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원격 개방대학의 기원

        남신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본 연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창설과정(1968~1972)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원격개방대학의 기원을 분석하였다. 원격개방대학 이념형의 세 가지 축을 ‘원격’, ‘개방’, ‘대학’으로 전제하였으며, 1972년에 창설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이 세 가지 이념형 이 특정한 방식으로 접합된 과정에 주목하였다. 한국 최초 원격개방대학의 기원을 분석 하기 위해 설명수준을 효시, 계기, 동인으로 구분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등장한 최초 원격개방대학은 외국의 사례를 모방한 것이라기보다는 근현대 한국 교육사 내부에서 태동한 자생적인 산물이다. 해방 전후 방송교육, 통신교육의 사례 중에서 원격개방대학의 맹아에 해당되는 대학확장형 형태의 통신학부가 자생적으로 존재하였다. 한국 최초의 원격개방대학이 국립 대학교 부설 통신학부 형태로 출현한 계기와 조건은 1960년대 이후 ‘중등교육 팽창과 고등교육 억제’라는 한국 교육의 특수한 상황에서 주어졌다. 애초 국가 교육정책 수준에서 마련된 ‘대학통신교육제’의 시안은 재수생 구제조치로 구상되었으나, 대학자강에 의해 방송통신대학은 성인학습자 본위의 개방형 대학으로 창설되었다. 방송통신대학이 개교 후에 짧은 시기 동안에 세계 수준의 원격개방대학으로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었던 동인은 민간영역에서 분출된 교육열의 자기전개과정이다. How wa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KNOU”) able to develop into Korea’s most representative open university after being originally establish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students who failed university entrance exam?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has classified subject matter into 3 categories, i.e. the origin of KNOU, system development and its execution, and examined a series of incidents and moments at the current level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sociology. KNOU’s idea of open university was materialized through the university’s subjective efforts rather than through any government education policy. In 1968, the government centrally controlled the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to limit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when the number of students who failed university entrance exam increased, the government embodied 'Air and Correspondence College' as a 2‐year junior college attach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procedure. Professors belonging to the college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cluding Seo Myeong‐won, the Chairman of the KNOU founding committee and Kim Jong‐seo, the first President and other social education practitioners devised a part‐time student ‐centered Open University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it. As a result, KNOU was launched in 1972 as a junior college open to all. Throughout its history, KNOU has used an open entrance system and distance teaching methods to deliver a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to the general public who have lost opportunities to go to school due to economic or other reasons. In 1994, the english name of the university was changed to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by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better reflect its purpose.

      • KCI등재

        한국 원격개방대학(Open University) 이념에 관한 집합기억 탐구

        남신동(Sindong Nam) 교육사학회 2014 교육사학연구 Vol.24 No.2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현대 한국 고등교육사에서 원격개방대학이라는 새로운 대학이념의 출현과정을 고찰하였다. 원격개방대학의 이념을 구성하는 세 가지 이념형(원격, 개방, 대학)은 상호 갈등적이거나 불안정한 방식으로 접합되어, 1972년 서울대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창설로 이어졌다. 이와 관련된 주요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0년대 중반 ‘중등교육 팽창과 고등교육 억제’라는 사회적 상황에서 재수생 대책을 위한 대학통신교육제의 실시가 구상되었다. 둘째, 원격개방대학의 설치?운영에 있어서 국가와 대학간의 관계는 ‘수익자 부담원칙에 의한 국립대학 운영의 위임’이라는 관행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두 가지 계기에 의해 대학 창설기부터 방송대 교육이념의 불안정성과 유동성이 초래되었다. 방송대 이념과 관련된 주관적인 형태의 집합기억은 대학 창설과정에서 나타난 독특한 난맥상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회적 사실이자 또한 그의 산물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idea of Open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dea of university as a social reality. Three ideal types of Open University(openness, distance education, a university) was combined very precariously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1972 by two moments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embodied "Air and Correspondence College" as a 2?year junior college attach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being originally meant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procedure. From the beginning, the government"s plan of the new university had a contradictory concept, a distance teaching university for the policy to restrain the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Second, the idea of open university was materialized through the university’s efforts rather than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university was formed in the accordance with the shifting the national obligation of national university to the university. In conclusion, the subjective and distorted collective memories about the idea of Open University is a social reality which represents the peculiar making of the idea of Open University in Korea.

      • KCI등재

        네트워크로서의 대학, 전시연합대학

        윤해동 한국사회사학회 2024 사회와 역사 Vol.- No.142

        전시연합대학은(이하 전시연대) 참담한 전쟁의 현실에 적응하기 위한 ‘고심의 산물’이었다. 전시연대는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아야 한다. 기왕에는 2단계의 전시연대만을 대상으로 전시연대를 분석하였다. 전시연대와 관련한 오류나 착오는 여기에서 기인하였다. ‘일그러진 전시연대’의 초상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3단계로 나누어 전시연대의 전모를 파악해야 한다. 1단계(1950. 11-12)의 전시연대는 서울 수복 직후 서울에서 설립되었다. 30여 개의 서울 소재 대학을 대상으로, 문교부는 의무 참여를 강제하였다. 2단계는(1951. 2-8) 부산을 비롯하여 대구와 광주, 전주에서 설립되었다. 전시 수도 부산의 전시연대가 참여대학이 가장 많고 규모가 컸다. 단독으로 개강하는 대학이 거의 없는 상황이었으므로, 2단계의 전시연대가 가장 중요하고 상징성이 컸다. 3단계(1951.9-1956?) 전시연대는 피난대학이 단독 개강을 하는 상황에서 만들어졌다. 부산, 대구, 광주, 전주를 비롯하여 대전, 수원, 서울, 청주, 제주 등지에서 만들어졌다. 한국전쟁 휴전 이후에는 국방부가 군인을 대상으로 전시군인연대(1954-1956)를 설립하였다. 전시연대는 연대형, 신설형, 군대형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연대형은 기존 대학이 연합하여 설립한 것이고, 신설형은 기존 대학이 없는 상황에서 새로 전시연대를 설립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시연대는 연대형이었으나, 대전에서 만들어진 전시연대는 신설형이었다. 그리고 군대형은 군대 안의 장병을 위하여 새로 만든 연합대학이었다. 전시연대에는 전쟁 때문에 줄어든 학생을 증원하기 위한 정책이 도입되었다. 대학생들에게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대신 징집을 보류하였다. 또 학점 취득을 쉽게 하는 여러 조치가 취해졌다. 2단계에는 전체 학생 가운데 약 27% 정도, 3단계에는 약 34%의 학생이 전시연대에 등록하였다. 한 사례에 의하면, 다른 대학에서 수강하는 학생의 수가 40%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다. 전시연대는 전국의 모든 대학과 대학생, 심지어 월남한 대학생들에게도 개방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전시연대는 모든 대학과 대학생들에게 개방되어 있던 연합대학 시스템이었다. 또 모든 대학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이기도 했다. 전시연대는 개방된 시스템이자 개방된 네트워크였다. 그런 점에서 전시연대는 근대 대학의 이념을 대변하고 있는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나아가 대학의 미래 전망을 밝혀주는 대안적 모델로 삼아도 좋을 것이다. The Wartime Union Univer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artime University) was a “product of painstaking deliberation” to adapt to the horrific realities of war. The chronology of the Wartime University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viously, only the second stage of Wartime University was analyzed.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regarding the Wartime University originated here.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ed portrait of the Wartim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whole picture of the Wartime University in three stages. The first phase (1950.11-12) Wartime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Seoul immediately after the restoration of Seoul. For more than 30 universities in Seoul,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made it compulsory to participate. The second phase (1951.2–1951.8) Wartime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Busan, Daegu, Gwangju, and Jeonju. The Wartime University in Busan, the wartime capital, had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ting universities. Since there were very few universities that opened on their own, the second phase of the Wartime University was the most important and symbolic. The third phase (1951.9-1956?) Wartime University was created in a situation where the evacuation university was opening its own classes. It was made in Busan, Daegu, Gwangju, and Jeonju, as well as Daejeon, Suwon, Seoul, Cheongju, and Jeju. After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established the Wartime Soldiers’ Union University (1954-1956) for military personnel. The Wartime Univers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solidarity type, newly established type, and military type. The solidarity type is established by the union of existing universities, and the newly established type is the establishment of a new Wartime University in the absence of an existing university. Most of the Wartime University were of the solidarity type, but the Wartime University created in Daejeon was of the newly established type. And the military type was a newly established union college for soldiers in the army. In the Wartime University, a policy was introduc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d been reduced by the war. Instead of providing military training to university students, conscription was withheld. In addition, a number of measures have been taken to make it easier to earn credits. In the second phase, about 27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Wartime University, and in the third stage, about 34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Wartime University. In one case of University in 1952, 40 percent of students of other universities enrolled in courses. The Wartime University was open to all universities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untry, even to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the wartime university was a federated university system that was open to all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was also a network that connected all the universities into a single system. Wartime University was an open system and an open network. In this sense, the Wartime University can be said to be a typical example of the ideology of the modern university.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illuminate the future prospects of the university.

      • 핀란드 대학의 성인 평생교육의 특성 분석

        장수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6 교육정책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핀란드 대학의 성인을 위한 평생교육을 학위 여부를 중심으로 그 주요 특징을 파악하고 여러 도전에 직면한 한국 대학의 평생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핀란드 대학의 평생교육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별 대학들은 대학 수준에서 진행되는 여러 가지 평생교육을 통합하고 운영하는 계속 교육센터가 있으며 이를 통해 대학의 평생교육을 조정하고 지원한다. 둘째, 상당수 성인학생들이 정규의 입학과정을 거처 정규학위과정에서 일하면서 학업을 하고 있어 정규과정 틀 안에 성인 평생교육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 셋째, 전문가 계속교육, 고용자 훈련계약 프로그램, 열린대학 등 비학위 프로그램은 대학의 하나의 핵심적인 기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넷째, 비학위 핵심 프로그램의 하나인 열린 대학 강좌와 강의들은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이 프로그램에 질 관리는 개별 단과대학 학부(학과)가 강사 선임이나 강의 개설을 할 권리를 집행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의 평생교육원과 달리 계속교육센터는 이를 지원하는 역할만 수행한다. 이 강좌들의 내용은 개별 학문분야의 연구와 교육에 기초한다. 다섯째, 비학위 프로그램에서 학위 프로그램으로 이전하는 ‘열린대학을 통한 대학 입학 경로’는 불가능하지 않으나 매우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열린대학의 강좌를 수강한 성인들이 정식 입학과정을 거쳐 대학에 입학할 수 있고 이 경우 열린대학에서 획득한 학점은 학위 과정에 적합할 경우 인정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평생교육은 다른 성인교육기관들과 협력 체제를 통하여 유연하게 제공된다. 저자는 이 같은 핀란드 대학들의 학위 프로그램의 품 유지와 대학 교육의 개방성 노력의 조화가 평생학습대학을 고민하는 우리 대학들의 평생교육의 새로운 발전단계에서 의미 있는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ULE) for adults in Finland and identifies its characteristics in degree perspective and draws its implications to Korea ULE facing some challenges. Based on the analysis, Finnish ULE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each university has a continuing education center that consolidates, steers and supports various kinds of lifelong educations Second, adult students are participating at degree programs while they are working after entering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This implies that degree programs themselve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adult education. Third, non-degree programs such as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employment contract training, open university etc. is an essential part of university mission. Fourth, open university courses and lectures that anyone above 18 can take are being provided by individual faculty(college) for quality assurance based on each academic field. Fifth, direct transition from non-degree program to degree one so called ‘open university route’ is not impossible but very rare and difficult. However, adults who takes open university courses can be admitted through regular process and their credits are counted. Finnish universities’ efforts to harmonize the maintaining the high quality of degree programs and their openness of higher education to all gives us lessons at the new stage of ULE.

      • KCI등재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기독교 노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학개방의 역할을 중심으로-

        문수경 ( Soo Kyung Moon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6 No.-

        이 글의 목적은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노인 학습자의 성공적인 노화라는 관점에서 대학개방을 통한 노인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캐나다, 독일, 일본의 노인 평생교육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독교 노인 평생교육을 위한 대학개방 역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과거와 달리 초고령 사회의 주역이 될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노년 세대는 교육욕구와 사회활동 참여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학(부설) 평생교육 기관의 증감 현황을 보면, 프로그램과 기관 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 학습자의 수도 성인 학습자의 수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개방의 역할을 통한 기독교 노인 평생교육의 목적과 비전을 기독 노인 학습자의 건강한 노화의 삶을 위해 ‘성공적 노화’와 ‘활동적 노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실천적 노인교육모형으로는 영성·성찰성·연대성이라는 주요 핵심 원리를 기반으로 ‘노인을 위한, 노인에 관한, 노인에 의한’ 영성 교육, 역량 강화교육, 지역 통합교육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 예정인 한국의 현시점에서 노인 평생교육의 중요성과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며, 특별히 대학교의 개방과 대학을 활용한 기독교 노인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대학의 적극적인 개방정책으로 기독교인들뿐 아니라 비기독교인들에게도 ‘성공적 노화’를 위한 3대 실천적 교육모형은 기독교 대학들이 매우 의미있게 수용해야 할 부분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ways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through university opening in view of the successful aging of elderly learners in preparation for a super-aged society. To this end, the government analyzed the cases of lifelong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in Canada, Germany, and Japan, which wer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nd recognized the need for the role of university opening for the lifelong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in Korea. Unlike in the past, older generations, including baby boomers, who will be the leaders of the super-aged society, have a very high desire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owever, the number of programs and institutions is gradually decreasing, especially the number of elderly learners compared to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Therefore, the purpose and vision of Christian senior citizens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role of university opening were assumed to be aimed at ‘successful aging' and 'active aging' and based on the main core principles of spirituality, reflection, and solidarity, spiritual education, capacity building educ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were proposed as practical education models.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presented the import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at this point in Korea, which is set to enter the super-aged society, especiall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using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And the three practical education models for ’successful aging‘ for Christians as well as non-Christians with active open-door policy of Christian universities are something that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accept very meaningfully.

      • KCI등재

        학습기능의 중심축으로서 대학도서관 개방 방안

        김선이,김윤섭,Kim, Sun-Yi,Kim, Yoon-Seob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1

        The expectation and the role for the university are rising due to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hange of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and the role to realize the effective lifelong study is also underlined in lifelong study society. And the social awareness is also diffus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share the specialized substantial information resource with the community, and ensure the access right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local inhabitant. Like this, the roll as an information center that the university can develop the local society as the component of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 diffusion of lifelong study and the change of civic awareness. To check the open state of university libraries to community,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open state of 4-year-course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and Gyoenggi region. On this base,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open its libraries and positively offer the abundant specialized data of university libraries to the local residents.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way that the university libraries can cooperate connecting with the local public libraries and the school libraries as a positive service way of university libraries. Also this study accentuated that the university libraries should establish an open-door policy of its libraries and enlarge the service for the local residents by using the university conditions to maximum with the positive suppor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of government and the university's bureaucracy.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 제고와 고등교육의 환경변화로 대학에 대한 역할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효과적인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역할 또한 강조되고 있다. 아울러 대학의 풍부한 전문정보 자원과 훌륭한 시설을 지역사회와 공유하고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접근권을 보장 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 또한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평생교육의 확대와 시민의식의 변화에 따라 대학이 지역사회의 구성요소로서 지역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지역사회 개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4년제 대학도서관 개방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에게 도서관을 개방하고 대학도서관의 풍부하고 전문적인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대학도서관의 적극적인 서비스 방안으로 지역의 공공도서관 및 학교도서관과 연계하여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가 및 대학당국의 대학도서관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대학도서관의 자구적인 노력으로 대학의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서관 개방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 체육관의 관리와 지역에의 개방에 대한 인식

        유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1) the facilities and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university's gymnasium and (2) the opening to the university's gymnasium to local residents. For this purpose, 104 students majoring in sports at universities that will have a new university gymnasium answered the survey.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are: College students had the highest demand for floor conditions and the safety of glass, followed by requests for indoor gym maintenance and faciliti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Many students wanted to open their doors to local residents only holidays and when they have local event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requirements, many students want air conditioning or heating facilities should be well-equipped, hygiene and cleanliness, and free entering and use of their facilities. In terms of descriptive comments on opening to local residents, they want not to be interfered with their classes. Several students mentioned that it would be good if exercise program is developed and university students' talents is contributed.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이 (1) 대학 체육관 시설, 관리와 운영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2) 대학 체육관의 지역에의 개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향후 새로운 대학 체육관을 갖게 될 대학에서 스포츠를 전공하고 있는 104명의 학생들이 설문에 응하였다. 설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바닥의 상태와 유리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가장 컸으며 실내체육관의 유지와 보수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시설에 대한 요구가 그 뒤를 이었다. 지역 주민에게 개방을 하는 경우에는 공휴일이나 지역 행사가 있을 때만 개방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이는 수업에 지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서술형 요구 사항에서는 에어컨이나 난방 시설이 잘 되어있었으면 하는 의견, 위생과 청결 관리가 잘되었으면 하는 의견, 그리고 학생들이 자유롭게 출입을 하고 이용을 했으면 하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것에 대한 서술형 의견에서는 수업에 지장이 없는 정도로만 개방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고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동부 학생들이 재능기부를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있었다.

      • KCI등재후보

        원격대학에서 학업평가의 교수-학습활동 통합기능에 대한 연구

        김지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8 평생학습사회 Vol.4 No.2

        이 연구는 원격개방대학에서 학업평가가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의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에 관한 연구이다. 학업평가는 진단과 평정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진단 기능은 학생의 학업 진전 상황과 교과목의 운영 상황에 대해 진단하는 것이고, 평정 기능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측정하여 그들에게 등위 또는 등급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런데 원격개방대학들은 학업평가에서 평정의 엄격성을 높이는 것에 주력 하여 왔으며, 진단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은 개별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맡겨지는 경향을 보여왔다. 이런 상황에서 상당수의 학생들은 시험에만 초점을 둔 학습을 전개 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이 분리되어 전개되는 문제를 원격개방대학들이 지니게 되었다. 원격개방대학에서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이 분리되는 문제는 학업평가의 진단기능 이 제대로 기능하게 만듦으로써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것인데, 학업평가의 진단 기능이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의 통합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중요한 조치들이 취해져야만 한다. 첫째로는 교육과정의 학업평가의 결합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것은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학업평가가 통합적으로 같이 개발되어야 가능한 것이다. 둘째로는 학업평가가 원격개방대학의 실정에 맞추어 진단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제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신의 정보통신기술의 활용 등이 적극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셋째로는 학업평가 관리체제가 구성되어 학업평가의 결과를 분석하고 피드백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져야 한다. 원격개방대학은 전통적인 대학에 비해 교수활동과 학습활동 과정의 통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하는데, 특히 그 과정에 학업평가의 진단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is is a research that assessment contributes to the integ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t distance open universities. Assessment has the functions both diagnosis and grading. The function of diagnosis is to diagnose about the situation of advancing on student's studies and subject management. The other function of grading gives a rank or a grade to students as measuring the accomplishment of student's studies. However, distance open universities have concentrated on getting strictness higher in assessment, and they have been shown a tendency that as using the function of diagnosis each individual professors and students takes responsibility. At this point, many students tend to study only for examination. It has influenced on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s separated at distance open universities. The problem, teaching and learning are separated, would get solved as making function of diagnosis operate well. There are few important things to change to corporate teaching and learning. First, the combination of curriculum and assessment should be raised. It is possible when developing assessment progresses together with developing curriculum. Second, assessment should be developed to work practically at distance open universities. To carry out the plan, it positively needs to think using the newest ICT. Finally, it is supposed to get ready to make the feedback system for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assessment. Distance open universities should concentrate on the unif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specially, it's very important to work the function of assessment during the period.

      • KCI등재

        프랑스 대학입학제도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분석

        박상완(Park, Sang-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4

        이 논문은 프랑스 대학입학제도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대학입학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문헌연구 방법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문헌 자료의 확인과 자료 분석 해 석의 보완을 위해 면담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프랑스 대학입학제도의 주요 특징은 첫째, 프랑스에서 대학 진학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학입학자격시험(바깔로레아)에 ‘합격’해야 한다. 바깔로레아는 고교졸업자격시험이자 대학입학자 격시험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절대평가에 의해 합격 여부를 판정한다. 둘째, 학생 선발권이 없는 대학(모두 국립)은 개방입학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학생 선발권이 있는 고등교육기관은 고교 내신 성적(20점 만점의 점수제), 지원 서를 토대로 학생을 선발한다. 셋째, 대학별 시험은 학생을 선발하는 고등교육기관에 한해 제한적으로 실시되며 여러 전형요소 중 내신 성적이 가장 중시된다. 넷째, 대학지원은 정부가 운영하는 온라인 사이트(APB)를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며, 대학지원 관련 다양한 정보가 제공된다. 프랑스 대학입학제도 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 우리나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 재검토(고교 졸업자격시험의 성격 강화), 학생의 부담, 진로를 고려한 시험체제 개발, 시험 출제 관리에서 고교 교사 역할 확대, 서술형 시험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higher education admission policy of France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face-to-face, email, telephone) were adopted for main research method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accalauréat diploma is necessary for higher education admission in France but each higher education has different admission policy according to their legal status. University has open enrollment policy and has no student selection process. Other higher institutions such as grands écoles select students base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baccalauréat is national diploma which shows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upper secondary education and gives right of access to higher education. This diploma is awarded to candidates who have passed a series of standardized written and oral tests drawn up at national level (10/20points). Thir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high schools are major criteria for admission for higher institutions which has student selection process. Fourth, entrance exams implemented at college level are various according to higher institution. Last, ‘Admission Post-bac-APB’ site is used to support and facilitate the whole admission proces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에 나타난 지식의 개방적 성격과 대학교육

        김상섭(Kim, Sang-Sup),이창준(Lee, Chang-J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2

        오늘날 대학에서 전달하는 지식의 양과 종류가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융복합과 영역 넘나들기가 보편화되면서 대학교육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은 지식의 위상이 변화되고 지식교육의 지향점이 변화하는 것에 대해 분석한다. 그러면서 모던의 대학교육을 비판하고 선진사회에 부응하는 새로운 대학교육에 주목한다. 훔볼트에 대한 리오타르의 비판적 고찰을 참고할 때, 모던적 패러다임을 따르는 대학교육의 지향점, 즉 지식교육을 통한 인간성의 완성이라는 목적은 정당성을 보증해주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은 보편성과 통합이라는 이상을 포기하는 대신 차이, 개별성과 다양성에 바탕을 둔 지식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훔볼트의 대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은 모던의 대학에 대한 완전한 거부와 차단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두 패러다임 속의 대학교육의 모습의 차이를 인정하더라도 그 속에 존재하는 연속성 또한 인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던의 대학에서 모던의 대학교육 이념이 새롭게 재해석되고 재구조화될 때 새로운 대학교육의 가능성으로 계승ㆍ극복ㆍ발전될 수 있다. The university of today is continually changing and also being demanded to change strongly. Quantity of knowledge is increasing and types of study dealt with in university are diversifying. Further, each study is interacted widely and researched convergently. Moreover, deliberate crossing boundary which pulls down a strict distinction and originality of domain of knowledge gets settled as universal phenomenon. Thus, university teaches specialized knowledges, and on the other, it tries to react with agility to newly emerging post-modern society. University education has no choice but to be dependent on an external situation because it has no choice but to exist in close connection with social system. Nevertheless, it can't throw away th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al purpose and ideals of modern like humanity, morality,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As a result, the university education of today is facing with a problem to define identity and role in intersection or mixture of two paradigms, which are modern and post-modern. Lyotard is just suggesting some features of post-modern. So it is more resonable to take a note to fundamental opposition and contents which Lyotard wants to reveal by it than to depend on the oppositional concept of modern and post-modern. In that point of view, Humboldt's article, 『Über die innere und äußere Organisation der höheren wissenschaftlichen Anstalten in Berlin』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reference to find out what 『La Condition postmoderne』 tries to overcome or transform. Then it is better for the sake of concreteness of discussion to compare Homboldt's educational concept with Lyotard's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