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념결합 처리과정에 대한 관계 - 기반 접근과 차원-기반 접근의 조망 차이

        최민경(MinGyung Choi),신현정(HyunJung Shin)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1

        이 연구는 개념결합의 처리과정에 대한 관계-기반 접근과 차원-기반 접근의 설명을 대조하고, 그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두 가지 조망 중에서 차원-기반 접근을 채택하여 내재적/외재적 자질 간 구분을 통한 처리과정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내재적 자질에의 의존도가 높은 개념, 즉 내재적 개념이 수식개념으로 사용될 때, 개념결합의 해석이 촉진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개념결합의 처리는 성분개념 내부의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는 개념-내적 설명의 타당성을 보여준다. 실험 2에서는 관계-기반 설명을 지지하는 Gagn?(2000)의 결과를 차원-기반 설명으로 재분석해보기 위해 그의 연구에서 사용한 개념들의 외재성을 검토하였다. 관계적 개념결합 조건에서의 개념 외재성이 그렇지 않은 조건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실험 결과는 차원-기반 설명과 관계-기반 설명이 개념결합에 실제로 관여하는 정보의 다양성에 의해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개념결합 연구에서 갖는 함의와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contrast the relation-based and the dimension-based explanations and to suggest its implications on the noun-noun conceptual combination. In experiment 1, we investigated whether the dimension-based approach and intra-conceptual explanation can explain both thematic relational and property interpretations of conceptual combinations based upo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eatures of constituent concepts. We defined intrinsic(or extrinsic) concep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endency on intrinsic(or extrinsic) features. Property interpretation was facilitated when modifiers were the intrinsic concepts. This result implies that processing of conceptual combination can be influenced by the structures and information of constituent concepts. In experiment 2, exocentricity of the concepts used in Gagne(2000) was examined to reanalyze her data according to the dimension-based approach. The exocentricity was higher when the concepts were combined by their relational connections. Results of experiment 1 and 2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both approaches can be integrated through the diversities of information involved during interpreting conceptual combination.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수학용어에 대한 오개념 실태 조사

        남승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5 No.1

        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중의 하나인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그 기저가 되는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들이 갖고 있는 수학 용어에 대한 오개념의 실태 및 형성 배경을 추정해 봄으로써 수학 오개념 예방 및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지도에서 고려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측면에서 오개념의 의미 및 형성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개념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생을 대상으로 수와 도형 영역의 수학 개념을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으로 올바르게 진술한 학생은 35%정도이며, 개념형성 수준을 4수준으로 나눌 경우 관점에 따라 예(例)와 비례(非例)의 구별할 수 있는 2수준과 개념의 공통적 속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표현으로 기술할 수 있는 3수준인 학생이 대부분이다. 그 배경을 추정해 보면 제한된 범례 제시, 잘못된 선개념, 개념 정의와 개념 이미지 사이의 불균형 등에서 찾을 수 있겠다. 이러한 추정을 바탕으로 수학적 용어에 대한 오개념을 해소 방안을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구 논문 : 개념사의 학문적 구성과 사전적 기획 사이에서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을 중심으로-

        이진일 ( Jin Il Lee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7

        개념은 우리가 일상에서 드러내는 언술을 통해 나타나지만, 그 속에는 한 시대의 경험과 입장이 녹아 있으며, 처음 만들어진 이래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해 왔다. 이에 따라 연구는 언어나 명칭이 갖고 있는 고유의 의미론적 역사를 추적하는 일과 그 대상이 만들어져 실제로 진행된 역사의 탐구 사이를 왕복하는 일이 된다. 즉 개념사 연구란 한 개념이 겪는 진행사(Sachgeschichte)와 의미사(Bedeutungsgeschichte)를 통시적(diachron) 차원과 공시적(synchron) 차원을 함께 엮어 내어 재구성하는 시도이다. 근대의 정치-사회적 기본개념을 정리하여 사전으로 출간하는 계획은, 1963년 오토 브룬너, 베르너 콘쩨, 라인하르트 코젤렉 등 하이델베르크 대학 역사학부의 ``근대 사회사 연구모임``(Arbeitskreis fur Moderne Sozialgeschichte)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다. 사전기획의 기본의도는 "유럽의 과거로부터 우리의 오늘날까지 걸쳐 내려오면서 근대로의 전환을 증언하고, 이를 규정하거나 이들 의미내용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 적응하고, 그런 한에서 그 의미들이 변화되는 그런 개념들을 파악하는 일에 둔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첫 성과물인 제1권이 출간된 1972년 이래, 25년이 지난 1997년, 마침내 모든 기획이 종료된다. 18세기 중반부터 개념의 고전적 지형에 근본적인 의미변화가 진행되었고, 옛 단어들은 새로운 의미내용을 얻게 되었으며, 그 이후 궁극적으로 모든 개념들은 새로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자연과 역사, 세계와 시간에 대한 변화된 관계, 즉 ``근대(Moderne)``의 시작이 그것이었다. 이 시기를 코젤렉은 ``자텔차이트(Sattelzeit)``로 표현하였다. 최근 한림대에서 번역 출간된 일련의 개념사 사전 시리즈 중에서 코젤렉의 ``자텔차이트``라는 가정을 가장 충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은 단연 ``진보``(2010)와 ``문명과 문화``(2010)이다. In the last few years, a number of German historians have become aware of ``History of Concepts``(Begriffsgeschichte). Modern ``History of Concepts`` emerged in contrast to a history of events and politics, which oriented merely toward a chronological series of events. Its most influential advocate are Otto Brunner, Werner Conze and Reinhart Koselleck in Germany. They edited the Historisches Lexikon, consist of 6 Volumes with articles on ca. 120 ``Grundbegriffe`` from 1972 to 1997, nearly a quarter century. In them was Reinhart Koselleck the most exponent and pioneer of this school. He studies a methodology of historical concepts, whose major work combines intellectual and institutional history. In his programmatic introduction, Koselleck defines the subject of the Lexicon as "leading concepts of historical movements which, in the course of time, are the subject of historical research". Begriffsgeschichte deals with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interpretation of words and lead concepts of historical movement. His central concept is the change and progress of modernity through the ``Sattelzeit``. These hypotheses are merely heuristic anticipations. Koselleck characterized in this concept sometime between 1750 and 1850, a modern phase, which the European begins to transform the society, to develop the technology revolutionary. This period achieves cultural renaissance and most important meanings especially of those ``History of Concepts``. We can verify Koselleck`s hypotheses clearly through the Begriffsgeschichte of ``progress`` or ``culture/civilization``.

      • KCI등재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의 효과 분석

        이명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사례개념화 교육을 집단교육 형태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심 상담자를 위한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은 공통적 인 요소를 학습하고, 나중에 각자 자신의 이론을 개발하도록 하는 통합적인 사례개념화 모 형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A대학교에서 인턴과정에 있는 상담자 7 명으로,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을 실시하기 직전에 사전검사로 사례개념화 능력 평가, 상담 자 발달수준 평가(사례이해 및 상담계획)를 하였고,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을 모두 마친 직 후 사후검사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사례개념화 집단 교육 직후 중요한 사건 질문지를 통해서 교육에 참여한 상담자의 교육 경험내용을 자세히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사례개념화 집단교육 전에 비해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사례이 해) 점수,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상담계획) 점수, 그리고 사례개념화 능력 평가 점수가 모 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중요한 사건질문지 내용 분석에서 ‘사소한 행동관찰에서 내담자 이해를 위한 가설 세우기 가능’, ‘초기면접에서 일어난 상담자의 이슈들을 사례개념화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았음’, ‘심리검사와 내담자 관 련 다른 정보를 연결해서 개념화하는 방법 앎’ 등이 대표적인 교육경험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group education for case conceptualization. After examining related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education on integrative case conceptualization model was necessary for novice counselors to learn common elements and then develop their own theory.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 counselors of intern training program in A University. The participants took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assessment(understanding of case and counseling plan) and case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assessment before and after group education for case conceptualization. Also, they described the their experiences on the critical event questionnaire after each session of the group educ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respectively on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assessment(understanding of client's problem),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assessment(counseling plan), and case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assessment. Also based on analyzing critical event questionnaire, the helpful contents for the novice counselor in this group education were as following: ‘Formulating tentative hypotheses for understanding client's problem by trivial clue with first client observation’, ‘Knowing the way of formulating counselor issues in the initial phase of counseling into case conceptualization’, and ‘Knowing how to do case conceptualization by connecting with psychological test and relevant information on client'. Finall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study are discussed and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 KCI등재

        존재론적 전환으로서의 과학 혁명

        천현득(Cheon, Hyundeu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1 No.-

        본 논문은 과학적 개념과 개념 변화를 적절히 다루기 위해서 개념이 표상하는 존재론적 범주에 관한 지식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개념들은 존재론적으로 상이한 범주들과 연관될 수 있고, 그러한 존재론적 차이들은 일상 언어에 반영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의 인지 과정과 개념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존재론적 범주가 과학적 개념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개념 변화에 관해 더 나은 이해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단지 대상 개념들 사이의 분류학적 전환이 아니라 대상과 사건이라는 주요 존재론적 범주들을 가로지르는 존재론적 전환을 동반한 개념 변화는 매우 흥미로운 과학 혁명의 한 양식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분류학적 전환으로서의 과학 혁명이라는 쿤의 통찰이 존재론적 전환으로서의 과학 혁명이라는 관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고 결론내린다. Different concepts may represent different ontological categories, and ontological differences are reflected in our ordinary language. In addition, there is some evidence showing that the knowledge of ontological categories affects our cognitive processes, including conceptual learning. It is claimed, in this paper, that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framework for scientific concepts and conceptual changes, we need to take the ontological knowledge associated with concepts seriously. Kuhn in his later writings characterized revolutionary conceptual changes as taxonomic shifts; however, some episodes of conceptual changes include the transformation from object concepts to process concepts - which can be called major ontological shifts. I argue that Kuhn’s insight into scientific revolutions as taxonomic changes should be generalized as a view of “scientific revolutions as ontological shifts.”

      • KCI등재

        개념 공예의 전개에 관한 연구- 개념미술의 관점을 중심으로 -

        김지은(Kim, Ji-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1

        본 논문은 동시대 공예의 양상 중 개념 공예의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개념미술의 관점을 통해 분석해 본다. 스튜디오 공예 운동과 미술의 변화로 1960년대 이후 공예는 지속해서 발전하면서 독자적인 예술의 장르로 확장되었다. 다양한 공예 활동 중 대표적인 것은 작품성과 창의성을 중요한 평가 요소로 하는 ‘예술로서 공예’이다. 현대미술의 조형적 가치나 표현방식을 흡수함으로써 예술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으로 최근 전개되고 있는 개념 공예는 이러한 특징들을 잘 나타내 준다. 이러한 점에서 연구자는 1960년대 나타난 개념미술의 관점을 통해 개념 공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개념미술은 작품에 포함된 개념 또는 아이디어가 물질적, 미학적, 기술적인 것보다 선행하는 미술을 말한다. 미술을 구성하는 사고와 그에 대한 지각을 강조하는 것이다. 개념 공예도 재료나 제작공정이 가지고 있는 구체성에서 벗어나 물질적 실현보다는 세계를 바라보는 자신들의 생각을 설명하면서 개념과 아이디어로 접근한다. 본 연구의 관심은 동시대 공예가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예술실천의 장임을 주목하면서 외형적으로만 예술화된 공예를 지양하고 공예의 취약한 비평 담론에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여 예술의 ‘종언 이후(post) 공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craft out of contemporary craft and to explore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art. Along with the Studio craft movement and since 1960 s, the craft has kept growing to an independent territory of art. The most remarkable thing with regards to the diversified crafts activities is the fact that ‘craft-as-art’ focuses on art character and creativity for evaluating their performances. The conceptual craft shows that during the recent development it reaches the art by taking into account values as plastic arts or way of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art. Based on this consideration, I tried to look at the conceptual craf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ous forms of conceptual art in 1960 s. The conceptual art expresses the art that precedes physical, aesthetical and technical works, emphasizing its perception and thought. With regards to the conceptual craft, I tried to think out of limited sense of concreteness connected with its material or manufacturing process, and share concept and idea towards the outside world beyond its physical performances. This paper delivers that the contemporary art provides some place for art practice to pursue cultural and social values, and at the same time avoids the craft as art purely based on external or physical viewpoint. In an effort to address the criticism, this paper tries to share a new paradigm of ‘post craft’ as the art by offering a theoretical groundwork to the contemporary art.

      • KCI등재

        공간개념 유형분류를 통한 특성분석

        정수미,임경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Ever since Albert Einstein propounded his theory of relativity, the conceptualization of space has evolved beyond the physical spatial system and the scope of space is now expanding to include invisible components such as experience and time. Therefore, the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space diversifies the cognition of spatial conception and demands a new understanding about mental and digital space. From the human and social science point of view, I classified the spatial conceptions using time and philosophical conception as the two main axes of analysis, and I suggest a new spatial conception based on their integration. A cases analysis is provided to materialize and deduce the spatial elements. The criterion used to classify the conceptions of space is whether it was pre- or post-time-introduction in space: conceptual vs ideational space. Conceptual space is divided into the Euclidian and non-Euclidean geometric space, whereas the ideational space is classified into soul, relative, relational and virtual space. Additionall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I suggest a new conception of space -the syncretic-ideational space - which integrates the experiential-ideational space and unmaterial-informational space. By combining conceptual and ideational space, future spatial conception is defined as an extended multisense space in which sensitivity is informationalized. Consequentially, the concrete properties of syncretic-ideational space are presented as mediation, experience, contemplation, interaction, liquidity and extension. I introduce a case of invisible-spatial conception to suggest space-design elements.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제기된 이후로 공간의 개념화는 물질적 공간체계에 대한 의미가 불분명해지고, 공간의 범위 또한 시간과 체험 등과 같은 비가시적인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확장되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른 공간의 다원적 흐름은 공간개념의 인식 다변화를 시키고, 디지털 공간과 정신적 공간에 대한 재인식을 요구한다. 따라서 인문사회과학자들의 관점으로 공간개념을 시간의 축과 철학 개념의 축으로 분류하고 통합하여 방향성을 탐구하고, 분석을 통한 새로운 공간개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적 요소를 구체화하여 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공간개념의 분류 기준은 공간의 시간성 도입 전후를 기준으로 개념적 공간 틀과 관념적 공간 틀로 나누어, 개념적 공간으로는 유클리드 기하학 공간, 비유클리드 기하학 공간으로, 관념적 공간으로는 영혼 공간, 상대적 공간, 관련적 공간, 가상공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와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공간 개념을 체험적 관념공간과 비물질적 정보공간이 통합된 혼합주의적 관념공간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미래의 공간 개념을 개념적 공간과 관념적 공간의 결합을 통하여 감각이 다원화되고, 감성이 정보화되는 확장공간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혼합주의적 관념공간의 구체적 속성을 매개성, 체험성, 사색성, 상호작용성, 유동성, 확장성으로 도출하고, 이러한 비가시적 공간개념을 사례를 통하여 공간디자인 요소로 제안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핵심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해외 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및 디자인 분석

        김덕순,이현주,문공주,황요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창의·융합 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과학교육 분야에서는 여러 개념들을 연결 지어 이해하도록 돕는 핵심개념의 습득과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역량의 함양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은 최근 국가 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핵심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교수·학습자료를 개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호주, 싱가포르의 과학 교과서 중 핵심개념을 명시적으로 강조한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방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미래형 과학 교과서의 구성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국에서 핵심개념을 강조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1종씩을 선정한 후, 3종의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모두 다루고 있는 주제인 ‘다양성’단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 국 교과서 Science Fusion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단원들을 연결하는‘핵심개념 중심 구성’을 갖는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 Science Matters는 연결개념을 중심으로 단원들을 연결하는‘연결개념 중심 구성’을 나타냈다. 호주 교과서 Big Ideas Science는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나 연결개념과의 연관성을 잘 보여주어 ‘혼합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 구 결과를 통해 과학 교과서 개발의 새로운 방법을 시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ponding to the societal demands for cultivating creative and convergent personnels, science educators and organizations have been putting more emphasis on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core ideas through scientific inquiry. Some countries, such as U.S., Australia and Singapore, recently reformed their scienc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core ideas, and put the efforts on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achieve the a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science textbook development in Korea by analyzing contents and design of foreign science textbooks that explicitly emphasize core ideas. For achieving the aim, we selected thre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USA, Australia and Singapore, and targeted a‘diversity unit which commonly existed in the three textbooks. In result, the US textbook, Science Fusion , was organized to aligned the units with core ideas, whereas the contents of Science Matters in Singapore was designed to present the themes. The Australian textbook. Big Ideas Science , was organized along the core ideas as well as the cross-cutting concep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new visions for the next science textbook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비개념주의와 세밀성 논증

        이풍실(Poong-Shil Lee) 한국철학회 2009 철학 Vol.0 No.99

        본 논문에서는 지각 경험 내용이 개념적인가에 대한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 사이의 논쟁을 세밀성 논증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맥도웰을 비롯한 개념주의자 들은 지시사적 개념을 사용하여 세밀한 지각 경험 내용을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세밀성 논증을 비판한 바 있다. 켈리는 세밀성 논증을 새롭게 발전시킨 그의 두 논증들을 통해서 개념주의자들의 이러한 비판을 논박하려고 시도 한다. 본 논문은 켈리의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서, 비개념주의자들이 개념주의를 논박하기 위해 정면으로 공격해야만 하는 것이 무엇인지가 밝혀진다. The controversy between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over whether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is non-conceptual or not is discussed in this paper. Conceptualists along with McDowell contend against fine-grainedness argument that the details belonging to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can be captured by demonstrative concepts. Kelly tries to refute this conceptualist strategy exploiting demonstrative concepts by developing his own two fine-grainedness arguments. But, his attempt turns out to be a failure, which sheds light upon what point non-conceptualists have to attack.

      • KCI등재

        1945년 이후, 개념의 잃어버린 ‘공간성’에 주목하라 —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문학예술편 1∼3』(구갑우·이하나·홍지석 외) —

        장세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8 개념과 소통 Vol.0 No.22

        The Conceptual History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Joseon) Peninsula: Culture and Arts 1-3, published in 2018, is a study which provides a fresh perspective on conceptual history. The authors believe that a “system of conceptual division” has taken roo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y propose that the area north of the 38th parallel should be actively brought into the scope of the conceptual historical studies. The initial plan for this book was presented by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and a number of researchers in North Korean studies are also contributing authors, so there is a clear intention to fully restore the spatiality of disconnected concepts. Naturally, this book focuses on the period after 1945, when the territory was divided. However, since the study of Korea’s conceptual history has so far been mainly concerned with the early modern era, when Korea had its first significant contact with the West, these new attempts cannot easily be integrated with existing work, but they can surely serve as a stimulus to reassess the current framework for the study of conceptual history. A fundamental condition for establishing conceptual history is the determination of the period during which a conceptual divergence occurred. So we should be open to the possibility that, in Korea, there was a dynamic divergence of the main agent, and that the true explosion of concepts occurred after liberation, rather than in the early modern period as is currently accepted This book clearly challenges existing assumptions about the appropriate temporal frame of Korean conceptual history, and it also sheds light on how closely temporality is interwoven with the issue of spatiality. 2018년 출간된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문학예술편 1~3』은 새로운 시도의 개념사(conceptual history) 연구서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한반도에 “개념의 분단체제”가 형성된 것으로 진단하면서, 38선 너머 공간을 연구의 시야로 적극 끌어들일 것을 제안한다. 이 기획의 발원지 자체가 북한학 연구의 중심인 북한대학원이라는 것, 필자들의 라인업에 북한 관련 연구자들이 대거 포함된 것도 단절된개념의 공간성을 복원한다는 취지를 최대한 실현하기 위한 전략이다. 자연히 이책의 무게 중심은 영토 분단이 시작된 1945년 이후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그동안 한국의 개념사 연구가 주로 서양과 접촉한 근대 초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러한 종류의 시도는 오히려 때늦은 감이 있을 정도로 개념사 연구 전반에 필요한 자극이라 할 수 있다. 개념의 의미 분화가 활발하게일어나던 시기를 선택·확정하는 것이 개념사를 성립시키는 기본 조건이라면, 한국의 경우 주체의 역동적 분화와 아울러 진정한 개념의 폭발 현상은 근대 초기보다는 오히려 해방 후에 일어난 사태가 아닐까. 이 책의 기획은 대상 시기를확장해야 한다는 개념사 연구 필드의 요청에 정확히 부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성)의 문제가 결국 시간(성)과 긴밀히 맞물려 있다는 사실을 새삼 우리에게일깨워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