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관광객(FIT)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허양례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개별관광시장의 동향,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객 유치보상제도, 개별관광객의 행태특성 분석 등을 통하여 개별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한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고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개별관광객의 연평균 여행횟수, 방문목적, 평균여행기간, 여행시기, 이용 숙박시설, 정보입수 경로, 여행시 동반자, 이용교통수단, 선호하는 관광지, 1인당 여행비용, 목적지 선택시 중요시하는 속성 등에서 일반여행객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도시행 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17개)와 기초자치단체(226개) 중 16개 광역자치단체와 123개 기초자치단체에서 도입하고 있으며, 조례를 제정하여 지원하고 있는 곳은 12개 광역자치단체, 92개 기초자치단체에 이르렀다. 현재의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제도는 첫째, 제도의 실효성 문제, 둘째, 외래관광객과 단체관광 위주의 제도. 셋째, 개별관광객에 대한 기준의 모호성, 넷째, 관련 조례의 제정 미비 등, 다섯째, 가변적이고 부족한 예산으로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성 훼손, 여섯째, 여행사나 단체 지원으로 개별관광객 유치와 연관성 저하, 일곱째, 지원의 중복성 등의 문제 등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개별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단체관광은 중간 매개체가 있으므로 유치에 공헌한 매개체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유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지만, 개별관광은 직거래 개념과 유사하므로 엄밀하게 인센티브 지급 대상 자체가 없는 것이다. 양자의 차이로 인해 통합운영 시 무리가 따를 수 밖에 없으며, 기존의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를 확장하여 개별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제도에 대한 인식과 운영방식 자체를 바꿀 필요가 있다. 두 가지를 완전히 분리하여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방한 중국 및 일본 개별관광객들의 다목적지 관광 특성 및 만족도 연구 - 방문 광역지자체 수를 중심으로 -

        최승묵(Choi, Seung-Moo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0 觀光硏究論叢 Vol.32 No.1

        한국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들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지만 방한 외래관광객들의 다목적지 관광 특성과 만족도 등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방한 외래관광객 시장인 중국과 일본의 개별관광객을 대상으로 다목적지 관광과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18년 외래관광객실태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국 및 일본 개별관광객들의 한국여행 특성에 따른 다목적지 관광에 대한 분석 결과 중국 개별관광객은 체재 기간, 방한 목적, 동반자유형, 총 인원 수, 항공권예약 시점, 1일평균 지출액에 따른 방문 광역지자체 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 개별관광객은 체재 기간항목에서만 방문 광역지자체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중국 및 일본 개별 관광객들의 다목적지 관광에 따른 한국 여행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중국 개별관광객의 경우 방문 광역지자체 수에 따라서 관광지 매력도, 언어 소통 만족도, 치안 만족도, 타인 추천 의향 등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일본 개별관광객은 방문 광역지자체 수에 따라서 음식 만족도, 관광안내 서비스 만족도, 관광지 매력도, 치안 만족도, 타인 추천 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 결과는 지역관광 관점에서 보면 중국과 일본의 개별관광객은 성격이 전혀 다른 시장이기 때문에 상이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Although various policies are being promoted for local tourism for tourists visiting Korea,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multi-destinations travel of individual tourists has been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estination travel and satisfaction for individual tourists from China and Japan, the major foreign tourist markets.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2018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used.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visiting regions in Chinese individual tourists according to six items(stay period, purpose of visit, type of companion, total number of visitors, time of booking for air tickets, average daily expenditure). On the other hand, Japanese individual touris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visiting regions only in the category of stay period. Nex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showed that Chinese individual touris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urist attractions, language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curity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oth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ing regions. Japanese individual touris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satisfaction, tourist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tourist attraction, security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oth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visiting reg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tourism, individual tourists from China and Japan are different markets and require a different policy approach.

      • KCI등재

        여가·위락·휴식 목적 방한 개별관광객의 다목적지 관광 특성 및 만족도 연구: 방문 광역지자체 수를 중심으로

        최승묵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7

        Individual travels and multi-destination travels are increasing worldwide,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destination travel and the satisfaction of Korea's travel according to multi-destination travel for individual tourists who are visiting Korea for leisure, amusement and relaxation.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dividual tourist data(N=9,502) for the purpose of leisure, amusement, and relaxation were used in the raw data of the 「2018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alysis of differences in multi-destination travel characteristics(number of visited reg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ourists traveling to Korea(number of visits, total number of visitors, companion type, when to book a air-ticket, average daily spe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tem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ravel in Kore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estination trav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ravel in Korea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ing regions in mostly items except the travel expense satisfaction. Overall, individual tourists who visited two or more region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travels than individual tourists who visited only one reg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multi-destination travel were suggested. 전세계적으로 개별관광과 다목적지 관광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개별관광 및 다목적지 관광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방문하는 ‘여가·위락·휴식’ 목적 개별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방문 광역지자체 수의 현황과 특성, 방문 광역지자체 수에 따른 한국 여행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18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원자료 중 ‘여가·위락·휴식’ 목적의 개별관광객 자료(N=9,502)가 사용되었다. ‘여가·위락·휴식’ 목적 개별관광객들의 한국여행 특성(방한 횟수, 총 인원 수, 동반자 유형, 항공권 예약 시점, 1일 평균 지출액)에 따른 방문 광역지자체 수 차이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방문 광역지자체 수에 따른 한국 여행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행경비 만족도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방문 광역지자체 수에 따라 한국 여행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1개의 광역지자체만을 방문하는 개별관광객 집단보다 2개 이상의 광역지자체를 방문하는 집단의 한국 여행 만족도가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국 여행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 방문 광역지자체 수를 증대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정책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그동안 개별관광의 제약 요인이라 평가되던 대중교통은 본 연구 결과 제약요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대중교통에 대한 다목적지 관광객들의 만족도가 단일 목적지 관광객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이와 함께 재방문 개별관광객들의 다목적지 관광 유도, 항공권 등을 예약하는 시점에서의 다양한 지역 관광 정보 제공, 다목적지 관광객들의 지출 증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관광 목적지 가치 -외국인 개별 관광객에 대한 여행비용법(TCM) 적용-

        류성옥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7

        Unlike traditional group travelers who commonly seek different countries for their trips, a sizable number of free individual travelers are likely to revisit particular destinations. It is reasoned that these individual international travelers continuously pursue distinctive trip experiences such as cultural authenticity and personal contacts with residents, which often lead to re-visitation. This study aims to compute the economic benefits which free individual travelers acquire during their stay in Korea. This paper also intends to evaluate aggregate economic values of Korea as an international travel destination. In order to calculate willingness-to-pay (WTP) values, this study makes use of travel cost method (TCM) as a popularly used non-market valuation tool. The study's results suggest that an individual traveler who visited Korea from 2006 to 2008, and from 2007 to 2009 indicates consumer surplus of US$3,364 and US$4,361, respectively. The total economic value of South Korea as a tourism destination are also estimated using the total number of free individual travelers. These valuation efforts are important for policy makers to determine the optimal level of public investment in provision of better travel opportunities. 해외 여행을 나설 때마다 새로운 목적지를 추구하는 단체 관광객과 달리 상당수 개별 관광객은 특정 국가를 반복 방문하는 행태를 보인다. 이러한 개별 관광객의 속성은 지역 주민과의 접촉을 통해 해당 국가의 문화적 고유성을 추구하려는 그들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 개별 관광객이 한국 방문을 통해 얻는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개별 관광객의 지불의사금액(WTP)을 바탕으로 한국의 개별 관광 목적지 가치를 산출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인 비시장 가치 추정법인 여행비용법(TCM)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8년과 2009년을 기준으로 과거 3년 동안 레저⋅위락 및 휴가 목적으로 한국을 찾은 외국인 개별 관광객의 1회 방한당 WTP는 각각 미화 3,364달러와 4,361달러였다. 이같은 추정액을 바탕으로 개별 관광객이 한국에서 얻는 총 편익은 각각 197억 528만 4971달러(2006년~2008년)와 235억 2001만 349달러(2007년~2009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국가가 보유한 관광 자원에 대한 가치 추정은 대형 공공 투자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관광안내체계평가를 통한 일본 개별관광객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송영민,이영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1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 개별 여행객의 국내여행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관광안내체계 평가요인과 전반적 만족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관광안내체계 구성개념 7개는 관광안내체계를 평가하기에 모두 타당한 지표로 분석되었다. 관광안내체계와 만족도간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일본 개별 여행객의 관광만족도 제고를 위해서 보행자 지도 표지의 유용성, 관광안내소 접근성, 버스정보의 유용성, 사전정보 유용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홍보물 이용 편리성, 안내원서비스, 관광안내전화(1330) 유용성은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인 개별 여행객의 관광활동 만족도 제고를 위한 관광안내체계 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relations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ystem and Japanese individual tourists' satisfaction for improving their convenience when they had visited the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seven constructions of tourism information system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re proper. The result of relations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ystem and Japanese tourists' satisfaction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pedestrian map, accessibility of tourist information center, the usefulness of bus information, previous information usefulness for increasing the Japanese individual tourists' satisfaction. While the convenience of promotion materials, the service of guide in the tourist information center, the usefulness of Korea Travel Phone(1330) had no effect on the Japanese individual tourists' satisfaction. The result of study could give very useful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Japanese individual tourists' satisfaction.

      • KCI등재

        농촌형 시티투어 개별관광객과 단체관광객의 방문동기 비교분석: 진주 지수면 부자마을 방문객을 중심으로

        백성우,강덕제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over sustainable Jinju-city rural tourism policy projects and derive strateg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tourists according to the motives of visitors to the rich village of Jisu-myeon by conducting an autonomous city tour program for rural tourists in Jinju. A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a questionnaire o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visiting rural tourism for visitors to the rich village of Jisu-myeon, Jinju-si, the target site of the study.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motivation for visiting rural tourism for 216 sample subjects, four factors were analyzed: pioneering day departure motivation, history exploration motivation, experiential learning motivation, and family-friendly motivati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tourists.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study confirmed the value of rural tourism in the "Jisu-myeon Rich Village," a key hub of K-entrepreneurship and Nammyeong ideology, which is expanding to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Province, centering on Jinju, and compared the motivation for visiting through a survey of the preferences of individual and group tourists visiting rural villages. It is judged that a study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basic local governments,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at consider and study sustainable rural tourism has been conduc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rive basic strategic tasks for tourism and rural tourism in mid- to long-term regions related to tourism promoted by local government-funded organizations (Jinju Cultural Tourism Foundation) and to form related data to promoting unit projects in front-line tourism sites 본 연구는 진주에서 농촌형 관광객 자율 시티투어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지수면 부자마을로 방문하는 이용객의 방문동기에 따른 개별관광객과 단체관광객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진주시의 농촌관광 시책사업 발굴과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진주시 지수면 부자마을을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농촌관광 방문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설문의 조작적 정의를 통해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표본 216명에 대한 농촌관광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개척일탈동기, 역사탐방동기, 체험학습동기, 가족친화동기 4개 요인으로 분석되어, 개별관광객과 단체관광객간의 방문동기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학술적인 시사점은 진주를 중심으로 경남의 서부권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K-기업가정신과 남명사상의 핵심 거점인 ‘지수면 부자마을’에 대한 농촌관광 가치를 확인하고, 농촌마을을 방문한 개별관광객 및 단체관광객의 선호도 조사를 통한 방문동기의 비교연구가 향후,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일선 기초지방자치단체나 기업, 기관에 참고가 될 만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실무적인 시사점은 지자체 출연기관(진주문화관광재단)에서 추진하는 관광과 관련된 중·장기 지역의 거점관광과 농촌관광에 대한 기초적인 전략과제의 도출과 일선 관광 현장에서 단위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관련자료를 형성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제주도 관광이미지와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이진희 ( Jin Hee Lee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0

        관광객은 이미지를 근거로 하여 목적지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관광을 마치고 돌아가는 내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방문 전후의 이미지 차이, 방문 후 만족도, 재방문 의도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한 이미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주 관광이전과 이후 이미지에 대한 차이분석에서 패키지 관광객을 위하여 개선해야 할 항목은 쇼핑, 숙박시설, 기후와 경관, 토속음식 맛 순이고, 개별관광객을 위하여 개선해야 할 항목은 기후와 경관, 쇼핑, 볼거리와 즐길거리, 토속음식 맛 순이었다. 여행사를 통하여 예약한 후, 관광버스를 타고 관광지를 돌다가 지정된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쇼핑센터에 들러 관광상품을 구매하는 패키지 관광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반면에 인터넷을 통하여 예약한 후, 렌터카를 타고 원하는 곳을 둘러보는 개별 관광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개별 관광객의 재방문 의사가 패키지 관광객 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제주관광에 있어서 개별 관광객의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렌터카를 이용한 인기 관광지관광, 생태탐방, 역사·문화탐방, 골프관광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관광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패키지 관광객과 개별 관광객의 관광에 대한 만족도와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후에 민감하지 않은 실내관광시설을 개발해야 하고, 주제공원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시티투어상품을 개발하며, 쇼핑관광환경을 개선하며, 향토음식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is a important element of the tourist`s decision proces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before and after visit image of JeJu-Do, tourist`s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in order to find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deals with on the tourism image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domestic tourist. With 404 effective responses gathered from an on-site surve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ANOVA analysis. The demographical characte- ristics were identified by mean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individual tourist is better than package tourist. Based on such study, I have ma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JeJu tourism image such as development of indoor tourism facilities, competitive power strengthening of theme park and native local food, development of city tour course, improvement of shopping environment.

      • KCI등재

        개별 여행객들의(F.I.T.) 관광지 선택속성, 관광제약, 선호관광활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장양례,김혜영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되고 있는 개별 여행객의 관광욕구에 적합한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제약, 선호관광활동의 측정변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측정된 개별 여행객의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제약, 선호관광활동 간의 미치는 유의적인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개별 여행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07명의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관광지 선택속성 13개. 관광제약 4개, 선호관광활동 8개 변인을 도출하여 이론적인 측정개발을 구체화하였다. 둘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제약 변인에 관한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환경적인 매력요인과 비용가치 요인이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선호관광활동 변인과의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환경적인 매력요인과 적극적 관광활동요인과 자연지향적 관광활동에서 정(+)의 영향력을 보였으며, 비용가치요인와 부수적인 요인은 야외체험 관광활동요인에서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관광제약과 선호관광활동 변인과의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야외체험 관광활동요인에서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얻어진 각 변인들 간의 유의적인 인과관계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여행상품 마케터나 정책 대안자들은 이에 대한 실무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erform a theoretical examination on variables for measuring of properties i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 enough to fulfill individual tourist’s desire for tour, variables for measuring of constraints in tour, and variables for measuring preference tour activities, and to verify influences of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perties i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 suitable enough to fulfill F.I.T. tourist’s desire for tour, constraints in tour, and preference tour activities. To analyze the data of this research, 250 individual touris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final 207 subject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ducted. Initially, through examining the relevant precedent researches, 13, 4 and 8 variables were respectively deducted from properties i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 constraints in tour, and preference tour activities. Through such deduction, a development of theoretical measuring was actualized. Secondly, factors of environmental attraction and cost value indicated positive influence by examining the impact relation regarding variables for properties in selecting tourist sites, and for limitations in tour. Thirdly, from examining the impact relation between variables for properties i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 and for preference tour activities, factors of environmental attraction, active touring activities, and naturally-oriented touring activities indicated positive influence, and factors of cost value and others indicated positive influence in the factor of outdoor-experience-based touring activities. Thirdly, from examining impact relation between variables for limitations in tour, and for preferred touring activities, the factor of outdoor-experience-based touring activity indicated positive influence. Accordingly, on the basis of basic data inquiring into the variable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hieve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ch information can be used by the travel product marketers or those establishing policy alternatives as the working-level data

      • KCI등재

        개별관광객의 이동편의 제고를 위한 관광안내체계 구축 사례 연구: 관광안내표지판을 중심으로

        심원섭,진보라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new mobility convenience of the tourism information system for the individual tourists and the current tourism information system.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concept of tourism guidance system, the way finding and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as a study subject and method, a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to the Wanju where the pilot project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s a result, Wanju's existing tourist information signs consisted of tourist attractions and specialties, so they could not move to or provide informations. The new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mobility convenience differentiate the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ourists, and provide transportation, time required, and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s. As a detailed factor for individual tourists, the landmark is realistically expressed for tourists' intuitive understanding and four languages ​​are written for foreign tourists. they designed a prefabricated design that can be changed if the information is modified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they applied the typographic of local artist and derived the brand slogan “Walk Wanju”, which symbolizes the tourism information system in Wanju.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information centered on pictograms and infographic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foreign tourists rather than tex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local tourism resources and places, rather than the tourist information sign that provides the same information. Third, the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s used as a tourism resource itself.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관광객을 위하여 이동편의가 제고된 관광안내표지판 구축 사례를 분석하여 현재 관광안내표지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개별관광객들을 위해 개선된 요소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론적 고찰에서 관광안내체계 및 길 찾기의 개념,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완주군이며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완주군의 현재 관광안내표지판은 관광지 및 특산품 소개 중심으로 구성되어 관광지로 이동하기 위한 정보가 부재하고 대중교통과의 연계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향후 설치될 관광안내표지판은 관광객 위치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를 차별화하고 개별관광객이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주요 관광지까지의 이동 방향, 소요 시간, 대중교통 노선도를 포함하였다. 개별관광객을 위한 요소로 관광객들의 직관적 이해를 위하여 주요 랜드마크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였고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서 4개 국어를 표기하였으며 야간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조명을 설치하였다.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해 강화유리에 배면인쇄방식을 적용하고 정보가 변경될 경우 수정이 가능한 조립식 디자인을 구상하였다.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 지역예술가의 서체를 적용하였고 관광안내체계를 상징하는 브랜드 슬로건인 ‘워크 완주(Walk Wanju)’를 도출하였다. 시사점으로 첫째, 외국인관광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픽토그램과 인포그래픽 중심의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일률적인 형태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광안내표지판보다는 장소의 맥락을 고려한 관광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의 특징을 반영한 디자인을 도출하여 관광안내표지판 자체가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의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넷째, 관광안내표지판은 개별관광객을 새로운 관광지로 유도하는 등의 부가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의 만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Kim, Bo-Kyeong),양재호(Yang, Jaeh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바운드 관광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 체험관광상품개발과 마케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 체험관광에 대한 개별자유여행객이 지각하는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상품의 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체험관광 경험이 있는 관광객 294명을 대상으로 소비가치, 만족, 방문의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20년 8월 1일부터 2020년 10월 30일 까지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 중 상황적 가치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가치가 관광객의 체험관광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체험관광에 대한 만족은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체험관광활동에 있어서 개별자유여행객의 관광상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소비가치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역관광을 바탕으로 하는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r marketing strategies for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to stimulate the inbound tourism industr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free independent travelers’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toward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Methodology] The sample of 294 tourists who had used a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 responded to the survey designed to assess consumption values, satisfaction, and visit int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t to October 30th 2020, and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ndings]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f four type of consumption values(functional, social, emotional, and exploratory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creased intention to visit.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role of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in evaluating a tourism product incorporating activities designed to experience local culture and indigenous manufacturing.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a tourism product based on regional tourism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