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거울도식과 나르시스적 사랑

        강응섭(Eung-seob KANG)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10 현대정신분석 Vol.12 No.2

        이 글은 거울단계의 문헌과 역사에 관한 연구이다.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보면, 나르시시즘과 영상, 내부와 타자의 욕망, 거울도식과 장막도식 간의 연속성, 거울단계와 나르시스적 사랑을 다룬다. 이 글에서 필자는 거울단계를 'i'(a) ← i(a) ← a'라는 형식으로 요약한다. 여기서 'a'는 실재대상, i(a)은 실재영상, i'(a)은 허구영상을 의미한다. 거울단계가 보여주는 것은 현실과 허구를 분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징적 세계가 나타난다. 상징적 세계는 언어화된 세계이다. 말로서 재현된 세계이다. 거울단계와 원-자아 간의 관계는 프로이트가 말한 두 개의 나르시시즘과 대응하여 설명될 수 있다. 프로이트에게서 리비도는 라깡에게서 이미지에 해당한다. 일차적 나르시시즘은 실재 영상에 관계되고 이차적 나르시시즘은 허구 영상에 관계된다. 리비도의 이동 자리길은 이상의 이동 자리길과도 같다. 외부가 내부가 되는 내투는 아버지가 초자아가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런 의미에서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 이 말 뜻은 타자가 갖고 있는 욕망이 주체의 내부로 유입됨을 의미한다. 욕망은 타자 안에서, 타자에 의해서, 타자에게서 실현된다. 장막 도식 안에서 '막'은 타자의 거울이고 대상에서 이미지로 변형을 일으키는 렌즈이다. 무의식의 주체는 나르시스적 사랑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사랑의 방정식으로 이어진다. 무의식의 주체는 아갈마의 주체인데, 이 말은 주체와 대상 사이를 끝없이 왕래하는 반복의 주체라는 뜻이다. 이런 의미에서 거울도식은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근본부터 사고하는 라깡식 핵심 장치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그림책, 『거울속으로』에 나타난 자아형성 탐구

        김수영(Kim, Soo-young),이우학(Lee, Woo-ha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6 No.-

        본고에서는 이수지가 명명한 “현실과 환상의 경계 그림책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인 『거울속으로』에 내포된 은유와 상징이 주인공의 자아형성 과정을 얼마나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거울속으로』에 드러난 자아형성 과정은 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이상적 자아형성 단계로,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작가는 세로로 길게 제본된 책의 맨 아래 한 귀퉁이에 왜소한 아이를 배치함으로써 원초적 불안감에 휩싸인 거울단계 진입 직전의 주체를 상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데칼코마니의 대칭적 구도를 지닌 그림들은 다른 한쪽 면을 거울로 인식하도록 설정되었고, 점층적으로 커져가는 꽃무늬는 거울상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는 아이의 환희를 나타낸다. 또 제본 선을 기준으로 아이와 거울상이 함께 빨려 들어가는 이미지는 주체와 이상적 자아와의 동일시를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는 자아/타자 간 경쟁단계로, 조각난 신체라는 파편화된 느낌에 시달리는 아이와 통일되고 완전한 이미지의 이상적 자아 사이의 경쟁단계이다. 작가는 아이가 두 가지 포즈를 취하는 동안 거울에 비친 이미지는 세 가지 동작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아이에게 완전한 신체상으로 인식된 이상적 자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세 번째는 자아/타자 간 분리단계로, ‘나’의 존재를 잊은 채 거울상(타자)에 몰입하던 아이가 타자를 타자로 인식하게 됨으로써 공격성을 드러내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거쳐 자아와 타자(타자에 동일시된 이상적 자아) 간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아이는 상징계로의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림책에서는 아이가 거울상(이상적 자아)을 밀어 깨뜨림으로써 둘 사이가 분리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예술작품은 심리적 행위의 결과물이고, 따라서 심리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수지의 그림책 ?거울속으로?를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분석해봄으로써 글 없이 간결한 그림만으로 표현된 그림책을 통해서도 인간의 심층심리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paper looks at the ways in which Suzy Lee’s Mirror (the first picture book of the so-called “trilogy of border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mplicitly shows the heroine’s self-construction process. The self-construction process revealed in Mirror i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ideal self-forming stage, in which the infant constructs its self though the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The author symbolically represents the anxious self by positioning the diminutive child at the bottom corner of the vertically long page. The girl and her mirrored image are represented symmetrically using the decalcomania technique. The enlarging flower patterns reflect the growing awareness of self and the joy of the child. The child and her mirror image are bound together by the center binding line, showing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ideal self. The second is the stage of competition between the child stricken with the feeling of fragmented body and the unified ideal self. Showing three images of movements when the child poses in two different ways, the artist represents the free movement of the ideal self, through which the child recognizes herself as a perfect whole body. The third is the stage of separation of the self and other in which the child forgets the presence of “I” while immersed in the mirror image (other) and expresses aggressiveness by recognizing the other as the other. Through the separation between self and other(ideal self), the child is able to attempt access into the symbolic world. The picture book successfully depicts the girl breaking the mirror image (ideal self) and experiencing separation between the two selves. All art is the result of psychological behavior, and thus may be subject to psychological research. This paper interprets Lee’s picture book Mirror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in order to show how psychological depth can be represented by a series of wordless pictures.

      • KCI등재후보

        이상의 ‘거울’, 환상의 기표에 비친 주체 인식

        배선윤(Bae, Seonyun) 이상문학회 2020 이상리뷰 Vol.- No.16

        ‘거울’은 자기 반영의 도구이자 자기 소외의 속박이다. 인간주체는 끊임없이 거울을 통해 확인하는 이미지로 자아를 재구성한다. 하지만 거울로 확인하는 자아는 나르시시즘 단계에서 형성되는, 근본적으로 본질에서 소외된 환상이다. 이런 소외와 분열의 양상을 가장 전형적으로 거울에 담은 시인이 이상이다. 이상이 표현한, 주체 반영 속에서 확인하는 인간의 소외와 절망은 이상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다른 방향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인간이 언어적 존재이며, 본질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는 라캉의 이론은 인간이 거울 앞에 서는 욕망과 절망의 본질을 설명해준다. 거울 앞에 서는 욕망을 실패함으로써 주체는 자기 본질에서 소외되고, 그 소외에서 분리로 나아갈 때 주체화를 이룬다. 이상은 거울이라는 기표로 주체가 어떻게 소외되어 분리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표현하고 있다. 말하는 주체로서 이상은 거울 앞에 서서 포착하는 자아상이 환상과 망상임을 인식한다. 이상의 시 쓰기는 곧 그 발견의 과정이다. 라캉이 말하는 거울단계는 인간이 최초로 통합된 자기를 발견하는 인생초기 발달단계이지만, 그 때 만나는 자아상은 상상계 속에서 만나는 허상이다. 이 허상에서 소외되고 분리될 때, 인간주체는 무의식의 주체로서 탄생하고, 윤리적 주체로 나아갈 수 있다. 이상이 짧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욕망과 절망을 오가면서 쓰기를 멈추지 못한 것은 이상이라는 인간주체가 곧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이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 ‘mirror’ is a tool for self-reflection and a bondage to self-alienation. The human subject constantly reconstructs the ego with images that are checked through a mirror. However, the ego identified with a mirror is an illusion that is fundamentally alienated from the essence, formed in the narcissistic stage. Lee Sang is the most typical poet who portrays this aspect of alienation and separation in a mirror. However, if we change our perspective a little, the alienation and despair of human expressed by Lee, can be interpret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of Lee. Lacan’s theory that humans are verbal beings and must be alienated from their essence explains the nature of desire and despair that humans stand in front of a mirror. By failing the desire of humans to stand in front of the mirror, the subject is alienated from his essence, and when the alienation proceeds to separation, the subjectification takes place. Lee expresses how the subject is alienated and must proceed to separation with the signifier of the mirror. As the parlêtre(speaking subject), Lee recognizes that the ego-image captured by standing in front of a mirror is an delusion and phantasy. Poetry writing of Lee is a process of this discovery. Mirror Stage Lacan refers to is the early stage of life when humans discover their first unified self, but the ego-image encountered at that time is an phantasy that they encounter in the imaginary. When alienated and separated from this illusion, the human subject is born as the subject of the unconscious and can proceed as an ethic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at Lee’s failure to stop writing as h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sire and despair until end of his short life was the process of rebirth of a subject named Lee as an ethic subject.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게슈탈트적 ‘신체’에 대한 라캉적 독해 : '신체현상학'에서 '신체존재론'으로

        주현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4 No.-

        이 글은 메를로-퐁티가 『지각의 현상학』에서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신체론을 검토한 다. 그것은 게슈탈트론의 도입으로 신체의 의미문제를 해명하려는 현상학적 시도이다. 그 런데 정신분석에서도 신체의 게슈탈트적 측면을 주된 발상으로 다루는 개념이 있다. 라캉은 자신의 거울단계 이론의 ‘조각난 몸’과 ‘통합된 몸’이라는 비유적 두 신체를 설명할 때 퐁티의 게슈탈트적 신체를 도입한다. 한편 퐁티는 또 다른 저서인 『유아과 타자의 관계』에서 라캉의 거울단계를 직접 언급하며 신체와 타자의 관계를 공통된 게슈탈트적 지반 위에 서 설명한다. 또한 『에크리』 곳곳에서 라캉은 거울단계를 소개하면서 퐁티의 게슈탈트적 신체와 거울단계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서술을 한다. 이론적 상황이 이러한 바, 퐁티의 ‘신 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참조하는 라캉의 거울단계(특히 조각난 몸의 상황)를 적극 적으로 독해해야 한다. 퐁티의 게슈탈트적 신체개념과 라캉의 거울단계는 단순히 유사한 개념만이 아니며, ‘게슈탈트’라는 공통의 지반 위에서 상보적 관계를 갖고, 나아가 존재론 적 지평도 공유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두 사상가의 각 개념에 대하여, 퐁티는 ‘신체-세계’의 지향적 관계에서 게슈탈 트적 의미통합체로서 신체를, 라캉은 ‘신체-의식’(조각난 몸-자아)의 반성적 관계에서 게슈탈트적 통합체인 신체를 제시함으로써 접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제안한다. 즉 라캉의 개념에서 실재적 방식으로 구성되는 주체의 구성 과정이 ‘분리-통합’의 형태를 취하고 있 다는 것에 주목해, 퐁티의 신체개념에 적용한다. 그것은 신체와 세계의 관계에 ‘분리-통 합’적 방식이라는 해석을 부가함으로써 확장된 검토를 제안하는 것이다. 퐁티의 신체론 에서 이러한 해석을 적용할 때 의의는, 신체론 중심의 『지각의 현상학』이 단순히 신체의 의미론 연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존재론 연구에 귀속되는 하나의 개념으로서 ‘신체현상학-신체존재론’으로 재조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신체에 대한 전통적 방식의 해석을 넘어서 신체가 그 자체로 하나의 사건이 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단서를 발견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examines the body theory that Merleau-Ponty deals with centrally in Phenomenology of The perception. It is a phenomenological attempt to clarify the problem of meaning of the bod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Gestalt. However, similar attempts are found in psychoanalysis. Although not conceived for a direct explanation of epistemology, Lacan affirms and introduces Ponty s phenomenological Gestalt in his Mirror-stage theory. Meanwhile, Merleau-Ponty directly refers to Lacan s Mirror-stage in another text, ‘The Child s Relations with Others’. In addition, Lacan emphasizes the influence of Merleau-Ponty Gestalt-Body while explaining the Mirror-stage in various places in crits.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complementarity of the two thoughts by examining specific theorie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wo concepts share a similar ontology. According to this thesis, even though each concept of the two philosophers is on a different basis of phenomenology and psychoanalysis, if the similarity of thought is examined, an extended study of the two theor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광고에서의 거울의 의미

        황지영(Hwang, Ji 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광고에서의 거울의 사용방식과 작동방식을 분석하고 거울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기호학분석을 수행했다. 분석을 위해 윌리엄슨과 바르트의 주요 개념을 사용했으며, 이론적 토대로 라캉의 거울단계 개념을 차용했다. 광고에서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거울이 주체구성과정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 지 분석하고자 했다. 광고가 자아를 위한 어떤 상상적 가능성을 구성해내는지 논의하고자 물리적이거나 상상적인 거울이 사용된 광고들 중 반영, 부재, 변형 형식을 포함한 총 7개의 광고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택했다. 분석 결과 거울광고는 대상의 왜곡(distortion), 변형(transform)등과 같은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지배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거울은 "무의식적인 세계(Salvatore Ferragamo)", "상상계(Timberland. MOTO KRZR FIRE)", "상징계로의 진입(MOTO KRZR FIRE)", "거울단계(JIGOTT)", "자아이상(MISOPE)"을 의미하고 있었다. 초현실적인 거울의 사용은 제품에 가능한 자아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지배적인 방식과 관련된다. 즉, 제품은 "혼종적 주체", "양성성", "상실된 자아" 혹은 "개성"과 같은 자아의 일면과 "주체구성"을 의미하고 있었다. 결국 광고에서의 거울의 사용은 제품을 통한 혼종적 주체, 양성적 주체와 같은 새로운 자아를 구성하고, 분리된 자아를 통합하며, 개성을 완성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적 필요에 기여하고 있었다. 상상계의 은유로서 거울의 사용은 가능한 무의식적 기표들을 해방시킨다는 점에서 상품의 차별화를 위한 한 가지 지름길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focuses on various mirror images in ads and dose a semiotic approach to analyse how mirrors can be used to signify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or subjectivity. As a kind of referent system "the mirror stage" is useful to analyse advertisement ones as texts of subject construction. For a semiotic analysis, the principal concepts of Williamson and Barthes is used. And as a theoretical bases Lacan"s conception is borrowed. Ads can use mirror to relate to the subjectivity or identity. 7 ads with physical or imaginary mirror signifier select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ads with mirror as signifier showed marked application of surrealism expression technique, which is a style of art that coerces contradictory images onto one canvas. Also mirror signified "unconscious world(Salvatore Ferragamo)", "the imaginary(Timberland, MOTO KAZR FIRE)", "entering to the Symbolic(MOTO KAZR FIRE), "mirror phase( JIGOTT)" and "the ego ideal (MISOPE)". The use of surrealistic mirror seems to be aimed at giving products personality traits. In short, products signified one side of ego such as "hybrid subjectivity", "separated ego", "androgyny", and "personality" or subject construction. The use of surrealistic mirrors in ads contributes to ideological objective for products. To be precise, the use of surrealistic mirror gives a short cut to differentiate products in the way that it possibly emancipates unconscious signifiers like in the imaginary.

      • KCI등재

        이상 시『烏瞰圖』에 나타난 언술 주체의 분열 양태

        문흥술(Moon Heungsul)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이상 문학에서 한글시 『烏瞰圖』 15편은 그 내용에 따라 크게 세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언술주체와 언술체계의 분열과 관련하여 일본어와 한글의 이중 언어가 갖는 차이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품, 두 번째는 한글 언술 영역에서 언술주체의 욕망의 좌절과 내면 상태를 보여주는 작품, 세 번째는 한글언술 영역으로 담지되는 지식 세계에 대해 소모적인 비판을 가하는 작품이 그것이다. 이 글은 두 번째 계열에 해당하는 작품을 대상으로 언술주체의 분열양태를 고찰하였다. 「詩第八號 解剖」의 언술주체는 '태양광선'으로 표상되는 근대적 지식에 의해 '거울'의 수술 행위, 곧 상대적 지식에 대한 욕망을 표출하는 행위가 실패할 것임을 미리 예감하고 있다. 거울의 수술 실패로 인한 상대적 지식에 대한 욕망 좌절은 「詩第十五號」에서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의 분열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분열은 주체의 동일화 이론에 따를 때, 상상계의 거울 단계에서의 분열에 해당한다. 곧 「詩第十五號」의 언술주체가 거울에 비친 영상이라는 '이자적 관계'에서 그 영상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분열을 인식하는 것은 바로 거울 단계에서 자기동일화에 실패한 때문이다. 「詩第十號 나비」도 거울단계에서의 주체의 동일화 실패를 다루고 있다. 거울상의 단계에서 주체의 동일화 확보에 실패한 언술주체는 '조각난 몸의 고뇌'를 극복하지 못한 채 자해 행위 내지 마조히즘적 공격성을 표출한다. 이와관련있는 작품이 「詩第十一號」와 「詩第十三號」이다. 그리고 「詩第七號」, 「詩第九號 銃口」, 「詩第十四號」는 '조각난 몸의 고뇌'를 극복하지 못한 언술주체의 좌절된 욕망과 그로 인한 내면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詩第七號」에서 보듯, 언술주체는 '구원적거의 지'와 같은 근대적 지식이 지배하는 한글 언술 영역에서 욕망의 좌절을 겪는다. 그러나 언술주체는 실현 불가능한 그 욕망을 계속 추구함으로써 점차 형해화되어 간다. 『烏瞰圖』 이후 이상 문학의 언술주체는 한글소설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어린아이 해골'(「童骸」) →'形骸'(「失花」) → '홍안미소년의 노옹화'(「終生記」)로 더욱 형해화되어 간다. OGAMDO can be divided into three affiliation, depending on its context. The first affiliation shows the meaning on the dual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The second affiliation shows that the desire of the subject of énoncé is frustrated in Korean énoncé. The third affiliation shows wasteful criticism on the field carried by Korean énoncé. This manuscript has paid attention to the fragment of subject of énoncé that appears in the second affiliation. The subject of énoncé in SIJEPALHO is foiled in the desire for the relative knowledge. And the subject of énoncé in SIJESIBOHO is divided into the self in the mirror and the self out the mirror. Applying the theories of 'identity of subject', this fragment of the subject of énoncé equates to the fragmentation of the stage of mirror in l'imaginaire. SIJESIBHO deals with the failure in 'identity of subject' in the stage of mirror. The subject of énoncé who is foiled in 'identity of subject' can't get over 'l'angoisse du corps morcele´' and shows aggression such as self-injury. SIJESIBILHO and SIJESIBSAMHO exemplifies this aspect. SIJECHILHO, SIJEGUHO, SIJESIBHO exemplifies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of énoncé who the desire for the relative knowledge is frustrated.

      • KCI등재

        자폐증의 거울 단계와 광학 모델 그리고 동일시에 관한 고찰

        이경숙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4 현대정신분석 Vol.26 No.1

        본 연구는 자폐증의 증상에서 거울 단계 최초의 동일시에 이르지 못한 모습을 발견하며, 라캉의 거울 단계와 광학 모델이 자폐증 임상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는 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라캉의 거울 단계와 광학 모델이 정신의 구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며, 라캉의 광학 모델을 변형하여 자폐증자가 거울과 맺는 관계를 4가지 광학 모델로 제시한 브랜너의 연구와 자폐증자의 독특한 동일시에 관한 연구를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자폐증의 증상이 거울 단계에서의 동일시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에 한 가지 원인이 있으며, 자폐증자는 자신의 파편화된 신체를 응집시키기 위해 다른 동일시의 경로를 가진다고 보았다. 이에 연구자는 브랜너가 제시한 변형된 4가지 광학 모델과 각 모델마다 자폐증자의 독특한 동일시와 증상들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임상경험과 관련하여 4가지 광학 모델에 해당하는 동일시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자폐증자의 고유성을 기반으로 한 정신분석적 임상에서 더 적절한 개입을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discovery of a lack of the first sort of identification with the mirror stage in the symptoms of autism, and the question of what implications Lacan’s mirror stage and optical models have for autism clinical practice.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Lacan’s mirror stage and optical model on the structuring of the psyche, and discusses Brenner’s work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of autistic people with four optical models of their relationship with mirrors, a variation on Lacan’s optical model.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symptoms of autism may be due to the inability to acquire identification with the mirror, and that autistic people have different pathways of identification in order to cohere their fragmented bodies. Based on Brenner’s four variants of the optical model, I examined the unique identification and symptoms of autism in each model.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presented forms of iden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 optical models. I believe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more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psychoanalytic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uniqueness of autism.

      • KCI등재

        싸이월드와 트위터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표현 양상에 대한 연구 - 자크 라깡의 거울단계이론을 중심으로 -

        김민정,이길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SNS와 나르시시즘의 이론적 관계성을 찾아보고 그것을 근간으로 라깡의 거울단계이론을 싸이월드와 트위터 속에 반영된 나르시시즘 표현 양상에 적용하여 이를 '네트워크'와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나르시시즘과 라깡의 거울단계이론, 디지털시대에 나타나는 나르시시즘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디지털 사회에서 나르시시즘 성격지수가 증가한 원인을 가족구조의 변화와 교육환경의 변화, 매체의 영향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론 연구를 통해 거울 단계 이론을 SNS환경에 접목 해 보았을 때 현대사회에서 자아의 거울에 해당 되는 것이 SNS의 팝업 창 화면이며, 거울에 비친 자아는 SNS에 업로드 된 가상의 자아에 비유할 수 있다. 거울을 통해 ‘파편화 되었던 육체의 총체를 인식’하는 행위는 웹화면 속에 업로드 된 이상적인 자아 또한 자신의 실체로 인식하고 자기만족을 얻는 행위로 비유할 수 있었다.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한 사례연구에서는 싸이월드의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일촌관계, 파도타기 기능, 방문자 hit 수, 스크랩 기능 에서 나르시시즘 표현 양상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는 미니미와 미니룸 기능, 이미지 보정 서비스, 스킨 기능에 수용자의 나르시시즘 욕구를 만족시키는 요소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트위터의 경우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팔로잉’과 ‘팔로워’ 기능, 스타와 팬의 관계처럼 느끼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의 특징에서 나르시시즘 표현 양상을 찾을 수 있었고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는 ‘140자’라는 제한요소와 ‘리트윗’ 기능을 통해 내제된 나르시시즘 욕구를 표출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 researched on the narcissistic expression on SNS especially around Cyworld and Twitter. I applied Jacques Lacan’s Mirror stage to Cyworld and Twitter. By applying the Lacan’s Mirror stage theory to SNS, a mirror of ego in modern society can be a pop-up on SNS and a reflected ego in the mirror can be compared to anuploaded virtual ego on SNS. It has been found out the behavior to realize ‘a fragmented body’ through the mirror can be same act to recognize uploaded ideal themselves on the Web as their true ego. It leaded them to get self-contentment. Following the case study, I consider narcissism appearing on Cyworld and Tweeter in aspects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There are some functions such as Ilchon like friends on acebook and Padotaki, click rate, Scrap in Cyworld. In these functions, narcissistic aspects have been observed in terms of networking.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various functions available in Cyworld such as Minimi (avatar), Mini room (avatar’s room) and photo editing services bring satisfaction among customers in terms of communication. As for Twitter, Following and Follower functions meet users’ narcissistic desire such as exhibitionism and peeping. Also, it provides people with chances to be micro-celebrities. It means that normal people who admired celebrities could be like a star on Twitter. Also, people who use Twitter could express their idea and thoughts instantly by writing 140 characters and retweeting on Twitter.

      • KCI등재

        이상 시 『烏瞰圖』에 나타난 언술 주체의 분열 양태

        문흥술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6

        OGAMDO can be divided into three affiliation, depending on its context. The first affiliation shows the meaning on the dual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The second affiliation shows that the desire of the subject of énoncé is frustrated in Korean énoncé. The third affiliation shows wasteful criticism on the field carried by Korean énoncé. This manuscript has paid attention to the fragment of subject of énoncé that appears in the second affiliation. The subject of énoncé in SIJEPALHO is foiled in the desire for the relative knowledge. And the subject of énoncé in SIJESIBOHO is divided into the self in the mirror and the self out the mirror. Applying the theories of ‘identity of subject’, this fragment of the subject of énoncé equates to the fragmentation of the stage of mirror in l'imaginaire. SIJESIBHO deals with the failure in ‘identity of subject’ in the stage of mirror. The subject of énoncé who is foiled in ‘identity of subject’ can't get over ‘l'angoisse du corps morcele´’ and shows aggression such as self-injury. SIJESIBILHO and SIJESIBSAMHO exemplifies this aspect. SIJECHILHO, SIJEGUHO, SIJESIBHO exemplifies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of énoncé who the desire for the relative knowledge is frustrated. 이상 문학에서 한글시 『烏瞰圖』 15편은 그 내용에 따라 크게 세 계열로 나눌수 있다. 첫 번째는 언술주체와 언술체계의 분열과 관련하여 일본어와 한글의이중 언어가 갖는 차이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품, 두 번째는 한글 언술 영역에서 언술주체의 욕망의 좌절과 내면 상태를 보여주는 작품, 세 번째는 한글언술 영역으로 담지되는 지식 세계에 대해 소모적인 비판을 가하는 작품이 그것이다. 이 글은 두 번째 계열에 해당하는 작품을 대상으로 언술주체의 분열양태를 고찰하였다. 「詩第八號 解剖」의 언술주체는 ‘태양광선’으로 표상되는 근대적 지식에 의해‘거울’의 수술 행위, 곧 상대적 지식에 대한 욕망을 표출하는 행위가 실패할것임을 미리 예감하고 있다. 거울의 수술 실패로 인한 상대적 지식에 대한 욕망좌절은 「詩第十五號」에서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의 분열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분열은 주체의 동일화 이론에 따를 때, 상상계의 거울 단계에서의 분열에 해당한다. 곧 「詩第十五號」의 언술주체가 거울에 비친 영상이라는 ‘이자적 관계’에서 그 영상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분열을 인식하는 것은 바로 거울 단계에서 자기동일화에 실패한 때문이다. 「詩第十號 나비」도 거울단계에서의 주체의 동일화 실패를 다루고 있다. 거울상의 단계에서 주체의 동일화 확보에 실패한 언술주체는 ‘조각난 몸의고뇌’를 극복하지 못한 채 자해 행위 내지 마조히즘적 공격성을 표출한다. 이와관련있는 작품이 「詩第十一號」와 「詩第十三號」이다. 그리고 「詩第七號」, 「詩第九號 銃口」, 「詩第十四號」는 ‘조각난 몸의 고뇌’를 극복하지 못한 언술주체의좌절된 욕망과 그로 인한 내면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詩第七號」에서 보듯,언술주체는 ‘구원적거의 지’와 같은 근대적 지식이 지배하는 한글 언술 영역에서 욕망의 좌절을 겪는다. 그러나 언술주체는 실현 불가능한 그 욕망을 계속추구함으로써 점차 형해화되어 간다. 『鳥瞰圖』 이후 이상 문학의 언술주체는 한글소설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어린아이 해골’(「童骸」) →‘形骸’(「失花」) → ‘홍안미소년의 노옹화’(「終生記」)로더욱 형해화되어 간다.

      • KCI등재

        Lacan 거울단계 이론의 교육철학적 함의

        서상문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2

        교육주체의 심리학적 실체를 표상하는 개념인 자아의 구성이 개체 내재적으로 그리고 존재 독립적으로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외부적 기원과 타자에의 발생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거울단계 이론은 다양한 교육의 과제와 관계, 그리고 활동들을 교육주체에 대한 새로운 분석 속에서 어떻게 재구성해야 할지에 대하여 고민하게 만든다. 또한 우리 정신적 삶의 지평으로부터 지금껏 교육 외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온 다양한 교육적 현상들에 대한 평가 및 처우를 어떻게 개선하고 대체해야 할지에 대한 심각한 반성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것은 교육의 기본 전제와 규범적 틀을 전면적으로 재편해야 함을 역설하는 의식 이면의 목소리이고 교육의 무의식을 사건화하고 현상의 흐름 속에서 실체화하는 계기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정신분석에 근거한 교육철학적 주장을 신화적 표상들과 Lacan의 분석적 논의들을 빌어 ‘욕망의 교육론’이라고 명명하였다. 교육에서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일반적인 통념에서처럼, 절제되어야 하고 도덕적인 제어장치에 의해 통제되어야 할 부정적 속성으로서의 욕망이 아니라, 오히려 억압되지 않아야 비로소 성취 가능한 윤리의 기초명제로서의 욕망이 이 교육론의 핵심가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무의식적 욕망의 가시적 사건으로서의 거울 저 너머에 있는 타자를 향한 원초적 관계분석은 발달적 교육론의 다양한 주제들과 교육 그 자체의 발생에 대한 본격적인 정신분석적 논의를 실제적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유일한 통로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의식의 제한된 지면 위에 가설된 인공의 발달이론이 아니라, 무의식의 광활한 대지가 발생시킨 자연의 발달이론이기에 그 잠재된 교육분석적 함의가 더욱 역동적이며 무한하다고 기대되어지는 것이다. The mirror stage theory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self which represents the psychological entity of the educational subject is not made in the individual independently, rather is dependent in the external origin and the genesis from the Other absolutely. This revolutionary theory makes us worry how the tasks, the relations, and the activities of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in the new analysis about the educational subject. Furthermore, that also guides us to the severe reflection how the evaluations and treatments for the various extra-educational phenomena should be improved and alternated. This is the unconscious voice which insists the whole reorganization of the basic conditions of education and the critical moment which makes the unconsciousness of education as an event in the process of phenomena. This study named these educational arguments of psychoanalysis as the‘educational theory of desire’ in the ground of the mythological representation and analytic explanation of Lacan. Desire is not the negative attribution which is controlled by the moral device, but the ethical proposition which is achieved without the moral repression. And the desire constructs the main values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original relation analysis to the Other beyond the mirror as a visible accident of the unconscious desire operates the only pathway which makes the psychoanalytic discussion for the genesis of the education itself and the development of the unconsciousness. As the understanding on the abnormality is more proximal to the truth of human being, the education theory of desire is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of education which wants to show the everything of the education itself without addition and subt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