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뇨병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관리행태와 EQ-5D index

        박충무,윤현서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1

        65세 이상 당뇨병 진단을 받은 노인들의 구강관리행태를 파악하고 삶의 질과 관련성을 확인하여 맞춤형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9년)를 활용하여 65 세 이상으로 당뇨병진단을 받은 대상자 3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강검진율 22.2%, 치아손상 경험률 12.6%, 저 작불편호소률 37.6%, 치과 미치료 경험률 25.0%, 구강관리용품 사용 경험률 30.6%였고,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있고 (p<.001) 치과 미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p=.014).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있고(p<.001) 치 과 미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낮았다(p=.001).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EQ5Dindex는 구강 검진을 하는 경우(p<.001)와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없는 경우(p<.001)에 높게 나타났다. EQ5Dindex는 주관적 건강 수준 인식이 높고,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 양의상관관계를 보였고, 주관적 건강인식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 준이 높은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검진 여부에서는 미치료 경험이 없는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 다. 따라서 치주질환에 취약한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보건교육과 관리법을 제공하여 삶의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ri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to 65 years of age or older with diagnosed as diabetes through identifying oral care behavior and the relevance to quality of life. Three hundred fifty six subjects, diagnosed as diabetes, were analyzed, which was substracted from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2019). Results are as follows; 22.2% of the oral medical checkup rate, 12.6% of tooth damage experience rate, 37.6% of the discomfort of chewing rate, 25.0% of dental untreated rate, 30.6% of oral care product use rate. Cases of low subjective health level are in discomfort of chewing (p<.001) and dental untreated experience (p=.014). EQ5D index according to oral care behavior was high when oral examination (p<.001) is performed (p<.001) and when there is no experience of chewing discomfort. In addition, EQ5D index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s in case of high subjective health awareness level and dental untreated experience. Consequently,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way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supply of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diabetic patients who are vulnerable to periodontal disease.

      • KCI등재

        생애전환기 청년들의 건강행태 변화

        이재빈(Jae Bin Lee),우혜경(Hyekyung Woo)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5

        본 연구의 목적은 (1) 20대 청년들의 전반적인 건강행태를 집단별로 분류하여 파악해보고 (2) 청소년에서 청년 이행 시 변화하는 건강행태 위험비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4개년 자료(2009, 2012, 2015, 2018) 자료를 사용하였다. 건강행태 지표는 음주, 흡연, 수면시간, 신체활동을 활용하였다. 20대 청년들의 건강행태는 건강행태지표에 따라 집단별 건강행태 위험비를 4개년 각각 산출하여 위험비 추이를 파악하였다. 청소년에서청년 이행 시 건강위험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와 현재 청년 코호트를 구분하고, 각 코호트의 성인기 진입 시 변화하는 건강행태 위험비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20대 청년의 집단별 건강행태 특성은 과음 및 흡연의 경우 취업자 집단이 가장 높은 위험비를 나타냈다. 또한 수면시간 부족은대학원생 집단에서 가장 위험비가 높았다. 최근 청년(97~99년생)코호트가 과거 청년(91~93년생)에비해 청소년에서 청년으로 이행 시 변화하는 건강위험행태의 위험비가 과거보다 증가하였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행태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반면 청년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청년의 건강행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층에 대한 단일화된 건강대책보다는 집단별로 분류하여 건강대책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identify the overall health behavior of youth in their 20s by grouping them and (2) to examine the changing risk ratio of health behavior among teenagers to adults. Methods: The research data were us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for four years (2009, 2012, 2015 and 2018) of the Youth Panel Survey. Health behavior indicators used drinking, smoking, sleeping hours, and physical activity. Youth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behaviors by groups in their 20s. After that, the risk ratio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for each of the four years by using the unemployed as a reference variable for each health behavior index.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health risk behavior in youth transition, the past (born 91-93) and present (born 97-99) youth cohorts were divided and the risk ratio of changing health behaviors was calculated when each cohort entered adulthoo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health behavior of youth in their 20s showed the highest risk ratio of the employed group in the case of excessive drinking and smoking. Lack of sleep time was also the highest risk among graduate students. Recently, the risk ratio of youth (born 1997-99) cohort to unhealthy behavior that changes from teenager to adults has increased compared to past youth (born 91-93). Conclusion: While the overall health behavior of adults in Korea has improv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youth does no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health behavior of youth in the future, and diversify health measures by classifying them into groups rather than single health measures for youth.

      • KCI등재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 –

        이주재,김순규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과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통해 아동기 건강불평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더불어 건강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는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건강행태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셋째,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이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등학교 4학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22.0을 통해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 간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심리사회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의 건강불평등을 완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in Korea. The three main research inquiries were as follows. First, do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have an effect on children’s health inequality? Second, do healthy behavi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ird, do psychosocial fact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e data for analysis came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nd 2607 four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Results show that experiences of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all affect children’s health inequality. Also,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to reduce children’s health inequalit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백영호,고정림,천은석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교사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를 위해 B·U시에 있는 13개 고등학교 총 1,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한 84명을 제외한 1,726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들의 성, 계열, BMI에 따른 자가건겅관리행태를 비교하였다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Vol. 46, No. 2, (2007) 성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남·여학생 모두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남학생 2시간·여학생 1시간으로 남·여학생 모두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 간식횟수는 매일 먹는다, 간식선호도는 비스켓, 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 체형인지정도는 약간 살찐 체형,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TV시청시간, 아침식사여부, 선호음료, 체형인지정도, 신경안정제, 수면제, 각성제 등의 복용여부에서는 남학생이 더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컴퓨터 사용시간, 간식선호도, 인스턴트섭취횟수, 선호음식, 음주횟수,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여학생이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나타냈다.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1시간,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로 간식횟수는 저체중·정상체중은 매일 먹는다·과체중은 주 1~2회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간식선호도는 비스켓·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 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로 체형인지정도는 저체중은 마른체형으로 정상·과체중은 약간 살찐 체형으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정상은 저체중·과체중보다 간식선호도에서 과체중은 정상·저제중보다 아침식사여부, 간식횟수, 선호음식, 체형인지도에서 자가건강관리행태가 좋았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계열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MI는 정상체중이 저체중과 과체중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올바른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높이고, 잘못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청소년 자가건강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청소년기에 맞는 보다 일반화된 검사를 할 수 있는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설문지 개발과 자가건강관리의 능동적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본다. For the study on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and physical self- 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this study took a census at 1,810 students of 13 high-schools at area of U and P. This study took a Chi-square to compare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of high-school students. The study calculat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n perform one-way ANOVA to compare physical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Verifications on those was executed by Dunca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a=.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 below. At both boy and girl students: average sleeping time -6 hours,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aking a breakfast everyday, how often they eat snack foods -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cognition on body type - a little fat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reason why they do ex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 boys (2 hours) / girls (1 hour).Boy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girl students in watching TV time, yes or no of eating breakfast, the preferred beverage, cognition on the body typ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Girl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boy students in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the preference of snack foods,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the affection of smokingㆍdrinking alcohol on studying. At all under, normal, over-weight students: the average sleeping time - 6 hours, the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average time in using a computer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 -Taking a breakfast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reason why they do exer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 low & normal - everyday / over - 1~2 times. The normal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low or over-weight in the preferences of snack-foods. the over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the normal or low-weight in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cognition on body type. On gender,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the boy students are higher than the girl students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On BMI,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normal weight are higher than low & over weight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These results show us that we have to develop a systematic and continuous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juveniles-self that enhance upright types of self-care status and fix the wrong living and eating habits. And these results also show us that we have to prepare the types of self-care status which can be generally tested for juveniles and the development of census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active practice plan on self-care status.

      • KCI등재

        만성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지식 및 실천행태에 관한 연구

        김영선,안혜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status, knowledge and practice of oral health,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The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s survey were done 133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in certain areas from Oct 10, 2014 to Nov 30, 2014. As for the practice oral health,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according to exercise (t=3.09, p=0.002),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F=3.06, p=0.003), oral health education (t=2.56, p=0.012), dental check-ups (t=5.12, p<0.001), scaling (t=3.81, p<0.001), brushing times for day (F=9.67, p<0.001) and subjective oral dryness (F=4.25, p=0.007). The practice of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rushing times for day (r=0.42, p<0.001)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r=0.38, p<0.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actice of oral health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wer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β=0.20, p=0.006), dental check-ups (β=0.26, p<0.001), brushing times for day (β=0.28, p<0.001)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β=0.30, p<0.001), which explained 37.0% of variance in practice of oral health. 본 연구는 만성정신질환자들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에 중요한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강건강상태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 평균치면세균막지수 및 구취지수로 측정하였으며,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실천행태는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정신질환자들의 구강건강상태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4.11±5.38점, 평균치면세균막지수 1.71±1.10점, 구취정도 3.85± 1.43점이었고, 구강건강지식의 평균점수는 3.72±0.60점, 구강건강실천행태는 3.13±0.69점이었다. 구강건강실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β=0.20, p=0.006), 정기적인 치과검진(β=0.26, p<0.001), 양치횟수(β=0.28, p<0.001)와 구강건강지식(β=0.30, p<0.00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대상자의 구강건강실천행태를 37.0% 설명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중년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질병 이환 비교

        이하나 ( Lee Hana ),조영태 ( Cho Young-t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3

        이 논문은 증가하는 중년 1인가구의 건강상태 파악에 주목한다. 특히 중년 1인가구의 건강행위 및 질병 이환을 다인가구 중년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중년 1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질병 이환이 다인가구 중년보다 취약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중년 1인가구와 다인가구 중년의 건강행태 및 질병 이환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8년, 2012년,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중년 40~50대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질병 이환 관련 특성을 연도별로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흡연과 음주에서는 모든 연도에서 유의하게 중년 1인가구의 행태가 다인가구의 중년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이상으로 좋은 중년1인가구의 오즈비는 다인가구에 비해 연도별로 모두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증가하는 중년 1인가구의 건강행태를 연도별 흐름에 따라 파악하여, 이들 집단의 취약점과 건강 행태 특성의 변화를 세부적으로 확인하려고 한다. 또한 중년 1인가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성별에 따라 건강행태와 질병이환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중년 1인가구를 위한 건강관련 프로그램 및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behaviors and disease prevalence between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and multi-member households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d the 2008, 2012, 2016 data from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A total of 249,416 people aged 40-5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method for complex samples for each yea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compa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health behaviors and disease prevalence between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and multi-member households.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with sample weights and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health status such as health behavior, perceived health and disease prevalence of two groups. The odds ratios (ORs) of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which showed 1.44 (1.19-1.74) in 2008, 1.33 (1.11-1.59) in 2012, 1.40 (1.22-1.59) in 2016 for the smoking, significantly higher in total years when compared to multi-member households. The ORs for the drin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1.43 (1.27-1.62) in 2008, 1.32 (1.17-1.50) in 2012, 1.41 (1.24-1.60) in 2016―than for multi-member household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essentia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preventive policies for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 KCI등재후보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사용한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 군집의 분류

        강은정 ( Eun-jung Ka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保健社會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 군집을 발견하고, 인구집단별로 건강행태 군집의 분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며, 발견한 건강행태 군집이 다른 건강관련 행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 성인을 대표할 수 있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였다. 분석에 포함된 표본은 만19세 이상의 성인 7,795명이었다. 건강행태 군집은 군집분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인구집단별 건강행태 군집 분포의 차이는 먼저 chi-square test로 이변량 분석을 하고 다항로짓 회귀분석으로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건강행태 군집별 건강관련 행위의 상관관계는 chi-square test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흡연군, 음주군, 운동군, 건강증진군, 수동적태도군의 다섯 가지 군집을 얻을 수 있었다. 비만 및 주관적 건강수준과의 관련성으로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발견한 건강행태 군집들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Split sample replication으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신뢰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 군집은 성,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직업등 사회경제적 특성별로 분포가 달랐으며, 일부 만성질환의 유무별로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연군, 음주군 등 건강위해 요인을 많이 갖고 있는 집단은 안전벨트 착용, 인플루엔자 백신접종, 건강검진, 미네랄섭취, 영양표시 읽기에서도 건강증진군보다 바람직한 행태를 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건강행태를 개별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군집으로 접근하는 것의 유용성에 대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atterns of clustering of such health behaviors as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adults,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the clusters across sub-populations, and to analys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lustering of health behaviors and other behavioral risk factor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the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which was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sample included a total of 7,795 adults aged 19 and over.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pattern of clustering of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lustering was examined, first by bivariate chi-square test, and then by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Lastl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lusters of health behaviors and other behavioral risk factors was tested b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study identified five clusters of health behaviors: smoking group, drinking group, physically active group, health promotion group, and passive attitude group. The associations with obesity and self-rated health status showed that these groups were valid. Split sample replication also showed that the results were reliable. The distribution of the clusters varied not only acros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education attainment,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 but also between individuals with certain chronic diseases and those without. In addition, both the smoking group and the drinking group were found to be less likely than the health promotion group to engage in preventive behaviors such as seatbelt use, influenza vaccination, health examination,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evidence of the usefulness of the multiple health behavior approach as an alternative to the individual health behavior approach.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및 건강행태의 융합적 영향

        전미진,김정선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구강건강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제 11차(2015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여 72,06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성별(Sex)에서는 여학생에서, 학년(Grade)에서는 고등학생이, 성적(Academic performance)에서는 하위그룹 (Low)이, 주관적건강수준(Subjective health status)에서는 즉 나쁘다고 느끼는 학생이, 아침식사(Breakfast)를 하 지 않는 학생이, 격렬한 신체운동(Exercise)에서도 하지 않는 학생에서 스트레스 지수가 또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자가구강증상(Self-assessed Oral health status))에서는 저작시 통증(Tooth pain when eating)이 있으며, 잇몸에 출혈(Bleeding gum)이 있고, 구취(Bad breath)가 있는 학생에게서 스트레스가 높 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이 연구의 함축적인 결과 청소년들 사이에서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구강 건강 및 건강행태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 더욱이 청소년 시기에 알맞은 구강건강프로 그램의 지속적인 발전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ss on oral health and health behavio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72,060 people using 11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in 2015 .The study shows that In general, femal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ith high performance ranking are more stressful than 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ith low performance ranking respectively.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who do not exercise a lot and have not breakfast get relatively high stress. Plus, the stress index was also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study also shows that students who have got symptoms of “tooth pain when eating” and “bleeding gun” at the questionnaire of “Self-assessed Oral health status”get high stress relatively. And the study tells us that students who have bad breath get high stress relatively as well. And ,the stress index was also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psychological stress among adolescent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oral health and health behavior.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유병률 연구 - 질병관리본부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김향숙,정난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health behavior of the youth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data from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The subjects from 712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For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behavior of the multicultural youth, 267 students (37.5%) have experienced drinking alcohol, 164 students (23.0%) have experienced smoking, and 35 students (4.9%) have experienced taking drugs. Also, 198 students (27.8%) were depressed, 259 students (36.3%) are suffering from stress, and 286 students (40.2%) failed to fully relieve fatigue. In addition, 497 students (69.8%) consider themselves as healthy, 449 students (63.1%) consider themselves as happy, and 251 students (35.3%) consider themselves as overweight. Among the allergic disease of the multicultural youth, 46 middle school students (6.5%) and 35 high school students (4.9%) have asthma, 95 middle school students (13.3%) and 87 high school students (12.2%) have allergic rhinitis, and 67 middle school students (9.4%) and 53 high school students (7.4%) have atopic dermatitis. 47 male students (6.6%) and 34 female students (4.8%) have asthma, 81 male students (11.4%) and 101 female students (14.1%) have allergic rhinitis, and 53 male students (7.4%) and 67 female students (9.4%) have atopic dermatitis. Among the multicultural youth, 81 students (11.4%) have asthma, 182 students (25.5%) have allergic rhinitis, and 120 students (16.8%) have atopic dermatitis. For the allergic diseases from the health behavior of the multicultural youth, depression (p<0.001), alcohol experience (p<0.05), drug experience (p<0.05), health recognition (p<0.05), happiness recognition (p<0.05), and body type recognition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sthma. Fatigue recovery recognition (p<0.001), health recognition (p<0.001) and stress recognition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ergic rhinitis. Body type recognition (p<0.01), depression (p<0.05), fatigue recovery recognition (p<0.05), health recognition (p<0.05), and happiness recognition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topic dermatitis. Such results show that schools and society need to educate the multicultural youth about health, happiness, and body type recognition which are big factors of allergic diseases. Schools and society also need to be m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in order to help multicultural youth to be have correct recognition of depression, stress and fatigue recovery.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고, 학교에서 알레르기 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증상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 712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 알레르기 질환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건강행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은 음주 경험이 있는 학생이 267명(37.5%),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4명(23.0%), 약물 경험이 있는 학생은 35명(4.9%), 우울감이 있는 학생은 198명(27.8%)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학생이 259명(36.3), 피로 회복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학생이 286명(40.2%)으로 나타나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97명(69.8%),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449명(63.1%) 이었으며, 살찐 편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251명(35.3%) 이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중 천식은 중학생이 46명(6.5%), 고등학생이 35명(4.9%), 알레르기 비염은 중학생이 95명(13.3%), 고등학생은 87명(12.2%), 아토피 피부염은 중학생이 67명(9.4%), 고등학생이 53명(7.4%) 이었다. 천식이 있는 남학생은 47명(6.6%), 여학생은 34명(4.8%),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남학생은 81명(11.4%), 여학생은 101명(14.1%),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남학생은 53명(7.4%), 여학생은 67명(9.4%) 이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은 천식이 있는 학생이 81명(11.4%),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학생이 182명(25.5%),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이 120명(16.8%)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순의 발병률을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은 우울감(p<0.001), 음주 경험(p<0.05), 약물 경험(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 체형 인지(p<0.05)에서 천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피로 회복 인지(p<0.001), 건강 인지(p<0.001), 스트레스 인지(p<0.05)에서 알레르기 비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형 인지(p<0.01), 우울감(p<0.05), 피로 회복 인지(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련이 높은 변인인 건강 인지, 행복 인지, 체형 인지를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우울감, 스트레스 인지, 피로 회복 인지를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와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거주형태에 따른 대학생의 건강행태, 구강건강행태, 구강건강영향지수 비교

        천혜원(Hye-Won Cheon),정진아(Jin-Ah Jung)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건강행태, 구강건강행태, 구강건강영향지수를 거주형태와 비교하고 대학생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구강보건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G 대학교와 H 대학교의 592명(기숙사 380명, 집에서 통학 21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을 통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건강영향지수 점수가 기숙사 거주 학생에서 높게 나타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의 구강건강영향지수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숙사거주 학생은 우울과 음주에서, 자가 거주 학생은 우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강건강행태의 구강건강영향지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자가 거주 학생은 인지된 구강건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강건강영향지수와 관련 요인으로는 우울, 인지된 구강건강, 거주형태, 음주, 총 칫솔질 횟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교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치면세균막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oral health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by comparing the health behavior,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impact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type of residence, and analyz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through self-written method targeting 592 students (380 dormitories, 212 commuting from home) at G and H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ores of OHIP-14 were high among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indicating that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as lo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HIP-14 scores of health behavio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nd alcohol consumption for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and depression for self-resident studen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HIP-14 scores of oral health behavio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oral health among self-resident students. Related factors of OHIP-14 were in the order of depression, perceived oral health, type of residence, alcohol consumption, and total number of brushing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a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so that effective dental plaqu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students residing in university dormi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