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의 거룩의 개념과 개혁주의 전통의 거룩의 개념 비교연구: 교회론적 틀 안에서

        김용준 ( Yong Jun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5 No.-

        기독교 윤리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에 하나는 거룩이다. 그러나 기독교 안에서 거룩은 세상윤리에서 말하는 거룩 또는 도덕과는 다르다. 요즘 칸트의 도덕 철학은 현대 사회뿐만 아니라, 기독교 삶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칸트의 이해 안에서 ‘도덕’은 기독교 ‘거룩’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칸트에게서 도덕 개념은 실천 이성에 기초한 인간 ‘자율성’으로부터 기인한다. 반면 기독교의 거룩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거룩에 의존한다. 이러한 이해는 교회의 거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세우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리스도에 대한 동일한 신앙을 가진 자들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두 번째 위격이시며, 하나님의 아들이 신 머리의 지체들이다. 그리스도의 몸은 교회다. 기독교 시작 이래, 교회는 사회적 모임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이다. 따라서 만약 기독교인의 거룩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거룩, 즉 모든 몸의 머리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으로부터 기인한다면, 교회의 거룩 역시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므로 교회의 거룩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세상으로부터 구분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성도들로서 교회의 거룩은 인간본성에 따르는 도덕적 행위(자율성) 또는 교회 건물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의 두 번째 위격이시며, 우리의 유일한 머리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에 의존하는 것이다. The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christian Ethic is the Holiness. However, the concept ``Holiness`` in christianity differs from that of worldly Ethic or Moral. Now a day Kant`s moral philosophy influences not only modern society but also Christian life. However, the concept ‘Moral`` in the understanding of Kant has nothing to do with christian concept ``Holiness.`` For Kant, this moral notion stems from human ‘Autonomy`` which is on the basis of ``practical reason.`` Instead, the concept ``holiness`` of Christian depends on Holiness of the Triune God. This understanding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holiness of the Church. Because the Church must be founded on the Triune God. And those who have the same faith in Jesus Christ are the bodies of the Head who is the Son of God,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The body of Christ is the church. Since beginning of Christianity, the Church has not been social groups, but the body of Jesus Christ. Accordingly, If Christian holiness stems from the holiness of the Triune God, that is, Jesus Christ as the head of every body, the church`s Holiness also stems from the Holiness of Jesus Christ. Therefore, the holiness of the church implies the distinction from the world by obeying Triune God`s words. Therefore, the holiness of the church as Saints does not depend on the moral acts(Autonomy) according to human nature or church building, but the Holiness of our lord Jesus Christ as our unique head, the second person of Triune God.

      • KCI등재

        거룩: 그 신학적 의의와 실천적 삶

        김창주(Kim, Chang-J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8

        이 논문은 거룩의 개념을 하나님 경험, 곧 소명과 관련하여 성서 신학적으로 논의하고, 그 실체의 신비와 두려움은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기에 종교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 글에 전제된 두 가지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하나는 이스라엘에게 거룩은 하나님 체험과 관련된 개념이며, 다른 하나는 거룩이 그분의 본성을 가리킨다는 점이다. 위의 전제를 근거로 세 가지 관점을 심도 있게 토론하게 된다. 첫째, 거룩의 어원을 살펴보고, 그 경험의 현상학적인 이해를 돕는 몇 가지 이론을 소개하고, 둘째, 구약성서는 거룩의 경험을 어떻게 반영하고 이해하고 있는지를 상세히 다루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거룩을 추상적, 교리적 의미라기보다 실천적인 삶에 투영한 사실들을 다룬다. The idea of Holiness is in general regarded as moral perfection. In the Hebrew Bible, the concept contains another distinctive element, which is, ritual sense as divine power. Otto explains this phenomena as “numinous” which is a non-rational, non-sensory experience or feeling from outside the self. For him, it cannot define in terms of other concept or experience. Now the Holiness in the Hebrew Bible is close to numinous, divine experience which is beyond the ethical sphere. It is easy to explain Holiness as a personal experience or calling. However, holy is accomplished by a proper worship or by following the Torah in daily life. Otherwise, a particular person can obtain the exclusive possession of the conception of Holiness. Holiness in the Hebrew Bible is not only limited as an individual experience, but also opened to the public. The Book of Leviticus is a general report about the concept of Holiness. As Rudolf Otto says, Leviticus is regarded as a core of the Hebrew Bible. To be sure, the Hebrew Bible teaches the idea of Holiness not to limit as a personal experience or life, but to share it with the community. It means that Holiness is followed by spontaneous commitment that is voluntarily, like Wach mentions. On the other hand, for Milgrom Holiness includes much more concrete and dynamic practice. To sum up Holiness; 1) It is given for all of Israel without any condition, 2) It is an order to follow the Torah, 3) Israelite needs to participate it in general life regardless of individual or community, holy or profane. This is practical life following ‘imitatio Dei,’ another aspect of Holiness. As discussed above, Holiness needs two ways, mutual holy invites unholy Israel to divine essence, numinous. Divine holy is based on compassion ( רחו ם : Exodus 34:6). As a result, Holiness is an order for Israel, on the contrary, invitation for God toward His or Her essence.

      • 성화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칼빈의 이해

        이신열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0 고신신학 Vol.- No.12

        Calvin's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a vital portion of his soteriology. In his discussion of salvation, his viewpoint is clearly seen in the title of Book 3 of Institutes, 'the way we receive the grace of Christ'. However, almose all the works dealing with this doctrine have not been mainly studied from his understanding of grace. Most of them starts their discussions from human situation associated with the progress of salvation. This articles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and reevaluate this doctrine from the perspective of divine grace. Calvin's understanding of grace can be explained by his concept of the holiness of God. In Calvin's thought there are wrath and judgment of God as he faces human evil arising out of sinfulness. But he refuses to consider divine holiness as one of the attributes of God. On the contrary Calvin understandings it as one of the attitudes of God regarding human. This kind of understanding enables him to see that grace is already included in the concept of holiness. Based upon such concept of holiness, Calvin starts to see sanctification as one's consecration to God. Consecration means to acknowledge self-denial before God knowing one belongs to God. It is possible only when one has faith in God and Christ. The sanctification of Christ shows that He had been cleansed before his actual engagement with the work of propitiatory work of redemption. The sanctification of church cannot be thought apart from both consecration to God and sanctification of Christ. Her holiness cannot be acquired from her own ability alone. It is given to her by the holiness of Christ as the result of his offering himself to God. Thus the sanctification of church is actually realized in the rule of Word and Spirit. Lastly, the role of grace in sanctification is discussed in terms of Word, repentance and human action. First, Word is considered as the instrument of grace even though Calvin prefers to have an expression, "Grace is given in the Word." Second, repentance is totally dependent upon the grace of God. It is not possible by the assisting grace of God as Roman Catholics have argued. Calvin's emphasis is on the adjective 'total' in his explanation of the necessity of divine grace in repentance and sanctification. He praises the excellence of grace in comparison with human weakness. This is the reason why we need to continuously seek his grace in our repentance and thus sanctification. Third, human action cannot be accepted by God apart from his grace. Human actions can have value only it is accompanied by divine grace. The reason, first of all, has every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all human actions in sanctification are encouraged and made possible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God cannot reject the results of the sanctifying work of his own Spirit. Another reason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human actions in sanctification are indeed activities of promoting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and are glady accepted by him. 칼빈의 성화론은 그의 구원론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그는 구원을 논함에 있어서 이를 '그리스도의 은혜를 누리는 방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한다. 그러나 칼빈의 성화론은 지금까지 대부분 그의 은혜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는 구원의 진보와 관련된 인간의 상황이 성화론 논의의 출발점이었다. 이제 그의 성화론은 하나님의 은혜를 중심으로 새롭게 고찰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칼빈이 은혜를 이해함에 있어서 하나님의 거룩을 그 정초로 삼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이런 이유에서 그의 성화론은 하나님의 거룩 이해에 근거한 은혜로부터 고찰되어야 한다. 칼빈은 하나님의 거룩의 본질에 죄악으로 가득찬 인간을 향항 진노와 심판이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그는 거룩을 하나님의 속성이 아니라 그가 인간을 대하시는 태도로서 이해함으로서 그의 거룩에 대한 이해에는 은혜의 측면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거룩에 대한 개념을 정초로 칼빈은 성화를 하나님께 드리는 자기 헌신으로 파악하는데 이는 자신이 하나님께 속한 존재이며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가능한 것인데 이는 성령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리스도의 성화는 그가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는 사역으로서 먼저 자신을 정결하게 하시므로 온 인류의 죄악을 대속하시게 된 것이다. 하나님께 자신을 드리는 성화와 그리스도의 성화를 통해서 교회의 성화가 이루어진다. 교회의 거룩함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죽음으로 획득하신 거룩함이 부여된 결과이다. 따라서 교회의 성화는 구체적으로 말씀과 성령의 통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성화에 있어서 은혜가 어떤 역할을 차지하는 가에 관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첫째, 말씀은 하나님의 은혜를 인간에게 가져다 주는 수단에 해당된다. 칼빈은 이를 말씀 안에서 은혜가 주어진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둘째, 로마 가톨릭의 잘못된 가르침에 대항하여 칼빈은 회개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은혜가 인간이 회개하도록 도우는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은혜 없이는 회개와 성화가 불가능하다고 밝힌다. 우리가 지속적으로 회개하고 은혜를 간구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서 칼빈은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과 인간의 연약함을 대조하면서 강조한다. 셋째, 인간의 행위는 그 자체로서 결코 하나님께 인정받을 수 없는 것이다.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만 행위는 수용되고 인정된다. 왜냐하면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인간의 행위로서의 성화는 바로 하나님 자신의 영의 행위이므로 이를 하나님께서 인정하시지 아니할 수 없으며 이는 또한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되도록 만드는 행위이므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칼빈은 성화에 있어서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가 지속성을 지닌다고 강조하면서 이러한 지속성이 은혜의 성장을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이사야 56-66장에 나타난 거룩과 정의

        김래용 한국구약학회 2017 구약논단 Vol.23 No.1

        이 논문은 이사야 56-66장에 나타나는 ‘거룩’과 ‘정의’의 다양한 기능을 고찰한다. 이것을 위해 이 두 개념과 제3이사야 시대에 특별히 이슈가 되었던 구원지연의 문제, 이방인 수용의 문제, 우상숭배의 문제와 관련된 본문을 택하여 그것들의 언어와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원지연의 문제는 이사야 59장과 63-64장에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이사야 63-64장은 구원지연의 문제를 거룩과 관련하여 설명하는데, 여기에서 거룩이라는 개념은 백성들의 거룩하지 못한 삶을 지적하고(사 63:7-14), 타락한 백성들과 성읍의 온전한 회복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사 62:1-9). 반면에 이사야 59장은 구원지연이 정의의 부재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강조하는데, 이것은 특별히 제3이사야, 백성들, 야웨의 입을 통해 반복된다. 그러나 이사야 61장은 결국에 야웨의 정의로 인해 백성들과 성읍이 회복될 것이라고 강조한다(4-11절). 이방인 수용의 문제는 제3이사야서의 시작(사 56장)과 마지막(사 66장), 그리고 가운데(60장)에 언급된다. 거룩은 이방인의 자격을 설명하기 위해(사 56:1-8), 하나님의 유일하심과 시온이 거룩한 하나님의 것이라는 사실을 이방인이 깨달았음을 강조하기 위해(사60:1-14), 그리고 이러한 자격을 얻었기에 이방인이 미래에 ‘제사장과 레위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사 66:18-21). 여기에서 특별히 정의와 공의는 이방인의 구원과 복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제시된다(사 56:1-2). 우상숭배의 문제는 이사야 57장과 65장과 66장에 언급되는데, 거룩은 우상을 숭배하는 선민 이스라엘의 그릇된 사고방식의 문제를 지적하기 위해(사 57:3-13; 65:1-7), 그리고 야웨를 온전히 따르지 아니했음을 강조하기 위해(사 65:8-16) 사용된다. 그리고 특히 스스로 거룩하다고 자부하는 우상숭배자들의 심판을 위해서는 미쉬파트의 동사형 샤파트가 사용된다(사 66:15-18). 따라서 제3이사야서에서 거룩과 정의라는 개념은 제3이사야 당시의 사회적이며 종교적인 이슈의 한 가운데 있는 핵심 개념으로, 3개의 이슈와 어우러져 제3이사야서의 메시지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several functions of ‘holiness’ and ‘justice’ in Isaiah 56-66. For this, I analysed the languages, structures, and contents of the texts related to these two concepts and three issues in the Third Isaiah period: the delay of salvation, the acceptance of foreigners, and idolatry. The issue of the delay of salvation concretely appears in Isaiah 59 and 63-64. In particular, Isaiah 63-64 describes the delay of salvation through the concept of holiness, and here the concept of holiness plays a role in indicating the people's unholy life (Isa 63:7-14) and emphasizing the perfect restoration of the unholy people and cities (Isa 62:1-9). On the other hand, Isaiah 59 emphasizes that the delay of salvation is due to the absence of justice, and this is repeated especially by the words of the Third Isaiah, people, and Yahweh. However, Isaiah 61 emphasizes that the people and cities will be ultimately restored through Yahweh's love of justice (vss. 4-11). The issue of the acceptance of foreigners occurs in Isaiah 56 and 66,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Third Isaiah respectively, and Isaiah 60, its middle. ‘Holiness’ is used to explain the qualification of foreigners as members of the Israel community (Isa 56:1-8), to emphasize that the foreigners realized the fact that God is one and only and that Zion belongs to God the Holy (Isa 60:1-14), and furthermore, to emphasize that the foreigners would be able to serve as priests and Levites because they get the qualification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sa 66:18-21). Here especially ‘justice’ and ‘righteousness’ are mentioned as a condition required for their salvation and blessing (Isa 56:1-2). The issue of idolatry appears in Isaiah 57, 65, and 66. ‘Holiness’ is used to indicate the wrong way of thinking of Israel who worship idols (Isa 57:3-13; 65:1-17), and to stress that they have not followed God wholly (Isa 65:8-16). In particular, the Hebrew term šāphaṭ, the verb of mišpāṭ, is used for the judgment against the idolaters who have been proud of their self-righteousness (Isa 66:15-18). Accordingly, ‘holiness’ and ‘justice’ are the two important concepts that are central issues of religion and society in the period of the Third Isaiah, and they serve as core components composing the messages of the Third Isaiah.

      • KCI등재

        이사야 1-12장에 나타난 거룩과 정의

        김래용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holiness and justice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se two in Isaiah 1-12.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language, structure, and syntax of each of the units where these two terms occur in Isaiah 1-12. In Isaiah 1-12, holiness and justic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judgment oracles and in the salvation oracles alike. In the judgment oracles, in particular, both holiness and justice are employed in justification of the Lord's judgment upon his people. Furthermore, holiness is used to explain or describe the reasons for God’s judgment on his people and the sins that the people committed against their neighbors or against God. In the salvation oracles, holiness is used to describe the identity of the remn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nant and God, the ideal world in which the remnant will reside in the future, and an object whom the remnant will worship. Justice, which occurs with righteousness in Isaiah 1-12, is also used to explain the reasons for God’s judgment on his people. Here, justice and righteousness play very similar roles as holiness does. Absence of justice from them is a reason for God's judgment upon his people, and God passes judgment upon them in order to restore justice to them. In the salvation oracles, it is emphasized that salvation is due to both justice and righteousness and that they are very important virtues that the future Messiah should hav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useful for those who read and study Isaiah 1-12 to understand it better. 이 논문은 이사야 1-12장에 나타난 거룩과 정의 사이의 관계와 이 두 개념들의 특징과 기능을 조사하였다. 이것을 위해 나는 이 두 개념들이 나타나는 각각의 단락의 언어, 구조, 구문법을 조사하였다. 거룩과 정의는 이사야 1-12장의 심판신탁과 구원신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별히 심판신탁에서 거룩과 정의는 야훼의 심판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거룩은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심판하는 이유와 그들이 이웃이나 하나님에게 지은 죄가 무엇인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구원신탁에서 거룩은 남은 자들의 정체성, 남은 자들과 하나님의 관계, 남은 자들이 미래에 거주할 이상적인 세계, 그리고 남은 자들이 예배해야 할 대상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사야 1-12장에서 정의는 공의와 함께 나타나는데 그것 또한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심판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에서 정의와 공의는 거룩과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의의 부재는 하나님의 심판의 이유가 되고 있으며, 정의를 회복하기 위해 하나님은 그들을 심판하신다. 구원신탁에서 구원은 정의와 공의에 기인되며 그것들은 미래의 메시아가 지녀야하는 매우 중요한 미덕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이사야 1-12장을 읽고 연구하는 독자들의 이해를 위한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구약의 제의체계에서 거룩은 전염성을 갖는가?

        김경열 ( Gyungyul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4 No.-

        구약의 제의 체계에서 부정결이 전염된다는 것은 분명하나 거룩도 과연 그런 전염력을 가졌는지에 대해 학자들의 견해가 나뉜다. 본 소고는 어떤 사람과 사물이 거룩해지기 위해서는 제의적 “절차”가 필요하며, 반대로 그것들이 더럽혀지는 결과는 “불법적 접촉”을 통해서 발생된다고 주장한다. 부정결과의 “접촉”은 모두가 인정하듯이 자동적으로 부정결이 접촉된 사람과 사물에 전염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흔히 알려지는 대로 성물과의 “접촉”을 통해서도 사람과 사물에 자동적으로 거룩이 전염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본 소고는 과연 구약의 제의 체계에서 거룩의 속성이 접촉을 통해 사람과 사물에게 전염될 수 있는 것인지 살핀다. 관련 본문들은 출애굽기 29:37;30:29와 레위기 6:18, 24-30; 에스겔 44:19; 46:20; 학개 2:11-14이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구약의 제의 체계에서 거룩은 "전염성"(con-tamination)을 갖지 않으며, 오히려 “전달성”(communication)을 갖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주장하려 한다. 비유를 들자면, 거룩의 힘은 마치 전기와 같은 성격을 지녀 접촉 대상에 전달되나 머무르지 않는 반면, 부정결의 힘은 마치 습기와 같은 성격을 지녀 접촉 대상에 전염되어 머문다. 결국 구약 제의체계에서 사람과 사물이 거룩케 되는 것은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부정결과 달리 성물과의 단순한 기계적인 접촉으로 발생되지 않으며 반드시 절차와 과정을 거쳐야한다. In the ritual system of the Old Testament, it is clear that impurity is contagious, but scholars have divergent views on whether holiness has such a contagious power. This paper claims that some people and things are sanctified through "ritual procedures," and conversely, they are polluted through "illegal contacts". Admittedly the "contact" with impurity automatically leads to the contamination of people and objects with it.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a "contact" with holiness will automatically transmit holiness to people and things. We examine whether the attribute of holiness can be contaminated to people and things through contact as impurity in the system of the Old Testament. Related texts are found in Exodus 29:37; 30:29 and Leviticus 6:18, 24-30; Ezekiel 44:19; 46:20; Haggai 2:11-14. Through this study we attempt to prove that holiness in the ritual system of the Old Testament has no "power of con-tamination," but rather has "power of communication." The power of holiness is like electricity. Thus it is communicated to the object by contact and does not stay on it. But the power of impurity resembles moisture. Thus it contaminates the object by contact and stays on it.

      • 음식 규례와 거룩 -레위기 음식법의 신학과 해석-

        김덕중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8 Canon&Culture Vol.2 No.2

        Modern Jews are famous for keeping meticulous dietary regulations. Jewish dietary habits are rooted in Leviticus 11 and the dietary tradition in ancient Judaism.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theological meanings and the interpretations of the dietary laws in Leviticus 11, and also the Pharisaic hermeneutical tradition in relation to dietary regulation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ve efforts with regard to the underlying motive of distinguishing clean and unclean animals in Leviticus 11. Especially Mary Douglas has provided an overarching and coherent idea lying behind the dietary laws in Leviticus 11 in the light of Levitical theology and world views. According to Douglas, a value system which reflects a pattern of human behaviour lies behind the dietary regulations. Making Doulgas’s view a hermeneutical starting point, this paper tries to determine the theological meanings of the dietary regulations in Leviticus 11 from the literary and theological context in which Leviticus 11 is situated. It is to be noticed that Leviticus deals with the dietary laws in the context of holiness, which is the key theme of Leviticus. The dining table at home are to be the place where Israelites should practice holiness. In addition to this, Lev 11:45-46 provides an important theological motive for keeping the dietary regulations, which is “the imitation of God”. Thus, the dietary regulations in Leviticus is defined as a means to become like Yahweh, the holy God of Israel. The Pharisaic tradition places the dietary regulations and purity laws in a significant position. The Pharisees interpreted the dietary regulation in relation to holiness and the motive of ‘the imitation of God’. A step further, they made use of the dietary laws to achieve their sectarian goal, which is the establishment of a priestly nation in the land. The study of Leviticus 11 in its literary and theological context and the Pharisaic interpretation of the dietary laws lead us a necessity that the dietary laws is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oliness. This understanding provides us an impetus to reconsider food habits as a means to practise piety. 현대 유대인들은 까다로운 음식법 규례를 지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대인들의 음식법 규례는 레위기의 음식법 규례와 고대 유대교(특히 바리새파 전통)의 음식법 규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은 유대교의 음식법의 기원을 이루고 있는 레위기 11장의 음식법 규정의 신학적 의미와 해석, 고대 유대교를 대표하는 바리새파 전통의 음식법 규례의 해석의 문제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레위기 음식법 규례의 해석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많은 해석학적인 제안들이 제기되었다. 특히 메리 더글라스는 레위기의 신학과 세계관이라는 관점에서 음식법 규례의 일관성 있는 해석을 제시하였다. 더글라스에 의하면, 음식법 규례의 배후에는 인간사회의 생활양식을 반영하는 가치체계가 자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더글라스의 견해를 해석학적인 출발점으로 하여, 레위기 11장 텍스트와 그 전후 문맥(레 10-15장) 속에서 음식법 규정이 차지하는 신학적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레위기는 음식법 규례를 거룩의 한 내용으로 소개하면서, 가정에서 실천해야 할 거룩의 문제로 제시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장 기본적인 먹는 것부터 거룩을 훈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식법 규례의 신학적인 이유를 제시하는 45-46절은 음식법 규례를 하나님을 닮아감이라는 레위기의 신학과 연결시킨다. 레위기의 음식법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거룩함을 닮아가는 한 방편이다. 바리새파 전통에서 음식법은 거룩하신 하나님을 닮아간다는 주제와 제사장 나라 건설이라는 신학적인 이상을 이루는 도구로 사용된다. 바리새파 사람들은 그들이 처해 있었던 역사적인 환경과 종파의 신학적인 이상에 맞추어 음식법 규정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친다. 레위기 11장의 해석과 바리새파 전통의 음식법 규례의 해석은 고대 이스라엘과 유대교에서 음식법 규정이 거룩이라는 맥락에서 중요하게 다루어 진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오늘의 그리스도인들이 식탁의 문제를 단순한 먹을거리 문제를 넘어 경건을 훈련하는 도구로 이해해야 할 필요를 제기한다.

      • KCI등재

        구약성경에 나타난 바달(badal)의 신학과 사회윤리적 함의

        윤영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본 연구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바달’의 용례를 토대로 ‘바달’의 의미체계로서의 신학을 구축하고, 그것이 지닌 사회윤리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달’은 공간과 시간과 사람과 사물에 대한 구별 및 경계 설정을 통해 ‘거룩’을 담보할 수 있는 기본 개념으로서 신앙 공동체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공시적 접근으로서 문학비평의 관점을 견지하면서, ‘바달’의 신학을 구성하기 위해 벌코프가 제시한 성경해석의 원칙인 문법적 해석, 역사적 해석을 바탕으로 신학적 해석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구약성경에 나타난 ‘바달’이 지닌 의미체계는 크게 공간 및 시간의 구별, 사람에 대한 구별(성별과 택함), 성속의 구별, 심판과 분리, 이방인과의 관계 단절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바달’의 의미체계에 노정된 사회윤리적 문제를 거룩의 윤리적 변용과 이데올로기적 문제, 안식일에 담긴 시공의 거룩과 인간의 위상, 이방인에 대한 신앙 공동체의 포용성과 배타성을 중심으로 해명한다. ‘바달’에 의한 경계 설정은 역사적 정황과 시대정신에 따라 가변적이며, 정의의 문제와도 결부되어 있다. This paper aims to build theology as a semantic system of badal based on the usage of badal in the Old Testament and scrutinize its implications for social ethic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made use of the perspective of literary criticism as synchronic approach. In addi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theology of badal, this study referred to the principl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suggested by L. Berkhof: grammatical, historical,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e social ethical problems in badal's meaning system are explained by the ethical transformation and the ideological distortion of holiness, the holiness of time and space contained in the Sabbath, and the inclusive and exclusive attitude of faith communities toward foreigners. The boundary setting by badal is variable, depending on historical situations and Zeitgeist, and is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justice.

      • KCI등재

        『조직신학』에 나타난 폴 틸리히의 세속 개념

        서진호 ( Suh Jin-ho ) 한국조직신학회 202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71 No.-

        근대부터 유럽은 세속화를 직면하고 있고, 오늘날에는 한국교회도 세속 화의 위협에 노출되어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단 세속화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폴 틸리히 (1886~1965)의 세속 개념이 유용하다. 그는 평생동안 세속을 중요한 신학적인 연구대상으로 삼았을 정도로 세속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특히 그의 핵심적인 신학개념인 궁극적인 관심은 거룩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세속은 이 거룩에 대한 반대개념이기 때문에 그의 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속화는 근대 서양사회에서 일어난 종교의 변화라고 간단하게 표현할수 있다. 하지만 틸리히는 이런 일반적인 용법과 다른 길을 간다. 그는 ‘secular’와 ‘profane’이라는 두 가지 용어로 세속을 표현한다. 전자는 일반적인 세속화 개념을 차용할 때 사용한다. 반면에 후자는 신학화된 개념으로 틸리히가 집중적으로 다루며, 본고의 연구대상이다. 『조직신학』에서 틸리히는 2부, 4부와 5부에서 세속 개념을 탐구한다. 2부에서는 세속의 기본적인 의미를 밝힌다. 세속은 거룩에 대립하고, 궁극적인 관심을 결여한다. 또한 세속은 거룩과 마성화와 함께 삼각구도를 형성한다. 4부에서 세속은 생명론을 통해서 설명되며, 제도주의적인 세속화와 환원주의적인 세속화로 분류된다. 5부에서는 역사 속의 교회의 세속화로 제시되며, 의례화와 일반화로 논의된다. 이들은 모두 무한한 것을 거부하고, 유한한 것으로 끌어내려서 축소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세속은 마성화나 거룩에 대하여 서로 배타적인 관계이면서도 긴밀하게 연결되는 이중적인 관계를 갖는다. 틸리히의 세속 개념은 일반적인 세속화 개념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무엇보다 시대나 종교를 통해서가 아니라, 유한과 무한의 관계를 통해서 정의된다는 것이 틸리히의 세속 개념의 고유한 특성이다. 그래서 그의 세속 개념을 통해서는 시대와 무관하게, 종교 내부에서 진행되는 세속화를 탐구할 수 있으며, 종교의 영적인 특성을 충분히 다룰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Die Säkularisierung, die in der europäischen Moderne entstand, ist jetzt auch eine Gefahr für die gegenwärtige koreanische Kirche. Um diese Gefahr zu überwinden, ist es nötig, die Säkularisierung zu verstehen. Dafür ist der Profanisierungsbegriff Paul Tillichs (1886~1965) hilfreich. Er interessierte sich dafür sein Leben lang. Sein theologischer Hauptbegriff, das Unbedingte, wird durch das Heilige manifestiert und da das Profane der Gegenbegriff des Heiligen ist, spielt auch das Profane eine wesentliche Rolle in seiner Theologie. Säkularisierung ist die Veränderung der Religion in der westlichen modernen Gesellschaft. Aber Tillich bildet seine Profanisierungsthese anders. Tillich gebraucht dafür zwei Terminologien, ‘säkular’ und ‘profan.’ Die erstere verwendet er im allgemeinen Sinne, während die letztere ein theologisierter Begriff ist. Tillich erortert den Begriff des Profanen im zweiten, vierten und funften Teil seiner Systematischen Theologie. Im zweiten Teil wird die Bedeutung des Profanen grundsatzlich erlautert. Das Profane entgegnet sich dem Heiligen und in ihm fehlt das Unbedingte. Außerdem bildet das Profane mit dem Heiligen und dem Damonischen eine Trias. Im vierten Teil wird das Profane im Rahmen der Lebenslehre erklart und wird in institutioneller und reduktionistischer Profanisierung unterschieden. Im funften Teil wird die Profanisierung der Kirche in der Geschichte als Ritualisierung und Generalisierung dargestellt. Tillich definiert das Profane nicht durch ein Zeitalter oder eine Religion, sondern durch die Beziehung zwischen dem Endlichen und dem Unendlichen. Dementsprechend kann mithilfe dieses Profanisierungsbegriffs die Sakularisierung innerhalb der Religion, unabhangig von jedem Zeitalter, erforscht werden, und dabei genugend auf die geistlichen Charaktere der Religion beachtet werden.

      • ‘거룩’ 체험에 있어 ‘누미노제’ 경험에 관한 연구

        권용근(Yong-Keun Kwon) 영남신학대학교 2012 신학과 목회 Vol.38 No.11

        The growth of Korean churches is declining. The passion for prayer is not like old times, and the level of commitment is decreasing. This is caused from tendency of theology education which just focuses on intellectual discourse. Today’s theology regards faith as an act that believes in certain doctrine or creed. It understands faith as mere defense or systematization of dogma. Thus, God is regarded as the one who can be dissected with the sword of rationality rather than the one who is worthy to be awed with trembling and fear. Yet, God in the bible is a holy God, and the highest God who still remains in mystery regardless of one’s knowledge about God. No study on God can be complete, and any interpretation on experiencing God should be partial by its nature. People experience strong power and mystery from transcendency of God when they have Numinose experience from meeting God. Such an experience is not explicable with reason. We call the object part of Numinose experience as miracle, and subject part of it as trance. Such miracle and trance are beyond the area of rationality. Thus, they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 frame of non-reason. The ecstacy that one comes to encounter from Numinose experience is a time to realize the calling and the greatness of God, rather than a mere flimsy feeling. The general stage of people who are called by God and come to realize the calling of God goes in the order of ambition/frustration?experiencing mystery and trance?realization of calling?resolution/obeyance. Such stage was shown from many people including Moses, Elijah, Isaiah, Paul, and Peter. They could continuously bear the work of God thanks to their experience with almighty God. Christians are the people who believes in the word of God and live on the faith from the word. Those believe that God thinks and speaks without rule can speak and act without care about Christian faith. However, those who believe in mysterious and holy God cannot help to go toward God with obeyance with trembling and fear. People can only think and speak within their boundaries of experiences. Thus, ministers who speak the word of God need to meet the most holy God. Such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about God will be a starting point to renew the churches and the world, and raise almighty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