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통합균형감의 매개효과

        장은하,백옥미,홍석호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4

        본 연구는 Lawton & Nahemow의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과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환경수준, 일반적 저항자원인 사회적지지, 통합균형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고령친화적 환경수준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통합균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사업 확장형 리빙랩을 통한 노인맞춤형 주거복지 통합서비스 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된 실태조사를 일부 활용하였다. 실태조사의 조사대상자 중 독거노인을 추출하였고, 결측치 및 정규성 검증을 통해 477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들 간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살핀 결과,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적지지는통합균형감과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균형감은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별 매개효과 및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이 사회적지지를 거쳐 건강증진행위에영향을 미치는 경로의 개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령친화적 환경수준은 사회적지지와 통합균형감을 매개하여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하기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Based on Lawton & Nahemow's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and Antonovsky’s Salutogenesis theory, we examined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social support and a sense of coherence for their impa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ested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a sense of coher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For this purpose, we referenced to a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s part of the project ‘Developing Living and Welfare Integrated Service Tailored to Elderly People through Expanded Living Lab.’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we identifie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used data of 477 people for the final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missing value and test of normality. The following describes the analysis results. First, an examination of direct influence among the main variables showed that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ed a sense of coherenc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lso, a sense of coherence directly affected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cond, we tested both individual and dual mediating effects, and observed a meaningful individual mediating effect for the path from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via social support. Also, the level of age-friendly environment showed dual mediating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via social support and a sense of coher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 KCI우수등재

        계획행동이론(TPB)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건강인식 및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

        김보람(KimBo-ram),황향희(HwangHyang-hee),백소라(BaekSora)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하여 계발된 여가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여가교육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인지-행동변화(cognitive-behavioral changes) 집단 간의 시기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계발된 여가교육의 제공하기에 앞서 중년여성들을 무선으로 선발하여 중재집단의 중년여성(n=29)과 통제집단의 중년여성(n=28)을 각 집단에 할당하였다. 이에 따라 중재집단의 참여자들에게는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하여 인지-행동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여가교육을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설계에 기초한 종단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번에 걸쳐 측정(사전, 중간, 사후)을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으로는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재집단의 참여자들이 통제집단의 참여자들에 비해 계획행동이론의 인지변인인 1) 태도, 2) 주관적 규범, 그리고 3) 지각된 행동통제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향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행동변인 및 결과변인을 살펴본 결과, 중재집단의 중년여성들이 통제집단의 이들에 비해 의도를 비롯한 건강인식과 생성감에서 더욱더 높게 향상을 보였다. 끝으로 정리를 하면,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한 여가교육은 중년여성들의 인지변화를 긍정적으로 도모하며, 이러한 변화는 여가시간에 신체활동을 하려는 의도 및 건강인식이나 생성감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Grounded in theory of planned behaviors(TPB), we developed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to help middle-aged women become more physically active and healthy by increasing their beliefs―namely,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personal control.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leisure education on TPB-based cognitive variables and behavioral outcomes, we assigned middle-aged women into either experimental group(n=28) or control group(n=29). Then, we provided TPB-based leisure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we did not provide all of it for middle-aged women in the control group. We adopted three-wave assessments (at the beginning, at the middle, and at the end) and used repeated-measure ANOVAs in order to examine the experimentally-based longitudinal effect of leisure education on TPB-based variables and its behavioral outcomes. The result showed that middle-aged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ceived higher level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personal control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effectiveness of leisure education. middle-aged women in the control group perceived themselves as more healthy and more vitalized/energized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PB-based leisure education increased positive beliefs(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 behavioral control) about physical activity and personal health and generativity in middle-aged women.

      • KCI등재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구조모형 구축: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공태명 ( Kong Tae Myoung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6

        This study established and verified a structural model focusing on Antonovsky(1987)'s Theory of Salutogenesis to promote the health of police officials. Through this,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status of police official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MOS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sight and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job stress. Second, the higher the insight and the better the non-shift workers, the better health behavior was foun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high insight, high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many health behaviors lead to good health. So far,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factors that cause stress(such as burn-out or exhaustion of stres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tc.), some studies related to health-related job characteristics such as shift work and night work.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d various factors such as health-related behavior and job stress such as integration, social support, health-related job characteristics, drinking,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eating behavior, etc. through a structural model.

      • KCI등재

        통합력(Sense of Coherence)과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의 연관성 연구

        김지연,김창엽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thought and Sense ofCoherence (SOC) and to identify social support as GeneralResistant Resources (GRRs) for improving SOC. For the study, Seoul WelfarePanel Study (SWPS, 2010) was analyzed and final sample is consists of 2,357individuals aged 18 and over.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is to verifythat SOC has an impact on suicidal thought, even though social structural·psychological factors(sex, age, marital stat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depression) were controlled. Second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increasing SOC as GRRS. For this analysi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aslastly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 has on great positiveeffects on decreasing suicidal thought; moreover SOC can decrease impacts ofdepression on suicidal though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mparatively highlevel of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are the factors for promoting SOC.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might be done that GRRS, such as socialsupport should be developed as policy because SOC is necessary to reducesuicidal as well as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에 따라 자살생각과 통합력의 연관성의 검증하고통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반적 저항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0년 서울시 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였고,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최종 대상자수는 2,357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은 두 부분으로 나눠지는 데, 첫 번째는 인구・사회・심리적 요인(성별,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우울 정도)을 통제하고도 통합력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고, 두 번째는 일반적 저항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지각된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적으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력은 인구・사회・심리적 요인을 통제하였음에도 불구하고여전히 자살생각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력은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줄이는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비교적 높은 수준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수준이 통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면 자살생각은 물론 우울증을 줄이기 위해 통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통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같은 일반적 저항자원의 개발에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