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믿음의 수련: 걷기

        김정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ppropriate and effective models of spiritual practices today by receiving wisdom and insights which derive from the exploration of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Various walking traditions of Christianity have been taking crucial roles in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and practiced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the needs of culture and circumstance of different periods. Although some walking traditions faced periods of decline, Christians today became interested in the spirituality of walking. Moreover, scientific emphasis and praise on walking helped people becoming aware of the benefit of walking as an holistic activity for all human beings and let them engage in their walking practice. In this context, I explore four distinctive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Stations of the Cross, Peregrinatio, Labyrinth, and El Camino de Santiago de Compostela. From this exploration, I present wisdom and insights to find out more effective and appropriate walking spiritual practices for Christians today.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show concrete ways to follow Jesus Christ who came on earth as an exile and fulfilled the will of God. As a bodily prayer, walking prayer helps us to holistically experience the presence of God and be present and maintain inner silence. Also,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give consolation for those who live their lives as exiles or immigrants, and provide wisdom for us to appropriately respond to something new, strange, or different that come toward us. These walking practices are open to everyone and people can simply approach to the practices. Thus, if Christians use the walking practices, or at least some parts of them, they can deepen their Christian spirituality and follow the way of Jesus who asks us to love our neighbors as ourselves. 이 논문은 기독교 걷기 전통의 탐구하고 그로부터 지혜와 통찰을 얻어 현대에 적합한 영성훈련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독교의 영성형성에 있어서 걷기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각 시대와 문화와 정황에 따라 다양한 영성훈련의 형태로 행해져 왔다. 비록 몇몇 기독교 걷기 전통은 각각 쇠퇴의 시기를 겪기도 하였으나 현대에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걷기의 영성에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게다가 21세기의 걷기 자체에 대한 과학적 강조와 예찬은 기독교인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걷기를 전인적인 유익을 주는 활동으로 인식하게 하였으며 그들을 걷기의 자리로 이끌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기독교 영성사에 나타난 네 가지 대표적인 걷기의 전통인 십자가의 길(Stations of the Cross), 페레그리나치오(Peregrinatio), 래버린스(Labyrinth), 산티아고 순례(El Camino de Santiago de compostela)를 탐구한다. 나아가 이 기독교 걷기 전통들이 오늘날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어떤 통찰과 지혜를 주는지 살펴봄을 통해서 현대에 기독교인들에게 효과적인 걷기 영성훈련법을 모색한다. 기독교 걷기 기도는 이 땅에 이방인으로 오셔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신 예수님을 따르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걷기 기도는 몸으로 하는 기도로서 우리로 하여금 전인적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게 하며 현존과 내적 고요함을 돕는다. 또한 기독교 걷기 전통은 세계화 시대에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위로를 주며 우리에게 다가오는 낯섦, 새로움, 다름에 더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지혜를 전해준다. 이 전통들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으며 어느 곳에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기독교 걷기 전통들을, 혹은 그 요소들을, 현대적인 걷기 기도훈련으로 사용한다면 기독교 영성을 더욱 풍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 자신과 같이 이웃을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길을 효과적으로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 걷기실천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은 지역에 따라 다른가?

        이효영,손지혜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연구배경] 최근 건강행태 및 건강결과들의 격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2008년부터 시행한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전국 시·군·구 단위의 건강행태 및 건강 수준에 대 한 대표 통계를 생산 중이며, 이를 통해 지역 간 건강격차를 확인하고 있으며, B시도 여러 가지 건강지표에서 격 차를 보이고 있으며, 그중 걷기실천율은 2015년에서 2020년 30%가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 간 건강격차 연구의 일환으로 B시의 2015-2020년 걷기실천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지속적으로 걷기실천율이 높은 S구와 지속적으로 낮은 N구의 걷기실천율과 관련된 요인 의 비교를 하고자 한다. 두 지역의 걷기실천율의 차이를 가져오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의 걷기실천율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두 지역의 걷기실천율에 영향을 주는 요 인 중 사회경제적 요인만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지역사회건강조사 2015년~2020년의 6개년 자료를 분석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구의 5,454명관 N구의 5,460명이며,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성별, 연령대, 주택유형, 1인가구여부, 가 구월소득, 교육수준, 혼인상태, 종사상지위, 직업분류에 따른 걷기실천율을 파악하였다. 분석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술통계 및 X2과 F-test를 통해 관련성을 파악하였고, 걷기실천여부에 따라 관련요인의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 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기본적으로 B시 전체의 남성이 여성에 비해 걷기실천율이 높았고, 두 지역 모두 남성이 걷기실천율이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나 동일한 패턴을 보였다. 또한 가장 걷기실천율이 낮은 연령대는 N구는 60대, S구는 20대가 낮아 다르게 나타났다. B시 전체에서는 1인가구의 걷기실천율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1 인 가구의 걷기실천율이 두 지역 모두 낮게 나타나, 두 지역 모두 같은 패턴을 보였다. 주택유형에 따라서는 두 지역은 주택유형에 따른 걷기실천율은 정반대로 나타나 S구는 아파트에 사는 사람의 걷기실천율이 높은 반면, N 구는 일반주택에 사는 사람의 걷기실천율이 높게 나왔다. 걷기실천율이 높았던 S구에서는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 을 보이는 가구도 걷기실천율이 높았으나, 걷기실천율이 낮은 지역으로 확인되었던 N구는 100만원 미만의 저소 득가구의 걷기실천율이 가장 낮았다. N구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걷기실천율이 높아졌으나, 원래 걷기실천 율이 지속적으로 높았던 S구의 경우는 초등학교이하의 졸업자의 경우도 걷기실천율이 높았다. 혼인상태에 따라서 는 두 구 모두 미혼이 걷기실천율이 가장 낮게 나왔다. 걷기실천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은 지역에 따 라 다르게 나타나, 지역사회 중재를 하는 경우에는 지역마다의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잘 살펴 표적집단을 설정시 주의를 다해야 할 것이다. 또한 N구의 걷기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성, 60대, 1인 가구, 미혼자, 아파트 거주 자, 저소득자의 걷기실천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맨발걷기에 대한 연구동향 및 추후 연구과제

        이숙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1 뇌교육연구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barefoot walking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effect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walking exercise and walking meditation. The number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barefoot walking was a total of 17 studies, with 9 for elementary school and adolescents and 8 for adults. There were many pre- and post-comparison studies comparing barefoot and running shoes groups. The results are first, that barefoot walking has an effect of improving concentration and exercise, and is helpful for emotional stability. Second, walking exercise, walking meditation, and barefoot walking are helpful in maintaining health. features all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Barefoot walking includes and and meditation, so it can prove its effectiveness. Barefoot walking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exercise and meditation method by adding the effects of blood circulation and release of active oxygen. As a suggestion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it is suggested to expand the target audience. Second, a program of more than 12 weeks is suggested. Third, a barefoot walking meditation program is suggested. 본 연구는 맨발걷기의 효과성을 파악하고 걷기운동과 걷기명상의 특징, 효과, 장단 점 등을 알아보고자 그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맨발걷기 관련 선행 연구 수는 총 17편으로 초등·청소년 대상 9편, 성인대상 8편으로 맨발과 운동화그룹을 비교한 사전·사후 비교연구가 많았다. 결과는 첫째, 맨발걷기는 집 중력 향상 효과와 운동 효과가 있으며 정서안정에 도움이 된다. 둘째, 걷기운동과 걷기 명상, 맨발걷기는 지속적으로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맨발걷기는 걷기운동과 명상의 특징, 효과를 다 포함하고 있어 그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다. 맨땅 맨발걷기는 혈액순환과 활성산소배출의 효과를 더해 효과적인 운동 및 명상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대상자를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12주 이상의 프로그램을 제언하다. 셋째, 맨발걷기 명상 프로그램을 제언한다.

      • KCI등재

        걷기 운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홍보도구 적용이 지역주민의 걷기 실천율에 미친 영향

        배윤정 ( Yoon Jung Bae ),이용수 ( Yong Soo Lee ),이인영 ( In Young Lee ),조성억 ( Sung Euk Cho ),이운용 ( Woon Yong Lee ),최은수 ( Eun Soo Choi ),임은정 ( Eun Jung Im ),이대택 ( Dae Taek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1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지역주민의 걷기 활성화 사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주민들의 반응을 조사하고 그들의 변화과정을 평가하는데 있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구들이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도구들의 적용에 따라 지역주민의 걷기시작률, 지속률 그리고 걷기운동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보다 긍정적 효과를 꾀하기 위한 사업 계획이 논의되었다. 사업 추진 방법으로는 : ① 걷기운동 참여에 대한 의지확인-걷기선포식 진행 및 걷기참여 서약서작성, ② 동기유발-걷기대회 참여, 걷기 기록지 배부, 걷기 동아리 구성 ③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홍보활동-포스터 및 유인물 제작, 그리고 ④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제시 및 운동량에 관한 정보제공-걷기코스 지도와 칼로리 계산판 설치 등이 계획되었다. 적용 대상의 홍보도구 접촉률은 홍보전단지(118명/36.5%), 표지판(99명/30.7%), 기타(57명/17.7%), 선포식(22명/6.8%), 기록지(14명/4.3%), 동아리(13명/4.0%)의 순으로 나타났다. 걷기코스지도 및 칼로리 계산판, 걷기 선포식과 걷기 서약식은 대상 아파트와 통제아파트 간 시작률, 지속률 그리고 인식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1), 걷기 기록지 작성 과 걷기 동아리 활동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걷기 포스터 및 유인물이 걷기에 대한 시작률, 지속 률, 인식률에 미친 영향은 약 40%의 수준이었다. 적용대상과 통제대상 간 포스터 및 유인물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이러한 홍보도구의 적용은 지역 주민들을 운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한 것으로 평가되어진다. This case report informed a surveyed response of community residents to walking campaign aiming promotion for participating in walking exercises and evaluated changes of those population by the campaign. To achieve the goal, various campaign tools were employed, and the effect of those tools on initiation rate, continuation rate, and recognition rate to the walking exercise in the residen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one apartment complex was selected as a target group and one other complex was chosen for a control. Subsequently, a prospective tactic for the project of walking exercise in the community was discussed. The project was proceeded as ① confirmation of participatory willingness: proclamation for participation and signing a written pledge, ② motivation: participation in walking campaign, distribution of walking record-sheet, formation of walking exercise club, ③ publicity for continuous participation: posters and pamphlets, and ④ providing information facilitating participation: posting area map and caloric expenditure calculation board. The residents have been contacted more with the distributed pamphlet (36.5%, n=118) and the posted board 30.7% (n=99) followed by proclamation events (6.8%, n=22), record-sheet (4.3%, n=14), and walking exercise club (4.0%, n=13). The walking course map, calorie calculation board, proclamation events, and signing a written pledge was much effective in target group than th control (p<0.01). The record sheet and club formation were also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 <0.01). The effect of posters and pamphlets on initiation, continuation, and recognition rates were 40%, and it was different between groups (p<0.01). An application of these campaign tools appeared to lead the residents to walking exercise.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유람 기록에 나타난 걷기의 양상 - 유람시문의 체험기술에서 ‘정적(靜的) 걷기’를 중심으로 -

        신영진(ShinYoung-ji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이 연구는 조선시대 유람의 과정에서 행해진 여러 가지 형태의 걷기체험을 연구의 소재로 삼아 기본적인 신체의 생명활동으로서의 걷기를 인간의 몸, 몸을 둘러싼 환경, 몸과 시간성이라는 포괄적 관점에서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걷기 표현은 어떠한 용어로 구체화되었는지를 살피고, 걷는 사람의 몸의 관점에서 걷기체험은 어떠한 의미를 가져왔으며, 걷기는 어떠한 방식으로 체험되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조선시대의 유람시를 중심으로 한 유람기록의 검색과 종합,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이를 통하여 확인한 조선시대 유람에서의 걷기체험 양상 중 정적 걷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선비들이 체험한 정적(靜的) 걷기는 ‘움직임 안에서 고요함을 찾는(動中靜)’ 걷기의 양상이었다. 둘째, 조선시대의 선비들이 체험한 정적 걷기의 체험을 사용빈도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면 배회(徘徊), 소요(逍遙), 방황(彷徨), 산보(散步), 방랑(放浪), 산책(散策), 방양(彷?), 유보(遊步) 등의 표현어들로 묘사되었다. 셋째, 정적 걷기의 전반적인 특징은 자연 속에서 호흡하고 노닐며 자연의 움직임에 동화하고자 한 ‘자연의 몸’을 지향하는 걷기 양상이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experience of walking in trave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the walking as the fundamental human life activity is examined in a comprehensive view including the human body, environment, and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explored what kind of terminology is expressed for walking, and searched for what it means to have a walk experience and how it was experienced in a walk in the Joseon Dynasty. The method of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search, synthesis, and analysis of the travel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ing on slow walking type in the travel poetry expression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walking experie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ravels were as follows. First, the slow walking experience of the Joseon Dynasty was the aspect of walking in ‘search of calmness in motion(動中靜)’. Second, the expressions of slow walking experience arranged in order of frequency of use were Baehoe(徘徊), Soyo(逍遙), Banghwang(彷徨), Sanbo(散步), Bangrang(放浪), Sanchaeck(散策), Bangyang(彷?), Yubo(遊步), etc. Third,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slow walking was the aspect of walking toward ‘the body of nature' which is to breathe and enjoy in nature and to assimilate to the movement of nature.

      • KCI우수등재

        걷기여행자의 편익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지영(Ji Young Moon),이훈(Hoon Lee) 한국관광학회 2024 관광학연구 Vol.48 No.1

        Globally, the number of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walking tours is continuously growing. However, besides some quantifiable outcomes or characteristics, little is known about the ultimate benefits or goals that tourists seek through walking tours. Particularly, a comprehensive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ultimate benefits pursued by walking tourists (e.g.,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ir happiness is achiev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s of walking tourism and happiness,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 of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Walking Tourism Status Survey Repor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9) which surveyed 1,040 individuals who had experienced walking tourism in the previous year. The survey participants evaluated the benefits,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happiness associated with their walking tourism experi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health, social, and self-discovery benefits from walking tourism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walking tourists'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Moreover,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tourists' benefits and happiness. Importantly, the impacts of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happiness vary depending on the benefits sought by walking tourists. Notably, self-discovery benefits lead to walking tourists'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ly when involvement is pres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aspects. It analyzes the benefits of walking tourism by using multidimensional measures that define and capture each benefit. This study also reveals pathways to satisfaction and happiness specific to the walking tourism benefits. It elucid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tourism benefits and happiness, highlighting how the impacts on happiness vary based on the different benefits pursued by walking tourists. Finally,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role of involvement in the aforementioned process. 전 세계에서 걷기여행을 하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계량적 성과나 특성 외에 걷기여행을 통해 관광자가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이익이나 목표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관광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최종 이익인 삶의 질 향상, 더 나아가 걷기여행자의 행복이 어떤 경로로 달성되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걷기여행자가 추구하는 편익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고, 관여도와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걷기여행 실태조사 보고>(한국관광공사, 2019)에서 조사된 전체 표본(4,000명) 중 최근 1년 동안 걷기여행 경험표본 중 추구편익, 관여도, 만족도 및 행복도 항목을 모두 평가한 1,040명의 표본을 활용했다. 연구결과 걷기여행의 건강편익, 사회적 편익, 자기 발견 편익 세 가지 편익 중 건강, 자기 발견 편익은 관여도를 매개해 만족도와 행복에 영향을 주고, 사회적 편익은 관여를 매개하지 않고 만족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관여도와 만족도는 관광자의 걷기여행 편익과 행복 사이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걷기여행자가 추구하는 편익별로 관여도, 만족도 및 최종적 경로인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가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자기 발견 편익은 걷기에 대한 관여도를 매개해야만 관광만족과 행복에 이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걷기여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을 다차원 척도로 분석하여 각 편익을 정의하고, 걷기여행의 편익별로 만족도와 행복에 이르는 경로를 발견했다는 점, 걷기여행과 행복의 영향 관계에 대해서 새롭게 규명해 걷기여행자가 추구하는 편익별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 그리고 이 사이에 관여도의 역할에 대해서도 새롭게 밝힌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이다. 또한 연구결과는 관광자와 걷기여행 프로그램 기획자가 행복한 여행을 하기 위해 어떤 방향을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지역주민대상 걷기동아리 결성 및 활성화가 참여자의 심폐기능과 걷기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

        배윤정 ( Yoon Jung Bae ),이용수 ( Yong Soo Lee ),이인영 ( In Young Lee ),조성억 ( Sung Euk Cho ),이운용 ( Woon Yong Lee ),최은수 ( Eun Soo Choi ),임은정 ( Eun Jung Im ),이대택 ( Dae Taek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2

        본 사례 연구는 K구 주민을 대상으로 걷기동아리 결성과 활성화가 이들의 운동 실천율과 신체적 변화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들의 걷기동아리 구성은 설문지로 수집된 생활체육 참여실태조사 결과(이운용 등, 2003)를 근거로 이루어졌다. 이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 응답자 중 42%가 운동을 시작하고 싶은 장소를 ``집주변``이라고 대답하였으며, 할애 가능한 시간은 전체 55.9%가 30-60분이 가장 편안한 것으로 대답하였다. 또한, 주변에 보완되어야 할 운동시설은 29.5%가 걷기나 조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소를 원하였으며, 걷기에 대한 교육은 전체 62.6%가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 따라서 K구 지역보건소에서는 지역사회의 주 거주형태가 아파트임을 감안하고, 아파트 단지 내의 공간을 활용하며, 적은 운동전문 인력을 활용하여 추진할 수 있는 ``걷기동아리``를 결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로써 지역주민의 규칙적인 걷기 운동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참여자들로 하여금 걷기 기록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걷기 동아리는 매일 진행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은 8주간 계속되었다. 걷기 기록지의 분석 결과, 주당 운동빈도는 평균 5회로 나타났으며, 1일 운동량은 약 50분가량의 걷기를 실시하였다. 운동부하 검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남성(n=6)의 경우에는 최대산소섭취량이 29.9%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안정시 평균혈압 역시 24.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여성(n=17)의 경우에는 안정시 심박수가 평균 4.6회/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걷기에 대한 실천율은 전체 4.5%가 증가하였다. 걷기동아리 활동은 프로그램 종료 후까지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걷기동아리 리더를 선정하여 자체적으로 걷기 운동을 실천하고 있었다. 통제되지 않은 현장에서의 걷기동아리 결성과 운동이 이들의 걷기 실천율을 증가시켰으며,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켰다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case study was aimed for evaluating the influence of an establishing and operating ``Walking Exercise Group (WG)`` in the community of K province to exercise participation and physical changes for the participants. The forming of WG was rationalized based on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Survey for Community Resident (Lee et al., 2003). Based on the survey, approximately 42% of the K province residents preferred ``around houses`` for the place of exercise. 56% of the residents responded to 30-60 min for their possible exercise session. About 30% of the residents expressed that the walking and/or jogging tracks had to be established near their communities, and 62.6% of the respondent felt a necessity of an education programs for informing walking exercises. Since the major residental housing in the K province is the apartment, utilization of spaces in the complex was highly probable, and a minimum number of exercise professional could be used, a program of forming WG was highly considered. Thus, this program was expected to lead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resident to a regular exercise program, and the participants was asked to fill out an exercise record. The walking exercise was executed every day for eight weeks. Based on the exercise records, the participants walked 5 times/wk, 50 min/session. According to the exercise stress test, male participants showed elevated maximal oxygen uptake (p <.05) and reduced mean resting arterial pressure (p<.001). For the female participants, the resting heart rate was reduced (p<.05). The participation rate for walking in a daily life increased by 4.5%. The walking exercise of the residents was actively continued after the cessation of the program, and they elected a leader to keep the program going. This case report provided information that a field application of probable programs based on the needs of target population may lead an elevated exercise participation of a community residents.

      • KCI등재

        도시 노인들의 걷기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이형숙,안준석,전승훈,Lee, Hyung-Sook,Ahn, Joon-Suk,Chun, Seung-Hoo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2

        일상적인 걷기활동과 신체활동은 노인들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활동으로, 걷기활동을 지원하고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의 제공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노인의 걷기활동의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걷기운동 수행과 관련성이 있는 개인적, 물리적 환경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하여, 일주일 동안의 이동목적이나 운동목적의 걷기활동 참여빈도와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행동변화 단계모델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걷기운동 수행 현황을 고찰하였다. 또한 공원 접근성, 보행로 시설, 교통시설 등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및 평소 걷기활동에 장애가 되는 물리적인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과반수가 넘는 노인들이 규칙적인 걷기운동을 실천하고 있었으며, 행동변화 단계에 있어서는 6개월 이상 걷기운동을 지속하는 유지단계의 노인들 비율도 높았다. 걷기 운동장소로 선호되고 있는 곳은 도보권 내의 공원이나 산책로, 아파트 단지 등이 많았으며, 유료시설의 체육시설이나 실내 운동기구 이용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걷기운동 빈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는 공원접근성, 교통안전, 신호등, 가로등이 있었으며,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노인들은 걷기운동에 대한 선호도가 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노인들은 교통안전에 대한 만족도를 매우 낮게 평가하였고, 교통사고에 대한 우려가 걷기활동에 있어 큰 장애가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노인시설을 중심으로 한 안전한 노인보행환경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노인들의 일상적인 걷기활동 지원 및 증진을 위한 근린환경의 제공, 노인들의 걷기활동 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walking and physical activity are critical for older adults to maintain their health, it is important to provide neighborhood environments which encourage their walking in daily lif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walking activity patterns of older people in an urban setting and to identify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of older adults. This study examined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hysical activities, environmental barriers and motivations, satisfaction levels and demand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In-depth interviews with older adults over age sixty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s revealed that most respond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walking in daily life, and many of them walk regularly for their health. A primary purpose of walking for older adults was exercise for health rather than transportation. The study result demonstrated that parks and trails were the most preferred places for walking by older adults, and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of walking participation and access or convenience to parks, traffic safety, and street lights. Most respondents were concerned about traffic safety when they walk in their neighborhoods due to traffic speeds and unsafe streets. Lack of separate sidewalks or benches, stairs and slopes were barriers to older adults' walking habits. This data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walking behavior among older adults, some level of public health action, and community support are needed to ensure safe physical environments within communities.

      • KCI등재

        중년여성의 우울증상 영향요인 : 걷기와 비걷기 비교

        박주영,신미아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12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걷기와 비걷기에 따른 우울증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 사에 참여한 40-64세의 여성 56,007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중년여성의 걷기정도는 48.9%이었고 51.1%는 걷기를 하지 않았다. 비걷기군은 걷기군에 비해 40-49세, 고등학교 이하 졸업, 비취업자, 기초생활수 급자가 많았다. 비걷기군은 7시간 이상의 수면, 높은 스트레스 인지, 우울 증상이 걷기군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우울증상 영향요인은 걷기군과 비걷기군 모두 7시간 미만의 수면과 높은 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그 영향 정도가 걷기군 이 비걷기군보다 높아 원인규명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은 걷기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중년여성이 자신에게 적합한 걷기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한다면 걷기 비율을 향상시키고 스 트레스 완화와 우울 증상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women based on walking and nonwalk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6,007 women aged 40–64 years. A complex sampl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Notably, 48.9% of middle-aged women were in the walking group and 51.1% were in the nonwalking. In the nonwalking group, relative to the walking group, more people had high school diploma as their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were 40-49 years old, unemployed, and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than in the walking group. In addition, in the nonwalking group, more people had sleeping durations of less than 7 hour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than in the walking group.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were identified as less than 7 hours of sleeping duration and high perceived stress in both the walking and nonwalking group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was higher in the walking group than in the non-walking group, suggesting tha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cause. The results confirmed that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could be reduced by walking. Therefore, if middle-aged women continue to engage in walking practices appropriate for them, it will enhance their walking rate, reduce stress, and improve their depressive symptoms.

      • KCI우수등재

        여성 노인과 여가 스포츠 :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 사례연구

        배재윤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 특성을 고찰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걷기 운동을 하는 만 65세 이상여성 노인 33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은 낮은진입 장벽에 따른 적은 부담감의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걷기 운동을 선택한 이유로 지목되었다. 둘째, 여성 노인의 걷기운동은 용이한 접근성의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일상생활 중 높은 활용성에 기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은 건강 증진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걷기 운동의 핵심 동기로 확인되었다. 넷째,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은 함께 걷기를 통한 상호작용의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걷기 운동이 타인과 소통하고 관계를 맺는 기능을수행하는 것과 맞닿아 있었다. 다섯째,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은 자연환경을 즐기며 걷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걷기 운동을 통한 심리적 만족과 정서적 안정을 추구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여섯째,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은 개인의 건강 상태와 선호에 따라 운동 강도를 스스로 조절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특별한 지도 없이 운동이 가능한 종목의 특징과 맞닿아 있었다. 일곱째,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은 높은 지속성의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걷기 운동의 낮은 난이도와 운동 효과의 즉각적인 체감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여성 노인의 걷기 운동에 관한 특성을 종합해 볼 때, 여가 스포츠 참여 경험의 부족과 이로 인한 종목 선택의 제한성이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 오늘날 노인체육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노인체육 활성화 방안 마련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walking exercis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33 elderly women over the age of 65 who engage in walking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lking exercise for elderly women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low burden due to low barriers to entry, which was in line with the reason for choosing walking exercise. Second, the walking exercise of elderly wome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asy accessibility, which appeared to be based on its high usability in daily life. Third, the walking exercise of elderly women was characterized as having the main purpose of improving health, which was confirmed as a key motivation for walking exercise. Fourth, the walking exercise of elderly wome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through walking together, which was in line with the fact that walking exercise performed the function of communicating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Fifth, the walking exercise of elderly wome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walking while enjoy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is was related to the pursuit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walking exercise. Sixth, the walking exercise of elderly women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adjusting the exercise intensi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health status and preferences, and this was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 of an sport that can be exercised without special guidance. Seventh, the walking exercise of elderly women showed characteristics of high sustainability, which was linked to the low difficulty of walking exercise and the immediate feeling of the exercise effect. However, 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s walking exercise are a result of their lack of experience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and the resulting limitations in their choice of sports, it shows the current state of sports for the elderly today an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lans to revitalize sports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