evaluated, and fracture classification, fracture site, and fracture pattern of the tibial shaft fractures were analyzed for assessment of the risk factors for ankle injury combin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Results: Ankle injury occurred in 20 cases (33%). There were four cases of lateral malleolar fracture, four cases of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two cases of distal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and 10 cases of complex injury. Fourteen cases (70%) of 20 cases of ankle injury were diagnosed from x-ray films, and the other six cases were recognized in ankle computed tomography (CT). Ankle injury occurred in 45.1% of distal tibial shaft fractures and found in 41.4% of A typ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kle injury was observed in 54% of cases of spiral pattern of tibial shaft fracture and the incidenc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19% of cases of non-spiral pattern tibial shaft fracture.Conclusion: Ankle injury was observed in 33% of tibial shaft fractures; however, only 70% could be diagnosed by x-ray. Ankle injury occurred frequently in cases of spiral pattern of tibial shaft fracture, and evaluation of ankle injury with CT is recommended in these cases.

      • KCI등재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골절 행태 및 연부조직 손상의 평가

        전지용 ( Ji Yong Chun ),박희곤 ( Hee Gon Park ),황성수 ( Sung Su Hwang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4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단순 방사선 사진과 MRI에서의 골절 형태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골절 형태와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을 평가하여, MRI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고평부 골절로 MRI를 시행하였던 68예를 대상으로 단순 방사선 사진과 MRI에서 Schatzker 골절형, 관절면의 함몰, 골절편의 전위를 비교하였고, MRI에서 슬관절부의 연부조직 손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사진의 Schatzker 골절형이 MRI에서 변경된 경우가 7예 있었으며 관절면의 함몰은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평균 2.93 ㎜, MRI에서 평균 4.28 ㎜로 1.35 ㎜ 증가되어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p<0.05). 골절편의 전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168). MRI에서 인대 및 반월상 연골 손상은 58예 (85.3%)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MRI는 추가의 골절선이나 함몰을 발견할 수 있어 골절 분류가 바뀔 수 있고, 관절면의 함몰과 연부조직 손상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여 수술적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경골 고평부 골절 시 수술 전에 MRI를 시행하는 것이 보다 나은 골절 치료와 연부 조직의 치료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information about fracture type in MRI with simple radiograph in tibial plateau fractures and evaluate tibial plateau fractures type and accompanying soft tissue injury, and evaluate usefulness of MRI in tibial plateau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Compared MRI with simple radiograph about Schatzker classification, depression of articular surface and displacement of bone fragment from the 68 examples who checked MRI and we evaluated soft tissue injury around knee joint. Results: There were 7 examples of Schatzker type change after MRI check. Average depression of articular surface in simple radiograph was 2.93 ㎜ and 4.28 ㎜ in MRI. It in creased by 1.35 ㎜ and it was meaningful statistically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RI and simple radiograph of displaced bone fragment (p=0.168). There were 58 (85.3%) cases of soft tissue injury in MRI. Conclusion: MRI can find additional fracture line or articular depression that can`t be found in simple radiograph and gives more information about articular depression and soft tissue that is useful in surgical plans. I think preoperative MRI is necessary to better treatment of fracture & treatment of periarticular soft tissue injury in tibial plateau fracture.

      • KCI등재

        비골 골절을 동반한 경골 천정 골절에서 비골 고정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

        조용진 ( Yong Jin Cho ),이준영 ( Jun Young Lee ),임재환 ( Jae Hwan Lim ),류제홍 ( Je Hong Ryu ),이정호 ( Jung Ho Lee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3

        목적: 비골 골절을 동반한 경골 천정 골절에서 비골 고정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경골 천정 골절 환자 124명 중 비골 골절을 동반한 환자는 50명이었고, 비골 고정 방법에 따라 A군(25명, plate)과 B군(25명, Rush pin)으로 분류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로 골절 양상(Rüedi-Allgöwer 분류, AO/OTA 분류) 및 정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AOFAS를 시행하였고 감염, 불유합, 관절염 등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두 군은 성별, 나이, 손상기전, 평균 추시 기간, Rüedi-Allgöwer 분류, 개방성 골절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비골 골절을 단순, 쐐기, 분쇄, 분절로 분류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비골 골절 및 경골 천정 골절 정복에서는 두 군 모두 적절한 정복을 얻어 차이가 없었으며, AOFAS, 합병증 발생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골 골절을 동반한 경골 천정 골절 치료 시 비골 단축 위험이 적은 비골 골절에서 비골에 대한 고정 방법으로 금속판과 골수강내 금속정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적절한 치료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plating and intramedullary nailing for ipsilateral fibular fractures in pil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124 patients with pilon fractures from November 2008 to March 2019, 50 patients with a fibular fracture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using a plate and Group B using a Rush pin. The radiological tests confirmed the fracture patterns (Rüedi-Allgöwer classification, AO/OTA classification) and evaluated the degree of reduction of fibular and tibial fractures after surgery.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 Ankle Society (AOFAS) was examined for a clinical evaluation, and the complications were checked. Results: The two groups showed similar distributions in gender, age, injury mechanism, diabetes, smoking, mean follow-up period, Rüedi-Allgöwer classification, AO/OTA classification, and open fracture. The fibular fractures were classified as simple, wedge, multiple, and segmental,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0.0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alocrural angle, Shenton line, and Dime sign. In the reduction of pilon fractures, the appropriate reduction was obtained in 22 cases (88.0%) for both groups. The AOFAS averaged 83.24 in Group A and 80.44 points in Group B,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cations (nonunion, malunion, infection, and arthritis). Conclusion: Regardless of how the fibular fracture was fixed, the reduction of pilon fractures in both groups showed good results. Both intramedullary nail and plate fixation could be a suitable fixation method for ipsilateral fibular fractures with a low risk of shortening in pilon fractures.

      • KCI등재

        경골 분절 골절에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 후 결과 및 골유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박상수 ( Sang Soo Park ),이준영 ( Jun Young Lee ),하상호 ( Sang Ho Ha ),박성해 ( Sung Hae Park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4

        목적: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최소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한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았고 각 예에 대해 개방성 여부, 골절 부위, 확공 여부, 술 후 골절부의 각 변형 정도 및 골절부의 간격에 따라 골유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9예(73%)에서 한 번의 수술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의 평균 기간은 7개월(5-11개월)이었다. 불유합으로 진단된7예에서 추가적인 수술로 골유합을 얻었으며 그 외 합병증으로 불완전 비골 신경 손상 3예, 표재성 감염 2예, 구획 증후군1예가 발생하였다. 개방성 여부, 술 후 골절부의 각변형 정도, 술 후 골절부의 간격은 골유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골절 부위, 확공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경골 분절 골절에서 가장 많은 합병증은 불유합으로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 골절부의 각변형이나 골절부의 간격이 발생하지 않게 골절부의 정확한 정복을 시행하도록 술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골절의 평가 및 분석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26 cases) who underwent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between January 2003 and May 2011 were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We evaluated the complication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bone union, including open fracture, fracture site, reaming,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postoperative fracture gap. Results: Nineteen cases (73%) achieved bone union with one operation at an average of 7 months (range, 5 to 11). Seven cases had secondary procedures before achieving union. Complications included 7 cases of nonunion, 3 cases of incomplete peroneal nerve injury, 2 cases of superficial infection, 1 case of compartment syndrome. Factor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pen fracture,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postoperative fracture gap. Factors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racture site and reaming. Conclusion: Nonunion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n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To minimize this complication, comprehension of surgical techniques to reduce anatomically and careful evaluation of the fracture are required.

      • KCI등재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 및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원위 경골 골절의 치료

        황재광 ( Jae Kwang Hwang ),김정환 ( Chung Hwan Kim ),최영준 ( Young Joon Choi ),이기원 ( Gi Won Lee ),이현일 ( Hyun Il Lee ),김태경 ( Tae Kyu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2

        목적: 원위 경골의 나선형, 사상 골절에서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 후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의 방사선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경피적 정복이 해부학적 정렬의 확보 및 유지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원위 1/3 이하 경골 골절로 인해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 후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하였던 4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 형태는 나선형 38예, 사상 골절이 9예였다. 방사선 투시하에 겸자를 이용하여 경피적으로 골절을 정복, 유지하면서 골수강 내 금속정을 삽입하고 근위부 및 원위부 교합나사 고정을 한 후 겸자를 제거하였다. 골절 정렬의 평가는 수술 직후와 골절 유합 시의 단순 방사선 사진상 전후면 및 측면사진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의 경골의 전위 정도는 평균 외반 0.57o, 전방 각형성 0.24o였고, 골절 유합 시의 전위 정도는 평균 외반 0.37o, 전방 각형성 0.16o였다. 골유합 기간은 평균 16.1주였다. 결론: 원위 경-비골 골절에서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정복술로 골절 정복을 유지한 후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하는 방법은 골절의 정확한 정복과 안정성을 얻기가 쉽고 골절의 유합 시까지 우수한 정렬을 유지할 수 있어 사상 골절이나 나선형 골절에서는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of intramedullary nailing after percuta-neous reduction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for spiral or oblique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 The benefit of percutaneous reduction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in anatomical reduction and maintenance was assessed.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9, 47 cases of distal one-third tibial fracture were managed by intramedullary nailing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Thirty-eight cases were spiral fracture and nine cases were oblique fracture. In all cases, the percutaneous reduction was achieved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under fluoroscopy control. While maintaining the reduction with the pointed reduction forceps, the intramedullary nail was inserted. The pointed reduc-tion forceps were removed after insertion of proximal and distal inter-locking screws. Alignment was evaluated with ante-rior-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taken immediately post-operation and at the time of union.Results: At immediate post-operation, the mean displacement of valgus and anterior angulation was 0.57o and 0.24o, respectively. That of valgus and anterior angulation at bone union was 0.37o and 0.16o, respectively. The average duration of bone union was 16.1 weeks.Conclusion: Intramedullary nailing with percutaneous reduction using pointed reduction forceps for distal tibial fractures was an easy and effective method for achievement of accurate alignment intra-operatively. Accurate alignment was successfully maintained until bone union.

      • KCI등재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을 이용한 근위 경골 골절에 동반된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의 예측

        최원철 ( Wonchul Choi ),최윤성 ( Yunseong Choi ),김고탁 ( Go-tak Kim ) 대한골절학회 2018 대한골절학회지 Vol.31 No.4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에 동반된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을 예측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골절 양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53예의 경골 고평부 골절 대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Schatzker 분류, 외측 경골 함몰, 확장 정도, 골절 위치, 단 일/다수 고평부 column 골절 여부를 확인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진단을 통해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군과 비손상군으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손 상군에 23예, 비손상군에 30예가 포함되었다. 외측 경골 함몰 정도는 손상군(평균 8.2 mm)과 비손상군(평 균 3.8 mm)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외측 경골 확장 정도는 손상군(평균 6.9 mm)과 비손상군(평균 4.8 mm)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97). 그 외의 인구학적 및 방사선적 요인들은 양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회귀 분석 결과, 외측 경골 함몰(p=0.003, odds ratio [OR]=2.12) 및 확장(p=0.048, OR=1.23)이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 동반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상 외측 경골의 함몰, 확장 정도가 클수록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 동반 가능 성이 높았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y fracture pattern shown in computed tomography (CT) scan i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lateral meniscus (LM) injury in a tibia plateau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ifty-three tibia plateau fractures with both preoperative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s (MRI) available were reviewed. The patient demographics, including age, sex, body mass index, and energy level of injury were recorded. The fracture type according to the Schatzker classification, patterns including the lateral plateau depression (LPD), lateral plateau widening (LPW), fracture fragment location, and the number of columns involved were assessed from the CT scans. The presence of a LM injury was determined from the MRI.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between the patients with (Group 1) and without (Group 2) LM injuries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the presence of LM injury was analyzed. Results: The LM was injured in 23 cases (Group 1, 43.4%) and intact in 30 cases (Group 2, 56.6%). The LPD in Group 1 (average, 8.2 mm; range, 3.0-20.0 mm) and Group 2 (average, 3.8 mm; range, 1.4-12.1 m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The difference in LPW of Group 1 (average, 6.9 mm; range, 1.2-15.3 mm) and Group 2 (average, 4.8 mm; range, 1.4-9.4 mm) was not significant (p=0.097). The other fracture patterns or demographics were similar between in the two group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n increased LPD (p=0.003, odds ratio [OR]=2.12) and LPW (p=0.048, OR=1.23)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a LM tear. Conclusion: LPD and LPW measured from the CT scan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oncomitant LM injury in tibia plateau fractures. If such fracture patterns exist, concomitant LM injury should be considered and an MRI may be beneficial for an accurate diagnosis and effective treatment.

      • KCI등재

        골수강내 정을 사용하여 치료한 대퇴골 간부 골절 환자와 경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Short Form 36을 사용한 삶의 질 비교

        고상봉 ( Sang Bong Ko ),장호진 ( Ho Jin Chang )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3

        목 적: 단독 단순 대퇴골 간부 골절과 단독 단순 경골 간부 골절을 입은 역학적으로 비슷한 두 군의 환자에서 삶의 질을 비교해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2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단독 단순 대퇴골 간부 골절과 단독 단순 경골 간부 골절 환자 중 전향적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시행 후 금속정 제거술까지 시행한 환자, 각 168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 추시 관찰 방문시 Short Form 36 (SF-36) 설문지를 시행하였고, 수술 및 임상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의사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환자군의 나이는 18세에서 37세였으며, 두 군은 나이, 성별, 체중, 흡연유무, 추시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ll p>0.05). SF-36을 이용한 기능적 결과 비교는 신체기능 영역(physical function)에서 대퇴골 간부 골절환자가 약간 더 높은 점수가 나온 것을 제외하고(p=0.002)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골절 유합 후 골수강내 금속정의 제거술 후 2년 이상 지나면 대퇴골 간부 골절 환자나 경골 간부 골절 환자의 신체건강 상태나 정신 건강 상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으며 어느 골절이나 잘 치료만 된다면 삶의 질에 차이는 없다. 단 신체기능 영역에서는 대퇴골 간부 골절 환자가 조금 더 나은 결과를 보였지만 나머지 영역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sought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wo similar groups of patients; one group who sustained an isolated femoral shaft fracture, and the other group who sustained an isolated tibial shaft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5 to July 2010, two groups of 168 patients who underwent implant removal operations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for an isolated femoral shaft fracture or an isolated tibial shaft fracture were enrolled. Short Form 36 (SF-36)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at the final follow-up visit.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another physician not otherwise involved with clinical evaluation or the surgeries. Results: Patients ranged in age from 18 to 37 years old. The two groups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gender ratio, body weight, smoking, and mean follow-up period (all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outcome using SF-36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except in the domain of physical functioning (PF) where femoral shaft fracture patients had a slightly higher score (p=0.002). Conclusion: Femoral shaft fracture patients and tibial shaft fracture patients who underwent intramedullary nailing and subsequent implant removal after fracture union with simila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had similar functional outcomes using the SF-36 survey, except in the domain of PF, where femoral shaft fracture patients had a slightly better outcome.

      • KCI등재

        대퇴골 및 경골간부 골절 치료에서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의 비교

        김성수 ( Sung Soo Kim ),김철홍 ( Chul Hong Kim ),이명진 ( Myung Jin Lee ),강진헌 ( Jin Hun Kang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대퇴골 및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와 비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 임상적 차이점과 결과를 평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대퇴골 및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서 확공성 및 비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예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쇄 정도는 대퇴골과 경골에서 각각 Winquist-Hansen 및 Johner-Wruhs의 분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수술시간, 수술시 출혈량, 최초 가골 형성 시기, 골절 유합 시기, 수술 후 체중 부하시기, 정과 협부의 직경, 폐 색전증과 금속실패를 포함한 임상적인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시간은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각각 대퇴골의 경우 평균 104분과 평균 95분, 경골의 경우 평균 96분과 평균 87분으로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p<0.05), 수술시 출혈량의 경우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각각 대퇴골의 경우 평균 360 ml과 223 ml, 비확공성 금속정의 경우 평균 280 ml와 205 ml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01). 정과 협부의 직경의 비는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대퇴골의 경우 각각 105.5% 및 87.0%, 경골의 경우 각각 106.3% 및 85.3%로 나타났다. 지연유합으로 역동화한 경우는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대퇴골의 경우 2예, 경골의 경우 1예, 금속 파단이 경골에서 비확공성의 경우에서 1예 관찰되었다. 결론: 비확공성 금속정은 대퇴골과 경골에서 확공성에 비해 수술시간과 출혈량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시키지만, 최초 가골 형성 시기, 골절 유합 시기, 수술 후 체중 부하시기에서는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비확공성 금속정에서의 지연유합이나 금속의 파단 등의 합병증이 나타나는 것에는 골절의 정도가 심하고, 낮은 isthmic ratio, 다발성 손상이 동반된 점 등이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ative analysis of clincal difference between reamed and unreamed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in the treatment of femoral and tibial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femoral and tibial shaft fracture who were treated with reamed or unreamed nail. They were followed for a minimum of 16 months. Winquist-Hansen and Johner-Wruhs criteria were applied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fractures.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the duration of operation, the amount of bleeding, the first time of callus formation, union time, the time of partial weight bearing, isthmic ratio, complications. Results: The average duration of operation for femoral fractures with reamed and unreamed nail were 104 minutes, 95 minutes, respectively. And those for tibial fractures were 96 minutes, 87 minute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amount of bleeding in femoral fractures with reamed and unreamed nail were 360 ml, 223 ml, respectively. And those in tibial fractures were 280 ml, 205 ml,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isthmic ratio in femoral fracture with reamed and unreamed nail were 105.5%, 87.0%, respectively and those in tibial fracture were 106.3%, 85.3%, respectively. There were 2 delayed unions in femoral fractures and 1 delayed union in tibial fracture with undreamed nail, and 1 metal failure in tibial fracture with unreamed nail. Conclusion: Unreamed femoral intramedullary nailing involves fewer steps and less intraoperative blood loss than reamed nailing.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first time of callus formation, union time, the time of partial weight bearing. It must be consider that delayed union and metal failure in the unreamed intramedullary nailing due to high grade fracture, lower isthmic ratio, combined with multiple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