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황장애 환자의 결혼 불만족도가 증상 및 인지행동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최승미,최영희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4 인지행동치료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에 참가한 공황장애 환자 중 기혼자(남=25명, 여=27명)를 대상으로, 결혼 불만족도에 따른 공황장애 증상 및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결혼 불만족이 높은 집단(n=22)과 낮은 집단(n=30) 간에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전 임상적 특성에서는 결혼 불만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우울감을 보였다. 이에, 결혼불만족도에 따라 치료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울감의 효과를 배제한 후, 각 치료 전후의 임상적 특성과 결혼 불만족도 결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았다. 그 결과, 광장공포증 인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임상적 특성들은 결혼 불만족도에 따라 치료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치료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불만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치료 후 뚜렷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결혼 불만족도 수준에 따른 치료 효과의 차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치료 후 두 집단의 증상 수준을 비교한 결과, 결혼에 대한 불만족도가 낮았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공황장애 증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황 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가, 현재 공황장애 외에 생활사의 뚜렷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집단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호전을 가져온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결혼불만족 수준에 따라,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전반적인 증상의 감소에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결혼 불만족 수준의 치료에 대한 주요 예측 변인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influence of marital dissatisfaction on the outcom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in patients (men=25, women=27) with panic disorder who participated in CBT. For demographic dat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at scored low on marital dissatisfaction (L-GDS, n=30) and scored high (H-GDS, n=22). H-GDS group got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score in pre-treatment symptom severity. So, we explored which features in panic symptom had a interactional effect with marital dissatisfaction when except effect of depression severity difference. And then, it was found that their, all clinical features besides agoraphobic cognition, was a difference in treatment effect according to marital dissatisfaction.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both H-GDS and L-GDS group has improved in symptoms and L-GDS group showed lower level of panic symptom severity than H-GDS at post-treatment. The findings that patients who were also under the severe life stress could gain some benefit from CBT was supported by this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roving symptoms depending on the level of marital dissatisfaction. Therefore, the level of marital dissatisfaction could be a predictor for the outcome of CBT.

      • KCI등재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현자(Hyun Ja Seo),주은선(Eun seon Joo)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주부 396명을 대상으로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주부의 결혼불만족과 스트레스 반응 관계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밝혀 주부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포커싱적 태도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불만족과 행동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 및 정서적 스트레스 반응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혼불만족과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 요인 간의 상관에서는 체험과정 주의와 음미하기와 체험 지각하기에서만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행동, 신체,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포커싱적 태도 중 체험과정 주의와 음미하기, 체험과정 수용과 행동하기, 적절한 거리두기는 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험 지각하기는 결혼불만족과 행동적, 신체적 그리고 정서적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주부의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 체험 지각하기가 매개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향후 주부의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교육 및 다양한 활용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ousewives’ focusing manners on the effects of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 In addition, the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ocusing manner by sub-factor in the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stress reaction relationship in housewives to explore the method of using a more specific focusing manner with the aim of effectively reducing such stres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will have a relationship with stress reaction(behavioral, physical, emotional) and the sub-factors of focusing manners. Second, the focusing manner will mediate the effects of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396 moth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surveyed using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K-MSI), the Stress Reaction Scale, and the Korean Focusing Manner Scale(KFMS).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behavioral stress, as well as between physical stress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the focusing manner`s sub-contracto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among attention to the experience process, appreciation, and perceptions of experience. Second, the effects of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behavioral, physical, emotional), focusing manner, attention to the experience process and appreciation, acceptance of the experience process and behaving, and an appropriate distancing did not mediate. However, perceptions of experience significantl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behavioral,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s. Thus, it was found that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influenced stress reactions, as well as that perceptions of experience mediated that process. This study will include further follow-up studies on the education about and diverse uses of focusing manners in the effects of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

      • KCI등재

        불안정 성인애착과 결혼불만족 간의 관계: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최영아,박경 한국심리치료학회 2017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 성인애착과 결혼불만족 간의 관계에서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기혼 남녀 369명(남자 155, 여자 214)이며 성인애착 척도, 자기대상 척도, 정신화 척도, 결혼불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정애착인 애착불안과 애착회 피는 정신화 및 결혼불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불안정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자기대상과는 유의 한 부적 상관을, 자기대상은 정신화 및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정신화와 결혼만족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불안정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은 자기대상과 정신화를 각각 매개하여 결혼불만족에 영 향을 미쳤으나, 불안정애착이 자기대상과 정신화를 이중 매개하여 결혼 불만족에 미칠 것이라는 모형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불안정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은 결혼불만족에 자기대상과 정 신화를 매개하여 간접 경로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정애착이 결혼불만족으로 이어지는 과 정에서 자기대상경험과 정신화가 개입할 수 있는 주요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부부상 담에 적용하면, 상담자는 내담자가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자기대상 경험을 충분히 하고,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인식하고 조절하여 부부관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치료적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결혼불만족의 매개효과

        김혜원,유성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1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dult attachment and behaviors. Data was collected from 704 parental units with children ages of 3-5, and analyzed using the APIM mode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anxiety positively affected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Negative parental behaviors were 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paternal attachment avoidance; however, while maternal attachment avoidance positively affected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marital dissatisfaction, it had no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econd, parental adult attachment’s effect on their spouses' parenting behaviors was observed exclusively among father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해, 만 3∼5세 자녀의 부모 총 704쌍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APIM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부정양육행동과 긍정양육행동을 각각 독립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각각의 애착불안이 긍정양육행동에는 정서조절곤란을 완전매개로 혹은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영향을 미쳤고, 부정양육행동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정서조절곤란을 부분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애착회피도 긍정양육행동에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결혼불만족 혹은 정서조절곤란을 부분매개로 혹은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부정양육행동에는 정서조절곤란을 완전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어머니의 애착회피는 결혼불만족을 완전매개로 긍정양육행동에만 영향을 주었고, 부정양육행동에는 어떠한 직․간접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배우자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애착의 효과는 아버지들에게만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애착불안/회피가 어머니의 긍정양육행동에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과 어머니의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어머니의 부정양육행동에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우수등재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김남희(Kim, Nam 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1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 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 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 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 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 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 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 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 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 간 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resulting from marital dissatisfaction and loneliness is influenced by gender or size and composition of social capital. 714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40’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online research center with quota sampling based on demographical proportion. To analyze this research model,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verified that the loneliness moderated between marital dissatisfaction and SNS addiction.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is insignificant, comparison of competition model was able to determine if mediating effect was fully or partially shown. As a result, the complete mediated model was ultimately chosen because its various goodness-of-fit index including  performed fairly well. Second, the mediating effect which moderates social capital size was presented in the mediated model between the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Specifically, It implies that group who recognizes their social capital big recognizes the route and effect size more than that who considers their social capital small.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depending on different type of social capital among the marital dissatisfaction and loneliness and between SNS addiction was substantiated. It implies that disequilibration of SNS social capital in face-to-face sphere and in online acted as a danger fact with respect to the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김남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11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성별 및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대~40대 성인 기혼 남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로움이 높을 때 SNS중독의 위험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불만족과 SNS중독 간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가 유효한지, 이러한 모형이 개개인의 사회자본 크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통합적으로 검증한 결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형태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대면과 SNS 사회 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

        구현숙(Hyun-Suk Koo),문혜련(Hae-Lyun M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변인에 따른 결혼불만족도와 언어통제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불만족도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보다 바람직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할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13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32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가정내 월평균 소득)에 따른 결혼불만족도를 살펴보면, 연령, 학력, 가정 내 월평균 소득이 낮을수록 결혼불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인성 지향적 통제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다음으로 지위 지향적 통제, 명령 지향적 통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불만족도가 높은 어머니가 낮은 어머니보다 자녀에게 명령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을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즉,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는 자녀양육시 언어통제유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를 낮추고 자녀와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양 한 부부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속있게 실행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overall trend of verbal control style based on the mother’s personal variables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verbal control style based o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 aim is to help understand what kind of rol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plays in the interaction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re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promote more desirable verbal interaction. For the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322 mothers who have 5 year old children attending one of 13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with this data, a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program to find ou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implemen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marital satisfaction was examined based on mother’s personal variables (age, education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the lower are age, education level, and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marital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low. Second, regarding mother’s verbal control style, character-oriented control was used most frequently, to be followed by status-oriented control and order-oriented control in descending order. Third, mother wi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used more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to their children than mother with lower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e can infer from this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s important effects on verbal control style when rearing children. And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diverse conjugal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in earnest in order to enhanc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at can induce more desirable interaction with children.

      • KCI등재

        은퇴 남성의 은퇴스트레스, 성격 강점, 결혼불만족이 은퇴 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윤혜영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retirement stress, character strengths and marital dissatisfaction on depression.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and marital dissatisfaction. The participant group was composed of 197 retired men living in Daegu and Gyongsangbuk-do. The Retirement Stress Scale (RSS), Character Strengths Test (CST),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and Center for Epistemology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were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AMOS was use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increase in retirement stres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optimism significantly predicted higher depression. Als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ower levels of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without optimism significantly predicted higher depression. Furthermore, increases in marital dis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ird, the constructed model including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appeared to fit better than alternative model in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retirement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character strengths and marital dissatisfaction appeared to affect the depression levels of retired men directly and indirectly. To sum 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actors which had an effect on depression in retired men, character strengths and harmonious marital relationships appeared to act as a buffer against depression in retired men. The current results might serve as basic data for psychological well-being programs for retired men.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남성의 은퇴스트레스, 성격 강점, 결혼불만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성격 강점과 결혼불만족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은퇴스트레스가 우울감을 유발하는데 있어서 개인의 긍정적 성격특성과 결혼만족이라는 긍정적인 관계특성이 완충적 역할을 하는지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은퇴 남성 197명에게 은퇴스트레스 척도(RSS), 성격 강점 검사(CST),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MSI),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과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남성의 은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은퇴 남성의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 남성의 성격 강점 중 낙관성이 부족할수록 그리고 심미안이 높을수록 높은 우울 수준을 예견하였다. 또한 은퇴 남성의 결혼불만족이 높을수록 우울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은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성격 강점과 결혼불만족의 직접경로와 간접경로 모두를 포함하는 연구모형은 대안모형보다 더욱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즉, 성격 강점과 원만한 부부관계가 은퇴 이후 경험하는 남성들의 우울에 완충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은퇴 남성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제해결 단기상담 프로그램이 이혼위기 부부의 문제해결능력, 결혼불만족도 및 실제이혼에 미치는 효과

        박성주,박재황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문제해결 단기상담프로그램이 숙려기간의 이혼위기 부부의 문제해결능력과 결혼불만족도 및 실제이혼여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가정법원 및 가정상담소를 통하여 모집된 40쌍의 이혼위기 부부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20쌍과 통제집단 20쌍으로 하였으며, 6회기(1회 90분)로 총9시간 3주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D'Zurilla와 Nezu(1990)가 개발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SPSI)척도를 Maydeu-Olivares와 D'Zurilla(1996)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재개정한 개정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SPSI-R)척도를 최이순(2002)이 번안한 것과 이경성(2001)이 개발한 결혼 불만족 척도, 추후조사를 통해 부부의 이혼여부를 살펴보았으며,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검사 결과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이혼위기 부부의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긍정적 문제지향과 합리적 문제해결기술(문제정의와 공식화, 대안생성, 의사결정, 실행과 확인)이 향상되었으며, 부정적 문제지향과 충동-부주의적 반응양식, 회피적 반응양식이 감소하였다. 둘째, 이혼위기 부부간의 결혼불만족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이혼율에서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상담 및 치료적 개입에 시사하는 바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developed by Park(2008) upon thei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dissatisfaction of marriage and the decrease of divorce rate. The participants were 40 couples in crisis of divorce, 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ing of 6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9 hours, was implemented 2 sessions every week for 3 week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cale, the Dissatisfaction of Marriage Scale and the Practical Divorce Rat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ANCOVA of the SPSS 14.0 v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blem solving brief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upon enhancing the participants' score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cale and the Dissatisfaction of Marriage Scale, and the Practical Divorce Rat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 KCI등재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봉길(Bong Gil Park),전석균(Suk Kyoun Chu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영성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서 자살비율이 높은 4개 자치구에 거주하는 36세~55세 남·녀 631명이며, 조사도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년기 위기감 척도, 사회적 지지 및 영성적 지지 척도, 자살생각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년기 위기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서적 위기감과 결혼불만족이 높은 경우 자살생각이 높았다. 특히 중년기의 정서적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영성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영성적 지지가 정서적 위기감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완충적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적 지지가 결혼불만족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년기 자살예방을 모색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mid-life crisis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support which are the desirable buffering mechanism as protection factor for middle aged adults who experienced mid-life crisis in daily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31 middle aged adults in Seoul. The research tool is questionnaires which are consis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id-life crisis scale,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support scale, and suicidal ide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f the study, fact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id-life crisis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result illustrates the fact that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d-life crisis and suicidal ide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mid-life crisis increase the influence of suicidal ideation on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support. Using these findings, social work practice, in particular, can be guided in terms of an important strategies for middle aged suicidal preven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