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전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여가활동 매개효과 검증-

        주미연,정명혜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2

        This study is a study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marriage for the principal of Korean skill, and leisure activities. Even if they are exposed to degradation of Korean skill, if the leisure activity of family is well underway, even the stability of marriage is also higher, it would be predictable, so that the leisure activity will play as a mediated role. Nowadays, when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y bring into relief, cohesiveness of families would improve and make a strong marriage stability, so that the family aims to explore the alternative in order to move smoothly.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lives in Gwangju, Jeollanamdo province, and it looked at the stability of marri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Korean skill has had an impact on the stability of marriage and leisure activities seems to act as an mediated role. Korean skill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marital stability is as a variable of communication. Personal life, relationships with family, soci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factor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Korean educational programs which officially and informally implement should be more reinforced. Leisure activities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re shown that the influence makes the stability of marriage to become higher, so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should come up with an alternative that leisure activity programs between family for these women are in conjun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과 여가활동을 주체로 결혼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록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한국어 능력이 현제하게 낮아도 가족의 여가활동이 잘 진행된다면 결혼 안정성이 훨씬 높아 질 것이라도 예측하여 여가활동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현시점에서 역량강화 도입에 중요한 변인인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부가시켜 가족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결혼안정성을 강하게 만들어 가정이 순조롭게 나아갈 수 있도록 대안 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로서 결혼안정성을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 한국어 능력이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끼쳤으며, 여가활동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안정성에서 한국어 능력은 의사소통의 변수로서 개인적 삶, 가족과의 관계, 사회적 관계에 중요한 요인임으로 공식적․비공식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을 더욱더 보강해야 하고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에게 여가활동은 결혼안정성을 높이는데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여성들을 위한 가족 간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대안을 마련해야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기혼여성의 부부애착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태도의 매개효과

        이여진,정유진(전북대),정혜정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부부애착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의사소통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부애착의 두 측면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각기 다른 유형의 의사소통태도를 매개로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현재 혼인상태에 있는 20대∼60대 여성을 대상으로 결혼안정성, 부부애착, 부부간 의사소통태도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2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난적 의사소통태도를 매개로 설정한 경우 애착불안은 결혼안정성에 간접경로를 통해서만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애착회피는 직접경로 및 간접경로를 통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매개변인이 이성적 의사소통태도인 경우에도 애착불안은 간접적으로만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회피는 이성적 의사소통태도에 정적 영향을, 그리고 이성적 의사소통태도는 다시 결혼안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애착회피는 결혼안정성에 부적인 직접영향과 함께 이성적 의사소통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성적 의사소통태도는 결혼안정성에 대한 부적영향이 있어 그 결과 간접경로 또한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변인이 일반적 의사소통태도인 모형에서 애착불안은 결혼안정성에 부적인 직접효과 뿐 아니라, 일방적 의사소통태도를 통한 간접효과도 있었다. 애착회피 또한 그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의사소통태도를 매개로 하여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의의와 가족 교육 및 상담에 적용점을 제시하고 제한점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test a model that hypothesizes marital attachment would influence marital stability through communication attitude.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effects of the two aspects of marital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marital stability, mediated by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attitudes. Methods: An online survey on marital stability, marital attachment, communication attitud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targeting women aged 20 to 60 who were married, and data from the total of 240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nal model with critical communication attitude as a mediator, attachment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marital stability only through an indirect path, whereas attachment avoidance had a negative effect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s. Second, in the model with rational communication attitude as the mediator, attachment anxiety only indirectly affected marital stability. In detail, attachment anxiety had a positive effect on rational communication attitude, which negatively affected marital stability. In contrast, attachment avoidance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marital stability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rational communication attitude. Lastly, in the model with unilateral communication attitude as the mediator, attachment anxiety had both a negative direct effect on marital st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unilateral communication attitude. Attachment avoidance also had significant nega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onclusions: We discuss the results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mediated by communication attitudes. Based on the results, significance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family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남성 척수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

        김지혜,황경열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남성 척수장애인집단과 대조군의 심리적 요인, 부부관계 요인, 결혼관련 요인 및 결혼안정성을 비교하고, 남성 척수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현재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고, 재활병원에 입원중이거나 외래진료를 받는 척수장애인, 장애인 스포츠 동호회 및 전국 종목별 대회에 참가한 남성 척수장애인 127명과 대조군으로 남성 비장애인 114명이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 낙관성 척도, 배우자지지 척도, 부부 애정행동 척도, 결혼대안 척도, 결혼해체장애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 결혼안정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척수장애인집단과 대조군은 결혼 안정성과 관련된 요인 중 자아존중감, 낙관성, 애정행동, 결혼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남성 척수장애인집단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 총수입평균, 낙관성, 애정행동, 결혼만족도로 나타났고, 대조군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 존중감, 애정행동, 결혼만족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성 척수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이들의 행복한 가정생활영위에 도움을 주고 심리적, 신체적 재활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성희,김현수,조성경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3

        This study aimed to get the basic data for supporting married immigrant women’s stable marriage life and adapting to life in Kore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s personal background, health of family-of-origin, psychological health variables and marital stability. The study subjects were married immigrant women whoseek the servic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the Jeollabuk-do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th of the family-of-origin, the mental health, the marital stability and general tendencies of these women were revealed to possess a higher than average score. Neverthel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b-elements in that scores i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in the sense of an inability to adjust to societ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arried immigrant women need additional emotional support. Second, as for marriage stability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marital stability was high when the monthly income was high and when the degree of accepting Korean culture was distinct. Third,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 family-of-origin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on marital stability showed that marital stability was high when the women followed a religion, were unemployed, and accepted Korean culture, and when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health was high as well as the health of their family-of-origin. The variable that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was the health of the woman's family-of-origin. Such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marriage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address married immigrant women’s family-of-origin problems when conducting education or consulting for the degree of cultural acceptance and personal growth.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 변인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안정적인 결혼생활 한국생활 적응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으로 한국어 인식이 가능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ANOVA,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ANOVA는 사후검증을 위해 Duncan Test를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 결혼안정성의 전반적 경향은 평균이상의점수 분포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신건강은 하위요인별 차이가 있었는데, 불안·우울감이 사회부적응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적 지원이 좀 더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결혼안정성은 한국문화수용도가 분명한 경우, 월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결혼안정성이 높게 나타나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종교가 있는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 한국문화를 수용할수록, 원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원가족건강성이었다. 이의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문화적 수용도 및 개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이나 상담진행시, 결혼이주여성의 원가족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과 결혼안정성의 관계

        정의정,Jung, Eui-Jung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국제 결혼한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일상생활지지, 성생활만족,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15일부터 2011년 3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47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불성실하게 기입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220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수행 중 일상생활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일상생활지지와 결혼만족도는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 수행 중 부부간 갈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국제결혼 남성배우자의 긍정적 역할 수행은 결혼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further analysis on potential correlations of male spouses' role performance (daily life assistance, sexual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and their marital stability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form to survey Korean men who married and kept a marital relationship with foreign brides (survey dating from Dec. 12, 2010 to May. 3. 2011). Out of total 300 sheets of questionnaire form distributed to a population of those men, 247 sheets of questionnaire form were collected from them. Then, total 220 sheets of complete and valid questionnaire form except incomplete 27 sheets were finally selected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ole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group with more daily life assistances had higher marital stability than group with less daily life assistance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daily life assistance was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Secondly, in terms of role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group with more marital conflicts had higher marital stability than group with less marital conflic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male spouses' positive role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marriage has positive effects on marital stability in relationships with their foreign female spouses.

      • KCI등재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과 결혼 안정성

        김두섭(Doo-Sub Kim),이명진(Myoung-Jin Lee) 한국인구학회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3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제결은 부부 중에서 이혼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부부의 연령과 교육 같은 사회인구학적 차이가 결혼 안정성에 어떠한 영항을 미쳤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계청이 발표한 1995년부터 2005년 까지의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국적에 따라 다르다.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남편이 외국 출신인가 아니면 부인이 외국 출신인가에 따라 달라질 뿐만 아니라, 외국 출신 배우자의 구체적인 출신 국가별로도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징 중에서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은 국제결혼의 결혼 앚정성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연령 상이성이 교육 상이성보다 결혼 안정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출신국가는 사회인구학적 차이와 결혼 안정성 사이의 관계에도 영항을 미친다. 외국 출신 남편과의 국제결혼에 비해 외국 출신 부인과의 국제 결혼의 경우에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특히 필리핀, 몽골,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외국 출신 부인의 경우에는 남편과 부인의 교육수준이 동일한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 출신 남편의 경우에는 남편의 교육 수준이 부인보다 높을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 of dissimilarity between husband and wife on the duration of marriage of divorced couples. It examin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couples are linked to different process within their relationships and duration of marriage. Attention is focused on couple’s age and education. Micro-data from divorce registration for the period of 1995-2005 are utilized. Results of analyses reveal the following. First, married couples may have different responses to dissimilarity between the partner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nationality of the couples. This indicates that cross-border marriage does not represent the same type of union in different societies or cultures. Second, both dissimilarities of age and education show negative impacts on the marital duration of the couples with foreign wive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pattern. Age dissimilarity displays higher impacts on the duration. Third,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dissimilarity of age and education on marital duration is relatively small among the couples with foreign husband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저출산 ‧ 인구고령화의 원인 : 결혼결정의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상호,이상헌 한국은행 2011 經濟分析 Vol.17 No.3

        본고는 시·도 패널 및 노동패널 자료분석을 통해 결혼건수와 초혼연령이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불안정성 및 주택마련비용이 결혼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환위기 이후 높아진 고용불안정성은 젊은 남녀의 결혼시장 참여를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용불안정성 확대는 결혼건수를 감소시키고 초혼연령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남성의 고용불안정성 증대에 따른 초혼연령 상승은 여성의 초혼연령 상승으로 이어졌다. 둘째, 주택가격의 상승은 결혼비용 증가를 초래해 남성들의 결혼시장 참여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marriages and the rise in the age of first marriage in Korea have been influenced by economic factors through the analyses of city and province penal; and labor and income panel data. To this end, we carry out empirical analyses, mainly focusing on the effects of employment instability and housing costs on marriag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harply growing instability in employment since the Korean currency crisis has led to a drop in marriage cases and a rise in the age of first marriage. Notably, a rise in the age at first marriage of males resulting from aggravating employment instability also pushes up the age of females at first marriage. Second, a hike in housing prices results in the increase in marriage costs, rendering more difficulty to males when they try to join the marriage market.

      • KCI등재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김두섭(Doo-Sub Kim)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1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제결혼이 연령과 교육수준이 동질적인 선택혼(positive assortative matching)의 형태로 이루어지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로 부부의 연령상이성과 교육상이성 지수를 계산하고, 이 지수들과 평균 결혼지속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미시수준에서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가 결혼만족도, 결혼지속기간과 이혼확률의 편차를 설명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과 교육수준 격차가 내국인 부부들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외국인 아내를 구하는 한국 남자들이 배우자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에 대해 보다 개방적이고 융통적일 것이라고 가정한 국제결혼개방성 가설(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이 지지되었다.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가 커질수록 결혼의 해체가능성이 높아지고 결혼지속기간이 짧아질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가설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들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pousal dissimilarity on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Utilizings micro-data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Multi-culture Family Surve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formation of transnational marriage generally involves positive assortative matching on age and education. Indices of age dissimilarity and educational dissimilarity are calculated for each country of origin of the foreign wife,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average duration of marriage are analyzed. This study also conducts a micro-level analysis of whether age and educational dissimilarity between spouses helps explain variations in marital duration and probability of getting divorced. Results show greater incidences of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among transnational couples, which supports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extant hypothesis that spousal dissimilarity increases the risk of marital dissolution and shortens the duration of marriage is not found to fit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 KCI등재

        장애여성들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결혼불안정성을 중심으로-

        박명숙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0

        This study explores of marital life of women with disability focusing on marital instability. For the study, 113 married women with disability were participated and structured instrument was used. The study results are followings. Respondents experience the financial and health problem as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their life and also they want social services of financial support and health care. Regarding marital instability, respondent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marital instability and also the risk of divorce was relatively high. This study examined that marital instability can be affected by the variables of type of marriage, severity of disability, and family income. The 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marital stability for women with disability and supports to their famil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본 연구는 장애여성들의 결혼생활 실태 및 이들의 결혼불안정성 수준을 살펴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혼 장애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결혼생활과 관련된 문제 및 욕구를 파악하고, 결혼불안정성 지수를 통해 이혼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장애여성들이 경험하는 가장 심각한 어려움 및 서비스 욕구는 경제적 영역과 의료적 영역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편, 장애여성들의 이혼경향성을 나타내는 결혼불안정성 지수(Marital Instability Index)에서 조사대상자들은 결혼생활에 문제가 있다거나 이혼이나 별거를 생각한 경우가 전체 응답자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이혼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이혼경향성 38%이상에 해당하는 조사대상자도 14.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결혼형태, 장애등급, 가구소득 요인에 따라 결혼불안정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여성들의 결혼안정성 강화 및 이들의 결혼생활에 대한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이에스더(Esther Lee),정혜정(Hyejeong Chung),고경자(kyungja k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년 이상 장기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남녀가 지각한 부부애착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혼남녀가 결혼생활을 지속하려는 요인이 되는 결혼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기혼 남자 149명, 여자 205명이며2022년 10월~12월까지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honbach, a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빈도, 백분율, 차이검증을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하였는데 사후 검증으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상대적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알아오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차이 검증에서 결혼안정성과 부부애착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부애착과 정서표현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혼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회피애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부애착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은 독립변인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기혼남녀의 결혼안정성 향상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등 상담현장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rital attachment on marriage stability in the recog-nition of marri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attachment and marriage stability to find ways how to improve. Methods Marriage stability to be one of factor to continue their marriage relationship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9 married male and 205 married female and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marriage stabilli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depending on relig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arital attach-ment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marriage stavility. And avoidance attach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on marriage stabillity. Finally,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 as a independe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attachment and marriage stability,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and practical data in the field of counseling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etc to improve marriage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