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결장운동에서 Peptide YY의 작용기전

        최기원 ( Ki Won Choi ),윤세진 ( Sei Jin Youn ),한정호 ( Joung Ho Han ),전원중 ( Won Joong Jeon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2

        목적: Peptide YY (PYY)는 장관에서 작용이 다양하며 운동에 미치는 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관류가 유지되고 혈관 및 신경이 보존된 상태의 흰쥐 결장을 이용하여, PYY가 결장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위치에 따른 차이 및 그 작용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장간막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PYY를 12 pM, 60 pM, 240pM을 단계적으로 동맥을 통해 투여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별 약물투여 시 운동지수를 계산하여 백분율 변화로 표시하였다. 억제 실험은 근위부는 240 pM의 PYY 투여 때와 비교하였고, 먼저 phentolamine, propranolol, hexamethonium, atropine, tetrodotoxin 각각을 관류시킨 후 PYY를 같이 투여하면서 운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PYY를 12, 60, 240 pM 농도로 순서대로 투여할 때 근위부 결장에서 수축지수는 각각 22.53±6.12, 27.31±6.07, 33.93±8.55%이었고, 원위부 결장에서 수축지수는 각각 6.74±4.45, 37.79±11.53, 52.77±11.36%로 기저치에 비해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에서 모두 수축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장 수축지수의 증가 정도는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원위부에서는 주입된 PYY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축지수가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PYY (240 pM)에 의해 증가되는 결장운동은 atropine, propranolol, tetrodotoxin 전처치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지만(p<0.05), phentolamine과 hexamethonium 전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PYY는 흰쥐 결장운동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결장 평활근 수축 촉진 작용은 무스카린수용체를 통한 콜린성 신경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성 신경의 국지적인 영향 하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Aims: The mechanism by which peptide YY (PYY) stimulates colonic motility has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YY`s mechanism of action on isolated rat colon. Methods: An isolated rat colon was perfused with Krebs solution via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After a basal period, PYY was administered at concentrations of 12, 60 and 240 pM, respectively, and the intraluminal pressures were then monitored. After a pre-infusion of phentolamine, propranolol, hexamethonium, atropine, and tetrodotoxin, PYY was infused at a concentration of 240 pM and the pressures were then monitored. The contractile response was expressed as the % changes of the motility indices over the basal rates. Results: The colonic mot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concentration of PYY of 12, 60 and 240 pM at the proximal colon (22.53±6.12%, 27.31±6.07%, and 33.93±8.55%, respectively) and the distal colon (6.74±4.45%, 37.79±11.53%, and 52.77±11.36%, respectively). PYY displayed a dose-dependent increment on distal colonic motility. The stimulatory effect of PYY was almost completely abolished by a pre-treatment with atropine, propranolol, and tetrodotoxin; However, the effect of PYY was not inhibited by hexamethonium and phentolamine. Conclusions: PYY increased the colonic motility, and the stimulatory action of PYY requires local cholinergic input via the muscarinic receptors or adrenergic input via the beta-receptor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42-151)

      • KCI등재

        조선시대 사족 여성 決杖 논의의 사회적 함의

        박경(Park Kyoung)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8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士族여성 決杖논의에 반영된 사회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에서 형률로 이용하던 『대명률』에서는 여성 범죄자의 도형이나 유형은 收贖하도록 했지만 장형은 실제로 집행하도록 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사족 여성의 태형과 장형은 실제로 집행하지 않고 수속하거나 다른 형벌로 대치하는 것이 관례였다. 그런데 투기로 여종을 살해한 여성은 결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고, 1691년(숙종 17)에는 이 경우 종루에서 결장하고 정배하도록 한 수교가 반포되었다. 남편과 통정한 여종을 사사로이 고문하여 살해한 사안은 주인이 종을 살해한 사건이기 때문에 일반 살인 사건에 비해 가볍게 단죄되었으며, 照律하면 장 60 도 1년에 해당되었다. 그런데 왕의 최종 판결 단계에서 관례에 따라 장형을 수속해야 할지 실제로 집행해야 할지가 논의 대상이 되었다. 장형의 실제 집행에 반대했던 관료들은 사족에 대한 예우와 더불어 여성의 節義를 보호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이에 대응하여 투기로 여종을 살해한 경우에 한해서는 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관료들은 이 행위가 남편을 업신여긴 강상을 무너뜨린 행위라는 논리를 내세웠다. 결장 반대 논리가 신분 질서와 여성의 절의와 같은 조선의 사회질서 유지에 중요하게 여겨졌던 요소들을 바탕으로 한 주장이었기 때문에 결장해야 한다는 주장에서도 여종을 고문하고 살해한 잔혹한 행위 자체보다는 유교 이념에 기반한 부처 관계 윤리를 내세움으로써 그들의 주장을 관철하고자 했던 것이다. 결국 투기로 여종을 살해한 여성을 결장하도록 한 판결이 내려지고, 법제화되기에 이른 것은 조선의 지배층들이 刑政을 통해 부계 중심적 가족질서에 반하는 행위를 심각한 범죄로 취급함으로써 여성들이 이 질서에 순응하도록 강력하게 주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사족 여성의 결장을 반대하는 주장이 조선 사회 유지에 필요한 가치에 근거하고 있었기에 숙종대 수교가 반포된 이후에도 이 원칙은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19세기 초에는 사족 외의 여성들의 결장에도 신중해야 한다는 인식이 나타나게 되기도 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 on the corporeal punishment of elite wo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Great Ming Code (『大明律』) that served as Joseon’s criminal law stipulated that, for female criminals, fines be collected in place of sentences of penal servitude or exile (a practice called suseok (收贖)). Yet in reality, beatings with a heavy stick were administered to women. But in the case of elite women, the substitution of beatings with either the light or heavy stick for fines or other punishments remained customary. Eventually however, some began to argue that women who killed female servants out of jealousy should be punished corporeally, and in 1691 (Sukjong 17), one such woman was punished corporeally at the capital bell tower and exiled by royal proclamation. The case of a woman’s privately torturing and killing a female servant who had been involved in an extramarital affair with her husband was a matter of an owner killing a servant. As such, it tended to be punished lightly relative to other homicides—were an investigating official to apply relevant laws, the sentence would fall within the ‘60 strokes of beating with the heavy stick and 1 year of exile’ category. But once this matter came before the king, whether follow custom in substituting the sentence’s beatings for fines or other punishments, or whether to break with custom and proceed with the beatings became the subject of debate. The officials opposed to the beatings rooted their argument in the logic that both the privilege of the elite and the chastity of women needed to be protected. On the other hand, those officials favoring the application of beatings in the limited case of a woman’s jealousy-induced murder of a female servant countered that this act was one of derogating the husband and violating the constant bonds (綱常). The argument against proceeding with the beatings was one based upon status order and female chastity—elements considered critical to the maintenance of Joseon’s social order. In this light, it was because the argument for enforcing the beatings eschewed a focus on the cruelty of the torture and murder involved in the act in favor of advancing a vision of husband-wife relations rooted in Confucian ideology that it proved so persuasive. Ultimately, that the royal proclamation to punish corporeally the woman who had killed a female servant out of jealousy was handed down and became part of Joseon law reflects the process by which Joseon’s ruling elite used penal administration to treat as serious crimes actions that opposed the patriarchal family order they had constructed, and in so doing demanded—by force—women’s accommodation.

      • SCIESCOPUSKCI등재

        흰쥐 결장운동에서 5-Hydroxytryptamine4 (5-HT4) Receptor Partial Agonist (Tegaserod)의 작용기전

        김미성 ( Mi Sung Kim ),고병성 ( Byeong Seong Ko ),오석진 ( Seok Jin Oh ),한정호 ( Joung Ho Han ),전원중 ( Won Joong Jeon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1

        목적 : 5-Hydroxytrypatmine4 (5-HT4) 수용체의 부분적 촉진제인 테가세로드(Tegaserod, Tega)는 연동반사를 자극하고 개의 소장 및 대장의 운동성과 통과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흰쥐에서 혈류와 장내 신경이 온전히 유지된 채 결장을 분리한 실험모델을 사용하여 Tega가 결장운동에 미치는 영향 및 작용기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상장간막 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Tega 10, 70, 140과 1400 pM을 단계적으로 동맥에 투여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별 운동지수를 계산하여 기저치의 운동지수에 대한 %변화인 수축반응으로 표시하였다. 이후 억제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140 pM의 Tega 를 투여하였을 때와 비교하였고 phentolamine, propranolol, hexamethonium, atropine (ATR)과 tetrodotoxin (TTX)를 각각 전처치 후 Tega를 함께 관류시켜 운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Tega를 10, 70, 140, 1400 pM의 다양한 농도로 각각 주입하였을 때 근위부 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40±20.17, 101±92.43, 122±120.57, 101±89.05%, 원위부 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20±22.05, 73±41.47, 93±75.45, 73±54.91%로 근위부 및 원위부 결장 모두 기저기의 결장운동과 비교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근위부와 원위부를 비교하였을 때 근위부에서 원위부보다 운동지수의 증가가 더 강력하였다. 또한 특히 원위부에서는 10 pM에서 140 pM까지 농도-의존적인 운동지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p<0.05). Tega에 의한 결장운동 증가효과는 ATR에 의해 억제 되었으나 TTX, propranolol, phentolamine과 hexamethonium의 전처치 후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 Tega는 근위부 및 원위부 결장 운동을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작용은 TTX-민감성 신경전도와 관련 없이 직접 국소적 콜린동작성 무스카린 수용체를 통해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s/Aim: A 5-Hydroxytrypatmine4 (5-HT4) partial agonist, Tegaserod (Tega), stimulated the peristaltic reflex in vitro and increases canine intestinal and colonic motility and transi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tion mechanism of Tega on colonic motility using a vascularly perfused rat colon. Methods: Thirty three Sprague-Dawley rat colons with attached superior mesenteric arteries (SMA) were isolated. Tega was administered to SMA and the intraluminal pressures were monitor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of them. Phentolamine, propranolol, hexamethonium, atropine (ATR) or tetrodotoxin (TTX), 140 of pM Tega administered and the pressures were monitored. Results: Contractile respons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Tega at concentrations of 10, 70, 140 and 1400 pM in the proximal colon (40±20.17, 101±92.43, 122±120.57 and 101±89.05%, respectively) and in the distal colon (20±22.05, 73±41.47, 93±75.45 and 73±54.91%, respectively)(p<0.05). In particular, the stimulating effects of Tega on colonic motility were more potent in the proximal colon than in the distal colon. In addition the motility of the distal colon was increased by Tega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s of 10, 70 and 140 pM (P<0.05). The effect of Tega was inhibited by ATR but not by other drugs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Conclusions: Tega increased colonic motility in vascularly perfused rat colon. The activation of the muscarinic receptor rather than by TTX-senstive nerve conduction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excitatory effect of Tega on colonic motility in rats.

      • KCI등재

        신라와 고려의 형률 운용과 계승성

        한영화(Han, younghwa)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0

        신라 중고기부터 이루어진 당제의 적극적 수용은 신라의 중앙집권적 귀족관료체제를 성립시키는 데에 중요한 축이 되었다. 신라는 중대를 거치면서 이루어진 율령격식의 개정과 예제의 정비를 통해 중앙에서 지방에 이르는 수직적 상하질서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왕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적 관계에서 가장 중죄가 되었던 것은 군주권에 대한 도전인 모반대역죄였다. 신라 중·하대의 모반대역죄는 대부분 “伏誅”되었는데, 이는 율에 입각한 처벌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지해형이나 거열형과 같은 율 외적인 처벌도 행해지고 있어, 운용에 있어서는 다양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함은 중·하대의 신라율이 당률을 참고했다하더라도 신라의 전통이 형률에 반영되었던 사정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한편 고려는 체제 개편과 정비의 과정에서 당의 제도를 참작했음을 표방하였지만, 그 기저에는 신라와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악역·불효죄에 대해 신라에서는 하늘에 의해 처벌받은 사례가 있었는데, 이는 법적인 이해보다는 보편적인 천벌의 이해가 앞섰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려에서는 악역·불효죄에 대한 처벌로 기시형에 처해졌던 사례들이 있었다. 기시형에 처해졌던 것은 율 외적인 처벌이기는 하나 효에 관련된 범죄에 대해 경각심과 예방효과를 증폭시키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신라 중·하대에서 고려 시기에 걸쳐 유교적 효 윤리가 강조, 확산됨에 따라 법적 처벌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율과 고려율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는 결장배류형이다. 결장배류형은 사형의 대체형인 유형에 장형이 가중된 처벌로, 율 외적인 형벌이었다. 이미 신라에서는 당의 결장배류형을 수용하여 시행했던 예를 찾을 수 있으며, 고려에서도 전시기에 걸쳐 시행되었다. 사실상 고려의 결장배류형의 시행은 신라에서 선행되었던 결장배류형의 연장이었으며, 당에서 행해진 법의 운용과도 연관성을 가진 것이었다. 신라 중·하대와 고려 초의 형률은 기본적으로 당률의 적용, 변용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신라 중·하대의 율령이 중고기의 ‘율령’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향점을 찾아나갔던 것처럼 고려 초의 형률 또한 기존의 신라율을 극복하고 새로운 체계를 만들어가는 과제를 안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신라율과 고려율은 당률이라는 하나의 계통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신라율은 중고기의 율을, 고려율은 신라율을 계승, 변용하는 과정을 겪게 되었던 것이다. Since 6th century, active acceptance of state system of the Tang Dynasty was an important axis used to establish a centralized bureaucratic system of Silla. And then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the revision of the law was continuously done as its institutional regulations. In addition, the ritual system(禮制) of China accepted at this time played an important part to reinforce the vertical order status that is based on the Confucian ideology. The most serious crime was treason felony(謀反大逆罪) that challenge for the throne in the vertical relationships to center the King. In the middle and later period of Silla, treason felony was punished with “bokju(伏誅)”, and it was based on the penal code. But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punishment was done outside the penal code such as mutilation punishment, so it confirmed the gap between executions based on a code and actual cases. This was literally carried the punishment of the traditional way. Although the penal code of Silla referred to the penal code of Tang, it shows the circumstances that the tradition of Silla society was reflected in the penal code. Goryeo advocated a consideration for the system of Tang in the process of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But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had been made from the Silla was an undeniable fact. It took a look at the continuity and succession between Silla and Goryeo through disobedient felony(不孝) and Exile after Flogging.(決杖配流) As Silla had a transformation of the penal code of Tang based on the traditional social order and values, Goryeo also developed the penal code of Goryeo while succession to the Silla and transformation by of the penal code of Tang. In conclusion, the penal code of Silla and Goryeo had a succession to the penal code of Tang and also contained traditional character of their society.

      • 위암 환자에서 위 절제술 후 결장 간치술

        이준현,허훈,전해명,김욱,Lee, Jun-Hyun,Hur, Hoon,Jeon, Hae-Myung,Kim, Woo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위암으로 위 절제 후 저장능 감소와 흡수장애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장 또는 결장을 이용한 간치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술기상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빈도가 높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위 절제 후 결장 간치술의 경험을 분석하여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1년간 시행된 결장 간치술 30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결과, 위 배출시간 및 몸무게 변화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상행결장이 25예, 횡행결장이 5예 간치되었고, 평균 수술 시간은 373분(204~600), 출혈양은 486 ml (200~1,000)였다. 평균 암종의 크기는 4.5 cm (1~10.5), 절제된 림프절수는 31개(17~48), 근위부 절제연은 3.8 cm (0.5~8), 재원기간은 18.2일(10~40)이었다. 수술 후 9예(30%)에서 합병증이 발생되었고, 췌장 농양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1명(3.3%)이 사망하였다. 추적 기간 중 문제가 된 자각 증상은 음식 저류로 인한 소화불량으로, 위 내시경 검사상 음식저류로 검사에 지장이 있었던 환자는 15명(50%)이었다. 체중 감소율은 전 절제, 근위부 절제, 원위부 절제로 나누었을 때 수술 후 6개월에 16.3%, 14.0%, 8.8%였으나 점자 회복되어 5년째에는 8.1%, 7.5%, 5.6%였다. 결론: 비록 대상수가 적지만 결장 간치술은 문합부가 많아 수술시간이 길고 복잡한 술식으로 30%의 이환율을 보였으며, 수술 후 음식저류가 흔하였고 환자들의 체중 회복도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장 간치술은 위암 환자에게 위 절제 후 적용될 수 있는 재건 술식인지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Purpose: For most surgeons, colon interposition after gastrectomy remains an infrequently performed procedure because of its complex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ts technical feasibility and safety as a post-gastrectomy reconstruction method by reviewing our experience with colon inter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1 to February 2002, 30 colon interpositions after-gastrectomy were done with using the ileo-ascending or transverse colon.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he surgical outcomes. Results: There were 16 males and 14 females in this study with a mean age of 67.5 years (range: 31 to 76 years). Twenty-five ascending colons and 5 transverse colons were used for the interposition, respectively. The mean operation time was 373 minutes (range: 204 to 600 minutes). There were 9 operative morbidities (30%) and 1 operative mortality. The restoration of bowel motility was noted at 3.8 postoperative days; a soft diet was started at 4.9 postoperative days and the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was 18.2 days. The percentage of weight loss in the patients with total, proximal and distal gastrectomy was 16.3%, 14.0% and 8.8%, respectively, at 6 months, and thereafter the weight loss gradually recovered as 8.1%, 7.5% and 5.6%, respectively, at 5 years postoperatively. Gastric stasis was the one of the most meaningful long-term complications, and especially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distal gastrectomy with colon interposition. Conclusion: Colon interposition after gastrectomy was a very complex procedure with a long operating time and many anastomosis sites. The postoperative outcomes failed to achieve satisfactory weight gain and the patients displayed postprandial symptoms. This suggested that this procedure was not an appropriate procedure for conventional reconstruction after gastrectomy.

      • 위암 환자에서 위 절제술 후 결장 간치술

        이준현,허훈,전해명,김욱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4

        목적: 위암으로 위 절제 후 저장능 감소와 흡수장애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장 또는 결장을 이용한 간치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술기상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빈도가 높 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위 절제 후 결장 간치술의 경험을 분석하여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1년간 시행된 결장 간치술 30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결과, 위 배출시 간 및 몸무게 변화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상행결장이 25예, 횡행결장이 5예 간치되었고, 평균 수술 시간은 373분(204∼600), 출혈양은 486 ml (200∼1,000) 였다. 평균 암종의 크기는 4.5 cm (1∼10.5), 절제된 림프절 수는 31개(17∼48), 근위부 절제연은 3.8 cm (0.5∼8), 재원기 간은 18.2일(10∼40)이었다. 수술 후 9예(30%)에서 합병증이 발생되었고, 췌장 농양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1명(3.3%)이 사 망하였다. 추적 기간 중 문제가 된 자각 증상은 음식 저류 로 인한 소화불량으로, 위 내시경 검사상 음식저류로 검사 에 지장이 있었던 환자는 15명(50%)이었다. 체중 감소율은 전 절제, 근위부 절제, 원위부 절제로 나누었을 때 수술 후 6개월에 16.3%, 14.0%, 8.8%였으나 점자 회복되어 5년째 에는 8.1%, 7.5%, 5.6%였다. 결론: 비록 대상수가 적지만 결장 간치술은 문합부가 많 아 수술시간이 길고 복잡한 술식으로 30%의 이환율을 보 였으며, 수술 후 음식저류가 흔하였고 환자들의 체중 회복 도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장 간치술은 위암 환자 에게 위 절제 후 적용될 수 있는 재건 술식인지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 SCOPUSKCI등재

        위막성 대장염에서 S상 결장내시경과 대변 C. difficile 독소검사의 유용성 비교

        이진광 ( Jin Kwang Lee ),조주연 ( Joo Yeon Cho ),김유선 ( You Sun Kim ),김성은 ( Seong Eun Kim ),류수형 ( Soo Hyung Ryu ),이정환 ( Jung Whan Lee ),문정섭 ( Jeong Seop Moon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1

        목적: CDAD의 진단을 위한 gold standard는 세포배양 세포독성법으로 알려져 있고 임상적으로는 효소면역법에 의한 대변 cytotoxin-A 검사가 가장 흔히 사용되어 왔다. 반면에 S상 결장내시경은 침습적이고 비싸며 민감도가 낮아 그 역할이 제한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항생제 사용 증가와 함께 CDAD가 발생 빈도뿐만 아니라 중증도도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CDAD 중 위막성 대장염이나 전격성 대장염과 같은 좀 더 중증의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에서는 보다 신속한 진단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CDAD 중 증상이 비교적 심한 위막성 대장염에서 현재 진단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C. difficile cytotoxin-A에 대한 ELISA법과 비교하여 굴곡성 S상 결장내시경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5년 4월까지 1년 동안 서울백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 CDAD가 의심되어 소화기내과로 의뢰된 28예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여 대상 환자의 연령, 임상 양상과 사용한 항생제의 종류 및 기간, 그리고 S상 결장내시경과 대변 C. difficile cytotoxin-A 검사 결과 및 소요 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위막성 대장염은 60세 이상의 장년층 이상에서 호발하였고 설사, 복통, 미열 등의 임상 양상을 보였으며 심한 경우에는 복수나 흉수를 동반하기도 하였다. S상 결장내시경에서 위막성 대장염 소견을 보였으나 대변 cytotoxin-A assay 검사가 음성의 결과를 보인 경우가 많아 대변 cytotoxin-A assay의 진단율은 36.8%로, 굴곡성 S상 결장내시경의 73.6%에 비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대변 cytotoxin-A assay 검사를 외부로 의뢰하는 경우 진단이 평균 4.7일로 지연되었다. 결론: 최근 항생제의 사용 증가와 더불어 CDAD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그 중증도도 증가하고 있어 신속한 진단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에서 위막성 대장염을 포함한 CDAD의 진단에 대변 cytotoxin-A 검사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이의 진단율이 낮고 외부에 의뢰하는 경우 진단이 상당히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S상 결장내시경이 위막성 대장염과 같이 임상적 증상이 심한 CDAD의 진단에 유용할 것이다. Background/Aims: Stool cytotoxin-A assay has been used clinically and commonly for diagnosis of C.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However,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CDAD show increasing tendency with frequent use of antibiotics, rapid diagnosis is required for severe CDAD. Therefore, we compared diagnostic value of sigmoidoscopy with that of stool cytotoxin-A assay for diagnosis of pseudomembranous colitis (PMC). Method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04 to April 2005, a total of 28 cases of suspected CDAD were analyzed prospectively. Both flexible sigmoidoscopy and enzyme immunoassay for stool cytotoxin-A assay were performed and compared with diagnostic yield. The clinical manifestation and used antibiotics were analyzed. Results: The PMC was developed frequently in old age and had clinical symptoms such as diarrhea, abdominal pain and mild fever. The diagnostic yield of stool cytotoxin-A assay was 36.8% while the sigmoidoscopy was 73.6% without significance. With the stool cytotoxin-A assay, the diagnosis for CDAD including PMC was delayed to mean 4.7 days. Conclusions: With increasing use of antibiotics,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CDAD were increasing. The rapid diagnosis by sigmoidoscopy is more helpful to management of severe CDAD such as PMC than stool cytotoxin-A assay. (Intest Res 2005;3:61-67)

      • KCI등재

        N2 Nodal Stage의 결장직장암에서 재발에 대한 위험 인자

        정주원(Joo-Won Jeong),이철민(Chul-Min Lee),이승현(Seung-Hyun Lee),안병권(Byung-Kwon Ahn),백승언(Sung-Uhn Baek)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2

        배경 : 결장직장암에서 림프절 전이 여부와 정도는 근치적 수술 후 발생하는 재발 및 전이를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결장직장암의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인 경우에서 임상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따른 수술 후 재발 및 전이 여부를 조사하여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결장 및 직장의 원발성 선암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은 675명의 환자 중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인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연령, 수술 전 암태아성항원, 종양의 위치, 종양의 크기 및 병기, 병리적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인 환자 중 근치적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는 총 87명이었다. 성별 분포는 남자 43명, 여자 4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0.3세(34~86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결장 25예, 직장 62예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5.8cm(2.0~19cm)이었다. TNM 병기 중 T병기는 T2, T3, T4가 각각 1예, 80예, 6예이었으며, 수술 후 획득된 림프절 수는 평균 21.1개(7~110개)였다. 추적 관찰 기간은 평균 30.5개월(5~48개월)이었으며, 이 중 재발 및 전이를 보인 경우는 34예(39.1%)였다. 성별, 종양의 크기, 수술 전 암태아성항원, 림프절 전이 비율, 종양 세포의 혈관 침습, 림프관 침습, 신경 침습 분포에 따른 재발 및 전이 여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 stage인 결장직장암에서 재발 및 전이에 대한 임상적 및 병리적 위험 인자를 찾을 수 없었다. 향후 대규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면역화학적 혹은 유전자적 인자의 관련 여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in colorectal cancers with four or more lymph node metastasis (N2 stage). Material and Method : From 2004, Jan to 2006, Dec, a total of 675 patients with colorectal adenocarcinoma were underwent surgery in our hospital. One hundred thirty patients with N2 stage were selected for retrospective review with medical records. Clinicopatholotic factors, such as sex, age, preoperative CEA, tumor location, tumor size, tumor differentiation, T-stage, were studied. Results : Of the 130 patients, eighty-seven patients were underwent radical surgery for colorectal adenocaricinoma. Mean age was 60.6(34-86 years). Tumors were located in the colon, 25 patients and the rectum 62 patients. Mean tumor size was 5.8 (2.0-19cm). With TNM classification, T2, T3, T4 were 1, 80, 6 patients, respectively. Mea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 was 21.1(7-110). Mean follow-up period was 30.5 (5-48 months). Recurrence was identified in 34 patients (39.1%). According to tumor differentiation, recurrence rate was 36.8% of well and moderate differentiation, 54.5% of poor differentiation (p=0.327). Recurrence rate was 37.5% in T3 stage, and 66.7% in T4 stage (p=0.267). Conclusions : Recurrence rat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with N2 stage after radical surgery.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isk factor for recurrence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with N2 stage.

      • KCI등재

        결장암과의 감별을 필요로 한 Henoch-Schönlein 자반증의 결장 침범 1예

        박승훈,김진오,김현건,이태희,김완중,홍성욱,전성곤,진소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5

        Henoch-Schönlein purpura is the most common form of systemic vasculitis in children but occurs rarely in adults. Henoch-Schönlein purpura has characteristic features of a purpuric skin rash, abdominal pain, arthralgia, and abnormal urinary findings. Gastrointestinal tract involvement is characterized by abdominal pain and gastrointestinal bleeding.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Henoch-Schönlein purpura with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mimicking colon cancer in a 41-year-old female who complained of erythematous macules, arthralgia, and abdominal pain. The initial colonoscopic findings and computed tomographs failed to rule out colon cancer, but serial endoscopic examination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revealed colonic involvement of Henoch-Schönlein purpura. Henoch-Schönlein 자반증은 비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소화기 증상 및 관절통, 사구체 신염 등의 전신 증상을 나타내는 전신 과민성 혈관염의 일종이다. 원인은 분명치 않으나 약물, 세균에 대한 과민성 등의 관여로 추측하고 최근에는 면역 복합체에 의한 면역 기전으로 설명한다. 위장관 증상은 환자의 70% 에서 나타나고 주로 복통과 장출혈이 특징적이나 대량의 장출혈, 장괴사, 장천공, 장중첩증 등 외과 치료를 요하는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주된 장관 침범 부위는 소장이지만 식도, 위, 대장 등 장관 어느 곳도 침범 가능하다. 저자 등은 최근 복통, 관절통, 하지의 홍반으로 내원한 환자의 대장내시경검사에서 결장에 돌출성 종괴가 확인되어 Henoch-Schönlein 자반증의 결장침범과 결장암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였던 증례를 경험하여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SCIESCOPUSKCI등재

        선천성 거대결장증이 의심되는 12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직장-항문 억제반사(Recto-anal inhibitory reflex)의 진단적 유용성 -선천성 거대결장증에서 직장-항문 억제반사의 진단적 유용성-

        정수진 ( Su Jin Jeong ),서정기 ( Jeong Kee Se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3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9 No.1

        목적 : 선천성 거대결장증이 의심되는 신생아 및 어린 영아에서는 대장의 확대가 뚜렷하지 않아 이행부위를 명확히 발견하여 진단하는 것이 쉽지 않고 직장 압력 검사상 직장-항문 억제반사의 유무에 따른 진단적 정확도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증상으로 선천성 거대 결장증이 의심되는 12개월 미만의 어린 영아에서 이행부위와 직장-항문 억제반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5월부터 2002년 7월까지 Background/Aims: It is difficult to clinically distinguish infants with Hirschsprung disease (HD) from those with other causes of intestinal obstruction. Therefore, reliable and safe diagnostic procedures are particularly necessary in infants with early 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