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new species of the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Araneae : Pholcidae)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유령거미속(Pholcus)의 新種을 記載한다. 유령거미속은 유령거미科(Pholcidae)에 하는 거미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25種이 報告되어 왔으나 이 新種의 추가로 다음 26種이 된다. 旣知種 1. Pholcus acutulus Paik, 1978 목이유령거미 2. Pholcus chiakensis Seo, 2014 치악유령거미 3. Pholcus crassus Paik, 1978 부채유령거미 4. Pholcus extumidus Paik, 1978 엄지유령거미 5. Pholcus gajiensis Seo, 2014 가지유령거미 6. Pholcus gosuensis Kim & Lee, 2004 고수유령거미 7. Pholcus joreongensis Seo, 2004 새재유령거미 8. Pholcus juwangensis Seo, 2014 주왕유령거미 9. Pholcus kwanaksanensis Namkung & Kim, 1990 관악유령거미 10. Pholcus kwangkyosanensis Kim & Park, 2009 광교유령거미 11. Pholcus manueli Gertsch, 1937 대륙유령거미 12. Pholcus montanus Paik, 1978 묏유령거미 13. Pholcus nodong Huber, 2011 노동유령거미 14. Pholcus okgye Huber, 2011 산유령거미 15. Pholcus palgongensis Seo, 2014 팔공유령거미 16. Pholcus parkyeonensis Kim & Yoo, 2009 박연유령거미 17. Pholcus phalangioides (Fuesslin, 1775) 집유령거미 18. Pholcus pojeonensis Kim & Yoo, 2008 포전유령거미 19. Pholcus simbok Huber, 2011 심복유령거미 20. Pholcus socheunensis Paik, 1978 소천유령거미 21. Pholcus sokkrisanensis Paik, 1978 속리유령거미 22. Pholcus uksuensis Kim & Ye, 2014 욱수유령거미 23. Pholcus woongil Huber, 2011 운길유령거미 24. Pholcus yeongwol Huber, 2011 영월유령거미 25. Pholcus zichyi Kulczyński, 1901 산유령거미 新 種 26. Pholcus cheongogensis spec. nov. (Figs. 1-10) 記載한 新種 Pholcus cheongogensis 는 암컷의 생식기와 수컷의 생식기의 모양과 협각의 돌기의 모양의 차이 등으로 인해 다른 종과 구별되는 新種이다.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s describe one new species of the family Pholcidae from Korea, named Pholcus cheongogensis sp. nov. This specimen is deposited at the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Kyunggi-do.

      • 수질에 따라 서식하는 거미류의 분포 경향성에 관한 연구: 각 하천별 거미상을 중심으로

        김주필(Joo Pil Kim),홍승희(Seung Hee Hong),김대희(Dae Hee Kim),서동범(Dong Beom Seo),장태원(Tae Won Jang) 한국거미연구소 2017 한국거미 Vol.33 No.1

        2016년 5월 28일부터 2016년 8월 8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6개의 하천의 거미상을 조사한 결과, 총 19과 40속 54종이 채집되었다. 수질의 등급에 따라 1a등급 청계천2(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왕십리동 무학교), 1b등급 양재천(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대치교), 2등급 도림천(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신대방역), 3등급 탄천5(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도보교), 4등급 안양천4(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오금교), 6등급 중랑천4(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1동 성동교)에 위치한 각 하천에서 각 9과 11속 13종, 13과 22속 23종, 9과 16속 17종, 9과 13속 16종, 11과 15속 17종, 10과 15속 17종이 채집되었고 수질에 따른 거미의 개체수 경향을 분석해 봤을 때 1, 6등급에서는 가장 적은 개체수가 채집된 반면, 3등급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6개의 하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과로는 꼬마거미과(Theridiidae), 왕거미과(Araneidae), 게거미과(Thomisidae)였다. 수질에 따른 거미의 생활양식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 봤을 때, 대부분의 수질에서 정주성 거미가 배회성 거미 개체수보다 많았다. 이는 하천의 교량이나 식생 등 정주성 거미가 거미줄을 치고 생활하기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이에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From May 28th to August 8th in 2016, after investing the spider fauna in six streams located in Seoul. authors collected a total of 19 families 40 genera 54 species. Those streams were divided into the six-level based on water quality as follows: Choeng-gyecheon lever 1a (Hawangsim-ri, Seongdong-gu, Seoul), Yangjaecheon level 1b (Daechi-dong, Gangnam-gu, Seou), Dorimcheon level 2 (Sindaebang-dong, Dongjak-gu, Seoul), Tancheon level 3 (Samsung-dong, Gangnam-gu, Seoul), An-yangcheon level 4 (Ogeum Bridge, Guro-dong, Guro-gu, Seoul), Jungnangcheon level 6 (Seongsu-ldong, Seongdong-gu, Seoul). 9 families 11 genera 13 species. 13 families 22 genera 23 species, 9 families 16 genera 17 species, 9 families 13 genera 16 species, 11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10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were collected in the above streams. Authors’ analysis have found that stream at level 3 has the largest number of spiders, while level 1 and 6 have the fewest numbers. Spiders the six streams have in common are Theridiidae, Araneidae and Thomisidae. When analyzing spiders’ life styles on varying water quality, settling spiders have much more populations than wandering spiders at all levels of water. It is assumed that living conditions, including making webs under the bridges are more advantageous to settling spiders.

      • 한국산 껍질애접시거미(Ceratinella brevis (Wider, 1834) 암컷의 기재

        김주필,이준호,이준기 韓國거미硏究所 2014 한국거미 Vol.30 No.2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일대에서 이루어진 거미상 조사에서 2013년 6월 13일 대진고등학교 교내에서 채집된 접시거미과의 거미를 조사 연구한 결과, 한국에서 수컷만이 기재되었던(Seo, 2011) 껍질애접시거미(Ceratinella brevis (Wider, 1834))의 암컷으로 확인되어 이 종의 암컷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재한다. 기재한 암컷의 표본은 남양주시 한국거미연구소 주필거미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In this paper, the authors described the female of Ceratinella brevis (Wider, 1834) which was found during the spider fauna of Hagye-dong, Nowon-gu, Seou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efore this description, there was only a description about the male of this species in Korea(Seo, 2011), so we described measurements and photos of the holotype female of this species from Korea in detail. The holotype female specimen of this species is deposited at the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 한반도 도서의 거미상에 관한 연구

        강석민(Seok-min Kang),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11 한국거미 Vol.27 No.2

        본 연구는 기존에 발표된 한반도 도서의 거미상 자료와 직접 채집한 거미상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18개 도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거미상을 정리하여 거미분포도를 작성하고 MacArthur & Wilson 법칙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조사된 섬의 거미상은 총 41과 166속 383종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섬에서 우점하게 관찰된 과로는 왕거미과(Araneidae, 14.62%), 꼬마거미과(Theridiidae, 13.32%), 깡충거미과(Salticidae, 12.53%), 게거미과(Thomisidae, 6.53%), 갈거미과(Tetragnathidae, 5.48%)등으로 나타났고 모든 섬에서는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 말꼬마거미(Achaearanea tepidariorum)가 관찰되었다.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섬은 울릉도로 총 199종이 관찰되었고 가장 적은 종이 관찰된 섬은 욕지도로 30종이 관찰되었다. 울릉도에서는 다른 섬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거미 45종이 관찰되었고, 비금도ㆍ도초도, 욕지도는 다른 섬에서 관찰되지 않은 종은 없었다. 그리고 모든의 섬에서 한국 고유종들이 관찰되었으며, 남해안, 동해안에 위치한 섬들에서는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발견되는 종들이 관찰되었고 서해안에 위치한 섬들에서는 중국에서 발견되는 종들이 관찰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 특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다음 두 가지 결과를 통해 한반도 도서의 거미상 연구에 대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첫째, 한국 도서지역의 거미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기초로 생물지리학, 동물지리학 등의 응용분야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ollected the information on the spider fauna living in 18 island regions of Korea from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the spider fauna in the islands of Korean. A distribution map was created and the spider distribution was analyzed applying MacArthur & Wilson theory. There arc 41 families, 166 genera, 383 species of spider fauna in these islands. In all islands, the dominant families arc Araneidae, Salticidae, Theridiidae, Tetragnathidae and Thomisidae. Every island has Araneus ventricosus and Achaearanea tepidariorum. Ulleungdo has the most diverse spider species with 199 species, while Yokjido has the least number of spider species with 30 species. Ulleungdo has 45 spider species,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islands. Spider species found in BigeumdoㆍDochodo and Yokjido could be found in some other islands. In all islands, Korean endemic species were observed. In the islands located in south coast and east coast, spider species living in Korea and Japan were found. In the islands located in west coast, spider species living in Korea and China were found. It is believed that these are caused by the geopolitical location characteristic of Korea.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on spider fauna researches in the islands of Korean Peninsula with following two results. First, a spider distribution map of islands in Korean Peninsula was created for the first time. Second,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is research to other researches in the field of biogeography and zoogeography i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 한국산 거미목의 정주성 거미류 거미그물 형태에 의한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이우진(Woo Jin Lee),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10 한국거미 Vol.26 No.2

        야간에 거미그물을 관찰하고 표본을 체취하여, 거미그물 형태에 의한 한국산 거미목의 정주성 거미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한국 정주성 거미의 거미그물 유형은 서식지에 따라 차이가 나며 , 또 불규칙 그물, 흰띠 원형그물, 위장 원형그물,정상 원형그물, 바퀴통이 없는 원형그물, 말굽형 원형그물, Zilla 형 불완전 원형그물 , 삼각 그물, 줄그물, 접시그물, 차일 그물 또는 천막 그물, 깔 때 기그물, 전대그물, 그리고 물거미의 종모양 수중 그물의 14 개 로 나타난다. 공중에 치는 그물들은 다시 원형그물에서의 변이정도를 따라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왕거미류 응달거미류 그리고 갈거미류가 주로 원형그물을 친다. 북왕거미와 무당거미가 불완전한 원형그물을 친다. 꼬마거미류, 유령거미류 등이 영성한 불규칙 그물을 치나 거미 종류에 따라 불규칙 그물의 구조 차이가 조금씩 난다. 그 외에 잎거미류, 납거미류 등의 차일 그물, 풀거미류 등의 깔때기 그물, 접시거미의 접시모양 그물등이 있다. Webs of Korean dwelling spiders are classified depending on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Types are stratified according to location and structural properties, into 14 structures: irregular web, orb web with stabillimentum, camoflogued web, ordinary orb web, orb web without hub, Nephilla type of orb web, Zilla type of orb web, triangular web, single -line web, dome -like sheet web, tent web, purse web, and underwater web. The structures of webs are categorized largely into three groups. Spiders of the genus Aranidae, Uloboridae, and Tetragnathidae weave complete orb webs. Sachalinensis and Clavata weave incomplete orbs. Spiders of the genus Theridiidae, and Pholcidae weave irregular webs. Other spiders such as those of the genus Dictynidae that weave lace webs weave a variety of webs far removed from the structure of an orb.

      • 한국산 물거미의 신종 가능성 진단

        이영보,박해철,황석조,강태화,한태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물거미, Argyroneta aquatica (Clerck, 1757)는 거미류 중 유일하게 물속 생활로 진화된 보존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이다. 세계적으로 구북구지역에만 분포 하며 1속 1종이 알려져 있다. 다만, 학자에 따라서 그 종의 상위분류군을 물거미과 (Argyronetidae) 또는 굴뚝거미과(Cybaeidae)로 취급하는 정도에서 이견이 있을 뿐이다. 국내에서는 1995년 서식처가 새롭게 발견되면서 천연기념물로 물거미 서 식지가 지정되어 보전생물학적 지표종으로 가치가 부각된 바 있다. 최근 대두된 분자분류 기술을 통해 4개의 유전자 마커를 이용하여 Argyroneta aquatica의 기산 지인 유럽산 물거미와 국내서식 물거미표본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 과 각각 COI에서 10.7%, HistonH3에서 1.5%, 18S rRNA에서 0%, 28S rRNA에 서 0.08%로 특히 종동정 지표로 이용되는 COI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였으며, HistonH3에서도 종간 특이 경향을 나타냈을 뿐 아니라 28S rRNA에서도 3 InDel events를 보여주었다. 또한 거미류 91속 179종의 333개 COI 염기서열에 대한 Neighbor-joining 분석을 추가로 수행한 바, 한국산 물거미와 유럽산 물거미의 유 전적 변이수준은 거미류 종들의 종간 변이수준으로 분지됨이 뚜렷이 입증되었다.

      • Two New Species of The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Araneae : Pholcidae), with Redescription of P. zichyi Kulczyński, 1901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이준호(Jun Ho Lee),이준기(Jun Gi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國産 유령거미科 유령거미屬의 2新種이 發見되어 이를 記載한다. 유령거미屬은 韓國에서 지금까지 25種이 報告되어 왔으나, 다음 두 新種들의 記載로 總 27種이 된다. 新種 Family Pholcidae C. L. Koch, 1850 유령거미科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유령거미屬 26. Pholcus crypticolenoides sp. nov. 등줄유령거미(신칭) (Fig. 1-3) 27. Pholcus yeoncheonensis sp. nov. 연천유령거미(신칭) (Fig. 4-6) 記載한 2新種 Pholcus crypticolenoides sp. nov. 등줄유령거미, Pholcus yeoncheonensis sp. nov. 연천유령거미는 日本의 Pholcus crypticolens, 中國의 Pholcus spilis와 그 外形이 類似하나, 腹部의 줄무늬와 암컷의 外部生殖器와 그 內部 構造, 수컷의 鬚髥器官의 細部 構造의 差異로 區別할 수 있는 新種들이다. 追加的으로, 韓國産 산유령거미가 2011년 P. crypticolens에서 P. zichyi로 再分類된 以後 國內에서의 記載가 存在하지 않았으므로, 이 種에 대해 再記載한다. 두 新種의 模式標本들을 비롯한 硏究에 使用된 標本들은 京畿道 南楊州市 주필거미박물관에 收藏되어 있다. Two Pholcid species from Korea, Pholcus crypticolenoides sp. nov. and P. yeoncheonensis sp. nov., is newly described here in detail. These are very similar to P. crypticolens and P. spilis, But ar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with the difference in shapes of abdomen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female epigyne, internal genitalia and male palp.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wo new species are provided in this paper. Moreover, one Pholcid species, P. zichyi from Korea is redescribed here with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Examined specimens are deposited at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 A new species of the Genus Leptoneta Simon, 1872 (Araneae : Leptonetidae)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김태우(Tae Woo Kim)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잔나비거미속(Leptoneta)의 新種을 記載한다. 잔나비거미속은 잔나비거미科(Leptonetidae)에 속하는 거미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19種이 報告되어 왔으나 이 新種의 추가로 다음 20種이 된다. 旣知種 Family Leptonetidae Simon, 1890 잔나비거미과 Genus Leptoneta Simon, 1872 잔나비거미속 1. Leptoneta coreana Paik & Namkung, 1969 고려잔나비거미 2. Leptoneta handeulgulensis Namkung, 2002 한들잔나비거미 3. Leptoneta hogyegulensis Paik & Namkung, 1969 호계잔나비거미 4. Leptoneta hongdoensis Paik, 1980 홍도잔나비거미 5. Leptoneta hwanseonensis Namkung, 1987 환선잔나비거미 6. Leptoneta jangsanensis Seo, 1989 장산잔나비거미 7. Leptoneta kwangreungensis Kim et al., 2004 광릉잔나비거미 8. Leptoneta namhensis Paik & Seo, 1982 남해잔나비거미 9. Leptoneta namkungi Kim et al., 2004 남궁잔나비거미 10. Leptoneta paikmyeonggulensis Paik & Seo, 1984 백명잔나비거미 11. Leptoneta secula Namkung, 1987 마귀잔나비거미 12. Leptoneta simboggulensis Paik, 1971 심복잔나비거미 13. Leptoneta soryongensis Paik & Namkung, 1969 소룡잔나비거미 14. Leptoneta spinipalpus Kim, Lee & Namkung, 2004 가시잔나비거미 15. Leptoneta taeguensis Paik, 1985 대구잔나비거미 16. Leptoneta waheulgulensis Namkung, 1991 와흘잔나비거미 17. Leptoneta yebongsanensis Kim, Lee & Namkung, 2004 예봉잔나비거미 18. Leptoneta yongdamgulensis Paik & Namkung, 1969 용담잔나비거미 19. Leptoneta yongyeonensis Seo, 1989 용연잔나비거미 新種 Leptoneta seogwipoensis spec. nov. 서귀포잔나비거미(신칭) (Figs. 1-5) 記載한 新種 Leptoneta seogwipoensis는 암컷의 생식기 및 수컷의 생식기 형태가 기존의 종에서 는 볼 수 없으며 육지와 고립된 섬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해온 新種이다.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s describe one new species of the family Leptonetidae from Korea, named Leptoneta seogwipoensis spec. nov.

      • Redescription of Ozyptila scabricula (Westring, 1851) and Two New Record Species of the Genus Ozyptila, Xysticus (Araneae: Thomisidae)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김병우(Byung Woo Kim) 한국거미연구소 2016 한국거미 Vol.32 No.1

        2015년 8월 3일부터 5일 사이 한국의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육백산에서 채집한 Ozyptila scabricula (Westring, 1851) 두꺼비곤봉게거미를 분류학적으로 재 기재하고, 2008년 9월 16일 한국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서 채집한 한국산 거미목 Ozyptila 속의 1 미기록종인 Ozyptila sincera Kulczyński, 1926 상원곤봉게거미(신칭)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 한국의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에서 채집한 한국산 거미목 Xysticus 속의 1 미기록종인 Xysticus transversomaculatus Bösenberg & Strand, 1906 흰게거미(신칭)를 발표하는 바이다. 채집된 상기 표본들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주필거미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Two unrecord species and one redescription of Thomisids spiders are described in this paper.

      • A New Species of The Genus Sinopoda Jäger, 1999 (Araneae, Sparassidae) in Korea

        김주필(Joo Pil Kim),이준기(Jun Gi Lee),이준호(Jun Ho Lee),홍성화(Sung Hwa Hong)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韓國産 거북이등거미屬(Sinopoda Jäger, 1999)의 新種이 南楊州市 茶山記念館에서 發見되어 이를 記載한다. 거북이등거미屬은 거북이등거미科(농발거미科)의 한 屬으로, 지금까지 7種이 韓國에 報告되어 왔으나, 이 新種의 記載로 다음 8種이 된다. 旣知種 Family Sparassidae Bertkau, 1872 거북이등거미科(농발거미科) Genus Sinopoda Jäger, 1999 거북이등거미屬 1. Sinopoda aureola Kim, Lee & Lee, 2014 금빛거북이등거미 2. Sinopoda clivus Kim, Chae & Kim, 2013 비탈거북이등거미 3. Sinopoda forcipata (Karsch, 1881) 화살거북이등거미 4. Sinopoda jirisanensis Kim & Chae, 2013 지리거북이등거미 5. Sinopoda koreana (Paik, 1968) 한국거북이등거미 6. Sinopoda stellatops Jäger & Ono, 2002 별거북이등거미 7. Sinopoda yeoseodoensis Kim & Ye, 2015 여서도거북이등거미 新種 8. Sinopoda dasani sp. nov. 다산거북이등거미(신칭) (Fig. 1-2) 記載한 新種 Sinopoda dasani 다산거북이등거미는 韓國의 Sinopoda aureola 금빛거북이등거미, 中國의 Sinopoda hamata, Sinopoda minschana 와 類似하나, 背甲과 腹部의 體色과 무늬, 수컷의 鬚髥器官의 細部 構造의 差異로 分明히 區別되는 新種이다. 新種의 完模式標本은 京畿道 南楊州市 주필거미박물관에 收藏되어 있다. A Sparassid species, Sinopoda dasani sp. nov., collected in Dasan Memorial Hall,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is found to be a new species. this species is similar to S. aureola, S. hamata and S. minschana, bu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hree species with its unique body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male palp.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 holotype male specimen of S. dasani are given in this paper. The holotype specimen is deposited at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