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리히 벡의 개인개념과 한국사회

        이하준(Ha-Jun Lee)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논문은 ‘한국사회와 개인’의 문제를 벡의 ‘개인화 논제’을 원용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사회이론 영역에서 벡의 이론들을 준용해 한국사회의 개별문제를 다룬 연구 성과물은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철학의 영역에서 벡의 비판적 사회이론이나 개별 주제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거나 그의 이론적 성과에 입각해 한국사회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도하는 연구물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벡의 ‘개인화 논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개인개념을 규명하고 그의 논제가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문제를 밝혀내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으며 어떤 이론적 한계를 갖는지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첫째, 아도르노의 개인이 종말에 관한 벡의 비판이 제한적 타당성만을 갖는 다는 것을 논증한다. 둘째, 근대적 개인과 위험사회에서 개인에 대한 벡의 이론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셋째, 개인화의 논제를 재구성하고 개인화의 양의성과 개인의 위기를 규명한다. 넷째, 초위험 사회로서 한국의 압축적 개인화의 양상과 성격을 벡의 논점과 비교 검토 한다. 다섯째, 한국사회에서 진정한 개인화와 개인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Korean society and Individual through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by Ulrich Beck. In the field of social theory, there are some researches which are applied to individu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researches connected with philosophy or philosop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through Beck’s theory. From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I will prove how much analysing of his theory of individualization can contribute to inquiry of individual in our society and show what its limit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 argue that Beck’s criticism on Adorno’s thesis on the end of individual is restrictive valid. Second, I review that Beck’s theoretical position on modern individual and individual in risk society. Third, I reconstruct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and prove ambivalence of individualization and crisis of individual. Fourth, I cross check the issue between the whol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of Korea as a ‘High-Risk Society’ and Beck’s aspects. Last, I search the possibility of true individualization and individual in Korean society.

      • 사회투자국가의‘개인화된’사회투자의 한계

        우명숙(Woo Myung so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9 비판사회정책 Vol.- No.28

        이 글은 서구와 국내에서의 사회투자국가 논쟁과 연관하여 기든스의 사회투자국가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사회투자국가의‘사회투자’의 범위를 얼마나 넓게, 또는 제한적으로 볼 것인가라는 주요 논쟁과 관련하여 이 글은 사회투자국가론을 기든스의‘개인화’라는 관점에서 이해해 보면, 사회투자국가의 사회투자의 한계가 보다 분명해진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사회투자국가에서 사회투자는 특히 개인화라는 사회적 조건에 편향된 복지국가의 전환을 위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렇게 사회투자국가는 사회투자를 주로 개인단위의 인적 자본 축적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강조함으로써 보다 넓은 복지정책의 목표를 논의하지 못하는 제한성을 가진다. 결국 사회투자국가 옹호론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사회투자는 넓은 의미의 복지정책의 목표를 포함하기 어렵다는 점이 분명해 보인다. This article, refocusing on Giddens’s discussion of the ‘social investment state,’ evaluates how important role Giddens’s ‘social investment’ can play in welfare development and reform, and what its limitation is. Giddens emphasizes ‘social investment’ as an essential means not only to integrate the socially excluded outsiders in the society, but also to make individuals creatively and actively adapt themselves to new ‘individualized’ social environments. However, Giddens’s ‘individualized social investment’ perspective provides a narrow view on the role of welfare policy. Social investment policies and broad redistributive welfare policies are not mutually exclusive. Rather, the success of social investment policies requires publicly-provided comprehensive welfare systems as many western welfare states have made efforts to do so far.

      • KCI우수등재

        유아유심 개인주의

        김성국(Seung Kuk Kim)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2

        탈물질주의 가치의 확산과 동아시아시대의 도래라는 문명전환기 현상을 배경으로 마음에 관한 사회학적 관심이 대두한다. 이 글의 목적은 나의 유아유심 개인주의를 김홍중의 마음의 사회학과 유승무·신종화·박수호의 마음사회학과 각각 대비시키면서 마음사회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그들과의 상이한 이론적 지향점도 제시하지만, 현세적 신비주의라는 관점에서 사회학적 파상력이나 깨달음의 문제가 서로 합류할 수 있는 가능성도 모색한다. 이 글은 개인의 마음이 지닌 무한한 능력(대상조형성과 의미생산성)을 강조하면서 허구적인 외재적 집합체(국가, 사회, 체계, 인간 등)에 대한 개인화 혹은 개인적 해체를 시도한다. 뒤르케임의 사회중심적 시각을 비판하고 루만의 체계이론과 벡의 개인화 이론을 재구성/재해석하면서 사회의 개인화나 체계의 개인화를 통해 개인적 자유와 사회적 해방의 지평을 확장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의 의미는 한국 사회학자들이 창의적으로 수립한 이론과 해석을 기반으로 동아시아(유교, 불교, 도교 그리고 천부경의) 개인주의 및 천지인합일이라는 관점에서 마음사회학의 한 형태로서 유아유심 개인주의라는 동아시아/한국형 이론을 모색하는 데 있다. Recent rise of sociological concern with ‘mind’ reflects both the coming of East Asian Era and global diffusion of post-materialist culture inherent in the ongoing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from modern to post-modern society. This study, with its view of an individualism of unique self/mind,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ind Sociology, explored by Hong Jung Kim and Seung-Mu Lew﹡Jong-Wha Shin﹡Su-Ho Park. Their studies based on Durkheimian(Kim) and Buddhist(Lew et al.) scholarships respectively are first contrasted to mine, but then their sociological conception of undulation and spiritual enlightenment is connected with my framework of secular mysticism. Individualism of unique self/mind attempts to deconstruct the collective myth of the state, society, system, and human being in terms of the infinite capacity of individual mind to construct and signify everything within its world or universe. Through this critique or reinterpretation of both Durkheimian socio-centrism/sociologism and Luhmann’s system theory as well as Beck’s individualization,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sociological horizon for individual freedom and social liberation that will be encouraged by individualization of society or system. The sociolog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may be found in its explorative efforts to build an East Asian and/or Korean theory of Mind Sociology, based mainly on Korean sociologists’ theories and explanations as well as East Asian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individualism and the oneness of heaven, earth, and human being.

      • KCI등재

        개인화와 ‘젠더사회’

        홍찬숙(Chan-Sook Hong)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1

        현대에 들어 기존의 사회과학 개념에 기댈 경우 우리는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을 목도할 수밖에 없다. 현재 우리가 그 속에 살면서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가 도대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탈근대’, ‘신자유주의 세계화’, ‘글로벌 위험사회’ 등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이론적인 탐색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성중립적인’ 관찰방식들은 현대사회 변동의 매우 핵심적인 어떤 부분을 놓치고 있다. ‘돌봄경제’, ‘돌봄사회’ 등에 대한 논의는 그러한 맹점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지적한다. 그러나 돌봄에 집중하는 논의들은 아직까지 페미니즘 내부의 논의로 국한되는 실정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페미니즘 내부의 논의로 인식되는 이러한 문제들이 사실은 현대사회 변동의 핵심이라는 논증을 펼친다. 그리하여 산업사회학, 가족사회학, 인구사회학 등의 분과사회학적 관찰들이 페미니즘적 분석을 매개로 하나의 사회변동 과정 속에서 재배치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그러한 재배치가 ‘개인화’라는 접근방식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며 개인화의 과정을 통해 현대 사회불평등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본다. 여기서 페미니즘적 분석이란 사회의 생산구조를 물질생산과 인간재생산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둘의 관계를 통해 사회변동의 흐름을 읽는 것을 의미한다. Discussions on postmodernism, globalization, neo-liberalism, and world risk society provide us various ways of observation and thinking about social changes today. But those gender-neutral ways of explaining cannot be satisfying, because nowad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that are happening is related to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not only in family, but also in every sphere of society. In the contrast, discussions on ‘care economy’ or ‘caring society’ are limited to feminist camp, even if ‘care’ or ‘caring’ is one of the key words of the time. So in this study, I try to develop an inclusive way of explaining social changes today that is neither gender-neutral nor just limited to feminism. The starting point of my argument is that feminism has in its history critically contributed to understand modern society. Feminism means here a perspective of observation that scrutinizes under the surface of modern working society the reality and realm of human reproduction.

      • KCI우수등재

        집합행동의 개인화와 사회운동 레퍼토리의 변화

        최재훈(Choi, Jaehoon)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3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사회운동 레퍼토리들을 살펴보고 그 사회적·문화적 의미를 찾아본다. 정치 영역에서 87년 체제의 종언과 새로운 체제로의 이행이 논의되는 현 시기에 사회운동 영역에서도 조직동원적, 물리적 충돌로 대표되는 30년 전의 운동 레퍼토리와는 명확하게 대비되는 개방참여적, 평화적 시위가 주류 레퍼토리로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사회운동 레퍼토리는 시대적 상황과 조건에 따라 변화하며, 사회 구조적 변화의 결과인 동시에 문화적 변동의 표상이다. 촛불집회, 세월호의 노란리본과 가만히 있으라 운동,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와 희망버스 등은 모두 친숙하지만 새로운 맥락에서 다른 의미를 획득한 상징들과 효과적인 레퍼토리의 결합을 통해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 집합행동의 방식들이다. 이들 레퍼토리는 또한 인터넷을 매개로 형성되거나 확산되는 최근 사회운동의 특징적 양상을 공유하고 있으며, 결국 집합행동의 개인화라는 현재 사회운동의 경향성과 맥을 같이 한다. 개인화된 미디어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자들은 조직적 동원보다 자발적인 개인 참여를 선호하며, 스스로 참여의 동기를 찾고 운동의 주체가 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온라인을 매개로 한 개인화된 집합행동은 동원에는 성공적인 반면, 조직적인 차원의 어려움과 인터넷 자체의 한계로 인해 실질적 성과를 거두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유연함과 창의성을 갖춘 오프라인 시민운동단체와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며, 적절한 상징과 효과적인 레퍼토리는 바로 이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가장 성공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some newly emerged repertoires of social movement in the recent Korean society, and finds their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Considering that the end of ‘87 regime and the transition to a new regime is discussed in the political realm,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open participatory and peaceful repertoires of social movement became main stream instead of organization mobilized and violent ways of protest in those thirty years. The repertoires of social movement have changed over the time and conditions. They are the result of socio-structural change and also the symbol of cultural shift. Candlelight demonstrations, yellow ribbon and the ‘stay still’ protest for Sewol Ferry disaster. annyongdul hashimnika posters, and the ‘buses for hope’ are all the new ways of collective action that invited big resonance to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through the symbols and repertoires which are familiar but creative at the same time. They also share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recent social movements that are formed or spread through the Internet, and, consequently, are consistent with the tendency of the personalization of collective action. Through personalized media and online networks, individual participants prefer voluntary personal engagement rather than organized mobilization, try to find self-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want to become the subject of their actions. While personalized collective action through online is successful in mobiliz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hieve substantial results because of the organizational difficult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Internet itself.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link with offline civil movement groups with flexibility and creativity. And appropriate symbols and effective repertoires can be the most successful mediators that narrow the gap between them.

      • KCI등재

        진화심리학과 개인화

        오현미(Oh Hyeon-Mi),장경섭(Chang Kyung-Sup)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4 No.-

        1970년대 등장한 사회생물학은 페미니즘의 강한 반발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지적 유행이 되고 있는 진화심리학에 대해 페미니즘은 침묵으로 반응해왔다. 사회생물학은 핵가족을 자연적인 것으로 보며 핵가족의 결속이 영구적인 이유를 인간 여성의 성적 수용성에서 찾았다. 즉 사회생물학은 20세기 중반 남성 생계 부양자 가족 형태를 자연화하고 그 보편성과 영속성의 근거를 생물학을 통해 뒷받침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반면 1990년대 이후 등장한 진화심리학은 핵가족을 상대화하여 남녀 결합의 여러 형태 중 하나로 그 위치를 재조정하였다. 여기서 여성은 주체화된 개체로서 다양한 남녀 관계를 선택하는 전략적 행위자가 된다. 또한 진화심리학은 남녀 관계에서 조화뿐 아니라 갈등에 주목하고 그 이유를 남녀의 진화된 성 심리와 전략의 차이를 통해 설명한다. 이제 진화심리학은 핵가족을 보편적이고 자연적인 것으로 보지 않으며 남녀 관계의 다양성과 갈등의 진화적 원인을 설명하는 데로 초점을 이동하였다. 진화론적 사회과학의 이러한 변모는 한편으로 페미니즘과 같은 과거 비판 진영의 입장을 누그러뜨렸고, 다른 한편으로 관련 주제의 새로운 사회이론들과의 친화력을 강화시켰다. 예컨대 진화심리학의 관점은 사실상 동시대 사회학자인 울리히 벡의 개인화 논의와 많은 부분 공통점을 갖는다. 진화심리학은 분석의 초점을 가족 단위에서 남녀 개인으로 옮겼고, 또한 개인의 전략적 선택과 그 선택이 낳는 남녀 관계 갈등에 분석의 상당 부분을 할애한다. 이런 점은 벡이 말하는 남녀의 가족적 존재에서 개인적 주체로의 변화, 개인 중심의 선택이 불가피해지는 상황, 선택이 야기하는 남녀 갈등에 대한 논의와 친화력을 보인다. 그런데 최근 개인화 현상이 서구 이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의 차별적인 상황을 함께 감안하면, 진화심리학과 벡의 개인화론의 이론적 공통점은 기본적으로 서구의 후기 근대라는 특정한 역사·사회적 맥락에 기초한 것이며, 진화심리학적 논의가 비서구적 상황에 적용될 때 개인-가족-사회관계에 대해 내용적으로 훨씬 복잡하고 정교한 발전을 거쳐야 할 필요성을 암시한다. When sociobiology emerged on the scene in the 1970s, it was met by strong resistance from feminism. However, since becoming a popular intellectual current in the 1990s, evolutionary psychology has been met by silence from feminist camps. Sociobiology “naturalizes” the nuclear family and finds a biological reason for the eternal family bondage in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sexuality. As a result, sociobiology was inevitably criticized for its naturalizing and advocating of the nuclear family and patriarchy. Evolutionary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relativizes the nuclear family and re-adjusts its position as but one of multiple forms of union between male and female. Here, women, as subjectivized individuals, are strategic agents who select from a variety of male-female relations. In addition, evolutionary psychology points not only to harmony but also to conflicts in male-female relations, explaining the conflicts in terms of the different sexual psychologies and strategies that have evolved for the two respective genders. Evolutionary psychology does not view the nuclear family as universal and “natural”, and moves its focus to the explanation of evolutionary causes for the various clashes in male-female relations. On the one hand, this development in evolutionary social science has allayed the erstwhile critical stance of feminism, while on the other hand, it has strengthened affinities with new, thematically-related social theories. For example,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bears many points in common with sociologist Ulrich Beck’s contemporary discussions of individualization. Evolutionary psychology shifts analytical focus from the family unit to the individual man and woman, and gives extensive analytical weight to the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individual and the gender conflicts those choices cause. This point shows affinity with Beck’s discussions of the shift from family to individual subject, the conditions inevitably created by individual-centered choice, and inter-gender conflicts brought about by that choice. However, considering together the differential conditions of the East Asian region where the phenomenon of individualization is currently accelerating even faster than in the West, it is concluded that the theoretical commonality betwee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Beck’s thesis of individualization is fundamentally based in the particular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late modern West. Evolutionary psychology, if to be applicable to non-Western contexts, faces a necessity for much more complex and elaborate evolutions regard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 KCI등재

        생활의 개인화에 대응하는 지역사회 예술교육 - 제주 한라산학교를 중심으로 -

        정은재(Jeong, Eun J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2

        최근 저출산과 고령화로 생애주기가 길어지는 장수명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생애 전반에 걸친 다양한 교육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요시 하는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 역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의 학습자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형식의 예술교육 필요성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속가능성의 담보 문제, 교육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문제 등이 과제로 지적되어 왔다.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 지역사회 예술교육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교육을 담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모색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의 지역사회 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고, 지역예술가들의 협력 체계를 통해 지역사회 예술교육을 지속하고 있는 제주 한라산 학교의 대표교사와의 인터뷰 조사를 통해 그 운영체계와 교육 실태를 파악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지역사회 예술교육이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개인화적 관점으로의 인식 전환이 요구되고 있음을 밝힐 수있었고 둘째로 제주 한라산학교가 어떻게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극복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그 특성에 대한 지견(知見)을 얻을 수 있었다. 본연구는 기존의 생애주기적(life stage) 관점이 아닌 장수명사회가 추구하는 ‘생활의 개인화 ’라는 관점에서 지역사회 예술교육을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transition to a long-lived society in which the life cycle is prolonged due to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is accelerating. As a result, there is a demand for various education throughout life, and the change of social paradigm which emphasize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also leads to the increase of learners of various lifestyle. The majority of domestic community arts education is centered on suppliers that provide public support. This has been pointed out as a guarantee of sustainability and a disparity in education demand and sup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ty art education in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lso, Jeju Halla Mountain School, which continues local art education through the cooperation system of local artist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operating system and education situation wer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knowledge on how the arts education in the community overcomes discrepancies between demand and supply and how it can guarantee sustain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community art education in an organic and integrated way from the viewpoint of ‘personalization of life’ pursued by ‘long-life society’ rather than the existing lifecycle (life stage) perspective.

      • KCI등재

        한국사회 개인화 현상의 원인 규명 -E. Durkheim과 K. Marx의 분업론을 중심으로-

        안태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4 No.-

        본 연구에서는 뒤르케임과 마르크스의 분업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탈사회적 개인화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업의 상호의존성은 사회적 연대를 창출한다. 뒤르케임에 따르면, 분업의 상호의존적 속성이 분업의 발달로 강화되면서 사회적 연대를 창조한다. 둘째, 분업과 상호의존성의 관계는 필연적이지 않다. 마르크스가 지적한 것처럼, 분업은 완전히 불평등한 의존관계를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셋째, 분업의상호의존성 약화나 소멸은 탈사회적 개인화 현상을 초래한다. 분업의 상호의존성이 소멸하거나 약화해 사회적 연대의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저마다의 살길을 찾아 나설 수밖에 없다. 한국사회의 탈사회적 개인화 현상은 이렇게 도래하게 되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post-social individualization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theory of the division of labor of E. Durkheim and K. Marx.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dependence of the division of labor creates social solidarity. According to E. Durkheim, the interdependent nature of the division of labor is strengthened by its development, creating social solidar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sion of labor and interdependence is not inevitable. This is because, as K. Marx pointed out, the division of labor can also create completely unequal dependencies. Third, The weakening or extinction of the interdependence of the division of labor leads to the phenomenon of post-social individualiz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interdependence of division of labor has disappeared or weakened and the possibility of social solidarity is slim,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find their own way to live. The phenomenon of post-social individualization in Korean society came about in this way.

      • KCI등재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와 ‘하위 정치’의 마키아벨리즘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4 No.-

        이 논문에서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 이론을 그동안 많이 조명되어온 ‘위험’의 관점에서보다는 사회이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결속 형태의 변화이다. 벡은 개인화 테제를 통해서 위험사회의 위험이 생태적 위험인 동시에 사회 통합의 위험이기도 하다는 것을 밝혔다. 자본주의 산업사회가 생태계를 착취하고 타자화함으로써 생태계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생산했다면, (노동)시장의 논리가 사회세계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게 됨으로써 계급적 결속력과 국민국가의 결속력, 가족의 결속력을 모두 약화시킨 것으로 본다. 이것은 개인들을 제1근대성의 준신분제적 구속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인 동시에, 그들을 새로운 빈곤과 불안으로 몰아넣는 이율배반적 과정이다. 그러나 맑스와 베버가 목격했던 근대 초기와 달리 현재의 이러한 이율배반은 생태계의 파괴와 인류의 절멸 가능성이라는 인류 공통의 막다른 골목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위험사회를 산업사회로부터 구별하는 시대적 특징이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계급과 민족을 초월한 보편적 사회연대의 가능성을 강압하는 실존적 조건을 이루며, 다른 한편으로는 위험을 정의하고 규정하는 담론 정치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하위 정치의 공간을 여는 근거가 된다. 위험의 담론 정치, 하위 정치는 의사소통의 성찰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근본주의 등 파시즘적 요소들을 결집시킬 수 있는 반동적 가능성 역시 포함한다. 이러한 정치적 충돌의 가능성으로 인해서 위험사회의 하위 정치는 도덕 정치의 성격이 아니라 마키아벨리즘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것으로 필자는 이해한다. Ulrich Beck’s risk society deals with not only ecology dangers, but also a danger of social disintegration. This represents the thesis of individualization. As the capitalism of industrial society has produced ecology risks, so the growing (labour) market erodes the unity of a class, a national state and a family. Individualization means a freedom from a traditional class and family identity as well as a drop into a new poverty and uncertainty. This differs, however,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of Marx and Weber, for today the individualization occurs in front of a real existing possibility of an ecological catastrophe. This possibility of a humankind’s disaster works, paradoxically, constructive for a universal solidarity of societies. On the other hand, as the possibility of disaster is only one thing that is real, other aspects of danger (definitions, measuring, prevention, etc.) depend on knowledges and discourses. This transforms the political into sub-politics. And this way to a second, reflexive modernization is in fact an ambivalent process of political confrontations. What we expect in this process, is, I think, a new era of Machiavellism, and not a era of moral politics.

      • KCI등재

        사적 관계의 공론화와 미디어의 사사화

        윤선희(Sunny Yoo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이 연구는 현재 미디어에서 가족 관계를 소재로 한 TV 예능 프로그램이 확산되는 현상에 대해 사회적 함의를 찾고 미디어의 공적 역할을 재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론적으로는 하버마스를 위시한 공론장 이론을 재점검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디어 사사화의 현실을 진단하고 공론장으로서 미디어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미디어의 사사화는 좀 더 넓은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바벡을 위시한 사회변동 이론을 도입하여 현재 글로벌한 변화와 우리 사회의 변화 특히 가족 관계의 변화와 이에 대한 미디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벡은 21세기 사회 변화를 개인화에서 찾고 있으며 전통과 사회 제도가 해체되는 위험사회로 경고하고 있다. 현재 방송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사적 갈등과 변화된 가족 관계의 부각은 일시적인 문화 추세나 이데올로기로만 설명할 수 없고 벡이 제2의 근대화로 부르고 있는 사회 구조적 변화와 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가족 관계를 다룬 예능 프로그램들의 급증과 인기 상승세를 개인화와 공공영역의 사사화가 미디어를 통해 사회 적응의 기제로 작용하고 재귀속화하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Reality shows become a popular genre on TV whereas popularity of fiction programs declines. There are numerous reasons in genre changes on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reality program has benefits due to economic budget of production and trendy to popular demands particularly facing economic crisis throughout the world; additionally, from cultural perspective, people look for entertainment in reality and daily lives rather than grand scaled plan and narratives in the post-modern era. This research goes one step further and look into rising reality shows on TV in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will start the discussion of changes in media using Habermas’s theory of public sphere and its application to media studies. Moreover, sociological theory of Beck who adheres to individualization as a force of the second modernization in the 21st century will be applied to explain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family relations. As case studies, Korean TV programs, including talk shows and entertainment programs which portray father’s childcare will be examined. These programs demonstrate changing role of fathers in Korean family and at the same time privatization of family relations in the context of social reconstruction in the second moderniza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