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재빈(Jae Bin Lee),우혜경(Hyekyung Woo)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5
본 연구의 목적은 (1) 20대 청년들의 전반적인 건강행태를 집단별로 분류하여 파악해보고 (2) 청소년에서 청년 이행 시 변화하는 건강행태 위험비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4개년 자료(2009, 2012, 2015, 2018) 자료를 사용하였다. 건강행태 지표는 음주, 흡연, 수면시간, 신체활동을 활용하였다. 20대 청년들의 건강행태는 건강행태지표에 따라 집단별 건강행태 위험비를 4개년 각각 산출하여 위험비 추이를 파악하였다. 청소년에서청년 이행 시 건강위험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와 현재 청년 코호트를 구분하고, 각 코호트의 성인기 진입 시 변화하는 건강행태 위험비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20대 청년의 집단별 건강행태 특성은 과음 및 흡연의 경우 취업자 집단이 가장 높은 위험비를 나타냈다. 또한 수면시간 부족은대학원생 집단에서 가장 위험비가 높았다. 최근 청년(97~99년생)코호트가 과거 청년(91~93년생)에비해 청소년에서 청년으로 이행 시 변화하는 건강위험행태의 위험비가 과거보다 증가하였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행태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반면 청년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청년의 건강행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층에 대한 단일화된 건강대책보다는 집단별로 분류하여 건강대책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identify the overall health behavior of youth in their 20s by grouping them and (2) to examine the changing risk ratio of health behavior among teenagers to adults. Methods: The research data were us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for four years (2009, 2012, 2015 and 2018) of the Youth Panel Survey. Health behavior indicators used drinking, smoking, sleeping hours, and physical activity. Youth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behaviors by groups in their 20s. After that, the risk ratio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for each of the four years by using the unemployed as a reference variable for each health behavior index.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health risk behavior in youth transition, the past (born 91-93) and present (born 97-99) youth cohorts were divided and the risk ratio of changing health behaviors was calculated when each cohort entered adulthoo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health behavior of youth in their 20s showed the highest risk ratio of the employed group in the case of excessive drinking and smoking. Lack of sleep time was also the highest risk among graduate students. Recently, the risk ratio of youth (born 1997-99) cohort to unhealthy behavior that changes from teenager to adults has increased compared to past youth (born 91-93). Conclusion: While the overall health behavior of adults in Korea has improv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youth does no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health behavior of youth in the future, and diversify health measures by classifying them into groups rather than single health measures for youth.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백영호,고정림,천은석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교사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를 위해 B·U시에 있는 13개 고등학교 총 1,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한 84명을 제외한 1,726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들의 성, 계열, BMI에 따른 자가건겅관리행태를 비교하였다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Vol. 46, No. 2, (2007) 성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남·여학생 모두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남학생 2시간·여학생 1시간으로 남·여학생 모두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 간식횟수는 매일 먹는다, 간식선호도는 비스켓, 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 체형인지정도는 약간 살찐 체형,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TV시청시간, 아침식사여부, 선호음료, 체형인지정도, 신경안정제, 수면제, 각성제 등의 복용여부에서는 남학생이 더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컴퓨터 사용시간, 간식선호도, 인스턴트섭취횟수, 선호음식, 음주횟수,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여학생이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나타냈다.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1시간,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로 간식횟수는 저체중·정상체중은 매일 먹는다·과체중은 주 1~2회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간식선호도는 비스켓·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 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로 체형인지정도는 저체중은 마른체형으로 정상·과체중은 약간 살찐 체형으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정상은 저체중·과체중보다 간식선호도에서 과체중은 정상·저제중보다 아침식사여부, 간식횟수, 선호음식, 체형인지도에서 자가건강관리행태가 좋았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계열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MI는 정상체중이 저체중과 과체중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올바른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높이고, 잘못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청소년 자가건강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청소년기에 맞는 보다 일반화된 검사를 할 수 있는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설문지 개발과 자가건강관리의 능동적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본다. For the study on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and physical self- 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this study took a census at 1,810 students of 13 high-schools at area of U and P. This study took a Chi-square to compare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of high-school students. The study calculat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n perform one-way ANOVA to compare physical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Verifications on those was executed by Dunca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a=.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 below. At both boy and girl students: average sleeping time -6 hours,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aking a breakfast everyday, how often they eat snack foods -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cognition on body type - a little fat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reason why they do ex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 boys (2 hours) / girls (1 hour).Boy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girl students in watching TV time, yes or no of eating breakfast, the preferred beverage, cognition on the body typ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Girl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boy students in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the preference of snack foods,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the affection of smokingㆍdrinking alcohol on studying. At all under, normal, over-weight students: the average sleeping time - 6 hours, the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average time in using a computer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 -Taking a breakfast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reason why they do exer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 low & normal - everyday / over - 1~2 times. The normal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low or over-weight in the preferences of snack-foods. the over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the normal or low-weight in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cognition on body type. On gender,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the boy students are higher than the girl students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On BMI,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normal weight are higher than low & over weight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These results show us that we have to develop a systematic and continuous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juveniles-self that enhance upright types of self-care status and fix the wrong living and eating habits. And these results also show us that we have to prepare the types of self-care status which can be generally tested for juveniles and the development of census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active practice plan on self-care status.
만성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지식 및 실천행태에 관한 연구
김영선,안혜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status, knowledge and practice of oral health,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The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s survey were done 133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in certain areas from Oct 10, 2014 to Nov 30, 2014. As for the practice oral health,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according to exercise (t=3.09, p=0.002),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F=3.06, p=0.003), oral health education (t=2.56, p=0.012), dental check-ups (t=5.12, p<0.001), scaling (t=3.81, p<0.001), brushing times for day (F=9.67, p<0.001) and subjective oral dryness (F=4.25, p=0.007). The practice of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rushing times for day (r=0.42, p<0.001)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r=0.38, p<0.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actice of oral health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wer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β=0.20, p=0.006), dental check-ups (β=0.26, p<0.001), brushing times for day (β=0.28, p<0.001)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β=0.30, p<0.001), which explained 37.0% of variance in practice of oral health. 본 연구는 만성정신질환자들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에 중요한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강건강상태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 평균치면세균막지수 및 구취지수로 측정하였으며,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실천행태는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정신질환자들의 구강건강상태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4.11±5.38점, 평균치면세균막지수 1.71±1.10점, 구취정도 3.85± 1.43점이었고, 구강건강지식의 평균점수는 3.72±0.60점, 구강건강실천행태는 3.13±0.69점이었다. 구강건강실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β=0.20, p=0.006), 정기적인 치과검진(β=0.26, p<0.001), 양치횟수(β=0.28, p<0.001)와 구강건강지식(β=0.30, p<0.00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대상자의 구강건강실천행태를 37.0% 설명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 –
이주재,김순규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과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통해 아동기 건강불평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더불어 건강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는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건강행태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셋째,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이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등학교 4학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22.0을 통해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 간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심리사회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의 건강불평등을 완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in Korea. The three main research inquiries were as follows. First, do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have an effect on children’s health inequality? Second, do healthy behavi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ird, do psychosocial fact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e data for analysis came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nd 2607 four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Results show that experiences of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all affect children’s health inequality. Also,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to reduce children’s health inequality.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유병률 연구 - 질병관리본부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김향숙,정난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health behavior of the youth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data from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The subjects from 712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For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behavior of the multicultural youth, 267 students (37.5%) have experienced drinking alcohol, 164 students (23.0%) have experienced smoking, and 35 students (4.9%) have experienced taking drugs. Also, 198 students (27.8%) were depressed, 259 students (36.3%) are suffering from stress, and 286 students (40.2%) failed to fully relieve fatigue. In addition, 497 students (69.8%) consider themselves as healthy, 449 students (63.1%) consider themselves as happy, and 251 students (35.3%) consider themselves as overweight. Among the allergic disease of the multicultural youth, 46 middle school students (6.5%) and 35 high school students (4.9%) have asthma, 95 middle school students (13.3%) and 87 high school students (12.2%) have allergic rhinitis, and 67 middle school students (9.4%) and 53 high school students (7.4%) have atopic dermatitis. 47 male students (6.6%) and 34 female students (4.8%) have asthma, 81 male students (11.4%) and 101 female students (14.1%) have allergic rhinitis, and 53 male students (7.4%) and 67 female students (9.4%) have atopic dermatitis. Among the multicultural youth, 81 students (11.4%) have asthma, 182 students (25.5%) have allergic rhinitis, and 120 students (16.8%) have atopic dermatitis. For the allergic diseases from the health behavior of the multicultural youth, depression (p<0.001), alcohol experience (p<0.05), drug experience (p<0.05), health recognition (p<0.05), happiness recognition (p<0.05), and body type recognition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sthma. Fatigue recovery recognition (p<0.001), health recognition (p<0.001) and stress recognition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ergic rhinitis. Body type recognition (p<0.01), depression (p<0.05), fatigue recovery recognition (p<0.05), health recognition (p<0.05), and happiness recognition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topic dermatitis. Such results show that schools and society need to educate the multicultural youth about health, happiness, and body type recognition which are big factors of allergic diseases. Schools and society also need to be m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in order to help multicultural youth to be have correct recognition of depression, stress and fatigue recovery.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고, 학교에서 알레르기 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증상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 712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 알레르기 질환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건강행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은 음주 경험이 있는 학생이 267명(37.5%),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4명(23.0%), 약물 경험이 있는 학생은 35명(4.9%), 우울감이 있는 학생은 198명(27.8%)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학생이 259명(36.3), 피로 회복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학생이 286명(40.2%)으로 나타나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97명(69.8%),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449명(63.1%) 이었으며, 살찐 편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251명(35.3%) 이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중 천식은 중학생이 46명(6.5%), 고등학생이 35명(4.9%), 알레르기 비염은 중학생이 95명(13.3%), 고등학생은 87명(12.2%), 아토피 피부염은 중학생이 67명(9.4%), 고등학생이 53명(7.4%) 이었다. 천식이 있는 남학생은 47명(6.6%), 여학생은 34명(4.8%),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남학생은 81명(11.4%), 여학생은 101명(14.1%),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남학생은 53명(7.4%), 여학생은 67명(9.4%) 이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은 천식이 있는 학생이 81명(11.4%),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학생이 182명(25.5%),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이 120명(16.8%)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순의 발병률을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은 우울감(p<0.001), 음주 경험(p<0.05), 약물 경험(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 체형 인지(p<0.05)에서 천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피로 회복 인지(p<0.001), 건강 인지(p<0.001), 스트레스 인지(p<0.05)에서 알레르기 비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형 인지(p<0.01), 우울감(p<0.05), 피로 회복 인지(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련이 높은 변인인 건강 인지, 행복 인지, 체형 인지를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우울감, 스트레스 인지, 피로 회복 인지를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와 교육이 필요하다.
이무식,최순희,박미경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2024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2022년 일개 광역시 일개 구에 거주하는 구민 729명을 대상으로 한 건강도시 유성을 위한 수요조사 원시자료를 재료로 분석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요인을 기반으로 사회적 자본과 건강행태 요인의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건강증진 개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 및 건강도시를 위한 정책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사회적 자본 수준과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사회적 자본이 건강행태의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연환경과 재난환경이 좋을수록 흡연을 하지 않았고, 수면행태가 좋았으며, 이웃과의 왕래가 좋을수록 운동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이 끼쳤으며, 고용기회 및 경제활동이 좋을 경우 금주, 금연, 적정 수면시간과 운동 중 3가지를 시행하는 건강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자본은 개인의 건강행태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주민의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적 자본과 접목한 공중보건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방법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tha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self-perceived social capita on smoking, drinking, sleeping behavior, exercise, and health behavior. We analyzed raw data from a needs survey for healthy city projects targeting 729 residents living in one metropolitan city in 2022. Variables in the study were divided into gender, ag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relational variab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to understand the social capit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R program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health behavi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atural environment, disaster environment, social security and welfare, and traffic with neighbors affected smoking, sleeping, and exercis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were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tter the natural and disaster environment, the less smoking and the better the sleeping behavior.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the more positive the exercise behavior was. It was confirmed that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 behavior of performing three of drinking alcohol, smoking cessation, appropriate sleep time and exercise. As a result, social capital has a direct effect on individual health behavior,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community programs and methods grafted with local social capital seems necessary to promote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local residents.
일부지역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허아롱(A-Rong Heo),송귀숙(Kwui-Sook Song),차은종(Eun-Jong Cha),김경아(Kyung-Ah Kim),손호선(Ho Sun Sh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조사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6월23일∼7월30일까지 전라북도 일부지역 임신부 12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을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심도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46.5%가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51.2%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응답했고, 57.5%가 자신의 구강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삶의 질은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칫솔질 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 치석제거 경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OHIP-14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임신기간이 길수록, 분만경험이 없고,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행태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performed an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pregnant women on quality of life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data was tested using the Shapiro-Wilk normality test for the key measuring parameters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 of in pregnancy. 46.5% of surveyed subjects considered themselves as ‘healthy’, and 51.2% considered their oral health status was ‘healthy’ while 57.5 responded they were interested in the oral health. As for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behaviors, when the subjects did not have any experience of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when the tooth brushings were ≤ 3 times, when they had not received examination on a regular basis, and when they had no experience of scaling, the quality of life was very low. Significant impact variables on the OHIP-14 include longer pregnancy term, no experience of childbirth,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oore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lo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as necessary to develop improv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becaus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s perceived subjectively.
거주형태에 따른 대학생의 건강행태, 구강건강행태, 구강건강영향지수 비교
천혜원(Hye-Won Cheon),정진아(Jin-Ah Jung)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건강행태, 구강건강행태, 구강건강영향지수를 거주형태와 비교하고 대학생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구강보건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G 대학교와 H 대학교의 592명(기숙사 380명, 집에서 통학 21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을 통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건강영향지수 점수가 기숙사 거주 학생에서 높게 나타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의 구강건강영향지수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숙사거주 학생은 우울과 음주에서, 자가 거주 학생은 우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강건강행태의 구강건강영향지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자가 거주 학생은 인지된 구강건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강건강영향지수와 관련 요인으로는 우울, 인지된 구강건강, 거주형태, 음주, 총 칫솔질 횟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교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치면세균막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oral health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by comparing the health behavior,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impact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type of residence, and analyz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through self-written method targeting 592 students (380 dormitories, 212 commuting from home) at G and H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ores of OHIP-14 were high among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indicating that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as lo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HIP-14 scores of health behavio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nd alcohol consumption for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and depression for self-resident studen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HIP-14 scores of oral health behavio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oral health among self-resident students. Related factors of OHIP-14 were in the order of depression, perceived oral health, type of residence, alcohol consumption, and total number of brushing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a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so that effective dental plaqu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students residing in university dormitories.
일부 대학생의 흡연 실태와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 및 행태 조사연구
문선정(Seon-Jeong Moon),김한나(Han-na Kim),구인영(In-Young Ku)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행태와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반 갑 미만이, 흡연기간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흡연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호기심과 주변 권유가 가장 높았고, 흡연이유는 스트레스 해소, 습관적 순으로 나타났다. 2.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중 1회 잇솔질 시간, 정기적 치과 내원, 최근 치과 내원시기, 치과 방문 목적, 스켈링 및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중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흡연유무에 따른 흡연에 대한 인식 중 담배, 한 두 개피 정도의 담배, 식후의 담배 및 간접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대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ral hygiene and college students‘ smoking awarenes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26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buk, Daegu, Gangwon-do. Collected date used the SPSS 17.0 to perform the frequency and cross-analysis. 1. The daily smoking amounts of less than half pack and the smoking duration of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3 years were to be the highest. The initiation of smoking was triggered by the curiosity and the proximal social environment. The reason of smoking was to relieve stress and habitual smoking respectivel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ooth brushing time, regular dentist visit, recent dental admission, the purpose of dental visits, scal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of oral hygiene in the subjective oral hygiene statu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towards the impact of second-hand, after meal and one or two cigarette smok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smokers lack the awareness of smoking and oral hygiene compared to non-smokers. Therefore, the acti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smoking and oral hygiene educat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