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상담심리 분야의 개념도 연구방법에 대한 메타분석적 개관

        최윤정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more valid and reliable application of concept mapping method through meta-analytically identify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that appli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as well as the quantitative features of the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For this purpose, 67 articles that displayed quantitative indicators of research among the articles published in KCI-registered journals over the past 15 years (2004-2019) using the concept mapping in the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area in Korea were selecte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research journal,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participants. Quantitative features presented in the stages of concept mapping method were analyzed by collecting quantitative data extracted from 106 concept maps derived from 67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concept mapping methods showed that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a similar way of the general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on subjects which are related to various counseling settings such a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schools, and workplace. Second, in most cases,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in Korea was performed based on the procedures and indicators suggested by Kane and Trochim(2007).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better study method of concept mapping methodologic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research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intern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cept mapping.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the stress value for evaluating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concept mapping was related to the number of final statements, the number of statements in the maximum cluster, and the average number of files classified by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of more valid and reliable concept mapping method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심리 연구 분야에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방법을 적용한 연구의 동향과 연구방법의 양적 특징을 메타분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타당하고 신뢰로운 개념도 연구방법의 적용을 위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지난 15년 동안(2004~2019년) 국내 상담심리 연구 분야에서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KCI 등재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연구의 양적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67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학술지, 년도, 연구 주제, 연구 참여자에 따라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67편의 연구에서 산출된 106개의 개념도에서 나타난 양적 자료를 수집하여 개념도 연구방법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양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념도 연구방법의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면, 대학 상담센터, 학교, 기업체 등 다양한 상담 환경과 관련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상담심리 분야의 연구 주제 분류와 유사하게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상담심리 분야에서 이루어진 개념도 연구방법은 대체로 Kane과 Trochim(2007)이 제시한 절차와 준거대로 수행되고 있었으나, 방법론적으로 좀 더 우수한 개념도 연구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개념도의 내적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 요소들을 좀 더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념도 연구방법의 내적 타당도를 평가할 수 있는 스트레스 값은 최종 진술문 수와 최대군집의 진술문 수, 그리고 참여자가 분류한 평균 파일의 수와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방법론적으로 보다 타당하고 신뢰로운 개념도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이념형(Idealtypus)과 실재형(Realtypus)

        김석완(Kim, Suk-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Die Arbeit hat eine methodologische Anwendung des Idealtypus und Realtypus, die im Allgemeinen für die Methodologien der Sozial- und Kulturwissenschaft betrachtet wurden, an den Gedanken der Erziehung zum Ziel. Dafür, das Studium des Gedankens der Erziehung zum Objekt einer autonomen Wissenschaft zu legen, kommt es darauf an, eine Methodologie zu systematisieren. Der Idealtypus und Realtypus repräsentieren zwei theoretische Formen, dass der Mensch durch Sprache die Welt greift. Der Idealtypus geht von der Auswahl eines Teils der unendlich heterogenen Wirklichkeit durch den beschränkten menschlichen Geist an. Er ist künstliche Begriffsgestaltung dafür, Erfahrungswirklichkeit durch eine logisch geltende Konstruktion von Begriffen zu ordnen und verstehen. Dagegen behauptet der Realtypus, keine Lücke zwischen dem menschlichen Geist und der Welt zu sein, und es ist möglich, totale Wirklichkeit zu greifen. Während der Idealtypus einen begrifflichen Apparat ist, dadurch Wirklichkeit besser zu verstehen und erkären, Begriffe mit der Wirklichkeit zu vergleichen, setzt der Realtypus Begriff und Theorie zusammen, um Wirklichkeit selbst wahrheitsgemäss zu greifen.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학 및 문화과학의 연구방법론인 이념형과 실재형을 교육사상 연구 방법론에 적용가능한지를 검토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것은 교육사상을 독자적인 학문연구의 영역으로 정립하기 위한 절실한 과제이다. 교육사상의 개념적 의미와 지시대상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점차 명료히 드러나고 또 이렇게 밝혀진 교육사상 연구의 의미와 의의는 더욱 다양하고 정교한 방법론을 요청한다. 이념형과 실재형은 인간이 언어를 통해 세계를 파악하는 가장 대표적인 두 이론적 유형을 보여준다. 이념형은 무한히 이질적인 요소들의 연관으로 이루어진 현실을 유한한 인간정신이 전면적으로 파악할 수 없고 단지 그 일부만을 선택해서 다루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념형은 경험적 현실을 논리적으로 타당한 방식으로 사유를 통해 정돈하고 질서화함으로써 현실을 인식하기 위한 인위적 개념구성물이다. 실재형은 인간 정신과 세계 사이의 간극을 인정하지 않고 언어를 통해 경험적 현실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관찰이나 연구를 통해 구성한 개념이나 이론으로부터 현실을 유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념형이 개념과 현실을 비교하고 측정함으로써 현실을 보다 잘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도구적 장치인 반면 실재형은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실상을 포착하기 위해 개념과 이론을 구성한다. 이념형적으로 구성된 교육사상은 특정 시공간의 교육문화를 개개인의 행위에 대한 이해와 인과적 설명에 근거해서 규명하는 방법론적 개인주의의 성격을 지닌다. 반면, 실재형적 교육사상은 교육사상을 배태한 경험적 현실의 객관적 본질이나 심층구조가 존재하며 이를 이론이나 법칙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중국어문학연구(中國語文學硏究)의 신방법논모색(新方法論摸索) : 인지언어학과 근대한어 어법 연구방법

        박원기 ( Won Ki Park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8 中國學論叢 Vol.23 No.-

        近代漢語的主要硏究方法有兩種:共時上的硏究和歷史上的硏究,其中,前者的硏究方法主要限於描寫和歸納,而後者還有解釋。一般來講,語法硏究的最終目標就是解釋語言現象,所以,近代漢語共時上的硏究也可以用`解釋`方法來進行타的硏究。我們認爲現代語法解釋理論當中所謂`認知語法`是適合於漢語分析的非常適當的理論,如果把타是用於近代漢語的硏究,能구進行比較深入的語法硏究,能구解釋出漢語語法史當中的各種問題。

      • KCI등재

        근대 중국과 한국에서의 ‘격치(格致)’ 개념 형성과 변화 과정

        허재영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근대 학문 형성 과정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격치’라는 용어의 개 념 형성과 변용 과정을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했다. ‘격치’는 대학의 수장(首章)에 등장하는 ‘격물치지’에서 유래한 말이지만,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리 사용되었다. 특히 경 험적ㆍ실증적 연구 방법을 중시하는 근대 학문이 도입되면서, 전통적인 격치의 개념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중국의 경우 서구의 학문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전통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며, 전교 목적으로 중국에 파견된 서양 선교사들도 이와 같은 경향을 고려하여 학술어 번역에서도 전통적인 용어를 상황에 맞게 변용하고자 노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에서 중국의 격치 개념 변용은 한국 근대 학문 형성 과정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이며, 경험과 실증을 대상으로 한 ‘격치’와 사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분야를 일컫던 ‘격물’ 개념이 점차 ‘신구학 대립’ 담론에서 ‘서구 학문’이나 ‘신학(新學)’을 뜻하는 용어 로 변용되다가, ‘과학’과 ‘철학’ 등의 학술어로 대체되어 간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첫째, 근대 중국에서의 ‘격치’는 마테오리치 이후 경험적으로 고증하여 얻은 일정한 지식 또는 연구 방법을 뜻하는 개념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이에 비해 ‘격물’은 물질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이나 분야를 뜻하는 개념으로 쓰였다. 둘째, 한국의 근대에서도 격치의 개념은 경험 을 바탕으로 한 지식 습득의 방법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었다. 최한기는 격치 개념을 감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추측으로 사용했다. 또한 개항 이후 서구 학문이 도입되면 서 ‘격치’ 개념은 경험적, 실증적 연구 방법을 뜻하는 ‘과학’과 비슷한 의미를 획득하였으며, 연구 대상을 중시하는 ‘격물학’이 분과 학문 명칭처럼 사용된 예도 나타났다. 이 용어는 경험 과 실증을 중시하는 ‘과학’ 또는 만물의 이치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 면서 점차 학술어로서의 용법이 약화되기에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im of describing the process of forming and transforming the concept of the term “GYEOKCHI(格致)” that frequently appears i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studies in China and Korea. The term was originated from ‘GYEOKMULCHIJI(格物致知)’ in the head of the DAEHAK, but its meaning was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s. In particular,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scholarship, which emphasizes experience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 great change took place in the concept of traditional enthusiasm. In the case of China,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n scholarship,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adhere to their own traditions, and Western missionaries dispatched to China for the purpose of whole school also took the same trend into account and adapted the traditional terminology to the situation in academic language translation. It seems to have been trying to do. In this trend, it seems that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concept of grueling influence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Korean studies, and the concept of ‘GYEOKCHI’ for experience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 concept of ‘GYEOKMUL(格物)’, which used to refer to the field of research on objects, gradually became interpreted as being changed from the discourse of the new and old studies to the term meaning ‘Western scholarship’ or ‘New Study’, and then replaced with academic words such as ‘Science’ and ‘Philosophy’.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modern China, “GYEOKCHI” began to be used as a concept to mean certain knowledge or research methods obtained through empirical examination after Mateorici. On the other hand, ‘GYEOKMUL(格物)’ was used as a concept to mean a research method or field for a substance. Second, even in the modern era of Korea, the concept of grueling has gradually changed to a concept that means a method of acquiring knowledge based on experience. Choi Han-gi used the concept of exertion as a conjecture based on senses and experiences. In addi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cience after the port was opened, the concept of ‘GYEOKCHI’ acquired a similar meaning to ‘science’, which means experience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there were examples of using ‘GYEOKMUL’,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subject of research, as the name of a sub-discipline. This term can be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term as an academic language has gradually weakened as the term ‘science’, which emphasizes experience and proof, or ‘philosophy’, which targets the reason of all things, is widely used.

      • KCI등재

        한국 온라인 저널리즘 연구흐름 분석: 1995년부터 2012년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임종섭 ( Jeong Sub L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4 언론과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2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서 한국 온라인 저널리즘 현상을 다룬 132편의 논문을 수집해 연구 발전단계별로 선행 이론/개념 중심, 자료 중심,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등 연구유목들의 연관 양상과 학제 간 공동연구의 정도를 조사했다. 2003년 10편을 시작으로 2012년 16편까지 매년 평균 12편의 논문이 발표돼 연구자들이 한국 온라인 저널리즘 현상에 지속적인 관심을 쏟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온라인 저널리즘 연구단계를 초기단계(1999년-2002년), 연구 본격화 단계(2003년-2006년), 연구 활성화 단계(2007년-2012년)로 구분 했을 때 선행 이론/개념 중심과 자료 중심이 연구주제와 연구방법과 관련되는 양상은 차이가 났다. 연구 활성화 단계에서 전체 논문의 91.7%가 선행 이론/개념을 썼으며 다양한 연구주제에 주목해 양적 방법이나 질적 방법, 또는 이를 병행했다. 이 단계에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논문은 전체의 8.3%에 머물렀지만 연구주제의 다양성이 증가했고 심층면접이나 사례연구 등 질적 방법을 사용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저널리즘 연구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자들 중심이어서 학제 간 공동연구의 정도는 낮았다. This study collects 132 peer-reviewed Korean online journalism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from 1995 to August 2012 to examine how a focus on existing theory/concept or on fresh data is related to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This study further examines the degree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Scholars have demonstrated interests in online journalism, because an average of 12 articles per year was published from 2003 (10) to 2012 (16). The stage of online journalism research is divided into an early stage (1999 to 2002), a developing stage (2003 to 2006), and an activation stage (2007 to 2012). During the activation stage, 91.7% of the articles use existing theories or concepts and focuses on diverse research themes by relying on quantitative or qualitative methods or the combination of them. During this period, the data-driven research constitutes 8.3% of the articles, and the diversity of research themes is manifest, although it is not greater than that of existing theory/concept- driven research. The data-driven research uses in-depth in terviews or case-study approaches. Most research on online journalism in Korea is carried out by communication scholars, and, thus,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remains at a marginal level.

      • KCI등재

        국어교육 연구 방법의 유형과 쟁점

        천경록 ( Gyeong Rok Cheon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육 연구 방법의 유형 분류를 제안하고, 그에 따른 국어교육 연구 방법의 쟁점을 몇 가지로 살펴보았다. 국어교육 연구 방법의 유형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연구 자료의 수집, 연구자의 위치, 연구의 목적, 연구자의 의도, 시간의 흐름, 연구 자료의 생산 방법, 통제 정도, 연구 목적, 연구의 활용도, 기계적 장치의 이용 여부 등에 주목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개념 연구와 경험 연구, 이론 연구과 실행 연구, 종단 연구와 횡단 연구, 역사 연구ㆍ기술 연구ㆍ실험 연구, 기초연구ㆍ개발연구ㆍ정책연구, 실험 연구와 문화기술지 연구, 사례 연구.실행 연구ㆍ조사 연구, 내성법 연구와 담화분석 연구, 실제 기반 연구와 기계 기반 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구 방법을 상호보완적 관계로 파악하고, 이론 연구와 실행 연구를 변증법적 관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국어 교사의 탐구를 중시하고 교사 연구자로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한다. 각각의 연구 방법에 요구되는 엄격성을 구비하여 연구의 수준을 향상시켜 나가야 하며, 표현의 명료성을 높여서 연구의 소통성을 높여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ypes of research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KLE) and related issues. The research methods involved many elements such as data collection, position and viewpoint of researcher, research purpose, researcher`s intention, time, degree of controlling, utilizing, and using machine. Based on these elements, research methods of KLE could be classified and contrasted. Those are conceptional and empirical research, pure and action research,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research, experimental and ethnography, introspection and discourse analysis, case study and survey study. Any research itself has multiplicity and complexity. So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re are many aspects of any one research. To advance research methods of KLE, it is needed to know the complimentary of conception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eoretical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develops dialectically. Teacher`s inquiry is important, and the concept of ``teacher researcher``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국내 특수교육분야의 친구관계연구 문헌분석

        남경욱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friendship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field of Korea, and to give some guide the studies hereafter. For the purpose, the author selected 60 studies, and analysed their conceptual frameworks,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iendship was mainly defined as a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dimension constructs, and considering no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Second, friendship studies mainly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survey for data collection, elementary student participants, non-categorical disability for research focus, one-way research design, and actual characters for investigation. Third, in relation with the contents, friendship quality for research theme, friendship support programs for independent variable, friendship quality and acceptance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selected. Difficulties of data collection were mainly addressed for the study limitations, and employing of alternative research method was mainly suggested for follow up studies. The author presented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분야의 친구관계 연구논문들을 종합, 분석해 향후 연구접근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관련 논문 60편을 선정하여 친구관계에 대한 개념틀,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분석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관계에 대한 개념틀과 관련해서 연구자의 세 가지 분석준거에 따라 살펴보면 친구관계를 사회적 관계로 규정하고 당사자를 고려하지 않은 범용의 정의를 차원수준에서 정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과 관련해서는 양적연구, 질문지 자료수집, 초등학생에 편중된 연구 참여자, 장애영역을 따로 나누지 않은 연구초점대상, 일방향 연구구도, 실제아동을 설정한 연구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에 있어서 연구주제는 친구관계의 질, 독립변인은 친구관계지원 프로그램, 종속변인은 친구관계의 질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 인식 및 수용태도가 다수였다. 연구의 제한점은 자료수집상의 문제, 제언사항은 대안적 연구방법의 적용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대안적 개념틀을 사용한 연구접근, 연구방법 관련 후속연구 시 고려사항, 연구접근을 위한 틀의 활용, 측정도구의 타당도 향상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독서 연구 방법의 변화 경향성 탐색 : 『독서연구』와 『RRQ』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종윤 ( Kim Jong-yun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독서 연구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현재의 모습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6년에서 2015년 사이에 발행된 국내 『독서연구』에 수록된 연구 방법을 분석하는 한편, 이 학술지에 대응하는 국외의 독서 연구 학술지인 『Reading Research Quarterly(RRQ)』에 사용된 독서 연구 방법의 경향성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독서연구』의 경우 개념·문헌 연구이 비중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개념·문헌 연구는 전체의 79.4%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경험 연구는 20.6%를 차지하였다. 이에 비해 『RRQ』에서 개념 연구는 16.8% 정도로 그 비중이 낮고, 경험 연구는 83.2%로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독서연구』에서 개념·문헌 연구의 비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낮아지고, 양적·질적 연구와 같은 경험 연구의 비중이 높아진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RRQ』의 경우 찾기 어려웠다. 셋째, 2011년 이후 『독서연구』에는 다양한 독서 연구 방법의 등장하고 있어 연구 방법의 다각화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개념·문헌 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단기간의 연구가 많고, 연구 방법이 설문조사나 사례 연구에 치우쳐 있다는 점은 앞으로 더욱 개선이 필요한 지점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독서 연구 문화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ing trends of reading research in the journal of Korean Reading Research (KRR) for twenty years, discussing the current state of art of KRR and its future. For this purpose, all KRR articles between 1996 and 2015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and changing patterns in the KRR were compared to those in the Reading Research Quarterly (RRQ). The result revealed the three main points. First, there was high ratio of conceptual studies in KRR. The ratio of conceptual studies was 79.4% and the ratio of the empirical study was 20.6% in KRR, whereas 16.8% was conceptual study and 83.2% was the empirical study in RRQ. Second, the high ratio of the conceptual study in KRR became lower with the passage of time, while that of the empirical study became higher. Such trends were not revealed in RRQ. Third, in a positive side, the KRR journal showed diverse research methods including new emerging methods since 2011. However, there were several weak points to be improved: high ratio of the conceptual studies, frequently appeared short-term studies, and high use of research methods (e.g., teacher survey and case study). Discussions and further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re suggested.

      • KCI등재

        러시아 지방의 지역별 범주화를 통한 연구방법의 모색:83개 연방주체를 중심으로

        황성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Russia is a federal state consisting of 83 federal subjects. Each subject might be called as an independent unit and has its own historical, cultural and economic indigenous characteristics. Thus this article explores some useful research methodologies through categorizing Russian regions. Due to conceptual ambiguity, arbitrary regional divisions, and lacks of original research methodologies, area studies have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Paradoxically, however, scholars who related to area studies have also merits to define regional concepts in creative ways. In additions, it is possible for scholars conducting area studies to employ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from many disciplines. Area studies on Russian locality, namely, on 83 Russian federal subjects include as follows: first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correspond exactly to practical purpose of area studies. Because area studies are to aim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gions. Secondly, area studiers have to implement field research with thorough advance preparations. Thirdly, scholars nee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using of various sorts of concepts and methodologies. Final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include some specific information which help policy-makers for Korean government pursuing national interest. 지역연구는 태생적으로 개념의 모호성과 인위적 지역구분이라는 자의성의 한계를 띠고 있으며, 명확한 연구방법이 부재하다는 비판도 받아 왔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을 역으로 이용하여, 지역연구는 모호성과 자의성을 통해 좀 더 자유로운 지역 개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연구방법 역시 모든 분과학문의 연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러시아 지방연구, 즉 83개 연방주체에 대한 지역연구는 첫째, 해당지역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기본과제로 하는 지역연구의 실용적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둘째,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한 현지조사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모든 분과학문의 개념과 연구방법을 포괄할 수 있는 다분과학문적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넷째, 전략적으로 우리나라의 대러시아 정책입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함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더불어 ‘한국적 재구성’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민해야 할 점은 지역연구는 흔히 말하는 사회과학 전공자들만이 수행하는 작업이 아니라, 어학과 문학을 포함한 모든 분과학문 전공자들이 연구할 수 있는 학문 영역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지역연구가 정체성을 의심받은 이유는 학문 외적인 논리에 따라 발생한 지역연구가 명확한 학적 경계를 갖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특히 ‘지역연구’가 아닌 ‘지역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경우에, 각각의 분과학문전공자들은 자신의 학문적 영역을 지키기 위해 배타적 시각으로 지역연구를 배제하려는 경향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배타성은 비단 국내에서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어느 나라에서든 존재했던 현상인데, 학문적 필요가 아닌 정책적 필요에 의해 발생한 지역연구의 태생적 한계가 이러한 학문적 편견을 부추기는 계기가 되었다. 중요한 사실은 지역연구가 정책적 필요에 따라 발생한 학적 체계임은 분명하지만, 현재의 지역연구는 무엇보다도 모든 학문의 공통분모, 혹은 교집합이라는 인식론적 합의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개념사 연구에서 빅데이터 연구방법의 활용 가능성 ―한국사회 1960-1990년대 노동 개념 변천을 중심으로―

        구현주 ( Hyunju Ku ) 한림과학원 2021 개념과 소통 Vol.- No.27

        이 글의 목적은 빅데이터 연구방법이 인문ㆍ사회과학 분야, 특히 개념사 연구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연구방법의 신뢰도, 타당도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사회 노동 개념 변천을 분석한 기존 질적연구와 비교하였다. 디지털인문학은 빅데이터 연구방법이 가치중립적이므로 개별 연구자의 차이와 관계없이 빅데이터의 신뢰도가 보장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빅데이터의 연구과정, 특히 표집, 지표구성, 시각화 단계에서 개별 연구자의 판단과 역량은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빅데이터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념을 시간적ㆍ공간적 맥락에서 해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이 분석과정의 전 단계에서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연구자의 특수성과 주관성을 드러냄으로써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획득할 수 있겠다. This paper explores the use of big data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especially in the study of conceptual history, focusing up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uch methods. Changes in the concept of labor in Korean society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n the digital humanities, the big data research method is supposedly value-neutral, and its reliability has therefore been argued to be independent of any differences between particular researchers.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judgment and competence of individuals engaged in the big data research process, especially in the stages of sampling, indexing, and visualization, and this represents a major influence on the results obtained. Thu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ig data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ddition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ll stages of the analysis process, to place concepts objectively in their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