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증진인력(健康增進人力)의 훈련교육과정(訓練敎育課程) 개발(開發)

        최은진 ( Eun-jin Cho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保健社會硏究 Vol.18 No.1

        國民健康增進法의 제정이래 건강증진사업은 각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단위에서 점차 확대 개발되는 상황에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행태변화기술 및 기획관리의 건강증진영역을 기초로 한 건강증진인력의 역할 및 교육훈련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진국 건강증진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인력교육 및 훈련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호주 및 미국에서의 건강증진 인력훈련 동향은 건강증진사업의 기획ㆍ관리, 행동변화기술의 적용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일본의 경우도 운동ㆍ영양ㆍ휴양을 중심으로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의료인력의 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증진인력의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 건강증진사업의 발전을 위해 건강증진업무의 영역이 전문화되는 것은 필수적이고 인력의 관리 또한 중요하다. 이를 위한 건강증진인력의 양성방안은 첫째 대학에서 건강증진 교육과정의 확립, 둘째 건강증진 보수교육과정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보수교육과정은 健康增進職務를 수행하는 인력에 대하여 健康增進 事業內容 및 方法의 最新化를 기할 수 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증가하는 건강증진의 要求度를 생각할 때 건강증진 인력관리와 건강증진 업무내용의 專門化 및 敎育訓練課程 開發에 대한 연구와 政府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passed in 1995 was a milestone for initiating a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Korea, and since then local governments and health centers have been developing and provid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rends in health promotion workforce development internationally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workforce development in Korea. Those who provide health promotion services should be properly qualified and professionally trained, especially in the area of behavior change and management of programs. A health promotion workforce is being developed through professional preparation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conferences and workshops, and on-the job training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Japan. The skills and responsibilities of those who are in charge of provid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have not yet been clearly defined in Korea because the area of health promotion is a multi-academic field. There are many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physicians and nurses who are working hard towards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Korea, but there are very few individuals who have gone through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a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ograms to train those who providing health education services.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we need first to delineate the responsibilities and functions of health promotion personnel. This is going to require a lot of research as the local governments initiat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government, therefore, should support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promotion personnel.

      • KCI등재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재미요인과 정신건강 및 참여지속의도 관계분석

        김현우,오아람,이기봉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enjoyment and mental health, and participation maintenance intention in a health promotion. Method: 272 citizens participated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program was held from August 2017 to February 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using SPSS 24.0 program. Results: First,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among the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hostility, somatizat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of mental health through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Second, the program showed that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and achievement experienc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hostility and somatization factors of ment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physical education program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un and pleasure that accompany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and sociality an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positively affect the mental hostility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are positively perceived to be able to lead to continuous sports participation activities.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dequate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physical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 program.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develop customized exercise programs considering gender and age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재미요인과 정신건강 및 참여지속의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소재한 시민체력증진센터와 국민체력100 각각 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민들 272명을 선정하여 2017년 8월부터 2018년 02월까지의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회수된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첫째,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재미요인 중 심리적·신체적 건강도모가 정신건강의 적대감, 신체화, 대인민감증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재미요인 중 심리적·신체적 건강도모와 성취감경험이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정신건강 요인 중 적대감, 신체화 요인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민감증 요인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해서 나타나는 심리적, 신체적인 건강과 사회성, 그리고 성취감과 함께 나타나는 재미와 즐거움이 정신적인 측면의 적대감과 대인민감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서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에도 긍정적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체육복지서비스 프로그램 정보와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참여를 통해 재미와 즐거움, 심신의 건강을 과학적인 방법에 의거하여 성별이나 연령층에 맞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장성진,오현아,손기화,조성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8 정신건강연구집 Vol.8 No.-

        . Objective :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affects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changes in their values and attitude on the human rights advocacy. . Methods : In March 2018,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was held for 78 persons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ies who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training for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operated by the Seou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April, 2018. First of all, we us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evaluation tool (Mental disorder person-simple type) develop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8) in order to observe changes in understanding human rights, their value and attitude on human rights advocacy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ook place. After that,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in SPSS 24.0 .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and afterwards, the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as well as the values and attitude on human rights advocacy were improved by 0.37 points. Thus,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was 4.39/5 points. The keywords of education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were the 'understanding', 'fundamental rights', and 'the table of human rights' in order. . Conclusion :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anging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of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specifically their values and attitude towards human rights advocacy. This suggest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those who work at mental health facilities. ▪Keywords : Human rights education for employees at mental health promotion facilitie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values and attitudes on human rights,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table of human rights, semantic network analysis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이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2018년 3월, 4월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운영한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 인권교육에 참여한 정신재활시설 종사자 78명을 대상으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를 보고자 국가인권위원회(2008년)에서 개발한 인권교육 평가도구(정신장애인분야_간편형)를 교육 전후 동일하게 실시하고 spss 24.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교육의 성취도, 키워드 등 보다 다양한 효과성평가를 위해 교육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키워드는 의미연결망분석으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실시 전후를 비교한 결과,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는 사전대비 0.37점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대한 성취도 평균은 4.39점/5점으로 나타났고, 연구 참여자들이 제시한 교육의 핵심키워드는 ‘이해’, ‘기본권’, ‘인권식탁’의 순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은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및 학교 건강증진사업 발전방향과 원리

        옥해안(Hae An O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및 학교 건강증진사업의 문제점 개선과 발전방안을 위한 전략 혹은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증진정책, 미국의 Healthy People 2000 그리고 일본의 3차에 걸친 국민건강증진 정책을 먼저 사례조사하고, 한국 초기의 건강증진정책과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및 학교 건강증진사업의 발전방향과 원리가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건강증진사업의 교두보로써 보건(지)소의 중심적 역할과 1차 질병예방을 위한 보건교육강화, 지역별 건강 및 질병현황 지표구축 및 연계의 필요성, 주민참여의 활성화, 그리고 중앙부처와 지역보건(지)소의 의사소통전달체계 확립을 강조하였다. 둘째, 학교보건을 위한 위원회구성과 사업장별 건강정보센터운영을 권장하고 공공보건정책기관들과 연계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효과적 추진방안으로써 종교단체를 대상으로 한 연결망 구축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및 학교중심의 건강증진전략별 실천과제 개발을 위해 보건소 역할 재평가와 학교내 건강증진사업 위원회 구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community and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d on the Health Promotion principles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American Healthy People 2000 and National Health Promotion Policy of Japan, U. K., and Korea Health Promotion; looking into General Plan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Evaluation Board of Health Promotion of Public Health Center. The study indicates the following strategies regarding the community and school Health Promotion Action Plan. First, direction and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were suggested, and the strengthening of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health branches, construction of the pivotal role of health branches as a bridgehead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s, and intensification of health education for primary disease prevention were emphasized. Second, committee and organizations of health for school and public health center operations classified by places of business were recommended, and construction of networks targeting religious organizations were suggested as an effective propulsion method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s connected with organizations for public health policies. Hence, it has been seen that developing community and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classified by health promotion strategies on a community level is necessary.

      • KCI등재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비행예방 : 사회적불건강 예방 및 건강증진에 대한 재고

        김정희 아시아교정포럼 2013 교정담론 Vol.7 No.2

        청소년기는 불안정성, 자기중심성, 규범배척 및 또래규범 동조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생애과정 중의 한 시기 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 시기의 10대 후반 범죄율이 가장 높으며, 연령대의 증가에 따라 범죄가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특징적 시기에 발생한 일탈행위들에 부여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이름들에 대한 재고가 요청된다. 각각의 일탈적 이름들에 내재된 부정적인 이미지는 인간의 인식과 행위통제라는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기에, 결국 그 이미지에 기초한 현실 및 사회적 낙인과 연관된 삶으로 이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자 신이 속한 낮은 사회 계층적 특징과 맞물려 있는 범죄·비행인의 특성 또한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즉, 청소년의 개별 일탈행위 자체에 대한 관심과 처벌에 우선하여 사회적 맥락에서 재고해 볼 가치가 있다. 사회 계층의 투영과 관계의 문제, 그리고 복합적이자 다세대의 영향 속에 있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것으 로서 청소년 범죄를 바라보자는 것이다. 이들에게 미친 사회적 힘을 의식한 후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객관적 자료에 기초하여 청소년 현실 문제 분석에 반영할 것이 요청된다. 이를 위해 건강이란 긍정의 이름으로 청소 년범죄라는 이름의 행위들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재고를 통해 청소년들의 사회적 건강문제들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의 방향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요청하는 데 본고의 목적이 있다. 전인성, 기본권과 자율권, 그리고 삶의 질 및 건전한 사회적 투자 등으로 특징되는 건강 의 긍정적, 다차원적 및 연속적 관점의 활용이 요망된다. 예방의 3개 차원은 범죄청소년 뿐 아니라 잠재적 일 탈행위 상태에 있는 청소년 및 이들과 관계된 모든 지역사회주민을 포괄시킬 수 있다. 교육적·조직적·경제 적·환경적 지원의 조합을 통해 개인의 통제 밖에 있는 건강결정요인들의 변화를 추구하여 불평등을 해결하 고 공평한 건강사회 달성을 위해 사용되어온 건강증진 전략의 청소년범죄 예방에 대한 접목이 기대된다. 보건 교육의 전통으로부터 발전되어온 건강증진은 단기간의 교정이 아닌 과정적인 것이자 사회 운동적 성격 또한 지니고 있어 청소년범죄 예방교육에 적절하다. 피할 수 없는 숙명성과 불확실성 및 예측 불가능성 등의 특징을 가진 죽음이라는 대상은 청소년 범죄 예방 및 재활 등에 모두 연관될 수 있는 주제이다. 연령과 무관하게 모든 인간의 일상 속에 늘 함께 하고 있는 죽음에 대한 자각과 죽음인식이라는 앎을 통해, 현재 자신의 삶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것이 죽음교육이다. 앎의 확보 를 통해 건강한 생명의 힘을 자생하게 하여 보다 건강한 일상으로 원상회복하게 하기 위한 교육이다. 거시적 관점의 건강증진 전략에 더하여 프랭클의 로고세라피를 미시적 하위접근방식으로 적용한다면 영적건강증진 개념과 연계 된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회 구조 속에서의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건강증진이라는 긍정 적 이미지를 통한 청소년 범죄예방을 위해 죽음교육에 대한 재고가 요청된다.

      • KCI등재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이진숙,권소희,Lee, Jinsook,Kwon, Soh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역할인식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건강교육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40일간이었고, 대상 기관은 국내 건강증진병원 네트워크 소속된 병원 중 연구를 승낙한 4개 병원 중 28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증진역할인식 (${\beta}=.246$, p=.001)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beta}=.282$, p <.001), 임상경험 (${\beta}=.121$, p=.059)은 건강교육수행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7.738, p <.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총 27.8%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할인식과 건강교육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hospital n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31 nurses from four health promoting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3.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 leve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health promotion role recognition, and self efficacy for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role recognition (${\beta}=.246$, p=.001), self-efficacy for health education (${\beta}=.282$, p <.001), and clinical experiences (${\beta}=.170$, p=.007)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hospital nurses'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and explained 27.8% of the variance. The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promotion role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for health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hospital nurses.

      • KCI등재

        홀리스틱 건강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대형(Lee Dae-Hyung),이승범(Lee Seung-Bum)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1 No.1

        건강교육은 아동의 건강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여 이를 실생활에 습관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 데 있다. 아동은 신체적ㆍ정신적으로 발달단계에 있기 때문에 올바른 건강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아동의 건강문제는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건강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아동기의 경우 건강행위의 태도나 실천 행위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건강습관이 고착화되기 전에 바람직하지 못한 건강행위를 교정하고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수립하도록 돕는 건강교육의 정착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건강교육의 방향을 아동기 건강교육의 필요성, 아동의 성장ㆍ발달을 고려한 건강교육의 중요성, 체력활동 영역을 활용한 건강교육 실시, 체계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인 PRECEDE 모형 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Health education means the chlidren"s health maintain, promotion and It was helped to applied habitually in real life. Because children had being a development grade physically mentally, The learning of an upright health knowledge was very important. As a health problem of children practice health promotion behavior,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was more emphasized. Also individual lifestyle have relation to a close health behavi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can changed through education. To the future, The diction of health education should be turned to the necessity of children"s health education, health education considered children"s growthㆍdevelopment, health education physical applied fitness activity and to guide a PRECEDE model in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윤기선(Gi-Seon Yun),박정열(Chung-Yeol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보건교육기관에서 실시하던 보건교육을 평생교육원의 보건교육으로 확대하여 보건교육의 기회 폭을 넓혀 누구나 쉽게 가까운 장소에서 보건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보건교육을 증진시키고 의료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국민건강증진향상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20대 이상 보건교육을 필요로 하는 남·여를 대상으로 보건프로그램이나 교육에 참가한 사람 중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연구표본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민건강증진의 교육과 질병예방 및 영양개선 그리고 식생활개선은 보건교육확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참가의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보건교육지원이나 건강보험혜택과 교육장소 확대는 참가의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참가의향이 높을수록 의료비절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민건강증진의 교육과 질병예방은 의료비절감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영양개선 및 식생활개선, 보건교육지원, 건강보험혜택 그리고 교육 장소 확대는 의료비절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lthough the public health centers have been initiating health education recently, it is not extending as expected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is low. The reason is that the office workers have few opportunities to receive health education since there are few public health centers in relation to the population. Much time is required for travel and attendance of the class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im i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improve the overall public health awareness, expand the number of health education locations to reduce medical expenses, vitalize the lifelong educational health programs, and improv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order to research about the health education expansion plan for public health improvement, a study focused on men and women above age 20 who need health education. The research sample was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that target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programs or the health education. The period of this survey was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14. A total of 509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data for the actual analysis to propose the health education expansion plan for the public health improvement.

      • KCI등재

        웰에이징 교육전문가의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관리 교육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

        임효남(HyoNam Lim),김광환(Kwang Hwan Kim),황혜정(Hye Jeong Hw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2

        본 연구는 웰에이징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관리의 교육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프로그램 기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2년 11월 2일부터 2023년 1월 3일까지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관리 관련 웰에이징 교육전문가 12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관리의 교육운영에 필요한 항목의 중요도 및 실행도에 대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통해 분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전문가 인력풀(pool) 구성이 중점개선영역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에 대한 항목별 중요도 및 지식정도를 분석한 결과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가 경쟁우위영역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행위의 항목별 중요도 및 지식정도에서는 운동 및 활동이 경쟁우위영역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관리 교육이 가장 필요한 시기는 중년기가 가장 높았고, 교수학습활동의 구성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내용이었으며, 적절한 교육방법은 체험이 동반된 강의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관리 교육을 기획할 때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상 및 교육내용을 설정하고 보완하여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하겠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planning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educational activities among well-aging education expert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125 well-aging education expert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from November 2, 2022 to January 3, 2023.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IPA the importance and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items required for educational operation of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composition of a pool of experts for operating educational programs was identified as a key area for improvement. appe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level of knowledge for each item of educational content,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was found to be a competitive advantage area, and the importance and level of knowledge for each item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were health diagnosis and counseling and daily lif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anagement may move to a key area of improvement, and exercise and activity appears to be an area of competitive advantage. The period when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was most needed was middle ag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as education content, and the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was lecture accompanied by experience. When planning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supplement education targets and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to form a systematic an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 탐색

        이규일(Gyuil Lee),홍덕기(Deockki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4

        학교체육의 목적은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맞추어 전환돼 왔다. 최근 들어, 미국에서는 청소년 건강발달이 학교체육의 실제적인 목표로써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고강도 신체활동 증진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학교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중재 효과 분석을 통해 학교체육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국내 학교체육의 건강교육은 건강체력 측정과 처방 등과 같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북미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살펴보며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신체활동의 의의를 3가지 근거(비만 초점 건강 정책의 한계, 신체활동과 건강의 관계, 청소년 신체활동 실태 문제)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교기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모형이 되는 Whole-of-School 모형에 관해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들(SPARK, CATCH, LEAP, CSPAP, HOPE, SPEM, 그리고 SHL)의 개발배경, 구조 및 특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국내 학교체육에서 건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K-12 physic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over the decades to meet society’s needs. Recently, health promotion has became an important topic in K-12 physical education. School-wide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as a mean of justif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navigate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in K-12 physical education. First, a historical review of justif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was discussed. Second, scientific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examined. Third, the Whole-of-School model as a way of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was reviewed. Fourth, the seven research-based school-wide physical activity programs(SPARK, CATCH, LEAP, CSPAP, HOPE, SPEM, and SHL) were reviewed. Lastly,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in K-12 physical educ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