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생활 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결혼 동기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선주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8 디아스포라 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종교적 동기에 의한 결혼을 한 일본인 결혼이주여성과 자유연애 결혼을 한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이 가족생활에서 겪는 갈등의 차이를 현상학적 접근방법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을 결혼 동기별로 나누어 이들이 겪는 한국의 가족생활 갈등을 비교함으로써 그들이 겪은 경험의 ‘의미’ 속에 내재된 ‘본질’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 연구 문제를 위해 수도권 지역에서 가족갈등을 빚고 있는 종교적 동기에 의한 결혼을 한 참여자 5명과, 자유연애 결혼을 한 참여자 5명을 의도적 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만 6개월간 비구조화된 방식, 반개방형 방식으로 23회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Colaizzi의 분석방법으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은 첫째, 결혼 초기에 시댁에서의 자리매김을 하는 과정의 차이가 있었고 둘째, 원가족 지지기반의 차이가 한국에서의 정착의지, 산후조리, 가족행사 참여 마음가짐 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결혼할 때부터 차이가 난 한국에 대한 관심과 경제력은 한국어 구사 능력과 한국 음식 적응 나아가 시댁의 경제적 지출에 대한 갈등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종교생활 여부는 가부장적 문화 수용과 일본인 자부심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onflicts between Japanes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arried by religious motives and Japanes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arried after free dating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this study, five participants who married by religious motive and five who married after free dating were selected by intentionally sampling method and snowball sampling method in a 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23 in-depth interviews in an unstructured and semi-open manner for six months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Colaizzi’s method. First,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positioning in the family in the early marriage. Second, the difference in family-of-origin support bases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settle in Korea, postpartum care, and attitude to participate in family events. Third, the interests of Korea and economic abiliti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time of marriage, showed the difference of conflict between Korean ability and Korean food adaptation and economic expenditure of in - laws. Fourth, religious life was influential in patriarchal culture acceptance and Japanese self–esteem.

      • KCI등재

        ‘낭만적 사랑이야기’로서의 <숙영낭자전> 연구

        이유경 ( Lee Yu-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이 논문은 <숙영낭자전>이 '낭만적 사랑이야기'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낭만적 사랑이란 두 남녀가 자율적인 사랑을 바탕으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숙영낭자전>은 숙영낭자와 선군의 사랑을 그린 것으로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양반과 기생의 사랑이야기와는 달리 결혼제도 내부의 남녀가 자유롭게 연애를 하고 사랑을 통해 결혼하는 모습을 그린 ‘낭만적 사랑이야기’이며, 이를 통해 당시의 결혼제도와 가부장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숙영낭자전>이 지니는 ‘낭만적 사랑이야기’의 양상을 애정소설의 구조인 만남, 결연, 위기, 극복의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본 뒤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숙영낭자와 선군은 못다 한 사랑의 성취를 위해 적강한 인물들로, 숙영낭자는 옥연동에 거처하고 선군은 인간으로 출생하여 연분 맺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선군의 부모가 이들의 연분을 무시하고 아들의 배필을 구하게 되자 위기의식을 느낀 숙영낭자가 선군의 꿈에 나타나면서 꿈속 만남을 통한 자유연애가 시작된다. 꿈속 만남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선군이 상사병이 걸려 죽을 지경에 이르자 숙영낭자가 옥연동으로 찾아오라는 말을 하고, 선군은 부모의 만류도 뿌리친 채 옥연동에서 숙영낭자와 연분을 맺고 함께 집으로 돌아와 동별당에 거쳐하며 자식을 낳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게 된다. 이처럼 숙영낭자와 선군은 부모의 관여 없이 둘만의 사랑을 통해 결혼을 하고 부부 중심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이어간다. 그러나 결혼 이후에도 서로에게만 빠져 지내며 그들의 사회적 책무를 등한시함으로써 주위의 우려를 사게 된다. 이에 어쩔 수 없이 과거 길에 나선 선군은 숙영낭자를 못 잊어 몇 번이나 되돌아오는데, 이를 외간남자로 오해한 시부에 의해 숙영낭자가 정절모해를 겪고 결국 자결하게 된다. 남녀의 자유로운 사랑과 결혼은 개인보다는 집단과 공동체의 윤리와 질서를 중시해온 전통 사회의 입장에서 볼 때 위태로운 일이므로 숙영낭자와 선군의 사랑은 봉건적 질서와 규범에 의해 억압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숙영낭자와 선군은 이러한 일방적인 희생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숙영낭자는 선군을 통해 억울함을 풀고 옥연동에서 장례를 치른 후 재생하여 주위의 방해 없이 선군과의 온전한 사랑을 다시 이어나가는 것이다. 이처럼 숙영낭자와 선군은 죽음도 극복하며 둘의 사랑을 끝까지 이어나감으로써 당대의 사회질서와 결혼제도로 인한 억압을 극복하고 사랑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숙영낭자와 선군은 사랑을 통해 결혼하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이룸으로써 남녀의 사랑보다는 가문과 공동체의 유지와 번영을 중시하는 결혼제도와 가부장주의에 대한 거부를 보여준다. 선군과 숙영낭자가 보여준 ‘사랑을 바탕으로 한 성과 결혼’은 전통 사회의 일반적인 사랑과 결혼의 양상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근대적 사랑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숙영낭자전>의 ‘낭만적 사랑이야기’는 ‘여성화된 사랑이야기’를 통해 당대 여성 독자의 욕망을 반영했다는 의미가 있다. 여성의 자아실현이 결혼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전통사회에서 ‘영원히 나만 사랑해 주는’ 남성을 만나 사랑의 유일성과 영원성을 실현하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이루는 것은 남성에 종속되어 낯설고 배타적인 시집 생활을 견뎌야 했던 여성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바람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숙영낭자전>이 그리고 있는 ‘낭만적 사랑이야기’는 장애를 넘어선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보여주는 보편적인 대중성을 넘어서 당시의 결혼 제도와 가부장주의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움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SukyeongnangjaJe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as a 'romantic love story'. SukyeongnangjaJeon is a story about the love between Sukyeongnangja and Seongun, a 'romantic love story' which described the figure of marriage through love after free romantic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within the marriage institution of that period, different from other love stories between yangban and gisaeng, which was the mainstream at that time, also, is a work to bring up a problem about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riarchy of that time through this. Therefore, this paper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 of a 'romantic love story' of SukyeongnangjaJeon through the process of meeting, match, crisis, overcome in sequence, which is the structure of a love story, then discussed the significance therein. Sukyeongnangja and Seongun were the characters, descended to accomplish unfulfilled love, Sukyeongnangja lived in Ogyeondong and Seongun was born as a human to wait to tie the knot. However, when Seongun's parents disregarded their knot and found out their son's spouse, Sukyeongnangja appeared in Seongun's dream, feeling crisis, and their free love began through the meeting in dreams. When Seongun became lovesick to death while continuing meeting in dreams, Sukyeongnangja told him to come over to Ogyeondong, so Seongun tied the knot with her in Ogyeondong, shaking off his parents' dissuasion, returned home with Sukyeongnangja and lead a happy marriage, having their children, living in Dongbyeoldang. This way, Sukyeongnangja and Seongun married only through their love without parents' concern, and continued a couple-focused happy married life. However, even after marriage, they only fell for each other and neglected social responsibility, which caused the surroundings' concerns. Here, Seongun departed for Gwageo exam, however, he returned home several times, being unable to forget Sukyeongnangja, which caused a fidelity plot by the father-in-law, who misunderstood this as meeting another man, and finally she stabbed herself with a sword. From the position of traditional society, which emphasized the group and the ethics and order of community more than individual, free love and marriag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riskful, love between Sukyeongnangja and Seongun could not help being oppressed by feudal order and norms. However, Sukyeongnangja and Seongun never accepted this one-way sacrifice as it is. Sukyeongnangja resolved her resentment through Seongun and born again after funeral in Ogyeondong, then continued intact love with Seongun without circumferential interruption. This way, Sukyeongnangja and Seongun overcame the suppression of social order and the marriage institution of that period strongly revealed their will to pursue love by continuing their love till the end even overcoming death. As discussed so far Sukyeongnangja and Seongun showed their refusal to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ernalism, which emphasized maintenance and prosperity of family and community rather than love between man and woman, through realizing a marriage through love and equal marital relations. Lastly, 'sex and marriage based on love', which Seongun and Sukyeongnangja showed, has a significance that it suggested a modern love system of a new type, different from the general aspect of love and marriage of the traditional society. SukyeongnangjaJeon's 'romantic love story', like this, has a significance that it reflected the women readers' desire of that time through 'feminised love story'. In the traditional society, where self-realization of women could be realized only through marriage, it was the biggest desire for the women, who must have endured their husbands' strange and exclusive family life by being subordinate to male, to meet a man 'who loves only me forever' to realize the exclusiveness and eternity of love to maintain equal marital relations. This way, 'romantic love story' which SukyeongnangjaJeon described, can be said to be a work which shows newness, in respect that it presents problems of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ernalism of that time, going beyond the general popularity which the love stories between man and woman beyond obstacle showed.

      • KCI등재

        체화 불/가능한 양풍과 불/건전한 자유연애 - 해방기와 50년대 전후 코미디극의 겹쳐 읽기

        전지니 한국극예술학회 2014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3

        American culture rapidly flowed into the people's daily life with passing through the end of the war in twice called the 8.15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Disorderly freedom, which originated from Americanization, namely, self-indulgence was connected with the gender-based dimension. The expansion in the tendency of freedom and equality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American-style sense and democracy made women liberated from the restraints of the home and the body. Lee Byeong-il's <Jayugyulhon(Free Marriage)>(1958) and Han Hyeong-mo's <Yeosajang(Female Boss)>(1959) are the texts at the end of free-love discourse in the 1950s as well as being in a field of ‘free whirlwind.’ Both movies are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original plays and are simultaneously succeeding to a form of Screwball Comedy in Hollywood. All in <Yeosajang(Female Boss)>(1948) & <Yeosajang(Female Boss)>(1959), <Ddaldl, Jayuyeonaerlgugahada(Daughters Sing Free Love)>(1957), and movie <Jayugyulhon(Free Marriage)>(1958) contain a critical sight on Americanization-consumption culture following the liberation and point out Hello-girl and Aprés-girl of enjoying this as the subjects that will need to be enlightened. At this time, the free love becomes a means of educating women with turning around social standing between man and woman. Two movies establish conservative moral sense based on familism of the 1950s by uniting young people's sex, love, and marriage against the open sexual consciousness in those days. The satire and the resistance, which can be immanent in comedy genre, were vanished in the beginning with being combined with a material dubbed the gendered love. However, even if the ending returns to the most conservative direction, 'enlightenment' and 'marriage', Seoul's pleasure-based landscape and Aprés-girl's provocative image, which were suggested on the screen, could overwhelm the conservative happy ending. In other words, the postwar play and movie indulge in American-style freedom and fashion in the process of going back to the conservative conclusion. Even if advancing finally to the conclusion of woman's obedience, it couldn't completely control disorder in a name called freedom in the period that the people had been intoxicated with sensational vanity. The recognition on its impossibility was also the one on reality that was shown by the postwar comedy of representing custom in those days.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두 번의 종전(終戰)을 거치면서 미국문화는 급속히 대중의 일상에 유입됐고, 여기서 기인한 무질서한 자유, 곧 방종은 젠더적 차원과 결부됐다. 미국식 감각, 미국식 민주주의의 도입에 따른 자유와 평등 풍조의 확산은 여성을 가정과 육체의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켰는데, 이병일의 <자유결혼>(1958)과 한형모의 <여사장>(1959)은 이 ‘자유선풍’의 자장 안에 있는 동시에 50년대 자유연애 담론의 끝자락에 있는 텍스트이다. 또한 두 영화는 모두 원작 희곡의 설정을 따르는 동시에 할리우드 스크루볼 코미디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여사장>(1948)과 <여사장>(1959), 그리고 <딸들 자유연애를 구가하다>(1957)와 영화 <자유결혼>(1958)은 모두 해방 이후의 양풍-소비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지하고, 이를 향유하는 헬로걸-아프레걸을 계도해야 할 대상으로 지목한다. 이때 자유연애는 남녀 간의 사회적 지위를 역전시키고 여성을 교화하는 수단이 되는데, 두 영화는 당대의 개방적 성의식에 대항해 젊은이들의 성, 연애, 결혼을 일치시킴으로써 50년대식 가족주의에 입각한 보수적 도덕관을 확립한다. 애초 코미디 장르가 내재할 수 있는 풍자성과 저항성은 젠더화된 연애라는 소재와 결합하면서 퇴색했던 것이다. 하지만 결말이 ‘계몽’과 ‘결혼’으로 회귀할 지라도, 스크린에 제시된 환락적 서울 풍경, 도발적인 아프레걸의 이미지는 보수적인 해피엔딩을 압도할 수 있는 것이었다. 곧 전후의 연극과 영화는 보수적 결론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미국식 자유, 미국식 유행에 탐닉한다. 종국에 여성이 복종하는 결말로 나아갈지라도 대중이 감각적인 허영에 도취되어 있던 시대에 자유라는 이름의 무질서를 완전히 통제할 수는 없었으며, 그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당대의 풍속을 대변하는 전후의 코미디가 내비친 현실인식이기도 했다.

      • KCI등재

        젠더 평등과 종교의 자유 -동성결혼과 종교의 자유는 동시에 보장될 수 있는가? -

        김병록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論叢 Vol.25 No.3

        Gender equality is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essential to complete gender equality. Gender Inequality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reality and to realize gender equality, the gender perspective in the constitutional equality discourse should be reflected and evaluated in legislative and normative interpretation. From the point that the ideal of the Constitution is to guarantee all humans’ fundamental rights associated with human dignity, realization of value, freedom, or equality, we can make sure of the conceptual categories and indexes of gender equality norms. The pursuit of power inequality correction according to sex differences of ‘all individuals’ should be guaranteed by constitution, and specific groups should not be excluded. In realizing gender equality, the government’s roles and interventions are crucial. It can be completed only when it is sought and practiced in close relations with other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for instance, constitutionalism, social/national principles, or democracy. Particularly,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guarantee the right of the subjects of inequality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have their own voice, whichmeans democracy is inseparable from gender equality. The First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provides that “Congress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an establishment of religion, or prohibiting the free exercise thereof.” These religion clauses of the First Amendment impose two restrictions. First, the Establishment Clause requires a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Second, the Free Exercise Clause recognizes asphere of religious liberty that Congress cannot invade. The expansion of governmental activity impinging on religious practices and religiously motivated action has also contributed to the rise in litigation, as has increasing religious d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longside the Court’s greater involvement in disputes over religion has come intense controversy.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U.S. Supreme Court has interpreted the Establishment and Free Exercise Clauses in the U.S. Constitution and analyzes the continuing debate over the meaning of those provisions. 평등에 대한 젠더적 이해는 성평등을 완성하는 필수불가결한 근본조건이다. 성불평등현실문제의 근본적 해소와 실질적 성평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젠더적 관점이 입법과 규범해석에 반영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헌법의 이상이 ‘모든 개인’의 인간존엄과 가치의 실현, 자유와 평등에 관한 기본권의보장이라는 점에서 성평등 규범의 해석과 실현도 이와 동일한 이상을 지향하여야 한다. 즉, ‘모든 개인’의 성차에 따른 불평등 시정의 추구가 헌법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여기에 특정집단이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성불평등 현실의 개선을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과 개입이 중요하다. 국가의 성평등 실현조치는 궁극적으로 개인의 인간존엄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추구되어야 하며, 특히 불평등의 주체가 정치적 주체로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와 성평등은 분리될 수 없으며, 그 연관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한편, 미국 수정조항 제1조는 종교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조항은연방의회가 국교를 수립하거나 또는 자유로운 신앙과 종교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는 것을 절대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는 국교금지조항(Establishment Clause)으로, 또 후자는 종교행사의 자유조항(Free Exercise Clause)으로 불리고 있다. 여기에 따른다면 국가는 종교와 일정한 정도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국민의 자유로운 신앙과 종교행위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종교행사 자유조항의 경우, 연방대법원은 1990년대 이후 이 조항에 대한 위헌심사기준으로서 1960대 이후에 적용되어 왔던 이익형량론을 포기하고 그 이전의 규제목적론을 부활시켰다. 그러나 규제목적론은 단순히 개인의 신앙 및 종교행위의 자유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단순히 비종교이고 합리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만을 기준으로 정부규제의 위헌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종교의 자유의 최대한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러한 연방대법원의 입장변경은 바람직하다고 보기는 힘들다. 여기에 따른다면 정부의 규제로 인해 침해되는 개인의 종교의 자유는 거의 고려될 여지가 없다. 반면 이익형량론은 신앙 및 종교행위의 자유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필수적인 공익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어야 하며, 이러한 공익을 달성함에 있어서 현재의 규제보다 개인의 종교의 자유를 덜 제한하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심사기준이기 때문에 정부의 규제목적 뿐만 아니라 침해되는 개인의 종교의 자유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 KCI등재

        강요된 ‘자유이혼’, 식민지 시기 이혼문제와 ‘구여성’

        소현숙(So, Hyun-Soog)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4

        본 논문은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나타났던 신지식층 남성과 ‘구여성’간의 이혼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식민지 시기 가족관계에서 나타난 변화의 양상과 ‘신여성’과는 다른 입장에서 이러한 변화들에 직면해야했던 ‘구여성’의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유연애결혼의 유행과 더불어 야기된 신지식층 남성과 ‘구여성’간의 이혼문제는 그 정당성을 두고 언론에서 뜨거운 논쟁을 일으키며 사회문제로 부상하였다. 결혼에서의 권리를 찾고 스스로 선택한 ‘신여성’과의 ‘신가정’ 건설을 꾀하였던 신지식층 남성에게 부모의 강제로 결혼한 무지(無知)한 구여성 본처와의 이혼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그러나 여성 재혼에 대한 관념적 금기가 여전하고 여성의 경제적 독립이 어려웠던 당시 사회에서 이러한 남성측의 ‘자유이혼’의 요구는 구여성에게는 ‘강제이혼’으로 다가왔다. 구여성의 희생이 부각되는 가운데, 구여성에게 이혼을 받아들이고 자아의 각성을 보여 달라는 이혼찬성론의 요구나, 신여성이 됨으로써 이혼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이혼반대론의 메시지는 모두 애정 없는 부부불화의 책임을 아내의 ‘무지’라는 자질문제에 귀착시키는 것으로, 칠거지악으로 표현되어 온 전통적 여성책임론의 새로운 버전에 다름 아니었다. 그러나 희생자로서 연민과 계몽의 대상이 되었던 구여성들이 단순히 희생자로만 남아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당시에는 남편에게 의뢰하는 것으로 폄하되었지만, 구여성의 ‘본처 사수’의 노력은 자신의 의지가 아니었다는 이유만으로 아내를 쉽게 내치는 남편들에 대한 적극적인 투쟁이었다. 한편, 구여성의 저항은 단순히 본처라는 지위를 고수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았다. 아이러니 하게도 신여성의 지식을 가정불화의 원인으로 새롭게 지목하며 ‘무지’한 구여성을 다시 ‘이상적 아내’로서 부활시키고 남편에 대한 ‘청백한 절조’의 상징으로 찬양하였던 1930년대에 구여성 내부에서는 남편의 이혼강요를 거부하고 주체적으로 이혼을 전유하려는 태도가 조금씩 움트고 있었다. 요컨대, 가족개조와 신가정 건설에 관한 원론적인 언설을 넘어서 부부관계의 재구축을 향한 경험적 차원에서의 일상적 투쟁이 가시화되기 시작한 1920~30년대 조선사회에서, 구여성은 단지 신가정 건설의 희생자로만 남아 있었던 것은 아니다. By analyzing the divorce issue between the new intellectual male and "the old fashioned woman" in the 1920s to 30s, this thesis aimed to reveal the change that appeared in family relations and its aspec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lso the experiences of "the old fashioned woman" who had to face these changes from a different position than "the new woman". Together with the trend in love marriages, the divorce issue between new intellectual males and "the old fashioned woman" caused heated debate in the press concerning its validity, rising as a social issue. New intellectual males, who sought their rights in marriage and attempted to build a "new family" with "the new woman", could not avoid divorcing their uneducated "old fashioned wives" whom they had to marry out of their parents" coercion. However, in a society where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women was difficult and the ideological taboo on women remarrying persisted, these demands for "a free divorce" from men was felt as "a forced divorce" to the old-fashioned woman. The demand of the argument supporting marriage toward old-fashioned women to accept divorce and show the wake up of the self, or the message of the argument against divorce saying divorce can be avoided by becoming the new woman both leveled the responsibility for the loveless marital discord to the "ignorant" wife. However, the old fashioned woman, who, as the victim, was the object of sympathy and enlightenment, did not simply remain as the victim. Although, at the time, the effort to defend the position of wife was denigrated as depending on the husband, it was an active struggle against husbands who easily cast away their wives without any security for their livelihood.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of the old fashioned woman was not limited just to adhering to the position of the wife. Ironically, during the 1930s, a current newly emerged blaming the "knowledge" of the new woman as the cause of family discord, reviving the "ignorant" old-fashioned woman as the "ideal wife" while praising her as the symbol for "upright fidelity", and a behavior toward refusing the forceful divorce of the husband and independently and exclusively possessing divorce arose within the old-fashioned woman. In short, in Korea of the 1920s and 30s, where daily struggle toward the restructuring of conjugal relations became visible, going beyond theoretical remarks on the revision of the famil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ew family, the old-fashioned woman did not simply remain as the victim of the building the new family.

      • KCI등재

        밀턴의 결혼, 이혼, 그리고 젠더

        이은선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8 No.-

        밀턴은 청교도 혁명이 진행되던 1643년부터 45년에 걸쳐 작성한 이혼론 산문 4편과 실낙원 등을 통해 결혼과 이혼과 성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혼론』 초판과 재판은 의회와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를 대상으로 저술하면서 교회법 개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혼에 관한 법률제도를 개혁하고자 하였다. 당시 영국에서 교회법과 의회법 모두에서 결혼을 성사로 인정하여 합법적인 이혼을 인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음행 등의 이유로 이혼한 경우에 과실이 없는 사람도 재혼을 허용하지 않고 있었다. 자신의 불행한 결혼생활과 함께 영국의 이러한 이혼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한 밀턴은 불합리한 이혼제도를 개혁하려고 공적 논쟁에 뛰어 들었다. 밀턴은 이혼론 산문들을 통해 결혼의 목표에 대해 새로운 견해를 내세우게 되었다. 당시까지 자녀출산과 음행 방지가 결혼의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이해되고 있었는데, 밀턴은 창세기 2장 18절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부부간의 고독을 해결하기 위한 영적인 성숙과 정신적인 사랑이 결혼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자녀출산은 결혼의 목적이라기보다는 사랑의 결과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부부간의 정신적인 대화와 사랑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이혼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음행만이 이혼의 근거가 된다는 예수님의 말씀에 대해 바리새인들의 과도한 이혼에 대한 책망이므로 문자적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며, 신명기 24장 1절에서 이혼 사유로 인정한 수치스러운 것에는 육체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문제까지 포함된다고 해석하였다. 따라서 밀턴은 부부간의 정신적인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혼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밀턴의 이혼론은 남성의 입장에서 제기되어 가부장적인 가치관을 반영하여 여성의 위치를 비하하는 측면이 있다. 그렇지만 밀턴은 결혼에서 여성을 대화의 동등한 반려자로 인정하고 행복의 동반자로 인정하는 측면도 있다. 더 나아가 당시 밀턴의 관심은 영국의 국교회와 왕정 하에서 종교와 개인과 정치의 개혁을 통한 인간의 자유의 확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혼론 산문들은 인간의 개인적인 자유의 확보를 위한 차원에서 저술되었다. 그의 이혼론 산문들은 부부간의 사랑이 결혼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밝힌 것은 중요한 공헌이었고, 당시 그의 이혼에 관한 입장은 수용되지 못하였으나, 20세기에 들어와 성격차이가 이혼의 요소로 인정되기에 이르렀다. 앞으로 이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밀턴이 말한 바와 같이 부부간의 건전한 사랑의 관계가 잘 형성되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Milton discussed marriage, divorce, and gender on four divorce statements in prose and Lost Paradise which he wrote during Puritan Revolution period of 1643-45. He wrote the first version of the Doctrine & Discipline of Divorce(1643) and the second expanded version(1644) to send the Parliament of England with the Westminster Assembly. The purpose of his writings was to reform the divorce law of English Church and Parliament. The Church Law and Parliament Law at that time viewed the marriage as a sacrament and hence, prohibited a divorce and a remarriage of the faultless partner. Milton participated in the public controversy to reform the irrational divorce system as he noticed that there are problems in English divorce laws which was reflected on his unhappy marriage life. He suggested new aims of marriage through his divorce statements in prose. Until then, the purposes of marriage were childbirth and prevention of sexual immorality. But Milton claimed that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marriage were a couple’s mutual spiritual growth and love in resolving solitude based on his new interpretation of Genesis 2:18, and childbirth is argued to be a result of a married couple’s love but not the purpose of marriage. Milton addressed that the divorce should be also permitted in case spiritual dialogue and love between a couple is impossible. He claimed that Jesus’ words about the prohibition of divorce except for sexual immorality should not be interpreted literally because Jesus was reprimanding Pharisees for their excessive divorces. He interpreted “uncleanness” in Deuteronomy 24:1 not only as the unfaithfulness of a body but also that of mind. Accordingly, Milton argued that the divorce should be permitted in the case that spiritual love does not exist among the married couple. Milton’s proposition of the divorce reflects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has a disparaging side for women’s right. On the other hand, he acknowledged a wife as a partner of dialogue and happiness in marriage life. His focus reaches further to acquire the human liberty in religion, individual, and politics under the English Church and Monarchy. The four divorce statements in prose were written for the security of the liberty of individual human beings. His divorce statements in prose contributed to revealing that love between husband and wife is the chief end of matrimony. His proposition of divorce was not accepted in England at that time. However, the difference of characters has started to be acknowledged as a cause of divorce in the 20th century. In the future, more efforts to form a healthy loving relation of a married couple as Milton claimed would be appreciated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divorces.

      • KCI등재

        1920-30년대 신여성과 ‘첩/제이부인’

        정지영(Jung Ji Young)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4

        이 글은 1920년대, 1930년대에 ‘첩이 된 신여성’을 둘러싼 논의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자유연애결혼, 일부일처제, 소가정(스위트홈) 등의 근대적 결혼관계가 만들어지고 결렬되는 과정, 그리고 그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당대 담론의 결을 타고 거스르고 비껴서면서 그 틈새를 가로질렀던 신여성들의 삶의 전략을 읽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근대의 이념에 따라 자유연애를 한 ‘신여성’들은 전통과 구습의 상징인 ‘첩’이 되곤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연애하여 첩이 된 경우를 “제이부인”으로 부르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 속에는 신여성과 연애하고 살림을 차리면서도 정처와 이혼은 할 수 없는 남성들의 이중적인 속내가 담겨 있다. 한편 첩이 된 신여성을 비난하는 정실부인들의 언설 속에는 전통사회에서 유지되어 온 정처와 첩 사이의 고정된 위계가 근대적 법체계에 따른 일부일처제가 형성되는 과정 속에서 전복되는 상황이 반영되어 있다. 신여성 첩을 사치와 허영의 상징으로 보는 시선은 신식여지를 욕망하지만, 그들과 가정을 꾸릴 수 있는 준비가 되지 못한 남성들의 처지를 말해준다. 남성 지식인들이 꿈꾸는 신식여자는 신지식으로 무장하여 신식 가정을 꾸미면서도 남편의 가족을 위해 희생하고 순종하는 현모양처였다. 반면 신여성들은 경제적 독립과 시부모로부터의 독립을 결혼의 조건을 꼽았다. 신여성은 첩이 되는 것을 통해, 경제적으로 독립한 남성과 함께 시부모와 대가족에서 벗어나 신식 소가정을 꾸미고자 했다. 개조를 이야기하면서 개조할 준비가 되지 않은 남성들은 첩이 된 신여성들에 대해 이른바 본질을 알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는 존재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배운 신여자들’은 첩, 제이부인, 허영, 사치, 유혹자, 가해자, 피해자 등의 다기한 담론들 사이를 관통하면서, 살아남고 소멸되며 협상하고 저항하는 행위주체였고 그녀들은 첩이 되는 것을 통해 그 나름의 방식으로 새로운 부부관계를 만들어갔다. This paper analyzes the debates about the "new women who became concubines" in the 1920s and 1930s. From the debates, we can see the process in which modern marriage such as love marriage, monogamy, and small family (sweet home) was made and ruptured, and the life strategies of the new woman who tactically dealt with the debates. It was for the modern ideology that new women freely fell in love, often did they become "concubines," a symbol of tradition and conventionalities. At this time,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se new women who became concubines should be called as "second wife." In these suggestions, we can steal a glance at the dual inside of the men who moved in with the new women they fell in love with, but could not divorce their lawful wives. In the meantime, in the statements reproaching the new women who became concubines, is the circumstance reflected that the order of rank between the lawful wife and the concubine is shaken and overturned. The viewpoint that looks at these new women/concubine as the symbols of extravagance and vanity shows the situation of the men who desired for the new woman but was notable to unite with her in marriage. The new woman the men of the time dreamt of was who could make a modem home with her modem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would obey and sacrificed herself for him and his family. However, for the new women, the financial independence and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in-law were the conditions for marriage. The new woman wanted to establish a modem sweet home without the parents-in-law or the extended family by becoming a concubine of a financially independent man. The men, who were talking about reconstruction but were not ready for it, condemned these women that they were unpredictable and unreliable. However, the "educated new women" were the subjective agents who survived, succumbed, compromised, and/or resisted by traversing through the various discourses which defined them as concubines, second wives, vanities, extravagances, seducers, wrongdoers, or victims.

      • KCI등재

        동성 간 결혼문제에 대한 비평적 논의

        권혁남 ( Kwon Hyeok Na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선택의 자유’와 ‘비차별’에 의존하여 ‘동성 간 결혼할 권리’를 옹호하는 이들의 논거가 어떠한 측면에서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되는지 비평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동성 간 결혼할 권리’를 옹호하는 이들의 주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약 결혼이 전적으로 그 스스로에게만 떠맡겨진 ‘개인의 사적인 일’이라면 제3자로 하여금 결혼의 목적과 동성애의 도덕성에 대해 윤리적, 사회적, 종교적 논란에 개입할 여지를 상실케 한다. 둘째, 이들의 논거는 결혼 당사자 2명의 ‘현재의 행복’이라는 조건에 초점을 맞출 뿐 가정에서 양육될 아이를 포함한 세대를 넘는 연속성에 대한 고려는 충분치 못하다. 셋째, 혼인제도는 처음부터 이성 간 파트너십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기에 동성결혼의 제도화는 얼핏 보면 성적지향으로 인한 차별적인 처우를 제도적인 측면에서 개선하려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형태의 불평등을 만들어 내고 있을 뿐이다. 마지막으로 비차별과 ‘사적인 자유’ 및 ‘자기 결정’에 근거해 동성 간 결혼을 긍정하고자 하는 이들의 논거가 왜 기독교적 관점에서 결혼의 목적과 결혼이 칭송하는 미덕을 이행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불가능한지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arguments by those who advocate the right to marry between the same sex were analyzed critically which aspects would be problems to secure the justification depending on ‘the freedom of choice’ and ‘non-discrimination.’ Upon the analysis results, the detected problems from the arguments of the advocates on ‘right to marry between the same sex’ are as follows. First, if the marriage is ‘the personal matter’ only for themselves, the room to be intervened by ethical, social, and religious arguments might be lost on the purpose of marriage and the ethics of the homosexuality. Second, their arguments were focused only on the condition of ‘present happiness’ between the two but not sufficiently considered on the continuity of generation including the children who supposed to be raised at home. Third, since the marriage system was established to protect the partnership between the different sexes, legalization of marriage between the same sex seems to improve the system of discriminated treatment caused by the sexual orientation at first glance, however, it just makes the different type of inequality in fact. Lastly, it was investigated why their arguments to accept the marriage between the same sex based on non-discrimination, ‘personal freedom,’ and ‘self-determination’ were not possible to execute the beauty of respect as well as the purpose of marriage in view of Christians.

      • KCI등재후보

        동성결혼의 헌법문제

        김병록(Kim Byeong-Ro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東亞法學 Vol.- No.43

        To define family and to see them at a certain point of view is a very important matter. This is because the definition of family has an important meaning both socially and individually. Due to sexual orientation, same sex couples cannot be admissioned in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family where they can be guaranteed constitutionally. The direction of the protection for same sex couples and the direction of the perception towards same sex marriage should be formed as the following paths. First, their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guaranteed. In every living area including same sex couples, discriminative treatment is forbidden. Sexual orientation cannot be the standard for discrimination and for that reason, if there is any case of discriminative measures that would be disobeying equal rights which is appointing the fundamental rights' direction. In the living area not only equal treatment should be guaranteed but also the liberty of sexual determination and privacy should be guaranteed. In addition, same sex couples' protection through legal institution is required. Both fundamental rights and legal institution's security is interactively supplied. As objective valued system, same sex couples' fundamental rights require them to be drawn into the constitutional 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legal institution. The arrangement of a new system for same sex couples is not demolishing the existing constitutional order. The formation of legal institution for same sex couples should respect the characteristic aspect which can guarantee interactive honesty or responsibility and should consider property contract or the succession of rights for community space, financial support and responsibility after the settlement of same sex relations and inheritance. Therefore like different sex couples, same sex couples should open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similar community with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