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웰빙 광고 담화에 나타난 설득적 특성

        김인영,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05 한국소통학보 Vol.4 No.-

        웰빙(well-being)은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삶의 유형이나 문화를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다. 이렇게 웰빙이 본래 가지고 있는 개념들이 웰빙 열풍 속에서 양산되고 있는 상품 광고들에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고찰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웰빙 광고에서는 본래 웰빙이 추구하는“건강, 여유, 친환경, 균형과 조화, 정신건강, 자연주의”와 같은 지향점들이 주요하게 반영된 담화들이 많이 쓰이고 있었다.특히 자연과 친환경, 건강과의 관계와 조화를 통한 웰빙에 초점을 맞추어 광고 담화들이 구성되어 있었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자연과의 일치와 조화를 통한 심신의 건강이 곧 웰빙이다’라는 메시지를 제시하여 소비자들을 설득하고자 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따라서 웰빙의 가장 핵심은 ‘자연’과 ‘건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웰빙(well-being)의 핵심 개념은 곧 ‘건강(health)’이라는 것인데, 건강하기 위해서는 ‘자연’ 속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웰빙 상품들을 광고하기 위한 설득적 기제로서의 ‘건강’과 ‘자연’은 수용자들에게 무한한 관심의 대상으로 작용할 수 있다. Well-being is the culture or pattern that pursue the happy life thorough harmonization be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concept of well-being affects commercial advertisements. Originally there have been well-being concepts such as health, composure, environment friendly, balance and harmonization, mental health, and naturalism in well-being advertisements. Especially many advertisers have been focusing on the well-being which is achieved by the relationship among nature, environment, and health. Through this relation, consumers get the message from advertisements which is about "Well-being i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ccomplished by the harmonization with the nature." Therefore, the main point of the well-being is 'nature', and 'health'. That is, well-being is 'health', but we need 'nature' for getting 'health'. So health and nature can be objects which can make consumers have infinite interests in that two concepts.

      • KCI등재

        대학생의 웰빙인식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실천행위의 매개효과 분석

        고민석 ( Minseok Ko ),박희선 ( Heeseon Park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웰빙인식, 건강실천행위, 주관적 건강수준과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웰빙인식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실천행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0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웰빙인식은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건강실천행위는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수준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웰빙인식은 주관적 건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웰빙인식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관계에서 건강실천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웰빙프로그램과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을 통한 캠퍼스 건강증진 실천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ell-being awareness on self-rated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acti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ell-being awareness and self-rated health. Data collected from 215 college students of 4 college in Jeonbuk region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s 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l-being awareness depending on economic status, in health practice depending on residences, and in self-rated health depending on gender of college students. Well-being aware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rated health, the health practi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ell-being awareness and self-rated health. This results suggests that the well-being programs and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y should strive to foster a culture of practicing health promotion on campus.

      • KCI등재후보

        노인들의 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건강증진행위가 웰빙 태도 및 효과에 미치는 영향

        남미희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연구는 노인들의 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건강증진행위가 웰빙 태도 및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므로서 2015년 현재 영동지역(속초, 강릉, 동해, 삼척)소재의 노인복지관련 기관에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총 388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들의 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건강증진행위가 웰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건강증진행위가 웰빙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웰빙 태도가 웰빙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elderly people 's participation in exercise program on well - being attitude and effectiveness. A total of 388 elderly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version for Window. Based on the data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health promotion behaviors by elderly people 's participation in exercise program had an effect on well - being attitude. Second, the health promotion effect of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well - being effect. Third, the well - being attitude of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well - being effect.

      • KCI등재

        정신건강 2요인 모형에 기초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유형별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조절의 차이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 표본에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정신병리 유무와 정신적 웰빙 3수준(번영, 양호, 쇠약)을 구분하여 정신건강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정신건강 유형별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조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DASS-21, 정신적 웰빙 척도, 삶의 의미 척도, 학업참여 척도와 목표관여, 목표이탈, 목표재관여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4년제 대학교 재학생 78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정신건강 2요인 상관모형의 적합도가 2요인 독립모형과 1요인 모형보다 우수하였다. 정신건강 5유형이 분류되었고(양호 유형 59.6%, 쇠약 유형 16.5%, 쇠약․병리 유형 9.3%, 번영 유형 8.0%, 순수병리 유형 6.6%), 목표이탈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관여, 목표재관여에서 번영 유형이 가장 높았고, 쇠약 유형은 쇠약․병리 유형과 유의한 차이없이 순수병리 유형보다도 저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의 병리적 요인인 정신병리와 긍정적 요인인 정신적 웰빙이 관련되면서도 구분된 두 요인으로 설정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지지하고,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정신병리의 감소와 정신적 웰빙의 증가를 병행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Keyes’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in a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by testing differences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and goal adjustment among mental health types classified by the levels of mental illness (present, absent) and mental well-being (flourishing, moderate, languish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84 college students through a nationwide online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correlated dual-factor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independent dual-factor model and the single factor model. 5 mental health types were classified (moderate mental health 59.6%, languishing 16.5%, languishing & mental illness 9.3%, flourishing 8.0%, pure mental illness 6.6%). Differences among mental health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the variables except goal disengagement. The flourishing type was highest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goal 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The languishing type and the languishing & mental illness type were poorer than the pure mental illness type. Such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of the dual-factor mental health model with mental illness and mental well-being as related but distinct factors.

      • KCI등재

        정신건강 2요인 모형에 기초한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유형 분류와 학업소진 수준의 차이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 2요인 모형(완전한 또는 긍정적 정신건강 모형)에 따라 고등학생들의 정신건강 유형을 분류하고 학업소진 수준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를 분석하여 정신건강 유형별 빈도와 특징을 이해하는 데 있다. G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400명의 온라인 조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DASS-21(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21)로 우울 증상과 불안 증상을 측정하여 정신병리 유무를 구분하였고, K-MHC-SF(Korean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로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웰빙을 측정하여 정신적 웰빙 3수준을 구분하였다. 정신병리 유무와 정신적 웰빙 3수준을 조합하여 정신건강 5유형을 분류하였다(양호한 정신건강 유형 60.5%, 번영 유형 14.8%, 쇠약 유형 11.3%, 쇠약․병리 유형 7.8%, 양호․병리 유형 5.8%). 분산분석 결과, 학업소진 3요인(정서적 고갈, 냉소적 태도, 학업적 무능감)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업소진 수준이 번영 유형에서 가장 낮았고 쇠약․병리 유형에서 가장 높았다. 냉소적 태도와 학업적 무능감 수준에서는 쇠약 유형과 쇠약․병리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이 고등학생들의 정신건강 유형 분류에 적합하고, 완전한 정신건강을 돕기 위해 정신병리 증상의 감소와 정신적 웰빙의 증진을 병행해야 할 필요를 재확인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에게 중요한 정신병리 증상과 학업소진 증상을 보완하고, 정신병리 유무를 구분하는 더욱 객관적이고 타당한 기준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가계의 재무건강 측정 지표 개발

        최현자(Hyuncha Choe),김민정(Minjung Kim),한지형(Jihyung Han),강성호(Sungho Kang),최장훈(Jang Hoon Choi) 한국FP학회 202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 가계 상황에 맞는 재무건강의 개념을 정립하고 객관적 재무상태, 주관적 재무상태에 대한 인식, 재무행동 측면에서 손쉽게 재무건강을 자가 검진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재무건강 개념을 정의하고,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자문회의 및 FGI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재무건강을 “가계가 일상적인 지출을 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으며, 재무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고, 장기적으로 재무적 성장이 가능한 상태”로 정의하였다. 둘째, 재무건강은 3개의 건강요소의 충족으로 구성하였으며, 3개의 건강요소는 가계가 일상적인 지출을 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는지의 ‘기초체력’ 요소, 재무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지의 ‘면역력’ 요소, 장기적으로 재무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상태인지의 ‘건강지속력’ 요소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재무건강의 ‘기초체력’, ‘면역력’, ‘건강지속력’이라는 위계적 개념을 적용하여 가계의 위험성을 단계별로 판단하고 장단기적 재무 위험도를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체계적인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넷째, 재무건강은 건강진단과 같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진단도구로 활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가계가 스스로 재무진단과 재무상태 구체화를 통한 실질적인 도움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국 가계의 재무건강 지표가 국내 가계를 대상으로 현재 재무상태의 문제점과 장기적인 지속가능성 등을 진단하여 재무건강을 판별할 수 있는 평가 기준으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financial health as it relates to Korean households and to develop indicators that can easily self-examine financial health in terms of objective, subj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e concept of financial health was def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ts feasibility was reviewed by conducting two advisory meeting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academic expe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financial health wa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households can meet their daily expenses with income, have the potential to overcome financial crises, and achieve long-term financial growth.” Second, financial health consisted of the satisfaction of three health factors. The three factors of financial health are "basic fitness", whether households can afford daily expenses with income, "immunity" whether they have the potential to overcome financial crises, and "health persistence", which is their long-term financial growth potential. Third, in this study, the hierarchical concepts of ‘basic fitness,’ ‘immunity,’ and ‘sustainability’ of financial health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risk of households and to consider the short- and long-term financial risk. Therefore, financial health can be diagnosed more systematically. Fourth, financial health was structured to be used as a diagnostic tool that anyone could understand, such as a health checkup, and it was designed so that households could come up with practical strategies through financial diagnosis and materialization of their financial con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inancial health index of Korean household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widely used as an evaluation standard to determine financial health by diagnosing problems of current financial conditions and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domestic households.

      • KCI등재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정구철,주지향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282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Third, the variables of depression, psychopathic deviate, paranoia, psychasthenia, schizophrenia were significant mediating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mental health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83명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정신건강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우울증, 반사회성, 편집증, 강박증, 정신분열증의 변수들이 유의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행복 증진과 정신건강을 위한 건강증진행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스포츠문화에서 건강담론의 자발적 진화과정 추적하기: 웰빙과 힐링

        김영갑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well-being and healing and traced the discourses for them in order to define the voluntary evolution process of those discourses in sport culture. Well-being and healing have been the health discourses intensively mentioned by media since early in the 2000’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as some gap in the times for the two to be emphasized as well as in their concepts. Well-being is a sociocultural trend highlighted during a socioeconomic plateau and healing during a socioeconomic stagnation. Neo-liberalism and consumerism have been considered as the critical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well-being and healing phenomena. Even though the Korean developmental neo-liberalism went through an significant inflection point so that some part of macroscopic economic index might be stabilized and at the same time brought about an economic polarization. First, the economic polarization has worsened the reality that the laborers’ quality of life has not been improved, which has made well-being and healing popular among those craving the intrinsic meaning of life. Next,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at well-being and healing will highly likely to be generated when temporary economic and mental difficulties are triggered with the premise of stable income level, consumerism can be determined as a critical factor to the formation of discourses of the two. On the other hand, in the era of well-being and healing the sport for better health has been an indispensible activity of modern people and recently the sport for well-being has evolved into a sport foe healing focused on curing, which is represented by forests sports. 이 연구는 웰빙과 힐링담론을 추적함으로써 스포츠문화에서 건강담론의 자발적 진화과정을 정렬하는데 목적이 있다. 웰빙과 힐링은 2000년대 초반부터 언론에 집중적으로 언급된 건강담론이다. 개념상의 차이도 있지만 웰빙과 힐링이 강조된 시기는 다소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웰빙은 사회경제적 안정기에, 힐링은 사회경제적 침체기에 고조된 사회문화적 트렌드다. 또한 웰빙과 힐링현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결정적 변수는 신자유주의와 소비주의로 간주하였다. 먼저 한국형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는 중요 변곡점을 거치면서 일부 거시적 경제지표는 안정화되었지만 심각한 경제적 양극화현상도 초래하였다. 특히 경제적 양극화로 노동자의 삶의 질은 지금까지도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가중되면서 삶의 본래적 의미를 갈망하는 웰빙과 힐링이 확산된 것이다. 다음으로 웰빙과 힐링이 안정된 소득수준을 전제로 하고 일시적인 경제적, 정신적 어려움들이 촉발될 때 생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상황을 고려할 때도 소비주의는 양대 담론 형성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웰빙과 힐링의 시대에 건강형 스포츠는 현대인의 필수적 행위가 되었고, 최근에는 웰빙형 스포츠에서 치유에 초점 맞춘 힐링형 스포츠로 더욱 진화되고 있는데 산림스포츠의 출현이 이를 대변한다. 결국 스포츠문화에서 건강담론은 비만담론에서 웰빙담론과 힐링담론으로 진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건강통계의 현황 검토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심재만,조병희,최지숙,신정우,변종석,양준용,서주희,남상민 한국보건사회학회 2017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4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 framework for health indicators in Korea. As the Korean economy has developed and the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the social interest in health issues has expanded rapidly. Due to the significance of policy implications, the production of health indicators by the government has increased recently. However, since each ministry or bureau produces health indicators for its own specific purpose, there exist overlaps between some indicators . On the other hand, some necessary indicators reflecting the very fast-changing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are not developed well. In response, this research reviews theories of health in the field of sociology and public health and examines experiences in other countries in order to develop a framework for organizing and re-building health indicators in Korea. Specific domains and indicators for each domain are proposed in the framework. 사회경제적 변화와 삶의 질·웰빙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다. 국가정책 측면에서도 건강통계가 그 동안 많이 생산되어 왔다. 그 가운데 이와 같은 건강통계는 과연 변화하는사회상과 사회적 관심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묻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국가정책적 측면에서 생산되고 있는 다양한 건강통계의 현재를 검토하는 데에 필요한 개념적 틀인 건강통계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레임워크 제안을 위해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주된 연구방법으로채택해, 사회학과 보건학의 건강 관련 이론들과 이를 적용한 외국의 건강통계 프레임워크 관련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 건강 분야 전문가 자문을 보완적 방법으로 병용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는 건강영향요인, 건강상태, 보건의료체계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건강통계 프레임워크로 한국의 건강통계를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각 영역은 다시 사회경제적·환경적 조건, 건강행동·라이프스타일(이상건강영향요인), 사망, 질병, 장애, 주관적 웰빙(이상 건강상태), 접근성, 효과성, 효율성, 안전성, 만족도(이상 보건의료체계) 등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하위영역에 상응하는 건강통계 내 지표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어떤 것들이 부재한지 검토하는 작업이 향후 이뤄져야 함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