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MA 이론에 근거한 탈경계 안무법 교육 모형 연구

        유화정(Yoo Hwa-Jung)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특정 장르의 움직임에 귀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안무법 교육프로그램으로서 LMA(Laban Movement Analysis) 이론을 활용한 ‘탈경계 안무법 교육 모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LMA의 네 가지 카테고리인 Body(신체), Effort(내적충동), Shape(외적형태), Space(공간)의 요소를 활용하여 ‘탈경계 안무법 교육 모형’의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 LMA 이론 및 대학무용교육의 전문가평가를 실시한 뒤, 최종의 교육 모형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교육의 정의, 목적, 대상, 그리고 총 6단계로 구성한 교육 내용으로 나타낸다. 교육 모형의 구체적인 절차는 ‘(1)나를 찾기, (2)모티프 발견하기, (3)의미 생성하기, (4)움직임으로 재현하기, (5)안무를 기호화하기, (6)창의적으로 안무하기’이며 전체 교육 내용을 포괄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현 시점, 급변하는 대학무용교육 체계에 적응하기 위한 안무법 교육의 이론적 틀 구축 및 모형 제시에 목적을 두었으므로 후속연구에서 실행, 관찰, 성찰의 단계를 거쳐 현장에의 적용으로 나아갈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a 'trans-boundary choreography education model' using LMA theory to devise a new choreography education program that is not attributed to the movement of a specific genre. To this e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trans-boundary choreography education model was established using the four categories of LMA, experts and peer evaluations was conducted, and the final educational model applying them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expressed as the definition, purpose and educational content. The specific procedures of the trans-boundary choreography education model are (1) finding me, (2) discovering motifs, (3) creating meaning, (4) movement expression, (5) symbolizing choreography, (6) final choreograpy.

      • KCI등재

        損失補償理論의 比較法的 檢討를 통한 우리理論의 體系化 - 한, 일, 독의 損失補償理論分析를 통한 우리나라 損失補償理論의 整合性 再考를 中心으로 -

        조연팔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8

        Ossennbühl said that Because the precedent after the gravel collection judgment(BVerfGE 58,300(324)) is hard to be called the expropriation similar infringement. It should call yourself “.Anspruch aus rechtswidriger Eigentumsverletzung”. Therefore, I call an expropriation resemblance infringement theory before the gravel collection judgment an old expropriation resemblance infringement theory. And I call an expropriation resemblance infringement theory after the gravel collection judgment a new expropriation resemblance infringement theory. I think that I can reduce the confusion in many theories by doing it in this way. And in the Japan, it classify when a non-property right is violated when a property right is violated by an illegal no fault act. In the former case, 'Theory to be able to demand loss compensation from a court' is a common view, a precedent. In the latter case, (when a non-property right is violated) there is the theory that loss compensation based on constitution Article 29 Section 3 is possible, but there is the theory that there is not. And in the korea, there is an opinion to object to by the introduction of the separation theory. The opinion say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xpropriation (Enteignung) in the German fundamental law and the Korean constitutional rules.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opinion cannot just receive a German separation theory. However, the German civil court sorted restriction on a private right for public utilities as follows. the restriction on a private right for public utilities that it is impossible to submit to. and the restriction on a private right for public utilities that it cannot be hoped that submit to it without compensation. And, in the case of the former, assumed it "a limit" by fundamental law Article 14 Clause 3.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can adopt the separation theory as far as I interpret a limit of constitution Article 23 Clause 3 like the former in Korea. I agree to the introduction of the separation theory in such a meaning and answer in the affirmative in the introduction of the new expropriation resemblance infringement theory. However, I object to the introduction of the old expropriation resemblance infringement theory. A separation theory and the old expropriation resemblance infringement theory are because they cannot coexist on the logic. 독일 연방통상법원의 종래의 수용유사침해법리 및 수용적침해법리는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의해 대폭 수정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센빌은 “자갈채취판결이후의 판례에 의하면 수용유사침해이론은 살아 있다 하더라도 이미 그것은 수용유사침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위법한 재산권 침해에 의한 청구권’이라고 칭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본 연구자도 이러한 의미에서 자갈채취판결 이전의 수용유사침해 등 이론을 (구)수용유사침해 등 이론이라 칭하고, 자갈채취판결 이후의 수용유사침해 등 이론을 (신)수용유사침해 등 이론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이론상의 많은 혼란을 잠재울 수 있거나 축소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일본에 있어서 위법 무과실침해는 보상규정이 없는 법률에 근거하여 공무원이 일정한 행위를 하여(위법․무과실) 재산권이 침해되었을 경우와 비재산적 법익이 침해되었을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직접청구권설이 통설․판례이고, 후자의 경우 즉 보상규정이 결여되어 비재산권이 침해된 경우에 있어서 직접 헌법 제29조 제3항에 근거한 청구의 가부에 대한 학설로서는 크게 나누여 부정설과 긍정설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우리 헌법 제23조 제3항에 대하여 연결조항성을 부정하는 입장은 독일 기본법 제14조 제3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용(Enteignung)과 우리 헌법상의 규정은 그 내용상의 차이로 인하여 독일의 분리이론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나, 독일 연방 통상법원도 공용제한을 ‘그 부담이 소유자에게 있어서 결코 수인 될 수 없는 공용제한’과 ‘소유자에게 입법상의 조치와 결합된 부담을 보상(조정) 없이 감수하는 것이 기대될 수 없는 공용제한’으로 구별하여 전자의 경우에는 기본법 제14조 제3항의 ‘수용’으로 보았기 때문에 우리에게 있어서도 헌법상의 ‘제한’ 규정을 ‘그 부담이 소유자에게 있어서 결코 수인 될 수 없는 공용제한’으로 한정적인 해석을 하는 한 연결조항성을 긍정할 수 있고 분리이론도 도입할 수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필자는 분리이론의 도입에도 찬성하고 (신)수용유사침해이론의 도입에도 긍정하나 (구)수용유사침해이론의 도입에는 부정적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분리이론과 (구)수용유사침해이론은 논리상으로 병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분리이론ㆍ경계이론을 통한 헌법 제23조 재산권조항의 새로운 구조적 해석

        홍강훈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1

        Die mit Art. 14 GG vergleichbare Eigentumsregelung in Korea ist Art. 23 des koreanischen Verfassung. Im Unterschied zu Art. 14 III GG besteht im Art. 23 Abs. 3 des koreanischen Verfassung nicht nur ‘Enteignungsentschädigung’ sondern auch ‘Benutzungsentschädigung’ und ‘Einschränkungsentschädigung’. Wegen dieses Unterschiedes ist die Trennungstheorie auf die ‘Enteignungsentschädigung’ und die ‘Benutzungsentschädigung’ anzuwenden. Dagegen kann die Schwellentheorie auf die ‘Einschränkungsentschädigung’ angewendet werden. Schließlich ist die „Enteignung“ im Art. 23 Abs. 3 des koreanischen Verfassung die vollständige Entziehung vermögenswerter Rechtspositionen durch einen geziehlten hoheitlichen Rechtsakt zur Erfüllung bestimmter öffentlicher Aufgaben. Die „Einschränkung“ im Art. 23 Abs. 3 des koreanischen Verfassung bedeutet die teilweise Entziehung vermögenswerter Rechtspositionen durch einen geziehlten hoheitlichen Rechtsakt und die Beeinträchtigung des Eigentums durch – vorhergesehene oder unvorhergesehene - Nebenfolgen rechtsmäßigen Verwaltungshandelns, die die enteignungsrechtliche Opfergrenze überschreiten. Die „Benutzung“ im Art. 23 Abs. 3 des koreanischen Verfassung stellt die vorläufige Benutzung vermögenswerter Rechtspositionen durch einen geziehlten hoheitlichen Rechtsakt zur Erfüllung bestimmter öffentlicher Aufgaben dar. 30여 년 전 독일의 자갈채취판결로 촉발된 분리이론과 경계이론에 대한 논쟁은 98년의 한국헌법재판소의 판례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이어져 왔으나, 여전히 그 해결을 보지 못한 헌법과 행정법의 난제영역으로 남겨져 있다. 이는 독일의 영향으로 제정된 한국헌법의 재산권조항이 독일 헌법과 아주 유사하면서도 본질적인 구조적 차이가 존재함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이들 이론의 수용여부를 논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리이론과 경계이론의 역사적발전과정과 현재 정리단계에 접어든 독일의 최신 재산권침해보상이론을 소개하고, 독일과 한국헌법의 재산권 조항의 구조적 차이를 감안하여 새로운 한국고유의 재산권 해석이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과 쟁점

        정태석(Jeong, Taeseok)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100

        비판사회학회가 ≪경제와사회≫를 창간한 지 25년의 세월이 흘러 이제 100호를 맞이하였다. 그동안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 비판사회이론도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 글은 ‘사회구성체 논쟁’ 이후 전개되어온 비판사회이론의 다양한 흐름의 맥락들을 살펴보고, 그 중요한 이론적 쟁점들을 조명하고 있다. 그동안 비판사회이론의 관심 영역은 토대에서 상부구조로, 계급중심성에서 다원적 적대로 전환되어왔고, 중심적인 이론적 논리는 동일성, 필연성, 중심성에서 차이, 우연성, 탈중심성으로 변화되어왔다. 그리고 현대성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면서 탈현대성의 논리에 대한 연구가 확산되었다. 앞으로 비판사회이론은 공공사회학의 관점에서 ‘경계의 사유’를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2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ounding of academic Journal, Economy and Society of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in Korea, and now it takes the No. 100. Meanwhile, the critical social theorie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corresponding to the social changes in Korea. This article is trying to review the context of the various streams of critical social theor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debate on the social formations” and to overlook the important theoretical issues. Meanwhile, the academic fields of interest in critical social theories have been moved from the basis and class centrality into the superstructure and plural antagonism, and the central theoretical logic has been converted from identity, necessity, centrality to difference, contingency, de-centrality. And according to the reflections on modernity, studies on the logic of post-modernity have been spread. In the future critical social theories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the ‘Thought on Borderline’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sociology

      • KCI등재

        Tracing the Roots of System/Decision Theory:Implication for Management Research

        서원식(Won Sik Suh),양동현(Dong Hyun Yang) 한국경영사학회 2008 經營史學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some important lessons taught by scholars of system/decision theory. The system/decision theory argued that there is no “one best way” to manage, and incorporates uncertainty by recognizing organizational interdependence with environment (Thompson 1967). In other words, the theory views the organization as an open system by adding one more ingredient on an original recipe, “reality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it leads to the foremost transition of basic concept in management theory from “idealistic” to “realistic.” Since its introduction into management discipline, the system theory had contributed to bring major progress in ou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management ideas (Woodward 1965). The paper consists of four sections. Followed by introduction, the paper reviews five key books written by notable system/decision theorists, and summarizes the main concepts of those books brought in this field. Next, We examine how key concepts have been used in empirical settings by reviewing articles on major management journals. Finally, by reviewing so-called “popular management books” at bookstores and libraries, the paper ask for the continued progress of the theory by raising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in management. Major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to provide a new way of methodology in management history research by reviewing the classical books which initiate the theory. 본 논문의 목적은 경영학 이론에 있어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을 가능케 한 시스템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동이론이 현재 경영학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재조명하고 향후 연구활성화 방안을 모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이론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5권의 책을 분석하여 저자가 주장하는 시스템이론을 정리하고 이러한 이론들이 경영학 연구분야에 어떻게 응용이 되었으며, 또한 연구결과는 초기의 이론을 뒷받침 하는 지의 여부를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서점 등에서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출간된 약 100여권의 경영관련서적을 분석하여 시스템 이론이 경영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동이론의 대중화방안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시스템이론에서 출발한 경영학적 개념들(concepts), 즉 Boundary Spanning with Satisficing, Boundary Spanning, Differentiation & Integration 등은 경영학 연구의 발전과 경영자들의 업무효율성 제고에 많은 공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 경영관련서적을 분석한 결과 동이론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이론의 대중화에는 많은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이의 개선을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경영학 이론을 고찰함에 있어 여러 전문서적에서 재인용하지 않고 초기 학자의 저서로부터 직접 이론의 전개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새로운 형태의 경영사학적 연구방법론을 택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즉, 이론의 성립과정과 그 이론이 실제 연구에서는 어떤 식으로 전개되는지, 또한 이론이 어떤 식으로 대중화 과정을 거쳐 기업에서 활용되는지 모두 보여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익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The History of the Firm Theory in Economics

        Jeongil Seo(서정일),Hyoung-Goo Kang(강형구) 한국경영사학회 2011 經營史學 Vol.57 No.-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기업이론의 기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기업의 본질을 설명하는 이론들이 계약이론과 자원이론으로 구분되며, 계약이론은 코스 (Coase)의 기업이론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반면에 자원이론은 펜로즈(Penrose)의 기업 이론에 기원을 두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우리는 코스의 기업이론과 펜로즈의 기업 이론이, 기업이론의 근간을 제시한 나이트(Knight)의 기업이론에 근거하고 있으나, 나이 트의 이론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시켜왔음을 발견하였다. 즉 코스는 나이트의 이론 을 주류경제학의 패러다임에 접목시켜, 한계주의(marginalism)와 기업과 시장의 분리를 강조하였으며, 시장이 기업에 우선한다고 주장한 반면, 펜로즈는 나이트의 정태적 모델 에 진화주의론적 시각을 접목시켜 기업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동태적 기업모델을 발전 시켰다. 기업이론에 대한 통일된 보편적 이론이 아직까지 제시되고 있지 있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기업이론들의 이론적 기원을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을 가지고 있으며, 보편적 기업이론의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지속적인 이론적, 실증적 연 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We categorize the theories of the firm into two groups : the contractual and the resource-based approach. We retrace their lineages and show Coase to be the originator of the contractual view and Penrose to be the developer of the resource-based view. Knight initiates firm theory by developing its essential elements that then serve as the basis for the work of both Coase and Penrose. Coase both extends and narrows Knight’s work on the mainstream economic paradigms such as marginalism, the dichotomy of the market and firm, and the supremacy of the former over the latter. Penrose extends Knight’s static model by making it dynamic and building in evolutionary theories about firm growth while less emphasizing the boundary between market and firm.

      • KCI등재

        괴로움의 병리학 : 자아, 경계, 체계 ― 불교 번뇌론의 체계적 재해석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일상의 평범한 사람들은 고통과 괴로움의 원인을 종종 자신의 외부에서 찾는다. 불교는 이와 달리 고통의 원인을 인간의 마음 안, 특히 아상의 관념에서 찾는다. 그리고 이 아상이 말나식에서 유래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고통의 극복을 위해서는 말나식이 만들어내는 아상과 같은 관념이 허상임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불교의 <자아-무아론>을 켄 윌버는 <경계-무경계론>으로 재구성한다. 그는 진화의 순차적 단계를 따라 구성되는 다섯 수준의 의식의 스펙트럼을 상정하고, 각 수준에서 구성되는 ‘나’와 ‘나가 아닌 것’ 간의 경계들로 인해 고통이 생겨나오는 것으로 보면서, 고통치유는 경계지우기, 즉 무경계를 통해서 실현된다고 본다. 이에 반해 필자는 진화론 및 체계론적으로 재해석된 자아론의 기반 위에서 역기능적 체계구조로부터 고통이 생겨나고, 순기능적 체계구조로부터 고통치유가 실현된다고 보는 가운데, 체계론적 혹은 구조기능론적 고통이론을 제시한다. 즉 불교의 <자아-무아> 고통이론, 윌버의 <경계-무경계> 고통이론에 대해 필자는 (기능 관련) <체계구조-체계재구조화>의 고통이론을 제시한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체계는 인간 삶의 평화 내지 행복을 위해 요구되는 <자아-이상(가치)-실재>의 공존을 보장할 수 있는 속성을 체화하고 있어야 하는 바, 그러한 속성은 자연과학적, 심리학적, 심리치료적, 인문학적, 철학적 설명, 유불도 전통의 지혜 등 광범위한 논의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이로부터 고통치유이론 및 실천들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People in everyday life usually seek the causes of suffering outside of oneself. Buddhism, on the other hand, proposes us to seek the causes of sufferings in our own minds, especially in the ego-image that is supposed to be produced by the Manas-vijnana. Buddhism goes on to say then, we need to go beyond the ego-centrism in order to let us be free from suffering. Ken Wilbur reconstructed this Buddhist theory of <self-selflessness> in a theory form of <boundary-no boundary>. He assumes a spectrum of consciousness of five stages that ar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successive stages of evolution, and then says that sufferings are caused through boundaries between 'ego'(inside) and 'non-ego'(outside) at every each level. He goes on to say that suffering can be cured by clearing such boundaries. In contrast to this new interpretative version of the Buddhist theory of suffering, the author of this article proposes, maybe supposed to be a synthesis of those two theories, a structural-functional theory of suffer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ystem-theory. This <(function-unsensitive) structure-(function-sensitive) restructuring> model might be viewed as a rival, on the one hand, to the Buddhist <self-selflessness> model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Wilber's <boundary-no boundary> model.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집합금지 · 제한명령의 손실보상문제에 대한 「독자적 분리이론」에 의한 해결

        홍강훈(Hong, Kang-Hoon)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50 No.1

        코로나19 대유행이 2년 가까이 지속된 지금 집합금지 · 제한명령으로 폐업했거나 또는 폐업위기에 놓인 소상공인에 대한 손실보상문제는 우리 사회의 최고 화두로 떠올랐다. 독일 기본법 제14조와 우리 헌법 제23조의 구조적 차이를 고려한 필자의 새로운 한국 고유의 재산권침해 보상이론(독자적 분리이론)에 따르면 현행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소상공인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위헌이다. 또한 이들 법에 근거한 현행 집합금지 · 제한명령은 헌법 제23조 제3항의 ‘공용제한’에 해당하고 이는 동시에 입법적 불법의 사안이다. 따라서 이로 인한 소상공인의 피해는 ⓛ취소소송을 통한 영업 계속, ②헌법소원, ③ 향후 국회의 합헌적 법률개정을 통한 완전한 피해회복 및 ④ 국가배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 KCI등재

        리더의 경계확장행위가 구성원의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발적 직무설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혜,윤석화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리더의 경계확장행위가 구성원의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발적 직무설계의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조절초점이론을 기반으로 한 향상초점의 자발적 직무설계와 예방초점의 자발적 직무설계의 구분을 활용하였다. 국내 다양한 산업군에 속한 기업체 구성원들과 그들의 직속상사로 구성된 233쌍의 자료를 분석하여, 리더의 경계확장행위가 창의적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더의 경계확장행위는 창의적 성과와 정적 관계를 나타냄과 동시에 향상초점⋅ 예방초점의 자발적 직무설계와도 각각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두 가지 유형의 자발적 직무설계는 모두창의적 성과와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리더의 경계확장행위와 구성원의 창의적 성과 사이의관계에서 향상초점 및 예방초점의 자발적 직무설계가 둘 사이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창의적 성과를 높이기 위해 리더의 외부지향적활동인 경계확장행위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리더십 문헌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하였다. 또한 리더의 경계확장행위가 업무에 대한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인 자발적 직무설계를 통해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경계확장행위에 대해 리더십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이론적 기여점과 함께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저널리즘 경계의 해체, 지속, 혹은 진화적 재형성 : 체계이론적 분석 가능성의 탐색

        박영흠(Young Heum Park),정준희(Junhee J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4

        이 연구는 전통 저널리즘의 위기를 경계의 해체, 즉 ‘탈경계화’ 개념을 중심으로 살피는 최근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며 루만의 체계이론을 통해 저널리즘의 전환이라는 경험적 현상을 심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오늘날 저널리즘의 변화와 위기는 체계와 환경 사이의 경계 해체라기보다 기존 체계의 범위가 확장되는 동시에 체계 내부 프로그램의 경계가 혼성화되는 과정으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보는 이 연구는 사회체계 일반의 자기관찰과 자기기술을 의한 구성적 현실을 제공하는 특화된 기능체계로서 매스미디어 체계를 ‘공공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재정의하였으며, 저널리즘은 이와 같은 공공 커뮤니케이션 체계 내부의 지배적 프로그램으로 규정하였다. 지금까지 저널리즘은 전문직화로 대표되는 역사적 경계화의 노력을 통해 체계 내에서 가장 전문화된 프로그램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했지만,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동과 그로 인한 체계 내부 경계의 재획정에 따라 우월적 지위를 상실할 위기에 놓이고 있다. 저널리즘은 지금 ‘탈분화’와 ‘재분화’의 상호모순적 전략 속에서 진동하며 위기에 대응하는 갈림길에 서 있다. Have the practices of journalism or a specific social sector called journalistic media and content been transformed into a fairly different ones where traditional forms of journalism no longer continue to reproduce themselves in a way they used to do? Many scholastic documents tend to see this phenomenon as a process of blurring or shifting boundaries of journalism even to the extent that de-boundedness appears to be prevailing while a new set of boundaries has not emerged yet. Focusing upon this problematic condition, either from a practical or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open a new possibilities of capturing, theorizing and analyzing this seemingly chaotic changes in journalism by applying and reformulating Luhmann’s social systems theoretical resources. This study proposes, in part, Luhmann’s conceptual tool of the mass media system needs to be redefined as the public communications system, in order to incorporate, both systemically and theoretically, the pressure of technological system of social media that once lied in the environment of the mass media system. However, this does not mean a total deboundedness of journalism but rather re-location and re-allocation of existing systemic programs which cover journalism in its systemic boundary. Now the societal systemic program of journalism is oscillating between paradoxical operations of de-differentiation and re-differentiation, which might become a tipping point of furthering evolutionary adaptation to its ever-chang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