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의 검정 전환에 대한 델파이 조사

        차경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2

        정부의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교육부, 2018)’과 관련하여 초등 3~6학년의 사회, 수학, 과학과의 검정 전환이 확정된 가운데 국어과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의 검정 전환 가능성과 타당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과용도서의 집필, 검정, 발행에 참여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의 검정 전환 타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중, 1차 조사에서는 헌법 정신 및 교육적 중립성, 교육과정 구현에 있어서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의 적절성과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다수의 전문가들은 교육과정 해석의 자율성과 다양성 추구 면에서 현재의 국정 발행 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국어과의 역량 계발 및 다양한 제재를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성,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적용이나 학습자 개별화 평가와 관련하여 검정 제도가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1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조사에서는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를 검정으전환하기에 적절한 시점, 교과용도서 선정과 개발의 고려 사항 등 초등 교과용도서의 검정 제도로의 전환 시 대두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전문가들은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를 검정으로 전환한다면, 차기 개정 교육과정 고시부터 조속히 전환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검정 전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가 검정으로 전환될 경우, 단위 학교에서의 교과용도서 선정과 관련된 문제, 교육과정에 대한 과잉·과소 해석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그 해결 방안으로 교과용도서 안내(홍보) 자료 제공, 교육과정 해설 자료, 집필 기준 및 검정 기준의 개발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for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 To this e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 experts. The first Delphi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lated to the current common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blems with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the 2nd Delphi survey was organized mainly on the problems that could arise when the system was switched to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including the timing of the transition of 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and matters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their solut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xperts negatively perceived the role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 system in relation to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neutrality.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various materials, the application of various and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and the individualized evaluation of learners,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develops better textbooks than the government publication system. In addition, experts say that if the system of textbook publication is switch to authorization system, it should be changed immediately from the next revised curriculum. However, despite the validity of such conversion, many experts pointed out problem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textbooks at a school and over/under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may occur. As a solution, specific measure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extbook guide (publicity) materials, curriculum explanatory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publication standards and authorization standards were proposed.

      • KCI등재

        통감부 시기 교과서 검정제도와 독본교과서 검정 청원본 분석

        김소영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3 No.-

        A Reader for Elementary School and a Reader for Children were textbooks that applied for textbook screen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Regulations on the Textbook Screening” in September 1908. In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could be confirmed by analyzing the screening copies of both textbooks. First, the fact that textbooks were screened by “Regulations on the Textbook Screening” was found out. Next, the subject in charge of the actual textbook screening was Japanese censor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of Japan was in a continuous line from the residency-general to th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how to apply criteria of textbook screening to textbook screening by analyzing the revision and deletion requests of censor and revision proposals recorded in the screening copies of A Reader for Elementary School and a Reader for Children. In the case of Reader for Elementary School, it was the ethics that the censor requested the most revisions and deletions, followed by science, daily life, and tale in terms of materials. Looking at it again according to the subject, terms, and expressions,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requests for correction or deletion of all units, expressions, and terms dealing with subjects such as the loyalty, patriotism, military, nation, and independence. The censor also ordered the revision or deletion of expressions or terms related to the nation, monarchs, and the military in a Reader for Children. Examining the reasons for the revision and deletion according to the three screening standards suggested by the censor, A Reader for Elementary School and a Reader for Children. have ‘problems’ in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aspects, respective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d a policy to rectify and supplement the problems of educational standards. However, it set up the policy of controlling the contents of promoting loyalty, patriot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by defining them as problematic textbooks, in other words ‘political textbooks’. A Reader for Elementary School and a Reader for Children were also not allowed to use textbooks after they were approved in accordance with these criteria. 초등학독본과 유치독본은 1908년 9월, 「교과용도서검정규정」 반포 이후학부에 검정 청원을 했던 교과서였다. 본 연구는 두 교과서의 검정 청원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밝혔다. 먼저 1908년 9월 학부에서 반포한 「교과용도서검정규정」에 따라 실제 교과서 검정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실제 교과서 검정을 담당한 주체가 학부의 일본인 사열원이었으며, 일본의 식민교육정책이 통감부시기부터 식민지 시기까지 연속선상에 있었다는 것이다. 또 초등학독본과 유치독본검정 청원본에 기록된 사열원의 수정, 삭제 요구와 수정 제시문을 분석하여 교과서검정 기준을 실제로 교과서 검정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파악했다. 초등학독본의경우 제재상 사열원이 가장 많은 수정과 삭제를 요구했던 것은 수신이었고, 다음으로는 이과, 일상생활, 설화 순이었으며, 이를 다시 주제, 용어, 표현에 따라 살펴보면충군, 애국, 군사, 국가, 독립 등의 주제를 다룬 단원이나 표현, 용어가 포함된 기술에대해 빠짐없이 수정 또는 삭제 요구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열원은 유치독본에서도 국가, 군주, 군사와 관련된 표현이나 용어에 대해 수정이나 삭제를 지시했다. 이와 같은 사열원의 수정, 삭제 요구와 이유를 학부가 제시한 세 가지 검정 기준에따라 다시 살펴보면 초등학독본과 유치독본은 각각 정치적 방면과 교육적 방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학부는 교육적 기준의 문제에 대해서는 수정을지시하여 보완하게 한다는 방침이었지만 충군애국심, 국가의식,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정치적 방면의 기준에서 문제가 있는 교과서, 즉 “정치적 교과서” 로 규정하여 엄격하게 통제한다는 방침을 세웠던 것이다. 초등학독본과 유치독본도 이러한 교과서 검정 기준에 따라 검정을 받은 후 교과서 사용이 불허되었던것이다.

      • KCI등재

        통감부시기 역사교과서 편찬과 교과서 검정제 - 『初等本國略史』 검정청원본과 출판본 분석을 중심으로 -

        김소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硏究 Vol.- No.92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dure of textbook screening, the application of textbook screening criteria and what has changed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textbook by analyzing final publication and the screening copy of a Chodeung-bonkuk-ryaksa(Elementary Condensed History of Our Country) written by Park Jeong-dong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Regulations on the Textbook Screening” in September 1908. Chodeung-bonkuk-ryaksa, accepted Japanese arguments on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Japan in a friendly way, and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s cooperation rather than conflict or confrontation. This textbook was authorized to be used and be published after modifying only a few points pointed out by Japanese censor, which means there was nothing that could be a critical ‘problem’ in the ‘political criteria.’ However, after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in 1910, even this textbook was banned from being used as the approval was invalidated, and education of their own history by Koreans was no longer possible. 본 연구는 1908년 8월 「교과용도서검정규정」이 제정, 반포된 후 박정동이 저술한 『초등본국약사』의 검정청원본을 분석하여 교과서 검정 과정과 검정 기준이 실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종 출판본과 비교하여 학부 검정을 거치며 책의 구성이나 내용면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초등본국약사』는 사열원이 지적한 몇 가지 사항만을 수정하고 교과서 사용 및 출판이 허가되었는데, 이는 검정청원본 단계부터 자기 검열을 통해 내용을 서술하여 검정 기준, 특히 한일관계나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이나 표현, 반일 감정을 고취하는 내용의 유무를 판단하는 ‘정치적 기준’에서 크게 ‘문제’가 될 만한 것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초등본국약사』와 유사한 분량과 시대 하한으로 당대사를 서술 했던 현채의 『동국사략』, 유근의 『신찬초등역사』 등과 비교했을 때 『동국사략』은 일본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애국심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하는 서술로 인해 검정과 검열 후 발매와 반포를 금지 당했다. 반면 『초등본국약사』와 『신찬초등역사』는 일본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일본의 주장을 그대로 수용하여 우호적으로 서술하고, 한일관계를 갈등이나 대립이 아닌 협력의 관계로 설명했다. 이처럼 『초등본국약사』, 『초등대동역사』, 『신찬초등역사』와 같 이 통감부가 교과서 검정제를 실시한 의도와 목적에 부합하는 역사교과서만이 검정을 통과하여 교육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었다. 하지만 1910년 국권 상실 이후 이러한 교과서들마저도 검정 무효화되면서 사용이 금지되었고, 한국인에 의한 자국사 교육도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국어교육과 교과서 ; 국어 교과서 정책의 현황과 과제

        박진용 ( Jin Yong Park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최근 들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바뀌고 있다.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변화와 혁신이 소정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준비와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교과서 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국어 교과서 정책의 현황 및 쟁점을 짚어보고 앞으로의 방향과 과제를 살펴본다. 정부는 민간의 자율과 창의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질 높은 교과용 도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의 교과서 정책이 많은 성과를 내었지만 다양하고 질 높은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교과서 정책 시행이 필요하다. 그리고 민간의 자율과 창의를 제약하지 않는 질 관리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국어과 교과용 도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의 흐름에 따라 크고 작은 변화를 겪으며 국정 도서, 검정 도서, 인정 도서 등으로 개발되어 왔다. 향후 질 높은 국어과 교과용 도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과용 도서 구분 고시의 원칙과 기준을 명확하게 수립하고, 국어 교과 내적 논리에 기반하여 교과용 도서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저작자 및 발행사가 출원한 심사본은 교과서 검정을 통하여 교과용 도서로서의 지위를 얻게 된다. 교과서 검정은 교과용 도서로서의 적합성을 판정하는 절차이다. 그 동안 교과서 검정은 전문적이고 엄정한 심사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그렇지만 검정 심사의 절차와 방법 측면, 검정 준거 자료 측면 등에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 Recentl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xtbook policy have shown the rapid change. In order to expect the successful results of the change, there would be the preparation and efforts to be followed in the chang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textbook poli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t conducted as follows:1) it identi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ontroversial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policy:2) it presented the new direction of the textbook policy and the solutions to be solved. The government intends to develop various textbooks with high quality. It has showed the outcomes to some degre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more systematic and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textbook policy.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seek plans to control the quality of the textbooks without restriction of autonomy and creativity of textbook developers.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as government-copyrighted, government-authorized, and government-approv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xtbook policy. They need to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internal rationale by establishing the principles of the categorization.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are supposed to get authorization from the government after strict evaluation processes.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has been improved so far;however, there should be mor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procedures, processes, and standards.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검정제 전환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 조사: G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재호 ( Lee Jae Ho ),김하연 ( Kim Ha Ye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검정제 전환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법이며, 연구 대상은 G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05명의 예비 교사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초등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검정제 전환에 대한 인식 일반, 찬반 여부, 기대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EXCEL 2013 및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빈도 분석 및 신뢰도 검증(Chronbach 알파)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과용 도서 발행 체제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초등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검정제 전환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고르게 나타났다. 예비 교사는 검정제 전환이 학습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찬성하나, 집필자의 주관이나 정치적 신념이 반영될 가능성을 우려하여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초등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검정제 전환이 교육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교사 양성 과정에서 예비 교사에게 교과서 발행 체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고, 가치·규범을 다루는 도덕 교과의 성격과 내용을 고려하여 우수한 교과용 도서를 선정할 수 있는 안목과 역량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version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into an authorizing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205 pre-service teacher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rather low understanding of the textbook publishing system. In particular, there were even pros and cons on the change in the approval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moral education. As for the transition to an authorizing system, pre-service teachers were found to be in favor of it in that it could reflect various perspectives on l earning topics, or opposed it out of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author’s supervision or political beliefs might be reflected. According to the study, it was necessary to promot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textbook publishing system in the course of teacher training, and to enhance the insight and ability to select excellent textbooks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moral teaching department dealing with values and norms.

      • KCI등재후보

        한일합병 전후 교과서 검정을 통한 한문과 교과서 개발 억제 실태 연구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본고는 한일합병 전후 시기의 한문과 교과서들에 대한 탄압의 배경과 상황 그리고 탄압의 결과가 한문과 발전 역사에 끼친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고구할 목적하에 집필되었다. 처음부터 일본인들은 기본적으로 한국 학교에서의 한문과 교육을 실시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당시 한국 내 정황상 한문과 교육이 불가피하였으므로 한문과를 독립 · 존속시키고 학부에서 한문독본용 교과서를 제작하여 보급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잠시 후 漢文科를 국어과와 통합하여 國語及漢文科로 변경시키고 활발하게 개발되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던 한문과 교과서를 대대적으로 탄압하였다. 敎科用圖書檢定規程을 발표한 시점을 전후하여 민간과 단체들이 제작하였거나 혹은 중국 등 외부로부터 수입한 교과서들의 내용을 면밀히 조사하여 교과서들의 내용이 정치적으로 일본 측에 비판적이거나 적대적인 것은 모두 사용을 금지시켰다. 한문과 교과서는 수신과, 국어과, 역사과 교과서들과 함께 집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새롭게 개발하여 사용하던 한문과 교과서는 예외 없이 사용이 금지되었다. 모든 교과서의 검정 진행 결과를 기록하고 있는 『敎科用圖書一覽』에 의하면 한일합병 직전에는 그나마 6-7종의 교과서들은 사용이 허가되었는데 이들은 전통적인 명문장들을 모은 것이거나[고문약선, 문장지남, 한문학교과서 등] 아니면 문법 교육용 교과서[초등작문법]와 기독교계 학교에서 사용하던 수입 교재[초학계제, 회도몽학과본]들에 국한된 것이었다. 통감부와 조선총독부는 이처럼 새롭게 개발된 교과서들을 철저히 탄압하는 대신 논어 맹자 등 四書類를 비롯한 전통 교재들은 모두 검정을 통과시키고 있다. 이는 한문과의 교육 내용을 다시 유교의 경전들로 회귀시킴으로써 정치적으로 지방 유림의 반발을 무마하고 한문 학습을 이용한 신지식 획득이나 정치의식 고양을 막고자 하는 일본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결국 1906년 이후 한문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과 시대에 기여할 수 있는 교과로서의 의미를 지닌 교과로 발전해가던 한문과의 노력은 좌절되었고 한문과 교과서들이 다시 중세의 교재들로 회귀하는 형국이 되고 만 것이다. 이러한 굴절의 역사는 한문과의 정체성을 복고적인 것으로 고정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survey banned situation of development in Chinese textbook from Japan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Before Korea-Japan annexation, Japanese authorities was reluctant to permit Korea`s Chinese education to students due to social context and public opinion. Since then, they changed Chinese department into Korean including Chinese. Also Chinese department minimized and was restricted to Chinese textbook. They presented a provision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to Korean. Systematically, they forbade Chinese textbook to provide for students. Particularly they banned textbook from China and made in publics and organization. They insisted they ban Chinese textbooks because of political threatening ideas 『Gyogwayongdoseoilram』in Joseon government-general shows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in these days. This book covered the process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At first, they allowed textbook in private organization to use partially. After all they banned all Chinese textbooks. Instead they permitted Confucian scriptures like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Works of Mencius」 to use. This caused local Confucianists to put down against Korea-Japan annexation. After making Chinese department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1906, survey of direction in Chinese department were frustrated. Outgrowing needs in identity of Chinese department were banned. Contents in Chinese department were restored medieval scriptures. This caused publics to recognize Chinese department as a reactionary subject.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의 검정 전환에 대한 타당성 연구

        이인태 ( Lee In-tae ),김상범 ( Kim Sang-bum ),장유정 ( Chang Yu-je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1

        이 연구는 초등 도덕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의 검정 전환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발행 제도 전환의 타당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전문가들은 초등 도덕과 교과용도서의 발행 제도를 검정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전문가들은 검정 전환 정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필요한 방안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for elementary moral textbook. To this end, we used the Delphi survey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30 experts. As a result of the survey, experts positively evaluated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In addition, experts suggested measures necessary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 KCI등재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字形확정 기준 및 자형(字形)수정 양상

        金永玉 ( Young Og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본 논문은 2000년에 조정되고 공표되어 현재 한문 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字形확정 기준을 검토하고, 2000년 이후 진행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 수정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은 2000년에 조정되어 공표된 후, 2002년의『교과서 편수 자료』에서 수정되었으며, 또 2007년의 『2007년 개정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에서 수정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상에서 제시한 자형 확정 기준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에 따라 진행하였던 한자 자형의 수정 양상을 검토하였다. 2000년에 공표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의 확정 기준은 ``한자의 자형은 본체 자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강희자전』의 자형을 기준으로 하되 현재 널리 통용되는 자형을 고려한다.``였으며, 2007년의 『2007년 개정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검정기준』에서는 이를 일부 수정하여 ``『강희자전』의 자형을 기본으로 한다.``라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즉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확정의 기준은 『강희자전(康熙字典)』의 正字자형을 기본으로 한다는 것이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에서는 『강희자전』의 正字자형을 기준으로 한다는 원칙에 의거하여 기존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을 조정하면서 10개의 한자 자형에 대한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한 결과, 『강희자전』의 정자로 조정한다는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는 ``강(强)→강(强), 량(凉)→량(凉), 절(絶)→절(絶), 린(隣)→린(隣), 희(戱)→희(戱), 백(栢)→백(柏), 토(兎)→ 토(兎)``이고, 부합되지 않는 경우는 ``자(姉)→ 자(姉), 황(況) →황(況)``이며, ``장(奬) → 장(奬)``의 조정은 기존 ``기초 한자``의 자형을 오인하고 제시한 것이었다.``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는 한자 한문의 교수 학습에서 가장 기본이 된다. 그러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확정의 기준과 이에 따라 수정하여제시한 자형에 여전히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한자 자형 학습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확정 기준에 대한 검토와 그것을 표준적으로 적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riteria for decision on shapes of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he aspect in which the shapes of characters were amended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the main subject, the materials after 2000 when the criteria for decision on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were looked into and, on the basis of the materials, the aspects, in which shapes of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were modified,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eria for decision on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was primarily based on the shapes of Kangxizidian(康熙字典) block letters from 2010 to the present. After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were reported in 2000, they were modified and proposed in 2002 and 2007. Especially, in 2007, partial shapes of the existing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were modified and proposed in the shapes of Kangxizidian of block letters.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character shapes between 2000 and 2007 was mutually compared and the aspects of changes in character shape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shapes in 2007 did not tak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 shapes modified and proposed in 2002 and a part of the character shapes modified and proposed did not accord with the criteria for decision on the character shapes.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is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most basic foundation in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erefore, the examination of the criteria for decision on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study on applying them on a normative basis would be necessary to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교과용 도서 선정과 관련한 교사들의 의사결정 탐색

        한채린,임웅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 Vol.6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decision-making and related factors in the elementary textbook adoption process. Our participants include 296 elementary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mathematics textbook (grades 3 and 4) adoption committees in his/her schools. Our study used the decision-making model of Shavelson and Stern (1981) for analyzing teacher beliefs and attitudes concerning choices and priorities, judgments, evaluation methods, and key factors to reviewing and selecting a mathematics textbook. Our discussion includes teacher beliefs and intentions and the way they come into conflict with determin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of textbook adoption. Findings also reveal the uniqu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as generalists in contrast with secondary teachers as specialist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the adoption process. Lastly, the study discusses the entanglements of textbook reform and explains the discrepancy between textbook authorization/approval policies versus the plight of little change (and innovation) in mathematics textbooks. 이 연구는 검정 도서로 전환된 초등학교 3~4학년 수학 교과용 도서를 선정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을 조사하였다. 개별 학교에서 수학 교과용 도서선정에 참여한 296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havelson과 Stern (1981)의 의사결정 모델에 따라 수학 교과용 도서와 관련한이들의 신념, 도서를 평가하는 판단 기준으로서 도서 내·외적 요인,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1) 평소 신념과 실제 교과서 선정 의사결정 요소가 상충하는 현상, (2) 다교과 수업 업무에서 기인하는 의사결정 요소, (3) 교과서의 다양성을 추구하는이상적인 정책과 차별성 없는 교과서에 안주하는 학교 현장 간의 괴리 현상 등 새로운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 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김성룡,박정우,신애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22년부터 국정 발행체제에서검정 발행체제로 전환되는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용도서의 창의·융합 활동에 나타난 STEAM 요소와 융합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창의·융합 활동이 제시된 6종의 초등학교 과학 3∼4학년 교과서를선정하여 각 출판사별, 학년-학기별, 과학 분야별로 창의·융합 활동에 나타난 STEAM 요소를 분석하고 각출판사별로 융합유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창의·융합 활동에 나타난STEAM 요소의 전체 빈도와 각 요소별 비율이 출판사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출판사에서 과학(S)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요소 중 예술(A) 요소의 비율이 높고, 수학(M) 요소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경향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으로 융합된STEAM 요소의 수가 많을수록 교과서에 나타나는 비율은 낮았고, STEAM 요소의 융합유형 비율은 출판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매 학년-학기별로 예술(A) 요소, 기술(T), 공학(E) 요소의 비율 편차는 크지않았으나 수학(M) 요소의 비율 편차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분야에는 기술(T)과 공학(E) 요소가 많이 나타난 반면 ‘지구와 우주’, ‘생명’, 그리고 ‘통합’ 분야에는 예술(A) 요소가 매우 많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