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화된 결정적사건기법(ECIT)을 적용한 인문계 전공자의 성공적인 취업 및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 요인 탐색
안성식(Sungsik Ahn),윤형준(Hyung Joon Yo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교 인문계 전공자의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강화된 결정적사건기법(Enhanced Critical Incident Technique; ECIT)’을 사용하여 요인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문계 전공자의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관련된 도움 요인(Helping Factor), 인문계 전공자로서 타전공자에 비해 성공적인 취업이나 경력개발에 어려움이 되었던 저해 요인(Hindering Factor), 그리고 만약 실행했다면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더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희망사항 요인(Wish-list Factor)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연구참가자는 눈덩이표집방법을 통하여 총 17명을 섭외하여 사전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연구 참가 기준에 부합하는 참가자 12명을 선정하여 ECIT를 사용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2명의 인터뷰 축어록을 바탕으로 도움 요인, 저해 요인, 희망사항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도움이 되었던 요인은 총 13개, 타전공자에 비해 인문계 전공자로서 취업과 경력개발을 저해했던 요인 4개, 실행했다면 취업과 경력개발에 더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희망사항 요인 9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계 전공자를 위한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대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ed or might have affected the successful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of liberal arts graduat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we used the Enhanced Critical Incident Technique (ECIT). More specifically, we identified factors that helped them to secure employment and develop their careers, factors that hindered their job seeking and career development compared to graduates from other disciplines, and wish-list factors that might have been effective if they were present. Through snowball sampling, we recruited 17 participants and selected 12 participants who met a set of inclusion criteria examining screening survey results. By analyzing interview transcripts, we identified 13 helping factors, 4 hindering factors, and 9 wish-list items.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for liberal arts graduates based on the findings.
관광객의 안전 인식 구성 요인 탐색: 결정적 사건 기법(CIT)의 적용
박설,유재호,이계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6
안전은 아름다운 경관과 다양한 볼거리 등 관광자를 유인하기 위해 관광지의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관광 사업체와 정책 관계자는 관광객의 안전 인식을 구성하는 주요 요인들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관광자들의 주관적 안전인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결정적 사건 기법 (Critical Incident Technique)을 활용하여 관광객의 안전 인식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의필요성을 제기한다. 관광자의 안전 인식을 구성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총 211부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에 관한 사건수는 255건, 불안전에 관한 사건수는 133건을 수집하였고 코딩의 과정은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3단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자의 안전과 관련한 직접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CIT를 적용하여 안전 인식을 구성하는 5개 범주의 요인들과 총 26개의 하위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관광 안전이라는 주제에 CIT를 활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니고 전염병은 새롭게 도출된 범주이며 지역과 숙박시설에서 소음과 날씨가 새로운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어 관광자의 안전 인식을 구성하는 요소를 파악하는데 차별성 있고 깊이 있는 결과로 도출하였다. 지금까지 선행연구에 나타난 조사방법과 다른 CIT를 활용하여 관광자들의 인식 수준에 기억된 과거 경험을 토대로 안전에 대한 심층적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도출된 구성개념들과 하위 구성요소들을 바탕으로 양적연구에서 적용 할 척도를 구성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면 관광 안전과 관련한 주제에 활발하게 적용될 수있을 것이다.
음식점의 성공요인 vs. 실패요인 - 단골 및 방문 중단 음식점을 중심으로 결정적 사건기법(CIT) 활용 -
왕윤찬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to find out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restaurants, and is designed as a qualitative study on strengths, shortcomings and factors of overcoming shortcomings of the most visited restaurants and reasons for the suspension of visit to the restaurant no longer visit. The researcher had used a critical incident technique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had analyzed 257 parts excluding defects by surveying 288 people living in Korea with open-ended questions. As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erived eight critical strengths, ten critical shortcomings, seven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five critical failure factors.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taste, accessibility, price, mood & interior, quality, menu, competitive advantage, and critical failure factors are kindness, taste, cleanliness & hygiene, price, accessibility. The study is considered to ha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s the first qualitative research to categorize success factors of the most visited restaurants and failure factors of the stop-visit restaurants. 본 연구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음식점의 중요한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단골 음식점에 대해서는 강점, 단점, 단점극복요인(성공요인)을, 더 이상 방문하지 않는 음식점에 대해서는 그 이유(실패요인)를 결정적 사건기법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질적 연구로 설계하고, 전국에 거주하는 28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조사하여 불량을 제외한 257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맛, 가격 및 접근성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나, 분위기·인테리어, 메뉴, 질 및 경쟁우위(인내·대체불가)는 중요한 성공요인이고, 친절도와 청결·위생은 치명적인 실패요인으로 나타났다. 단골 음식점의 중요성공요인 중 맛과 질은 중요한 강점이어야 하지만, 가격, 접근성, 분위기·인테리어 및 메뉴는 중요한 단점인 경우라도 다른 대체 가능한 중요성공요인이 있거나, 주변 음식점과 비교하여 경쟁우위에 있으면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결정적 사건 기법과 품질관리기법을 활용하여 고객들을 대상으로 단골 음식점의 중요성공요인과 방문 중단 음식점의 중요실패요인을 도출한 최초의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이용한 소비자의 스마트 의류 경험에 대한 연구
이재경,이하경 한국의류산업학회 2023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5 No.3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diversifying the fashion industry by influencing both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roducts. Although various smart clothing technologies are beingdeveloped as part of the government's technology development policy, the number of smart clothing products availableto consumers in stores remains very limited.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nalyzes the key attributes of smart clothingas expressed in consumer language. The CIT (Critical Incident Technique) research method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potenti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developmentdirection or strategy of smart clothing. By classifying past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s smart clothing into positiveand negative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positive responses to smart clothing were heavily influenced by expectationsfrom technology and convenience. Participants' experience with smart technology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eval-uation of smart clothing. Consumers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s smart clothing expressed expectations for new ben-efits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dicated that they would consider purchasing such clothing in thefuture when design and technology improve. Ultimately, this study provides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smart clothing products in Korea by analyzing consumer experiences and acceptance conditions towards smart clothing.
결정적 사건기법을 적용한 대학생의 1인 미디어 소비자정보에 대한 반응 탐색: 유튜브를 중심으로
장은교,유교영,이진명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0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ressiv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on YouTube media and to find ways to improve personal media as useful consumer information. 44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nd data on the experience of using YouTub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As a result, the positive responses to personal media were derived from 'enhancing C2C information capabilities', 'consumer-centric usability', 'attractive information creators', 'a sense of the sameness', and 'fresh and entertaining information'. Negative responses were derived from 'spreading of harmful information', 'distrust in information creators', 'inducing excessive advertising and impulse buying', 'media addic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improvement of the personal media has been suggested. This study has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ce as a qualitative data for understanding consum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ersonal media.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정보로서의 유튜브 1인 미디어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상적인 경험을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 탐색하고, 유용한 소비자정로보서의 1인 미디어의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대학생 4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소비 맥락에서의 유튜브 이용 경험에 관한 자료를 결정적 사건기법을 적용하여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인 미디어에 대한 긍정적 반응으로는 ‘C2C 정보력 강화’, ‘소비자 중심적 사용성’, ‘매력적인 정보 크리에이터’, ‘공감대와 동류의식 형성’, ‘신선하고 유희적인 정보’가 도출되었고, 부정적 반응으로는 ‘유해정보의 확산’, ‘정보 크리에이터에 대한 불신’, ‘과도한 광고와 충동구매 유발’, ‘미디어 중독’, ‘상대적 박탈감’이 도출되었다. 대학생들은 1인 미디어 개선을 위해 ‘법·정책적 규제 도입’,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 ‘소비자 지향적 UI 개선’이 요구된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1인 미디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경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소비자 지향적인 1인 미디어의 방향을 제언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결정적 사건 기법을 이용한 소비자의 블랙 프라이데이 쇼핑 경험에 관한 연구 -미국 대학생 소비자의 응답을 중심으로-
심수인 ( Soo In Shim ) 복식문화학회 2014 복식문화연구 Vol.22 No.2
Black Friday, a biggest holiday shopping seas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regarded as a great opportunity that fashion retailers can dramatically increase their sale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attention to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n terms of consumer responses toward the experiences, shopping values, and any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The method of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with 198 critical incidents extracted from 165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s results, th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were categorized into positive vs· negative shopping experiences· After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e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wo common themes: utilitarian shopping value vs· hedonic shopping value· In addition to the common themes, 12 categories were also emerged· Among posi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wo categories of off-price shopping and shopping for expensive products, whereas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impulse buying, holiday atmosphere, and shopping for the latest or luxury brand products· Among nega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four categories of modest discounts, out of stock, time-consuming queues, and fatigue of holiday shopping, while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crowded environments, compulsive buying, and poorly managed stores· In conclusion, it is notable that consumer can undergo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이용한 노인스포츠지도사 연수과정 경험 및 개선사항 탐색
박석현(ParkSeok-hyun),원영신(WonYoung-shin),박상현(ParkSang-hyu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educational service factors through the use of CIT (Critical Incidents Technique),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techniques; It is aimed to present basic data so that the training can proceed. For this study, 505 trainees who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of the senior sports instructor were studi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sitive experiences of the trainees who have experienced the trainee training for the senior sports instructor, they were identified as five key factors, lecturer, education program,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stitute employee and site operation applicability. There were four factors in terms of negative experience: facility an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lecturer, and job application. The number of items on improvement of training course service for senior sports instructor were three: facility an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and site operation applicability.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스크린골프장 이용경험 및 서비스개선에 관한 연구
서이슬(SeoYee-seul),김지태(KimJi-tae),권재윤(KwonJae-yo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onsumer experience and service improvement factors in screen golf club by utilizing critical incidents technique which is the one of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selected 378 visi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creen golf game provided at the screen golf club and conducts research using CIT.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roduced based on the observation reliability of 3 independent researchers who has sports business and golf leisure tourism background. The result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creen golf club visitors’ positive experiences after the visit, pleasant environment, atmosphere, visual and auditory satisfaction, friendship, and experienc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creen golf club visitors’ negative experiences after the visit, system problems, facilities, hazy indoor air, noise and atmosphere.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measures to improve the screen golf club, indoor ventilation, smoking and drinking, facilities, safety, systems.
결정적 사건기법을 이용한 프리미엄 모빌리티 고객의 이용경험 구성요인 분석
정혜인,홍석표,정남호 한국지식경영학회 2024 지식경영연구 Vol.25 No.2
With the recent emergence of smart tourist cities, premium mobility is being considered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tourism.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conducted on the experience of premium mobility among its users. Accordingly, this study used CIT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the user experience of customers who used premium mobility. In order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premium mobility experience, 366 cases of satisfaction and 13 cases of dissatisfaction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273 online surveys. As a result of the study, based on the customer's experience using premium mobility, CIT was applied to derive 6 categories and 9 sub-factors that constitute the perception of premium mo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convenience was added as a new category out of the 6 categories, and wide ride comfort and high price were derived as new sub-factors among the 9 sub-factors. Because of this,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Therefore, if scales suitable for quantitative research are developed based on the derived constructs, they could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topics related to premium mobility in the tourism field.
외식업체의 고객참여행동과 고객시민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결정적 사건기법(CIT) 활용 -
차성미,김수연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8
For the service industry, the roles of customers are the essential element for the successful service delivery because of the service inseparability. This study aims to clarify customers’ participation behavior and citizenship behavior in the restaurant industry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CIT).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collect the customers’ narrative of those who have visited restaurants in 6 months. Classifications were conduct with 543 narrative. The element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include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sponsible behavior’. The elements of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include ‘helping’, ‘tolerance’, ‘feedback’, and ‘recomme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managing the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and citizenship behavior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industries, because service delivery is based on the interaction.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프로세스에서 고객이 부분적 종사원으로 서비스 성과에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고객의 참여행동과 시민행동 본질적인 차원과 구성개념을 찾아내고자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결정적 사건기법(CIT: critical incidents technique)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구성하고, 최근 6개월 이내 외식업체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고객참여행동과 고객시민행동의 경험을 직접 서술하도록 하였다. 두 차례의 사전조사를 토대로 질문지를 수정하고 2015년 7월 15일부터 2015년 7월 23일까지 총 2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형식의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중 200명의 응답자가 작성한 고객참여행동 316개, 고객시민행동 227개의 총 543개의 경험을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4회의 재검토 및 재분류 작업을 통하여 자료를 분류한 결과, 고객참여행동은 3개의 상위 요소, 10개의 하위요소, 고객시민행동은 4개의 상위요소, 8개의 하위요소로 각각 분류되었다. 고객참여행동은 ‘정보탐색행동’(157건, 49.7%), ‘정보전달행동’(137건, 43.4%), ‘책임행동’(22건, 6.9%)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고객시민행동은 ‘도움’(79건, 34.8%), ‘인내’(40건, 17.65), ‘피드백’(82건, 36.1%), ‘추천’(26건, 11.5%)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외식 분야의 고객참여행동과 고객시민행동의 다양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효과적인 고객관리전략을 세우는 데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