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종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 세포종의 비교)

        이승구,강용구,박원종,양성철,신윤학,Rhee, Seung-Koo,Kang, Yong-Koo,Bahk, Won-Jong,Yang, Sung-Chul,Shin, Yun-Hac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황색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낭종 다음으로 흔하며, 수술 절제후, 간혹 재발 되기도 한다. 대부분 단발성으로 발생하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이며 대칭적 발생을 보인다. 저자들은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 절제후 장기 추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특히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만 8년간 본 병원에서 수술 가료후 건초의 거대세포 종으로 확진된 총 21예(다발성 3예 포함)를 대상으로 임상 및 X-선상 분석을 하였으며, 수술 절제후 평균 16개월(3~46개월) 추적하여 재발여부 및 단발성과 다발성 거대세포종의 임상 과정을 비교 하였다. 결과: 총 21예중 14예(66.7%)가 여자였으며 40대에서 16예(76.2%)로 빈발하였고 평균 연령은 47세(19~68세)였다. 단발성 거대세포종 18예중 수지별 발생은 인지와 환지가 각4예씩, 소지(3예), 중지(2예) 및 모지(1예)의 순이었고, 수장부의 발생이 4예였다. 원위 및 중위 지골 부위가 9예(50%), 근위 지골 부위가 4예, 중수지골 및 중수지절 부위가 2예였다. 신전건(7예)보다 굴곡건(11예) 건초 이환이 더 많았고(양측 건이환 3예), 증상 발현에서 수술까지의 지연은 평균 14개월(3~48개월)이였다. 다발성 거대세포종 3예중 1예는 인지와 중지의 중위지골 부위에 발생하였고, 2예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 20대 남자들에서 대칭적 거대세포종이 수부를 포함하여 22곳 및 12곳등 다발적 이환을 보였고, 외형상의 돌출로 보기 흉하거나 기능 제한을 초래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아전절제하였다. X-선상 연부조직 음영 증가외 4예에서 종괴의 압박에 따른 피질골 미란과 파열소견을 보였다. 수술시 3예에서 수지 신전건과 굴곡건의 양측 건초를 모두 침범하는 넓고 큰 다엽상 소견을 보였으며, 평균 16개월 추적중, 총 18예중 3예에서 재발(16.7%)하였다. 이들 재발예는 단발성 거대세포종중 굴곡건과 신전건 건초를 광범위하게 다엽상 이환을 하였거나 술전 X-선상 골피질의 파열이나 골미란등이 있어 불완전 절제를 시행한 경우들이었으며, 재 광범위 절제 하였고 추적 관찰 중이다.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은 종괴의 병리 조직학상 유사함을 제외하면, 발생 기전이나 침범 부위와 정도, 동반 질환은 물론 치료와 예후에도 차이가 많아 서로 다른 질환으로 판단된다. 결론: 수부의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황색종)은 드물지 않은 종양으로 완전 절제가 필수적이며, 특히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 건 황색종을 동반 할수 있어 치료에 유의해야 한다. Purpose: To analyse their end results and also to differentiate the single or multiple giant cell tumor(GCT) of tendon sheath in hand. Materials & Methods: Total 21 cases with GCT of tendon sheath in hand were treated surgically and analyzed their end results with clinically, radiologically and pathologically to allowed for average 16 months after surgical excision. Results: The finger flexor tendons, especially on index and ring finger, involving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and mid-phalanges in fourth decades (average age of 47 years old) were frequently involved, and the mass was not exceed than 2 cm in size, fixed on tendon sheath with rubbery hard tenderness but rare bony involvements except 4 cases of bony erosion and cortical perforation. The three cases with multiple GCT of hand was also combined with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and are commonly involved the extensor tendons as well as achilles tendons bilaterally, treated with partial excision because of multiplicity. Average 16 months after surgical excision for single GCT cases was followed and showed the recurrence in 3 cases(3/18,16.7%), treated with wide excision. The single and multifocal GCT are similar in pathologic changes but different soft tissue tumors in their pathogenesis, treatment and prognosis. Conclusion: Incomplete excision of GCT of tendon sheath in hand are thought to be the cause of recurrence, especially in cases with incomplete lesional excision, in multilobular and bony involvement etc. So careful wide excision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ecurrence.

      • KCI등재

        연골모세포종의 치료 및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

        신덕섭(Duk-Seop Shin),최치범(Chi-Bum Choi),박재우(Jae-Woo Park),나호동(Ho-Dong Na)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목적: 연골모세포종의 치료 및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를 거대세포종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12년까지 연골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25예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추적 분석하였으며, 거대세포종 환자 42명을 대조군으로 만들어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술 후 예후를 분석하였다. 양 군 모두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 연골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25명이었으며, 병변 부위는 대퇴골 9예, 슬개골 3예, 상완골원위부 3예, 경골 3예, 거골 3예 등으로 나타났다. 병변의 평균 크기는 2.18 cm (0.3-9.5 cm)였다. 거대세포종은 총 42명이었으며, 병변 부위는 대퇴골 19예, 경골 7예, 요골 5예, 비골 5예 등으로 나타났다. 병변의 평균 크기는 3.71 cm (0.3-11 cm)였다. 연골모세포종에서는 국소 재발한 환자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거대세포종에서는 42명 중 4명(9.5%)의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관찰되었다. 연골모세포종에서 전이가 확인된 환자는 없었으며, 거대세포종에서는 1명에서 폐전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연골모세포종이 상대적으로 비침습적이며 양성종양의 성향이 더 강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골모세포종과 거대세포종 모두 수술적 치료를 시행을 시행하며 보조요법으로의 전기소작술이 도움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oncological outcomes between chondroblastoma and giant cell tumor.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reviewed 25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chondroblastoma of bone between 1998 and 2012. During the same period, 42 patients diagnosed as a giant cell tumor were also reviewed. We then analyzed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of chondroblastoma compared with giant cell tumor. In chondroblastoma, 17 cases were male, and 8 cases were female, with a mean age of 20.6 years (range from 11 to 38 years). In giant cell tumor, 20 cases were male, and 22 cases were female, with a mean age of 39.26 years (from 17 to 75 years). All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that extended curettage with electrocauterization. After curettage, bony cavity was filled with autogenous bone, allogenic bone chip, bone cement, tricalcium phosphate, and so on.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recurrence and metastatic rate.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 year. Results: In chondroblastoma, mean size was 2.18 cm (0.3 to 9.5 cm).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were absent. In giant cell tumors, mean size was 3.71 cm (0.3 to 11 cm). Local recurrence rate was 9.5% (4 of 42 cases) and there was one lung metastasis. Conclusion: Chondroblastoma is less invasive with better prognosis than giant cell tumor. Treatment of chondroblastoma and giant cell tumor is surgery. Electrocauterization as an adjuvant therapy showed good results.

      • 천골 및 골반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대한 동맥 색전술 치료의 효용성 분석

        김승현,윤길성,조용진,신규호,서진석,양우익,Kim, Seung Hyun,Yoon, Gil Sung,Cho, Yong Jin,Shin, Kyoo-Ho,Suh, Jin-Suck,Yang, Woo-Ic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2

        목적: 천골 및 골반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대한 동맥 색전술의 효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연속적 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9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 결과 및 동맥 색전술에 대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반응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9예 중 6예에서 거대세포종이 진행되어 연속적 동맥 색전술은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5예의 경우에서는 수술, 방사선 치료 등의 추가적인 치료를 시행 했음에도 불구하고 거대세포종이 진행되었다. 9예 중 3예에서 거대세포종의 호전 및 완치 소견을 보여,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이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 혈관조영술 시행 시 거대세포 종양의 영양 혈관수가 6개 미만인 경우(p=0.048), 측부 순환의 개수가 3개 미만인 경우(p=0.048) 만이 동맥 색전술에 대한 치료 반응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첫 동맥 색전술 시행 후 잔존 종양 염색 유무와 반복 시행 횟수는 연관이 없었다. 결론: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연속적 동맥 색전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아니나, 첫 혈관 조영술 시행 시 종양의 혈관 분포가 적은 경우에 한해서 시행한 다면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iant cell tumor (G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between December 1996 and May 2008.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s and therapeutic responsiveness of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CT. Results: Six of 9 cases showed progression of disease (PD) status, even if 5 cases showed PD status despite of additional treatments including surgery and radiation, implying that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CT is not effective. Three of 9 cases showed stable disease (SD) or continuous disease free (CDF) status and we analyzed associated factors with these good responses for embolization by ${\chi}^2$ test. The number of feeding vessels under six (p=0.048) and the number of collateral arterial supply under three (p=0.048) in the first angiogram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good response for embolization, while remaining tumor staining by contrast after the first embolization and repeated embolization tim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Although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is not an effective modality on sacral and pelvic giant cell tumors, it may be a pilot modality under narrow indication of tumors with poor vascularity at first angiogram.

      • 수부 근위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 1례 보고-

        박용구,임성직,김윤화,한정수,Park, Yong-Koo,Lim, Sung-Jig,Kim, Youn-Wha,Han, Chung-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1

        Giant cell tumor of the small bones of the hands and feet is rare. Giant cell tumors in these locations develop at young age, are more commonly multifocal, and show the higher risk of recurrence than those at the end of the long bone. 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lesions of the hands, such as giant cell reparative granuloma, aneurysmal bone cyst and enchondroma. We experienced a case of giant cell tumor in the proximal phalanx of the left hand with swelling and pain. Curettage and bone graft were performed. Histologically large number of giant cells were distributed diffusely in the highly cellular stroma containing sheets of mononuclear cells.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 and hemorrhage were associated. 수부 및 족부의 작은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부위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장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보다 재발율이 높다. 또한 수부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내연골증, 동맥류성골낭종, 거대세포수복성육아종 등과 감별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좌측 수부에 부종과 동통을 동반하는 거대세포종을 경험하여 소파술과 골 이식을 수행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단핵구가 주로 분포되어 있는 부위에 많은 수의 거대세포가 미만성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이차적으로 동맥류성 골낭종과 출혈이 동반되었다.

      • Giant Cell Tumor of the Rib: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김현수,김대현,임성직,박용구,Kim, Hyun-Soo,Kim, Dae-Hyun,Lim, Sung-Jig,Park, Yong-Koo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1

        거대세포종은 늑골에서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며, 후중격에서 발생한 종괴로 나타난 늑골의 거대세포종은 지금까지 4 예가 보고되었다. 38세 남자의 늑골에서 발생하여 후중격 종괴로 보인 거대세포종 1 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우측 후상부 중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계가 명확한 다분엽성의 종괴가 우측 3번 늑골과 흉추를 침범하고 있었다. 임상적으로는 후중격에서 발생한 신경절신경종 혹은 그와 동반된 악성 변화를 의심하였다. 그러나 육안적으로 종괴는 우측 3번 늑골에서 발생하여 늑골 바깥쪽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고, 현미경적으로 균일하게 산재된 다핵 거대 세포와 단핵 기질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늑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합당하였다. 거대세포종의 치료를 위해서는 재발과 전이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와 술후 방사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후중격 신경절신경종은 수술적 절제만으로 치료가 가능한 종양이므로, 거대세포종과 반드시 감별해야 한다. Giant cell tumor (GCT) of the rib may present as a posterior mediastinal mass when it involves the posterior arc. Only 4 cases of GCT of the rib presenting as a posterior mediastinal mass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a 38-year-old man with GCT of the rib.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well-defined, multi-lobulated, heterogeneous mass in the right superoposterior mediastinum, which appeared to invade the right third rib and thoracic vertebra. It was thought to be a posterior mediastinal ganglioneuroma or its malignant transformation. Grossly, the tumor mass arose in the posterior arc and showed substantial growth out of the rib. Microscopically, the tumor consisted of interspersed multi-nucleated giant cells and stromal mononuclear cells, compatible with GCT. For GCT, a wide excision with elective radi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GCT must be differentiated from posterior mediastinal ganglioneuroma that can be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alone.

      •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

        이상훈,오주한,유광현,서성욱,안준환,김한수,임수택,Lee, Sang-Hoon,Oh, Joo-Han,Yoo, Kwang-Hyun,Suh, Sung-Wook,Ahn, Jun-Hwan,Kim, Han-Soo,Lim, Soo-Tae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1

        목적 : 거대 세포종이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 전환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로 저자들이 경험한 4례를 분석하여, 흔하지 않은 악성 전환된 거대 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의 방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거대 세포종 112례 중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화한 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악성전환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4년(최저 1.3년, 최고 4년)이었다. 결과 : 거대 세포종의 진단 후 악성 전환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6.9년(최저 2.2년, 최고 13.5년)이었고, 근위 상완부 연부 조직, 근위 대퇴골, 원위 대퇴골, 근위 경골에 각각 1례씩 발생하였다. 3례에서는 골 육종으로, 1례에서는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으로 악성 전환이 일어났으며, 국소 재발은 1례, 폐 전이는 골 육종으로 악성 전환한 3례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리 조직의 철저한 채취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 사료되며, 방사선 소견상 악성 전환이 의심될 때는 부적절한 절제술을 시행하기보다는 절개 생검을 먼저 시행한 후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Giant cell tumors(GCT) sometimes undergo malignant transformation after the radiotherapy, but very rarely do without radiotherapy. We reviewed the clinical experiences of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CT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m. Materials and Methods : We examined four patients of pathologically proven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CT, which occurred after the operative treatment alone without radiation, from September 1985 to January 2001. The mean follow-up period after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was 2.4 years(range, 1.3~4 years). Results : The mean time-interval from the initial diagnosis to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was 6.9 years(range, 2.2~13.5 years). The locations of tumors were soft tissues of proximal upper arm, proximal femur,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The histology of malignant GCT was osteosarcoma in 3 cases and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1 case. Local recurrence developed in 1 patient and the pulmonary metastasis developed in 3 patients which transformed to osteosarcoma. Conclusion : Thorough sampling of the surgical specimen appears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diagnosing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CT. In case of suspicion of malignancy in radiographs, the incisional biopsy should be followed by definite treatment rather than the improper resection.

      • 양성 거대 세포종의 악성 변화

        공창배,홍윤석,이광열,조상현,송원석,조완형,고재수,전대근,Kong, Chang-Bae,Hong, Yun-Suk,Lee, Kwang-Youl,Cho, Sang-Hyun,Song, Won-Seok,Cho, Wan-Hyeong,Koh, Jae-Soo,Jeon, Dae-Ge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1

        목적: 저자들은 골육종으로 악성 변화한 거대 세포종 환자의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외부에서 양성 거대 세포종으로 진단받은 뒤 치료받고 재발한 후 악성 변화가 의심되어 본원으로 전원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5명 환자 모두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병력은 없었다. 결과: 모든 환자는 광범위 절제술 시행받았고, 술 후 조직병리 검사상 골육종으로 확진되었다. 원발성 병변은 원위 대퇴골 3명, 근위 대퇴골 1명, 원위 요골 1명이었다. 양성 거대 세포종으로 진단받고 악성 변화하기까지 기간은 평균 49.2개월(24-126개월)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21.6개월이었다. 본원에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 받았음에도 3명에서 원격 전이가 발생하였고, 이들 중 2명의 환자에서는 국소 재발도 확인되었다. 이들 3명 모두 사망하였다. 결론: 본 증례로 보아 적절한 치료를 받은 양성 거대 세포종 환자에서도 악성 변화는 5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 추시 중 방사선학적으로 육종 변화가 의심되는 경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oncologic outcome of the malignant transformed benign giant cell tumor of bon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February 2012, 5 cases were referred with suspicious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giant cell tumor. No patients underwent radiation therapy. Results: After referral, all patients received the wide excision of the tumor and its' pathologic diagnosis were osteosarcoma. As classified by the location of tumor lesion, 3 cases were located in the distal femur, 1 case was in the distal radius and 1 case was in the proximal femur. The average latent period between diagnosis of benign giant cell tumor and diagnosis of secondary malignant giant cell tumor was 49.2 months. (range, 24-126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1.6 months. There were subsequent local recurrence in 2 cases and 3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is. All patients with lung metastasis were dead. Conclusion: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giant cell tumor of bone can be occurred within 5 years. Therefore, when benign giant cell tumor suspicious malignant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do more aggressive treatment.

      • KCI등재

        제1 중족골에 발생한 재발성 거대 세포종의 수술적 치료

        김갑중(Kap Jung Kim),이광원(Kwang-Won Lee),이종신(Jong Shi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거대 세포종은 양성 종양으로 분류되지만 국소 재발이 매우 흔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종양으로 주로 슬관절 주위에서 발생한다. 거대 세포종이 족부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1 중족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성인의 제1 중족골에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의 특징 및 치료 방법도 아직 확실하게 정립된 것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제1 중족골에 발생한 재발성 거대 세포종에 절제술 시행 후 비혈관성 자가 비골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Giant cell tumor is a benign but locally aggressive tumor with common recurrence. Most cases occur around the knee joint. Giant cell tumor of the foot is rare and very few cases involving the first metatarsal have been reported. It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in adult patients remain unclear.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recurrent giant cell tumor at the first metatarsal that was excised surgically and subsequently reconstructed with non-vascularized fibula graft.

      • 거대 세포종에 의한 대퇴골 전자간 병적골절에 대한 치료

        정필현,황정수,강석,김종필,이호민,김정란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거대 세포종은 전체 골종양의 약 5% 내외의 분포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대부분 장골의 골단부 골간단에 발생하며 미세 골절이나 병적 골절이 드물게 동반되기도 한다. 거대 세포종에 의한 대퇴골 전자간 병적 골절의 경우에는 대퇴골 전자간 분쇄골절의 치료도 쉽지는 않은데 재발을 잘하는 거대 세포종에 의한 병적 골절의 경우 종양을 완치시키고 골절도 유합시키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대퇴골 전자간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에 의한 병적 골절을 소파술 및 동종골 이식술 후 압박 고 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iant cell tumor accounts for about 5% of all bone tumors occuring at epi-metaphysis. Giant cell tumors are rarely associated with micro-fractures or pathologic fractures. Communi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femur itself is difficult to obtain f m union, and in case of pathologic communi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femur due to highly recurrent giant cell tumor, it is arduous task to obtain fm union and treat the cancer at the same time. We hereby report a case of pathologic fracture of femoral intertrochanter due to giant cell tumor which was treated by compression hip screw fixation after curattage and allogenous bone graft.

      • KCI등재

        무수 알코올을 새로운 보조 치료제로 이용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오주한(Joo Han Oh),이상훈(Sang Hoon Lee),김한수(Han-Soo Kim),서성욱(Seong Wook Suh),조환성(Whan Seong Cho),윤필환(Pil Whan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방법으로 철저한 소파술 후 페놀, 냉동 요법 등 여러 가지 보조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소개되어 왔지만, 각각의 경우 여러 합병증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는 바, 저자들은 새로운 보조적 치료제로서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장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6년(1-29.3년)이었고, 평균 연령은 33세(16-67세)였다. 69명은 소파술 후 고속 burr를 이용하여 공동 내부를 갈아낸 후 골 이식이나 시멘트 충진을 시행하였고, 이 중 38명에서는 소파술 후 무수 알코올을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결과: 보조적 치료를 사용하지 않은 31명의 환자들 중에서는 15명(48.4%)에서 재발한 반면,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환자 중에서는 4명(10.5%)에서 재발하였다(p=0.001). 거대 세포종의 누적 재발률 감소는 무수 알코올의 사용과 유의하였다 (p=0.014). 무수 알코올과 관련된 수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무수 알코올은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수술적 치료에서 효과적인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As a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s (GCT) of the long bone, anhydrous alcohol was used in our institution due to the potenti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other previous adjuvan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nhydrous alcohol as a new adjuvant in the treatment of a GCT.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hree GCT patients were treated and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6 years (range, 1-29.3 years) with a mean age of 33 years (range, 16-67 years). Curettage, additional burring, and reconstruction with a bone graft or cementing were performed in 69 patients. Among them, anhydrous alcohol was used as an adjuvant in 38 patients. Results: Four (10.5%) patients given the anhydrous alcohol treatment had a local recurrence, whereas 15 recurrences (48.4%) developed in 31 patients treated without the anhydrous alcohol (p=0.001). There were no anhydrous alcohol-related complications. According to Kaplan-Meier's analysis and the log rank test, the anhydrous alcohol adjuva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p=0.014) in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GCT. Conclusion: The data suggests that anhydrous alcoho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djuvant without potential risks for the treatment of a GCT of the long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