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姜弘立 조선군의 深河전투 참전지리 고찰

        朴現圭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3 No.-

        본 논문은 1619년(광해군 11) 深河전투에 참전했던 姜弘立의 조선군이 나갔던 노정과 공간을 인문지리학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고찰한 것이다. 劉綎의 右翼南路軍은 寬甸에서 나와 「薩爾滸之戰書事」에서 기술한 棟鄂路, 『輿程記』에서 기술한 寬奠路로 따라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赫圖阿拉)로 향해 진격했다. 이 노선은 길이 매우 좁고 험악하여 지나가기가 몹시 힘들었다. 명 군부가 후금의 이목을 속이기 위한 위장전술의 일환으로 유정의 우익남로군을 조선군과 합세하여 멀리 남쪽으로 돌아가게 했다. 姜弘立의 조선군은 창성 소재 군사요충지인 廟洞堡에서 출발하여 압록강을 건너 哵咧泊에 도착했다. 묘동보와 팔렬박은 1943년 수풍댐 건설로 수몰 당했다. 팔렬박부터 亮馬佃까지는 官道溝를 따라 움직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양마전은 寬甸縣 太平哨鎭 일대로 제1차 요동진격 때 명군과 합류한 지점이다. 유정군과 합세한 榛子頭는 태평초진 坦甸子村이다. 진자두에서 북쪽으로 꺾어 감천령에서 동남쪽 2㎞ 떨어진 拜東葛嶺과 환인 경내에서 가장 높은 牛毛嶺을 차례로 넘어갔다. 곧이어 四道河子鄕 大甸子村 남쪽 3㎞ 떨어진 牛毛寨, 四道河子村 二道溝에 소재한 馬家寨를 지나가며 부락들을 분탕질했다. 六道河 상류 黑臥子 부근 龍頭로 추정되는 深河에서 명군의 진격속도를 늦추기 위해 나선 후금 동악부의 주둔방위군과 조우하여 전투를 펼쳤다. 곧이어 鏵尖子鎭 紅塘石村 경내 下大地로 추정되는 富車 들판에서 좌우영이 궤멸당하는 참변을 겪었다. 강홍립과 중영이 올랐던 구라쿠(固拉庫) 언덕은 하대지 남쪽에 소재한 南大山이다. 여기에서 2㎞ 남짓 떨어진 곳이 명 姜應乾의 보병이 몰살한 半截溝이다. 또 북쪽 골짜기가 명군 선발대와 본진이 몰살한 아부달리(阿布達哩) 언덕과 와르카시(瓦爾喀什)이다. 강홍립의 조선군과 별도로 움직인 조선포수 4백 명이 있었다. 조선포수들은 두송의 좌익중로군에 편입되어 출정하다가 기린하다(吉林崖) 아래로 흐르는 蘇子河를 건너다가 궤멸되었다. 기린하다는 현 鐵背山 서쪽 벼랑이다. 이곳에 한때 강홍립, 이민환 등이 붙잡혀 있었던 후금의 또 하나 수도인 자이판(界蕃, 者片)성이 세워졌다. 철배산 남쪽이 명군과 후금군 사이에 최초로 격전을 펼친 사르후(薩爾滸)산이다. This article is a human geographic consideration of the Simha battle, focusing on the route of Joseon troops during the Simha Battle(Shenho Battle; 深河戰役). The Ming troops of Liuting(劉綎) left Kuandian(寬甸) and advanced towards Hetualla(赫圖阿拉), the capital of Later Jin(後金) dynasty(Qing dynasty), along the Donggo route(棟鄂路), described in Sarhuzhi Zhanshushi(「薩爾滸之戰書事) and the Kuan dian route(寬奠路), described in Yuchengji(輿程記. These route were narrow and rough, so it was difficult for the soldiers to pass through. It was a camouflage tactic that the troops of Liuting went around the long way southwards, to disguise the army of Later Jin. The Joseon troops of Gang Hongrip(姜弘立), left Modongbo(廟洞堡) and arrived at Baliebo(哵咧泊) crossing the Yalu River(鴨綠江). Modongbo and Baliebo was submerged by Supung(水豊) Dam in 1943. The troops are presumed to have moved along the Guandao gou from Baliebo to Liangma dian(亮馬佃). Liangma dian, located in the Taiping shao zhen(太平哨鎭), Kuandian xian, is the meeting point of the troops of Joseon and Ming, during the first conquest of Liaodong. The Joseon troops of Gang Hongrip joined with the Ming troops of Liu ting at Zhenzidou, which is Tandianzi cun(坦甸子村), Taiping shao zhen(榛子頭). The troops left Zhenzidou and advanced northwards through Baidong geling(拜東葛嶺), which is 2㎞ south-east of Kanchuan ling(砍川嶺), and Liumao ling(牛毛嶺), which is the highest in Huanren(桓仁). They pillaged at Liumao zhai(3㎞ south of Daodianzi cun(大甸子村), Sidao hezi xiang(四道河子鄕) and Majia zhai(馬家寨)[Erdao gou(二道溝), Sidao hezi cun(四道河子村)], which belonged to Donggo village of Later Jin. The troops fought a battle with the defense forces of Later jin at Simha, presumed to be Longdou(龍頭), which is near Heiwozi, the upper reaches of the Liudao river(六道河). But the left and right military camps of the troops were destroyed at the Buchal field, which is presumed to be Xiadadi(下大地) in Hongtangshi cun(紅塘石村), Huajianzi zhen(鏵尖子鎭). The Gulaku, where the Gang Hongrip and the millde military camp mounted, is the Nanda Mt.(南大山) hill, located south of Xiadadi. The Banjie gou, where the Ming infantrymen of Jiang Yinggan were annihilated, is 2 km south of here. And the northern valley is the Abdari(阿布達哩) hill and Warkasi(瓦爾喀什), where the advance force and headquarter of the Ming army were annihilated. There were 400 artillerymen from Joseon, dispatched separately from the troops of Gang Hongrip. The artillerymen were incorporated in the army of Dusong(杜松) and sent to the battle, only to be destroyed, crossing the Suzi river(蘇子河), running under the Girinhada. The west cliff of the current Tiebei Mountain(鐵背山) is Girinhada(吉林崖), and the Jaifiyan(界蕃城) at the mountainside of Tiebei is where Gang Hongrip and Lee Minhwan(李民寏) were caught prisoners. The sough of Tiebei Mountain is the Sarhu Mountain(薩爾滸山), where the troops of Ming and Later Jin had the first battle.

      • KCI등재

        명장(明將) 교일기(喬一琦)의 죽음으로 본 심하전역(深河戰役)

        김일환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Four huge units of the Ming Dynasty made a sortie at the same time to clear the Hetuala (赫圖阿拉), the base of the Hou Jin Dynasty, in 1619. Thirteen thousand Joseon soldiers with Gang Hongnip(姜弘立) as the general commander were affiliated with the troops of Yu Jeong forwarding to Hetuala in the east. The main unit of Yu Jeong(劉綎) was destroyed by the mounted troops of Hou Jin while the left regiment of Joseon led by Kim Eungha(金應河) following the main unit was also defeated. As Gang Hongnip, who had not joined the battle, tried to negotiate settlement with the troops of Hou Jin, General Qiao Yiqi(喬一琦) of the Ming Dynasty, who had been left in the camp of the Joseon army in a supervisory role, committed suicide. Gang Hongnip surrendered and became a prisoner, taken to Hetuala, the capital of Hou Jin. His soldiers escaped or returned to Joseon through negotiation. As the survivors returned to Joseon, the official report that Qiao Yiqi chose suicide to keep his integrity and the testimonies of other stories were continuously presented. In the fiction “Choicheokjeon(崔陟傳, Tale of Choi Cheok)”, adopting a non-fiction style, a testimony was disclosed that Yi Minhwan(李民寏), the secretary of Gang Hongnip, handed Qiao Yiqi to the troops of Hou Jin to survive. Then, Yi Minseong, the elder brother of Yi Minhwan who was driven to the corner as the betrayer, fiercely denied the testimony by immediately composing two poems. Yi Minhwan dodged his responsibility by writing about his life as a prisoner for one year and 7 months. Gwon Chik, another secretary who barely escaped to Joseon, pointed out that Gang Hongnip drove Qiao Yiqi to his death in his writing ‘Gangnojeon(姜虜傳, Story of a Barbarian with the Surname ‘Gang’)’ in which Gang Hongnip was the main character in 1630. His insistence was accepted like a true argument due to the negative awareness of Gang Hongnip that had been spreading since 1627 (Chinese invasion of Korea). Qiao Yiqi, who testified to the bravery and the desire to fight of the Joseon army in “Chungnyeollok” created for Kim Eungha who died a heroic death, became the victim betrayed by the Joseon army. Qiao Yiqi became the subject of sympathy who kept integrity by committing suicide, a subject to be protected, not the general of the suzerain state supervising and managing the Joseon army. 1619년 명나라는 후금의 본거지 허투알라(赫圖阿拉)를 소탕하기 위해 4개의 대규모 부대를 동시에 출격시켰다. 강홍립(姜弘立)을 총사령관으로 한 1만 3천명의 조선군은 동쪽에서 허투알라로 진격하는 유정(劉綎)의 부대에 소속되었다. 후금의 기마부대에 유정의 본군이 먼저 궤멸된 뒤, 뒤따르던 김응하(金應河)의 조선군 좌영(左營)도 전멸했다. 전투를 회피한 강홍립이 후금 군대와 강화 교섭에 나서자, 조선군 감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조선군 진영에 남아있던 명나라 장군 교일기(喬一琦)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강홍립은 항복하여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로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고, 그의 부대원들은 탈출하거나 교섭으로 조선에 복귀하였다. 생존자들이 귀국하면서, 교일기가 절개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는 공식 보고와 다른 내용의 증언이 나왔다. 「최척전(崔陟傳)」에서 강홍립의 종사관 이민환(李民寏)이 생존을 위해 교일기를 후금군에 넘겨주었다는 증언이 나오자, 악인으로 몰린 이민환의 형 이민성(李民宬)은 즉각 2편의 시를 지어 이를 격렬하게 부정했고, 이민환은 1년 7개월 동안의 포로 생활을 「책중일록(柵中日錄) 으로 정리하면서 그 책임을 회피했다. 강홍립의 개인 비서였던 권칙(權侙)은 1630년에 「강로전(姜虜傳)」을 지어 교일기를 죽음으로 내몬 사람으로 강홍립을 특정했다. 정묘호란(1627) 이후 확산된 강홍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이는 정론처럼 굳어졌다. 김응하와 조선군의 용맹함과 전투 의지를 확인시켜주는 ‘증인’이었던 교일기가 이제 조선군의 배신으로 희생 당한 피해자가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군을 감시․감독하던 ‘상국(上國)’의 장군이 아니라 ‘우리’가 보호해 주어야 했던 대상, 스스로 목숨을 끊어 충절을 지킨 동정의 대상이 되었다.

      • KCI등재

        강홍립 이야기의 방어기제 연구

        권대광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revealed in the story of Kang Hong-lip, which was establish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Sarhū battle(Simha battle). The study focused on the works <Gangrojeon> and <Kim Young-chul jeon>, which written in the 17~18th century. In this article, the Joseon nobles' anxiety and fearness to created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Hugeum(late Jin) were found to be projected onto Kang Hong-lib in the historic event of a Sarhū battle. Kang Hong-lib was appearing as a defeated general, a surrendered general and the barbarian(Oranga) in the epic. When Kang Hong-lip described as a surrendered general and the barbarian, negative perception of the Hugeum from the wars between Joseon are restricted to Kang Hong-lip's individual problems. And it can explained as a product of the neurotic defense mechanism. A Projection on Kang Hong-rip became clarified by 'secret order', which is repeated consistently in <Gangrojeon>. This study estimates the'secret order' story as fiction from repetitive compulsion. This repetitive obsession was revealed in the work and reproduced delusions. This feature was also seen in <Kim Young-chul jeon>, where the same Kang Hong-lip's negative images written. Although there was no direct connection to the progress of the central character's epic in <Kim Young-chuljeon>, the character of Kang Hong-lip' as a surrendered general and the barbarian descrived. It is also related with the repetition compulsion and delusional memory. On the other hand, if the projection in the founding of Kang's character was a transference of the writer, reading Kang Hong-lip's narrative could be explained as a Countertransference for readers of the times. In this regard, the work should be evaluated as a narrative performing healing function, but also the product of a neurotic defense mechanism. 이 글에서는 심하전투를 배경으로 성립된 강홍립 이야기에 드러난 심리적 방어기제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심하전투 당대의 저작이라고 할 수 있는 <강로전>과 <김영철전>을 주된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후금과의 관계를 통해 조성된 당대 조선 사대부들의 불안감과 공포가 심하전투라는 역사적 사건을 계기로 강홍립에게 투사되어 있는 흔적을 찾았다. 강홍립은 서사 속에서 패장, 항장, 오랑캐로 표상되고 있었다. 특히 항장과 호국의 일원으로 다뤄지고 있는 지점에서는 심하전투 및 정묘호란 등 후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홍립의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는 점을 지적했으며, 이를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산물로 보았다. 강홍립 개인에게 집중되는 투사는 ‘밀지설’을 통해 구체화되는데, <강로전>에서는 이 밀지설이 계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를 반복 강박의 산물로 보고, 이러한 반복적인 강박이 망상적 형태로 서사화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모습은 <김영철전>에서도 잘 볼 수 있었는데, 중심인물의 서사 전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강로전>에서 그려진 강홍립의 항장과 오랑캐의 모습이 서사화되는 것은 망상적 기억이 반복적으로 재생된 결과로 보았다. 한편, 강홍립 이야기의 성립에 있어 투사적 행위가 작가 자신에게는 전이적 행위였다고 볼 수 있다면, 당대 독자들에게는 역전이의 대상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단순히 강홍립 이야기를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산물로 보는 입장보다 치유적 기능을 수행한 측면에서 작품이 평가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 KCI등재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

        김영미(Kim, Young-M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강로전」은 실제 역사 인물 강홍립의 참전기를 서사화한 작품인데 본고는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은 동심원적인 구조를 보인다. 즉 강홍립을 점차 악인으로 서사화하는 서술 양상은 소문이 확산되어 사실적 차원으로 확정되는 과정과 하나의 사이클로 돌아가고 있다.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대를 한몸에 받던 대원수 강홍립이 어떻게 서서히 역적이 되어가는지, 즉 역적 서사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분석했다. 역적 서사는 주인공 강홍립을 중심으로 많은 주변 인물들이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며 강홍립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며 완성되고 있다. 이는 일종의 일대다(一對多)의 관계 속에서 강홍립을 철저히 악인으로 만드는 서사 형태인데, 극단적 선악 대립을 선보이는 영웅 서사와 이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음으로 「강로전」에서 ‘소문’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작가 권칙은 「강로전」의 모든 내용이 정체를 특정할 수 없는 ‘어느 노승에게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이렇게 ‘누구에게선가, 어디에선가 들었다’는 것은 소문을 전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간접인용의 틀이다. 소문은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믿음이나 이념에 부합될 때 더 쉽게 받아들이게 되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적 경향을 보이는데, 「강로전」에서 기댄 편향적 이념은 바로 ‘대명 의리’이다. 「강로전」 이야기는 ‘대명 의리’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재구(再構)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기억과 연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과거의 인물과 사건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가 권칙의 자기 변명의 의도와 조선 후기 사회의 시대적 관념 속에서 ‘강홍립’은 기억되고 재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문의 틀을 원용하고 소문의 편향성을 기반으로 했던 허구로서의 「강로전」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사실’의 차원으로 나아간다. 「강로전」에서는 이야기 전달자 노승을 등장시켜 강홍립 이야기가 일종의 소문임을 밝혔었던 것에 비해 후대 이건(李健, 1614∼1662)의 「강로전」이나 유한준(兪漢雋, 1732∼1811)의 「강홍립전」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전달자를 없애고 한문의 ‘전(傳)’ 양식을 띠게 된다. 그에 따라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지 못하고 ‘소문’의 속성이 강했던 강홍립 이야기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문의 수용 문턱(thresholds)을 지나 범사회적으로 수렴되면서 점점 ‘사실’로 고착된다. 권칙에 의해 서술된 ‘강홍립’이 소문의 확산과 맞물려 ‘사실’ 차원에서 악인의 대표적 표상이 되는 것이다. Gangro-jeon tells the story of Gang Honglib who fought against the Qing army. In this paper, I analyze narrative modes of Gangro-jeon and its use of rumors. The story follows General Gang who gradually turns out to be a traitor. Gang stands in the middle of the stage, and several characters come in and go out of it in turn. They severely criticize him and accomplish their goal in the end. This many-on-one unidirectional relationship makes him a helpless villain. The 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ero wherein some extreme antagonism is show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Rumors are tactfully utilized in Gangro-jeon. Gwon Chik, who wrote Gangro-jeon, tells us that he heard the whole story from an old monk whose identity he could not specify. This is a typical frame of indirect quotation from someone somewhere. If people hear a rumor which corresponds to their belief or ideology, it results in a confirmation bias. The ideology of Gangro-jeon is based on the idea of obligation to the Ming dynasty. Gangro-jeon’s plot does not care whether it is true to historical facts but simply reorganizes them in accordance with its ideology. Furthermore, it reveals how memorization works in a novel.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fallibly what a historical character did and what happened to him. Gang Honglib was memorized and reorganized in the matrix of social ideology of Gwon Chik and the Joseon dynasty. Gangro-jeon, which adapted the frame and bias of rumors, began to be accepted as the story of real facts. The old monk whom Gwon Chik introduced to reveal the source of his story disappeared off the plot in later versions. One of them, Lee Gun’s Gangro-jeon, resembles a biography. Rumors were the source of the story of Gang Honglib, which was a fiction at first, but it was accepted and fixed as the record of historical fac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umors that passed through social thresholds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Once the argument that Gang was a turncoat, or a traitor, was received, it made him a typical villain.

      • KCI등재

        내촌(耐村) 강홍립(姜弘立)의 신원과 복권

        이덕일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강홍립은 1619년 조선과 후금(청)이 싸운 심하전역에서 패전 후 항복한 장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강홍립은 광해군과 미리 짜고 항복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조선 시대는 물론 지금까지도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강홍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두 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하나는 패전 당시의 인식이다. 평안감사 박엽은 군량 공급에 소홀했던 자신의 책임을 전가하기 위해서 사실과 다르게 조정에 보고했다. 또 하나는 숭명반청을 명분으로 인조반정이란 쿠데타를 일으켜 집권한 서인들의 태도였다. 그러나 서인들은 청나라와 전개한 두 차례의 전쟁에서 패전한 후 청나라를 상국으로 삼았다. 그러면서도 속으로는 청나라를 부인하는 모순된 행위를 계속했다. 이런 모순된 상황을 합리화하는 방안으로 강홍립이 일부러 청나라에 항복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강홍립은 항복하라는 광해군의 밀지를 받지 않았다. 또한 강홍립은 포로로 있으면서 광해군은 물론 인조에게도 청나라의 현실을 전달하면서 조선을 전화(戰禍)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노력했다. 1627년의 정묘호란 때 후금군이 황해도 평산에서 멈추고 남하하지 않은 것은 강홍립이 중재한 덕분이었다. 그래서 비변사는 강홍립이 “나라를 잊지 않았다”고 칭찬하고 부원수였던 정충신은 “강홍립 덕분이 수만 군이 물러나서 모든 백성들이 그 은혜를 감사한다”고 칭찬했다. 이 전쟁 때 고국에 정착한 강홍립은 곧 사망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조선은 숭명반청 정책을 바꿀 생각을 하지 않았고, 1636년에 다시 병자호란이 발발했다. 이때는 강홍립도 사망한 후였으므로 인조는 직접 청나라 군영으로 나가서 항복해야 했다. 두 전쟁의 참패에도 불구하고 서인들은 계속 정권을 유지했고, 겉으로는 청나라에 사대하면서도 강홍립을 비난하는 것으로 자신들을 절개 있는 것으로 포장했다. 서인(노론)이 조선 후기 내내 집권하면서 이런 인식이 현대인들에게도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 강홍립은 나라의 명으로 원치 않는 전쟁에 나가서 최선을 다했고 패전 후에도 나라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했다. 이제 그를 나라를 위해 생애를 바친 애국자로 재평가될 때가 되었다. Kang Hong-lib is considered as a surrendered General in 1619 after losing the battle at Simha,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post-Jin(後金) Dynasty. However, Kang Hong-lib has been accused of having surrendering after receiving a secret order from King Kwangh-hai since King In-jo’s rebellion. The negative perception on General Kang has been accepted not only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also until now. This thought was made in two stages. First, it was a report by Park-yeop, the governor of the Pyong-An Province. He made in a false report to pass on his mistakes to Kang Hong-lib. Park-yeop couldn’t deliver the troops in time. The second reason was the attitude of the Seo-In Party. They seized power in a military coup called ‘Injo-Banjeong’ in the pretext of pro-Ming Dynasty. But after losing the two wars against the Qing Dynasty, the Seo-In Party served the Qing Dynasty as the Emperor’s nation. But inwardly, they denied the Qing Dynasty, which was a contradiction. To rationalize this contradiction, they accused Kang Hong-lib surrendered deliberately to the Qing Dynasty. But Kang Hong-lib did not secret received the order by the King Kwang-hai. Also while being a prisoner, Kang Hong-lib secretly reported to the King on the situation on the Qing Dynasty. He tried to get Joseon Dynasty out of the war disaster. During the war of 1627, the Qing Dynasty’s army stopped at Pyongsan, Hwanghae Province, because of Kang’s intervention. So the Office of Border Defense(비변사) praised him for not forgetting home country. Jung Chung-shin, The deputy commander, praised him, “Thanks to him, a great number of soldiers stepped down and all the people are grateful for his grace.” Kang Hong-lib settled in his homeland during this war but died soon after. Even after this war, however Joseon Dynasty did not change its policy of pro-Ming Dynasty and anti-Qing Dynasty, and the war broke out again in 1636. This time was after Kang’s death, King InJo himself had to go to the Qing Dynasty military camp to surrender. Despite the crushing defeat of the two wars, the Seo-In Party remained in power. They tried to conceal their incompetence by criticizing Kang Hong-lib. As they continued to take power ev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erception was also introduced to the present people. Kang Hong-lib went to an unwanted war by the King’s order but did his best. It’s time to reevaluate him as a patriot who dedicated his life to his country.

      • KCI등재

        청 건륭제 「薩爾滸之戰書事」 비석과 비문 고찰 -조선군의 참전기록을 중심으로-

        朴現圭 ( Park Hyun Kyu ) 중국사학회 2020 中國史硏究 Vol.0 No.125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taph, Sarhuzhi Zhanshushi(薩爾滸之戰書事), which contains the Sarhu(薩爾滸) battle that led to the Ming-Qing transition, and focuses on the battles of Joseon troops. In 1619 (4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Tianming), the Ming dynasty dispatched large forces divided into 4 groups, to attack the Later Jin dynasty (the Qing dynasty). However Nurhachi(努爾哈赤) of Later Jin annihilated the Ming troops, with skilled military tactics of converging attack in the Sarhu and the nearby. Joseon unwillingly took part in the war and dispatched the army led by Gang Hongrip(姜弘立). But the left and right military camps were annihilated and middle military camp surrendered to the enemy. Just before November 1775 (40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Qianlong), the Emperor Qianlong of Qing wrote Sarhuzhi Zhanshushi to honor Nurhachi, the first emperor, for the Sarhu battle. In February 1776 (41th year of the reign), he set up an monument stone and pavilion on the north of Shubei cun(竪碑村), the battlefield of Sarhu. Also in each 1778 (43th year of the reign) and 1783 (48th year of the reign), he wrote the poem which reminded the meaning of Sarhuzhi Zhanshushi. In 1978, the monument stone was moved to Mukden palace(Shenyang Palace; 瀋陽故宮). The Epitaph, Sarhuzhi Zhanshushi was written, based on and modified from the Qingtaizu shilu(『淸太祖實錄』). It is exaggerating the number of Ming troops destroyed by Later Jin, and contains hyperbole that the God wind helped victory of Later Jin. Also the epitaph describes the battle scene of Joseon troops, which cannot be found in Korean records, and even conflicts with it. According to the epitaph, Ming infantrymen of Jiang yingqian(姜應乾) joined with Joseon army in Buchal(富車) war. It is written that, Gang Hongrip first sent a messenger when negotiating for peace, unlike the records of Joseon.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강로전』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욕망의 서사

        조현우 ( Hyun Woo Ch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강로전』은 작자 권칙이 ``돌아온 자``로서 겪었던 비난과 의심의 시선에 대한 문학적 대응이며, 그 속에는 강홍립에 대한 증오와 연민의 시선이 공존하고 있다. 권칙은 심하전투에 참전했다가 온갖 고난 끝에 조선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그는 그 이후 실절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권칙은 1627년 일어난 이인거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공신으로 녹훈되고 벼슬을 제수받지만, 여전히 그의 과거 전력을 문제삼은 사간원의 상소로 파직된다. 『강로전』은 그 직후 지어졌다. 권칙은 『강로전』의 심하전투 관련 서술에서 강홍립을 일관되게 부정적 형상으로 만들면서 자신을 포함한 나머지 장졸들을 ``피해자``로 형상화한다. 이 과정에서 ``밀지``는 권칙을 포함한 나머지 장졸들이 자신들의 능력이나 의지와는 무관하게 항복의 오명을 뒤집어썼음을 보여주는 서사적 장치로 활용되었다. 강홍립의 조선 귀환 이후 서술에는 증오와 연민의 시선이 함께 드러나고 있다. 권칙은 강홍립을 역심을 가진 채 돌아온 인물로 설정한다. 이는 강홍립의 역심을 부각시킴으로써 탈출한 작자 자신의 절개를 은연중에 드러내려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권칙은 강홍립이 자신과 마찬가지로 ``돌아온 자``로서 겪는 상황에 대해 은밀한 연민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강로전』에 포함된 전기적 설정에는 운명의 횡포 앞에 놓인 무력한 인간으로서의 강홍립과 작자 자신에 대한 연민이 담겨 있다. 『강로전』은 권칙이 전쟁을 기억하고 서술하는 일을 통해 자신을 정당화하고자 했던 ``욕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런 점에서 『강로전』은 전쟁의 기억이 어떻게 허구적 서사로 전환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강로전』은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기억을 자신의 정당성 확보라는 욕망을 위해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허구적 서사로 만들어졌다. In this study, I asserted that Gangrohjeon(姜虜傳) written by Geon Chik(權칙) in 1630 was the literary expression against the suspicion and blame of unchastity. This text was based on the memories of Battle in Sarhu constructed in the Ming(明) and Chosun participated in the war as allies included writer himself. After the return to Chosun, he had been troubled with the suspicion and blame of unchastity for the surrender and defeat of the Battle in Sarhu. Through creating this text, he presented not only Gang Hongrib`s overall and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final consequence of war but also the irresponsibility and innocence of himself. But the coexistence of hatred and sympathy to Gang Hongrib in this text, I think, was represented the complicated feelings of writer to Gang Hongrib. Gangrohjeon was turned into narrative fiction not because of disagreement with historical evidence and narrative text but because of desire to establish his identity. I designated that memory is important because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and, as time goes more distant from original event, memory moves from the realm of fact to fiction. I also pointed the necessity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wars and narrative fictions in 17th century in terms of the memories of wars and the desire to establish identity.

      • KCI등재

        심하전투 전쟁포로 강홍립의 두 형상 -『책중일록』과 "강로전"의 대비를 중심으로 -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책중일록』과 권칙의 <강로전>에 그려진 강홍립의 형상을 비교분석하였다. 『책중일록』은 종사관 이민환이 심하전투의 실상과 강홍립의 이미지를 객관적 시각에서 그린 텍스트이다. 『책중일록』에는 ‘잊힌 전쟁포로’로서의 강홍립 형상이 주로 그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전투 직전까지 군량보급을 받지 못해 고심한 도원수, 명군의 리더십이 부재한 상태에서 전투의 패배를 맛보아야 했던 장수의 모습, 투항 이후 조선의 이익을 위해 애쓴 항장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권칙의 <강로전>은 강홍립의 생애에 관해 기록한 거의 유일한 텍스트인데, 강홍립은 ‘배덕자’의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 주요하게, 장수로서의 책임을 망각한 장수, 변절한 항장, 자신의 안위만을 꾀하다 마침내 패가망신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권칙은 심하전투의 패배 책임을 강홍립에게 돌리기 위해 사실을 왜곡하여 인물을 형상화하고, 한편으로 좌영장 김응하를 시대의 영웅으로 부각하였다. <김장군전>의 김응하 추존, <임장군전>, <북정일록>, <임진록>에 나타난 존명의리론, ‘민중’ 또는 ‘정신적 승리’라는 관념은 조선후기 전란을 소재로 한 소설에서 문제적 지점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단순한 통속소설이 아니며, 특정한 국가 이데올로기-존명의리론-에 사로잡힌 양상을 보여준다. <강로전>은 전란을 제재로 한 17세기 역사소설에 작용하는 사대이념과 이념적 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보여주는 일련의 작품들 중 하나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400년 간 강홍립에게 전가되었던 심하전투의 패배 책임과 강홍립의 왜곡된 형상은 결코 사실이 아니다. 강홍립은 군량부족과 불리한 전쟁상황 속에서 전쟁패배의 책임을 받아들이고 후금에게 항복함으로써 5,000명 군인의 목숨을 보호하였다. 필자는 강홍립이 ‘장수로서의 명예를 지키고 끝까지 살아남아 마침내 10년 만에 귀환한 전쟁포로’라는 점을 평가한다. In this paper, Chaegjung-illog and Kanglo-jeon are used as text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Shimha Battle and how General Kang, Hong-lip are drawn. Chaegjung-illog is the most realistic text of Shimha War's image and General Kang, Hong-lip's image. Chaegjung-illog is mainly depicted as Kang, Hong-lip form as a forgotten war captive, and his struggle in battle. The general is a hard-witted general who has not been able to receive military supplies until the close of battle, a defeated general who lost leadership in Ming's army, and a loner who has been a prisoner for the interests of Joseon. Kanglo-jeon is almost the only text written about the life of General Kang, Hong-lip, mainly depicted as a traitor and a downfall. Kanglo-jeon is intentionally distorted and manipulated when compared to historical facts or truths. It is not true that Kang Hong-lip is responsible for the defeat of the Shimha War, or the distorted form of Kang Hong-lip. Kang Hong-lip is a prisoner of war who has defended himself as a general, survived to the end, and finally returned in 10 years. This sentence is an rhetoric suitable for General Kang Hong-lip.

      • KCI등재

        深河戰役(1619) 당시 조선 ‘渡遼軍’의 편제와 규모

        장정수 ( Jang Jung-soo )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96 No.0

        Until now, studies on the Campaign of Simha(深河) in 1619 were concentrated on the argument inside the Chosŏn government and the background to surrender of the Chosŏn arm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relatively low focus on Chosŏn troops itself, which was called Toryogun(渡遼軍; Liaodong-crossing forces). The analysis on Toryogun must be preceded to understand the causality of Chosŏn’s diplomacy with the Ming and that with Later Jin.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etailed organization and scale of Chosŏn troops during the Campaign of Simha. The scale and organization of Toryogun was recorded different among various sources. This study traced the reason of variants in different sources to approach the reality of Toryogun. The organization of Toryogun could be re-constituted by the list of deceased in the royal report contained in Imundŭngnok(吏文謄錄; Records of Scribal Prose), and the guideline of organizing army in 1614, as well as well-known source of Ch’aekchungillok(柵中日錄; Daily Journal within the Palisade). As a result, the fact could be found that Toryogun was organized based on Punsubŏp(分數法) in Yŏnbyŏngsilgi(練兵實記; Practical Account of Troop Training), and the meaning of different numbers in different source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the link between Toryogun and Chosŏn’s state defense was identified as well, which is anticipated to show us another reality of Chosŏn military in the early 17th century.

      • 심하전역(深河戰役) 당시 광해군의 ‘밀지(密旨)’와 대후금(對後金) 배후교섭의 변질

        장정수 ( Jang¸ Jung-so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1 사총 Vol.104 No.-

        이 글은 深河戰役(1619) 전후 조선의 對後金 교섭의 추이를 살펴보고 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조선은 명의 東路軍에 예속되어 出兵했고, 패전 이후 도원수 강홍립이 후금에 투항했다. 이 사건은 이후 조선과 명ㆍ후금의 외교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주로 도원수 강홍립이 받았다는 광해군의 ‘密旨’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에 반해 비변사의 역할이나 군신 간의 공감 혹은 갈등에 대한 흐름이 인과적으로 설명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심하전역 당시 조선군이 명 동로군에 예속되어 그들의 후미에서 행군한 경위를 살피고, 그것이 패전할 경우에 대비한 대후금 배후교섭과 상호 연관된 조치였음을 밝히고자 했다. 아울러 강홍립의 투항과 그의 처벌에 대한 광해군의 미온적 자세가 비변사와의 갈등을 촉발시켰고, 동시에 배후교섭이 기미책으로서 기능을 상실하여 ‘비밀교섭’이라는 또 다른 형태로 변질되었음을 논증했다. 이를 통해 명과 후금에 대한 외교정책이 擇一이 아닌, 이중적인 성격을 가진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vicissitude of Chosŏn's negotiations with the Later Jin on the context of the Campaign of Simha in 1619. During the campaign, Chosŏn dispatched troops to aid Donglujun (東路軍 ; Eastern Column Army) of the Ming, but after their defeat, Supreme Commander Kang Hongnip of Chosŏn surrendered to the Later Jin. Thereafter, this had a profound influence not only on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the Ming, but also between Chosŏn and the Later Jin. However, the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Kwanghaegun's "Secret Instruction (密旨)", which Kang was said to receive, while the role of Pibyŏnsa (備邊司 ; the Border Defense Council) and the interaction between Kwanghaegun and his ministers were not examined thoroughly. This paper attempted to show that the reason behind Chosŏn army stationed and marched behind the Ming Donglujun was related to the failsafe for Chosŏn’s Behind-the-Scenes negotiation with the Later Jin. In addi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Kwanghaegun's lukewarm attitude toward Kang Hongnip's surrender and his punishment triggered his conflicts with the Border Defense Council, and at the same time, the negotiations with the later Jin lost their function as a ‘Loose-Rein Policy’, turning into "secret negotiations" as a result. This contemplates that Chosŏn’s foreign policy towards the Ming and the Later Jin was not the dilemma between the Ming or the Later Jin, but the ambivalence on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